KR102528567B1 -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567B1
KR102528567B1 KR1020200176755A KR20200176755A KR102528567B1 KR 102528567 B1 KR102528567 B1 KR 102528567B1 KR 1020200176755 A KR1020200176755 A KR 1020200176755A KR 20200176755 A KR20200176755 A KR 20200176755A KR 102528567 B1 KR102528567 B1 KR 102528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upport rod
head
removal device
weed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778A (ko
Inventor
김남석
유영근
Original Assignee
진성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정밀(주) filed Critical 진성정밀(주)
Priority to KR102020017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5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01B39/19Rod weeders, i.e. weeder with rotary rods propelled beneath the soil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4Handle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잡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흙속으로 파고든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흙을 파면서 흙 속에 분포된 잡초의 뿌리를 커팅하는 잡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진 흙 면을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헤드부의 각도를 변환할 수 있는 잡초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Weeds Removal Apparatus having Banding Head Por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잡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흙속으로 파고든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흙을 파면서 흙 속에 분포된 잡초의 뿌리를 커팅하는 잡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잡초란 경작지, 도로, 그 밖의 빈터에서 자라며 생활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풀을 말한다. 잡초의 가장 큰 문제는 그 주변에서 자라나는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고 병균과 벌레의 서식처 또는 번식처가 되어 작물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일년 내내 힘들게 농사 지은 작물이나 잘 가꿔 놓은 잔디가 잡초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잡초는 작물에 비해 생육도 빠르고 번식력도 강하며 종자의 수명까지 길기 때문에 작물이 차지해야 할 땅과 공간을 점령하고 작물에게 가야 할 양분과 수분을 빼앗게 된다.
또한 작물보다 크게 자랄 경우 햇빛까지 차단해 작물의 광합성 작용을 방해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잡초의 종자가 작물 종자에 섞이게 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작물의 품질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잡초 제거에 신경 쓰지 않는다면 그로 인한 피해비용과 늦게 제초하는데 드는 추가적인 잡초제거비용 때문에 작물의 생산가가 올라가게 된다.
또한 작물에 대한 피해 외에도 도로나 철로 등에 잡초가 날 경우에는 도로의 제 기능을 방해하게 되고, 최악의 경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고, 잘 가꾸어진 잔디나 정원의 경우 잡초 때문에 미관을 해치게 될 수도 있다.
잡초를 제거하기 위하여 잡초제거장치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잡초제거장치는 블레이드가 설치된 헤드부가 조인트부에 의하여 제어막대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헤드부가 복수의 디스크를 포함하는 형태인 경우에 평평한 면을 가지는 흙을 갈아낼 때에는 문제가 없으나, 경사진 면에 흙을 갈 때는 작업자가 핸들을 잡고 허리를 꼬아서 헤드부를 경사진 흙 면에 대고 흙을 갈아내게 되므로 작업자가 작업하는데 불편하다.
따라서 경사진 흙 면을 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경사진 흙 면을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헤드부의 각도를 변환할 수 있는 잡초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작업자의 어께에 설치될 수 있는 엔진부; 상기 작업자가 그립할 수 있는 핸들부;
상기 엔진부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영역과 하드 영역으로 구분되며, 내부에 상기 엔진부에서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개재되고, 일측에는 상기 핸들부가 부착되는 서포트로드; 및
상기 서포트로드의 끝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블레이드가 테두리부를 따라서 배열하며, 상기 동력전달부가 전달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회전부가 설치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서포트로드와의 사이에서 설정된 각도만큼 각도변환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헤드부가 각도변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헤드부의 양 단에는 상기 서포트로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로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커넥팅로드는 각각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서포트로드에서 상기 헤드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리브와 상기 제2슬리브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로드에는, 상기 제1슬리브와 상기 제2슬리브를 회전시켰을 때 비로서 상기 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선(C)으로부터 일정거리(D) 이격된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서포트로드에는 상기 제1슬리브와 상기 제2슬리브 사이에 간격을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진 흙 면을 작업자가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헤드부의 각도를 변환할 수 있는 잡초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잡초제거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복수의 블레이드회전부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잡초제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잡초제거장치에서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잡초제거장치의 서포트로드에 인디케이터 눈금이 표시된 모습과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의 홈부에 서포트로드의 돌출부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잡초제거장치를 나타내고, 도 2는 복수의 블레이드회전부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잡초제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잡초제거장치에서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잡초제거장치의 서포트로드에 인디케이터 눈금이 표시된 모습과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의 홈부에 서포트로드의 돌출부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a)는 도 1의 잡초제거장치의 서포트로드에 인디케이터 눈금이 표시된 모습과 돌출부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5(b)는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의 홈부에 서포트로드의 돌출부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100, 이하 잡초제거장치라 한다)는 엔진부(110)와 핸들부(130)와 서포트로드(120)와 헤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엔진부(110)는 작업자가 잡초제거장치(100)를 사용할 때 어깨에 메어 설치될 수 있도록 스트랩(111) 등이 부착될 수 있다.
핸들부(130)는 작업자가 잡초제거장치(100)를 사용할 때 그립할 수 있는 부분이며 형상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서포트로드(120)는 엔진부(110)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영역(122)과 하드 영역(121)으로 구분되며, 내부에 엔진부(110)에서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개재되고, 일측에는 핸들부(130)가 부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서포트로드(120)의 플렉시블 영역(122)은 엔진부(110)와 연결되는 영역으로서 작업자가 어깨에 엔진부(110)를 매었을 때 어깨 넘어로 연결되어 서포트로드(120)의 하드 영역(121)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플렉시블 영역(122)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부분으로서 작업자가 어깨에 엔진부(110)를 매고 잡초제거장치(100)를 사용할 때 하드 영역(121)에 부착된 핸들부(130)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서포트로드(120)의 하드 영역(121)은 일측에 핸들부(130)가 부착 설치되어 작업자가 핸들부(130)를 잡고 서포트로드(120)의 하드 영역(121)을 움직여 잡초가 분포된 지역으로 헤드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플렉시블 영역(122)과 하드 영역(121)은 모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공부에는 동력전달부가 설치된다. 동력전달부는 동력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은 플렉시블 영역(122) 안에서 엔진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은 하드 영역(121) 안에서 헤드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엔진부(110)에서 발생한 동력을 헤드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헤드부(200)는 서포트로드(120)의 끝단에 설치되고 동력전달부가 전달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회전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회전부(210)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00)가 결합되어 블레이드회전부(210)가 회전하면 복수의 블레이드(300)도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다.
블레이드회전부(210)는 복수의 블레이드(300)가 결합 설치된 구조로서 블레이드회전부(210)가 회전하면 복수의 블레이드(300)가 함께 회전하면서 흙을 파고 들어갈 수 있다.
블레이드회전부(210)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회전부(210)는 헤드부(2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블레이드회전부(210)가 헤드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블레이드회전부(210)를 제1회전부(211), 제2회전부(212), 제3회전부(213), 제4회전부(214)를 포함하고, 제1회전부(211)가 반시계방향(P)으로 회전하면, 제2회전부(212)는 시계방향(Q)으로 회전하고, 제3회전부(213)는 반시계방향(P)으로 회전하고, 제4회전부(214)는 시계방향(Q)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회전부(210)는 각각 인접한 블레이드회전부(211, 212, 213, 214) 간에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회전부(211)는 제1기어(221)와 결합되고, 제2회전부(212)는 제2기어(222)와 결합되며, 제3회전부(213)는 제3기어(223)와 결합하고, 제4회전부(214)는 제4기어(224)와 결합하는 구조에서 제1기어(221)와 제2기어(222)가 체결되고, 제2기어(222)와 제3기어(223)가 체결되며, 제3기어(223)와 제4기어(224)가 체결되어 맞물려 돌아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동력 케이블과 조인트부(123)로 연결되어 동력 케이블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동력전달기어(124)가 제2기어(222)와 체결되어 맞물려 돌아가며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기어(222)는 동력전달기어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제2기어(222)와 맞물려 있는 제1기어(221)와 제3기어(223)를 회전시키고, 제3기어(223)가 제4기어(224)를 회전시켜 복수의 블레이드회전부(210)가 순차적으로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블레이드(3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회전부(211)와 제2회전부(212) 사이에서는 잡초를 작업자 측으로, 즉, 후방으로 흡입하는 방향(A)으로 끌어당기면서 커팅하고, 제2회전부(212)와 제3회전부(213) 사이에서는 전방으로 잡초를 밀어내는 방향(B)으로 커팅하며, 다시 제3회전부(213)와 제4회전부(214) 사이에서는 잡초를 작업자 측으로 즉 후방으로 흡입하는 방향(A)으로 끌어당기면서 커팅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장치(100)는 잡초를 전방과 후방으로 밀거나 끌어당기면서 커팅을 하므로 전방측 만으로 힘이 쏠리거나 후방측 만으로 힘이 쏠리지 않고, 전 후방(A, B)으로 각각으로 힘이 분산되므로 작업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잡초의 커팅 방향이 어느 한쪽 방향이 아닌 여러 방향(A, B)으로 분산되어 커팅이 수행되므로 넓은 면적의 잡초 지역(S)을 신속히 효과적으로 커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여러 특징 중 하나는 헤드부(200)가 서포트로드(120)와의 사이에서 설정된 각도만큼 각도변환을 할 수 있는 점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헤드부(200)가 각도변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헤드부(200)의 양 단에는 상기 서포트로드(1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로드(400)가 설치될 수 있다. 커넥팅로드는 제1커넥팅로드(410)와 제2커넥팅로드(420)의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커넥팅로드는 각각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슬리브(510)와 제2슬리브(5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커넥팅로드(410)의 일단은 제1슬리브(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헤드부(200)의 일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넥팅로드(420)의 일단은 제2슬리브(5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헤드부(200)의 타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헤드부(200)가 서포트로드(120)를 기준으로 수평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제1슬리브(510)와 제2슬리브(520)는 서로 접촉해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제1슬리브(510)와 제2슬리브(520)가 서로 체결된 경우에는 제1슬리브(510)와 헤드부(200)를 연결하는 제1커넥팅로드(410)는 고정되고, 제2슬리브(520)와 헤드부(200)를 연결하는 제2커넥팅로드(420)도 고정된다. 그 결과, 조인트부(123)가 고정된다. 따라서 헤드부(200)가 임의로 각도변환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1슬리브(510)와 제2슬리브(520)의 상호 체결이 해제되면 제1슬리브(510)는 상방향(H)으로 서포트로드(120)를 타고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제2슬리브(520)는 하방향(L)으로 서포트로드(120)를 타고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1슬리브(510)와 제2슬리브(520)는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1슬리브(51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커넥팅로드(410)가 헤드부(200)의 일측단을 끌고 올라가며, 제2슬리브(52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커넥팅로드(420)가 헤드부(200)의 타측단을 밀고 내려가게 된다.
그 결과, 헤드부(200)의 일측단은 올라가고 타측단은 내려가서 각도변환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헤드부(200)가 각도변환을 할 수 있는 구조는 작업자가 경사진 흙 면에 분포된 잡초를 제거하는 경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서포트로드(120)에 부착된 핸들부(130)는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작업자는 경사진 흙 면에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해드부(200)를 경사진 흙 면(S)과 평행하게 기울려야 하므로 몸을 기울이거나 꼬는 자세로 핸들부(130)를 잡고 잡초제거장치(100)를 제어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200)가 각도를 변환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작업자는 헤드부(200)를 설정된 각도만큼 각도변환시켜 경사진 흙 면(S)과 평행하게 헤드부(200)를 유지시키면서도 몸을 기울이거나 꼬는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을 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서포트로드(120)에서 해드부(2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슬리브(500) 즉 제1슬리브(510)와 상기 제2슬리브(520)에는 홈부(530)가 형성되고,
서포트로드(120)에는, 제1슬리브(510)와 제2슬리브(520)를 회전시켰을 때 비로서 상기 홈부(5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선(C)으로부터 일정거리(D) 이격된 위치에 돌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측의 제1슬리브(510)가 이동하는 영역에는 도 5(a)를 참조할 때 왼쪽으로(이하, 이 방향을 시계방향이라 한다) 일정거리(D) 만큼 이격된 위치에 돌출부(125)가 설치될 수 있고, 하측으로 제2슬리브(520)가 이동하는 영역에는 도 5(a)를 참조할 때 오른쪽으로(이하, 이 방향을 반시계방향이라 한다) 일정거리(D) 만큼 이격된 위치에 돌출부(125)가 설치될 수 있다.
서포트로드(120)의 돌출부(125)가 설치된 부분의 저부에는 리턴스프링(126)이 개재되어 돌출부(125)를 밀어 올리는 구조이며, 작업자는 제1슬리브(510)와 제2슬리브(520)를 각각 상방향(H) 및 하방향(L)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뒤에는 제1슬리브(510) 자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키고, 제2슬리브(520) 자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설정된 위치에 양 슬리브(500)를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구조에 의하여 작업자가 제1슬리브(510)를 상방향(H) 이동시킨 뒤에 좌측(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슬리브(510)의 홈부(530)와 돌출부(125)가 서로 정렬하게 되어 삽입 체결되고, 제2슬리브(520)를 하방향(L) 이동시킨 뒤에 우측(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슬리브(520)의 홈부(530)와 돌출부(125)가 서로 정렬하게 되어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서포트로드(120)에는 제1슬리브(510)와 제2슬리브(520) 사이에 간격을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눈금(F)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 눈금(F)을 확인하여 헤드부(200)의 경사도를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잡초제거장치
200: 헤드부
300: 블레이드
400: 커넥팅로드
500: 슬리브

Claims (5)

  1. 작업자의 어께에 설치될 수 있는 엔진부;
    상기 작업자가 그립할 수 있는 핸들부;
    상기 엔진부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영역과 하드 영역으로 구분되며, 내부에 상기 엔진부에서 생성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개재되고, 일측에는 상기 핸들부가 부착되는 서포트로드; 및
    상기 서포트로드의 끝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블레이드가 테두리부를 따라서 배열하며, 상기 동력전달부가 전달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회전부가 설치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서포트로드와의 사이에서 설정된 각도만큼 각도변환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각도변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헤드부의 양 단에는 상기 서포트로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로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넥팅로드는 각각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로드에서 상기 헤드부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리브와 상기 제2슬리브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로드에는, 상기 제1슬리브와 상기 제2슬리브를 회전시켰을 때 비로서 상기 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선(C)으로부터 일정거리(D) 이격된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로드에는 상기 제1슬리브와 상기 제2슬리브 사이에 간격을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KR1020200176755A 2020-12-16 2020-12-16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KR102528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55A KR102528567B1 (ko) 2020-12-16 2020-12-16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55A KR102528567B1 (ko) 2020-12-16 2020-12-16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778A KR20220086778A (ko) 2022-06-24
KR102528567B1 true KR102528567B1 (ko) 2023-05-08

Family

ID=8221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755A KR102528567B1 (ko) 2020-12-16 2020-12-16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5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134B1 (ko) 2006-09-28 2008-08-13 조현봉 예초기용 보조 거치대
KR101236934B1 (ko) 2011-12-28 2013-02-25 김찬식 집초 가이드가 구비된 예초기
KR101312384B1 (ko) 2005-12-12 2013-09-27 유겐가이샤 마루이와 쇼카이 굽힘용 어태치먼트 및 이것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휴대형예초기
KR102215538B1 (ko) 2020-04-27 2021-02-15 정성조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20U (ja) * 1991-08-13 1993-03-02 山田機械工業株式会社 携帯式動力刈払機
JPH09205848A (ja) * 1996-01-31 1997-08-12 Satonaka Takashi 法面用草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384B1 (ko) 2005-12-12 2013-09-27 유겐가이샤 마루이와 쇼카이 굽힘용 어태치먼트 및 이것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휴대형예초기
KR100852134B1 (ko) 2006-09-28 2008-08-13 조현봉 예초기용 보조 거치대
KR101236934B1 (ko) 2011-12-28 2013-02-25 김찬식 집초 가이드가 구비된 예초기
KR102215538B1 (ko) 2020-04-27 2021-02-15 정성조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778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46319A1 (en) Multipurpose Lawn and Garden Tool
CN104094687B (zh) 一种多垄杂草清除机
KR102254268B1 (ko) 밭고랑용 제초기
KR102528567B1 (ko)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JP5519846B1 (ja) 水田用動力除草機
CN104521349A (zh) 用于翻土除草的松土装置
EP0114853A1 (en) Multi-purpose garden tool
CN206061422U (zh) 一种手持锄锯两用除草铲
US9295187B2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JP5242524B2 (ja) 砂糖きび管理作業機
CN103477738A (zh) 链传动除草松土机
CN206713266U (zh) 一种农业或市政园林用除草锄头
CN201623961U (zh) 一种园艺用铲子
KR101345034B1 (ko) 예초기 칼날
CN205510678U (zh) 弹性自适应秸秆耙
KR101995450B1 (ko) 제초기
US20130000931A1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CN205357118U (zh) 一种农田转刀割草装置
KR102666067B1 (ko) 경사 블레이드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CN215601941U (zh) 一种用于农作物垄沟内的杂草处理装置
CN211909921U (zh) 一种防根茎断裂的苗木移植器
KR101213216B1 (ko) 다용도 농기구
CN210641744U (zh) 一种树球起挖工具
KR101493653B1 (ko) 다용도 곡괭이
CN219330251U (zh) 一种便捷式苗木移栽撬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