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450B1 - 제초기 - Google Patents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450B1
KR101995450B1 KR1020170091693A KR20170091693A KR101995450B1 KR 101995450 B1 KR101995450 B1 KR 101995450B1 KR 1020170091693 A KR1020170091693 A KR 1020170091693A KR 20170091693 A KR20170091693 A KR 20170091693A KR 101995450 B1 KR101995450 B1 KR 101995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andle
frame
blad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644A (ko
Inventor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이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영 filed Critical 이수영
Priority to KR102017009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4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제초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초기는, 바퀴; 상기 바퀴의 축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는 바퀴 연결 프레임;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에 대한 결합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이동시 잡초뿌리를 제거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핸들의 길이, 바퀴 프레임부에 대한 핸들 및 핸들 연결부의 배치 각도 및 상호 결합 위치 조절이 용이하므로 작업자가 한층 쉽게 제초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제초기{WEEDER}
본 발명은,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직립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쉽게 잡초의 뿌리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길이, 각도 및 상호 결합 위치 조절이 용이한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농가 이외에도 귀농을 통한 농가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사회가 발전하고 도시화되면서 친환경적인 예를 들어 전원생활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귀농 및 전원생활자들은 일정넓이 이상의 텃밭을 일구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귀농을 하거나 전원생활을 하면서 텃밭을 일구고 농식물을 재배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들 중에 하나가 잡초제거에 있다.
종래에 사용하는 전통적인 잡초제거 방법으로는 호미를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나, 호미를 이용하는 방법은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잡초제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미를 이용할 경우에는 쪼그리고 앉은 자세로 잡초를 제거해야 하므로, 오랜 시간 작업시 관절염 등의 발명원인이 될 수 있고, 오랜 시간 작업이 어려움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제초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최근에는 친환경 재배에 대한 성향의 증가로 인하여 제초제의 사용을 하지 않는 추세이다. 그리고 단순히 손을 이용하여 잡초를 뽑아서 제거할 경우에는, 잡초의 뿌리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아서 근본적으로 잡초를 제거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4425호 (2016.12.26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직립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쉽게 잡초의 뿌리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길이, 각도 및 상호 결합 위치 조절이 용이한 제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칼날 부위가 지중의 돌, 자갈, 억센 잡초 뿌리에 접촉하더라도 한층 용이하게 잡초 뿌리 제거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중 잡초 뿌리의 깊이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여 잡초 뿌리를 제거할 수 있는 제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핸들 부위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면서 제초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한층 적은 힘으로, 자세 변경 없이 제초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퀴; 상기 바퀴의 축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는 바퀴 연결 프레임;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에 대한 결합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이동시 잡초뿌리를 제거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제초기를 제공한다.
상기 칼날부는,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칼날 프레임; 및 상기 칼날 프레임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벤딩된 상태로 상기 칼날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칼날 프레임에 결합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칼날;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부는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서로 간의 사이 거리가 증감 가능하도록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과의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칼날 프레임은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칼날의 양단 영역에 각각 복수로 형성된 제1 결합홀과 대응하도록 각각 복수의 제2 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은, 상기 바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퀴 프레임부; 및 상기 바퀴 프레임부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면서 상기 바퀴 프레임부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핸들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연결부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퀴 프레임부에는 복수의 제1 관통홀 및 복수의 라운드진 제1 장공홀이 마련되고, 상기 핸들 연결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장공홀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제2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장공홀의 대응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바퀴 프레임부에 대해 상기 핸들 연결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핸들 연결부는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홀과 상기 마운팅홀과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라운드진 제2 장공홀이 마련되며, 상기 핸들에 마련된 복수의 핸들 결합홀과 상기 마운팅홀과 상기 제2 장공홀의 대응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핸들 연결부에 대해 상기 핸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초기에 의하면,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핸들의 길이, 바퀴 프레임부에 대한 핸들 및 핸들 연결부의 배치 각도 및 상호 결합 위치 조절이 용이하므로 작업자가 한층 쉽게 제초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도를 낯출 수 있다.
또한 칼날이 플렉시블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칼날 부위가 지중의 돌, 자갈, 억센 잡초 뿌리에 접촉하더라도 플렉시블한 성질로 인해 한층 용이하게 잡초 뿌리 제거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칼날 프레임에 대한 칼날의 결합 위치를 조절 가능함으로써 지중 잡초 뿌리의 깊이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여 잡초 뿌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핸들 부위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면서 제초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한층 적은 힘으로, 자세 변경 없이 제초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기의 바퀴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기의 핸들 연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기에서 핸들 연결부와 핸들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기에서 핸들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기에서 바퀴와 바퀴 연결 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기에서 칼날 프레임과 칼날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초기는, 작업자가 지중 잡초의 뿌리를 신속하면서도 쉽게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의 전진이나 후진 진행방향에 따라 제초기의 일부 프레임이 가변적으로 회전이나 각도가 변경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작업자가 몸을 틀지 않고서도 쉽게 손목만 틀어주는 간단한 행동을 통해 더욱 손쉽게 제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제초 작업 중 바퀴 부분이 지면의 돌 등에 접촉할 경우 작업자는 간단하게 손목을 틀어주어 관련 구성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제초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키 높이에 따라 핸들 부위의 위치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작업자가 한층 쉽게 제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초기는, 작업자가 핸들 조작을 통해 관련 구성을 좌우 방향으로 가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도 가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제초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하, 좌우 회전 가능 구조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기는, 바퀴(100)와, 바퀴(100)의 축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는 바퀴 연결 프레임(200)과, 바퀴 연결 프레임(200)에 대한 결합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바퀴 연결 프레임(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300)과, 바퀴 연결 프레임(2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바퀴(100)의 이동시 잡초뿌리를 제거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칼날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바퀴 연결 프레임(200)은, 바퀴(1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ㄷ'자 단면의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퀴 프레임부(210)와, 바퀴 프레임부(2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면서 바퀴 프레임부(210)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핸들(300)과 결합되는 핸들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바퀴 프레임부(210)는 'ㄷ'자 단면의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 영역에는 바퀴(100)와의 결합을 위해 복수의 바퀴 결합홀(230)이 마련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100)의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결합 스크루(240)를 바퀴 연결 프레임(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바퀴 결합홀(230)을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결합 스크루(240)의 단부에 너트 및 와셔 등을 체결하여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바퀴 프레임부(210)와 바퀴(100)와의 적절한 이격과 이격 간격 유지를 위해 바퀴(100)와 바퀴 프레임부(210) 사이에는 각각 간격유지 부싱(250)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바퀴 결합홀(230)은 바퀴 프레임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는데 작업자의 키, 팔 길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바퀴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 프레임부(210)에는 복수의 제1 관통홀(260) 및 복수의 라운드진 제1 장공홀(270)이 마련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바퀴 프레임부(210)에는 칼날부(400)를 결합하도록 함과 더불어 칼날부(400)의 결합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하도록 복수의 칼날 결합홀(293)이 마련되며 이에 대한 추가 설명도 후술한다.
한편,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간격유지 부싱(250)을 생략하고 바퀴(100)와 인접하는 부분의 바퀴 프레임부(210) 형상을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연결부(220)는 바퀴 프레임부(2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면서 바퀴 프레임부(210)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핸들(300)과 결합된다.
핸들 연결부(220)는 'ㄷ'자 단면의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채널 구조의 하면에는 바퀴 프레임부(210)의 복수의 제1 관통홀(260)과 복수의 라운드진 제1 장공홀(270)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제2 관통홀(280)이 마련된다. 그리고 핸들 연결부(22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홀(291)과 마운팅홀(291)과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라운드진 제2 장공홀(292)이 마련된다. 마운팅홀(291)과 제2 장공홀(292)에는 후술하는 핸들(300)이 결합되며 작업자의 팔길이, 키 등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핸들(300)의 결합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들(300)은 핸들 연결부(220)에 볼트, 너트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지만 볼트 등이 제2 장공홀(292)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타이트하지 않게 결합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의 자유스런 핸들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가 더욱 자유롭게 제초 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작업자는 팔을 들거나 내리는 동작을 편하게 바꾸면서도 제초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교체되어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키)가 바뀐 경우 특별한 장비의 교체 및 재장착 작업없이도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핸들(300)의 각도(상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3에는 핸들 연결부(22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2개의 마운팅홀(291)과 2개의 제2 장공홀(292)이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핸들 연결부(220)의 전후 위치 구분을 생략하여 보다 편하고 신속하게 결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핸들 연결부(220)의 바닥부에는 3개의 제2 관통홀(280)이 형성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중 하나의 제2 관통홀(280)을 2개의 제1 장공홀(270) 중 어느 하나와 연통하도록 위치시키고, 마찬가지로 나머지 제2 관통홀(280)을 2개의 제1 장공홀(270) 중 나머지 하나와 연통하도록 위치시키고, 바퀴 프레임부(210)의 어느 하나의 제1 관통홀(260)을 또 다른 제2 관통홀(280)과 연통하도록 위치시킨 후, 전술한 3군데의 연통홀에 볼트, 너트, 와셔 등을 이용하여 핸들 연결부(220)와 바퀴 프레임부(210)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를 기준으로 제일 좌측과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볼트가 제1 장공홀(270) 내에서 자유롭게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핸들 연결부(220)는 제1 관통홀(260)과 제2 관통홀(280)에 삽입되는 볼트를 중심으로 대략 90도(제1 장공홀에 의해 설정되는 각도) 만큼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핸들 연결부(220)와 바퀴 프레임부(210)는 3개의 볼트, 너트 등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며, 3개의 볼트, 너트 결합을 통해 핸들 연결부(220)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볼트가 풀리거나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볼트는 타이트하게 결합되지 않고 핸들 연결부(220)가 충분히 회전 가능할 정도의 결합세기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전진이나 후진 진행방향에 따라 핸들 연결부(220)의 좌우 방향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작업자가 몸을 틀지 않고서도 쉽게 손목만 틀어주는 간단한 행동을 통해 더욱 손쉽게 제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제초 작업 중 바퀴 부분이 지면의 돌 등에 접촉할 경우 작업자는 간단하게 손목을 틀어주어 관련 구성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제초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3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핸들 연결부(220)가 대략 90도 회전되도록 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는 1개의 볼트를 제1 장공홀(270)과 제2 관통홀(280)에 삽입하고, 나머지 2개의 볼트를 각각 제1 관통홀(260)과 제2 관통홀(280)에 삽입하되 전술한 것과 달리 타이트하게 결합하여 작업자가 핸들(300)을 잡고 정확히 정면으로 푸시를 하지 않더라도 편한 자세로 제초 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핸들 연결부(220)는 바퀴 프레임부(210)에 대해 일정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와 후자의 경우, 즉 2개의 볼트를 2개의 제1 장공홀(270)에 결합하는 경우와 1개의 볼트만 제1 장공홀(270)에 결합하는 경우는 핸들 연결부(220)의 좌우 방향 회전 각도에 있어 차이가 발생하며 전자의 경우가 더 큰 회전 각도 범위를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제초 작업중 핸들 연결부(220)가 바퀴 프레임부(2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대략 90도 범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회전은 안되지만 작업자가 정확히 정면 방향으로 바퀴(100)를 미는 동작을 하지 않고 약간 사선 방향으로 핸들을 미는 동작을 수행해도 제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전자의 경우와 후자의 경우 모두 작업자가 한층 편하게 제초 작업을 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다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300)은 바퀴 연결 프레임(200), 구체적으로 핸들 연결부(220)에 대한 결합 위치, 결합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핸들(300)은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키, 팔길이) 변동에 따라 작업자가 한층 편한 동작으로 제초 작업을 하도록 길이나 경사 각도 등이 조절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핸들(300)은 핸들 연결부(220)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핸들바(310)와 볼트 등을 이용하여 핸들바(310)를 연결하는 핸들연결바(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연결부(220)는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홀(291)과 마운팅홀(291)과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라운드진 제2 장공홀(292)이 마련된다. 한 쌍의 핸들바(310)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의 핸들 결합홀(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며, 작업자는 핸들 결합홀(미도시)과 마운팅홀(291)과 제2 장공홀(292)의 대응 위치를 조절하여 핸들 연결부(220)에 대해 핸들(300)의 결합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2개의 핸들 결합홀(미도시)을 마운팅홀(291)과 제2 장공홀(292)에 각각 연통하도록 핸들바(310)를 배치시킨 후 볼트, 너트, 와셔 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바(310)의 결합 정도를 타이트하게 하여 핸들 연결부(220)에 대해 핸들바(310)가 회전 불가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결합 정도를 느슨하게 하여 제초 작업 중 작업자의 손 동작에 따라 충분히 핸들바(31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작업자의 키, 팔 길이 등에 따라 핸들 연결부(220)에 대한 핸들바(310)의 기울어진 경사각을 기설정하는 것이고, 후자는 제초 작업중 자유롭게 핸들바(31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바퀴(100)가 지면의 홈이나 돌 등에 걸리는 경우 작업자가 간단하게 핸들바(310)을 상하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쉽게 제초 작업을 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각의 핸들바(310)는 제1 핸들바(340)와 제2 핸들바(350)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바(340) 및 제2 핸들바(35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의 결합홀이 마련되고 작업자는 작업자의 키나 팔 길이 등을 고려하여 제1 핸들바(340)와 제2 핸들바(350)를 적정 길이로 세팅한 후 볼트, 너트, 와셔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전체 핸들바(310)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쉽게 증감할 수 있다.
다음, 도 1,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부(400)는 바퀴 연결 프레임(200), 구체적으로 바퀴 프레임부(2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바퀴(100)의 이동시 잡초뿌리를 제거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칼날부(400)는, 바퀴 연결 프레임(200), 구체적으로 바퀴 프레임부(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칼날 프레임(410)과, 칼날 프레임(4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벤딩된 상태로 칼날 프레임(410)에 결합되되 칼날 프레임(410)에 결합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칼날(420)을 포함한다.
먼저, 칼날 프레임(410)은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면에는 칼날(420)의 양단 영역에 각각 복수로 형성된 제1 결합홀(430)과 대응하도록 각각 복수의 제2 결합홀(440)이 마련된다. 또한, 칼날 프레임(410)의 상측면에는 바퀴 프레임부(210)에 형성된 복수의 칼날 결합홀(293)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칼날 프레임 결합홀(450)이 마련되며 작업자는 작업 환경(작업지의 경사도, 작업지의 자갈, 돌 등이 빈번한 지 여부 등) 등에 따라 칼날 프레임(410)을 바퀴 프레임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 후 볼트, 너트, 와셔 등을 이용하여 바퀴 프레임부(210)의 하부에 칼날 프레임(410)을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칼날 결합홀(293)과 칼날 프레임 결합홀(450)을 통해, 칼날부(400)가 바퀴 연결 프레임(200)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서로 간의 사이 거리가 증감 가능하도록 바퀴 연결 프레임(200)과의 결합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조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초 작업지의 지면 경사도, 돌, 자갈 등이 빈번하게 있는 지의 여부, 작업자의 팔 힘 세기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조절 가능하다.
다음, 칼날(420)은 양측 모서리가 날카로운 날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벤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칼날 프레임(410)에 벤딩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칼날(420)이 벤딩된 상태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칼날(420)은 플렉시블한 탄성을 가짐으로써 작업자가 바퀴(100)를 전진, 후진시키면서 제초 작업을 진행할 때 더욱 용이하게 제초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칼날(420)의 모서리 부위가 억센 뿌리를 갖는 잡초와 접촉하더라도 칼날(420)의 플렉시블한 탄성으로 인해 한층 쉽게 커팅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칼날(420)에 이러한 탄성이 없는 경우 잡초의 억센 뿌리를 제대로 커팅하기 힘든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칼날(420)의 탄성에 의해 칼날(420)이 지중 자갈이나 돌 등에 접촉하더라도 일정 이상 회피가 가능하여 제초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 프레임(410)은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면에는 칼날(420)의 양단 영역에 각각 복수로 형성된 제1 결합홀(430)과 대응하도록 각각 복수의 제2 결합홀(440)이 마련되는데, 일 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420)의 한 쪽을 칼날 프레임(410)의 외측에 배치하고 다른 한 쪽을 내측으로 배치한 후 서로 대응하는 제1 결합홀(430)과 제2 결합홀(440)에 볼트, 너트, 와셔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420)의 양 쪽을 칼날 프레임(410)의 내측에 배치한 후 서로 대응하는 제1 결합홀(430)과 제2 결합홀(440)에 볼트, 너트, 와셔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상기 제1 결합홀(430)과 제2 결합홀(440)의 대응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칼날(420)과 칼날 프레임(410)과의 사이 거리, 구체적으로 칼날(420)의 곡률을 조절하여 칼날부(400)의 전체 높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지중의 잡초 뿌리의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작업자는 제1 결합홀(430)과 제2 결합홀(440)의 대응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칼날부(400)의 전체 높이를 증감시켜 제초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바퀴 200: 바퀴 연결 프레임
210: 바퀴 프레임부 220: 핸들 연결부
260: 제1 관통홀 270: 제1 장공홀
280: 제2 관통홀 291: 마운팅홀
292: 제2 장공홀 300: 핸들
400: 칼날부 410: 칼날 프레임
420: 칼날 430: 제1 결합홀
440: 제2 결합홀 450: 칼날 프레임 결합홀

Claims (5)

  1. 바퀴의 축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는 바퀴 연결 프레임;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에 대한 결합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바퀴의 이동시 잡초뿌리를 제거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칼날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칼날부는,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칼날 프레임; 및 상기 칼날 프레임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벤딩된 상태로 상기 칼날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칼날 프레임에 결합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칼날;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부는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서로 간의 사이 거리가 증감 가능하도록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과의 결합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칼날 프레임은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칼날의 양단 영역에 각각 복수로 형성된 제1 결합홀과 대응하도록 각각 복수의 제2 결합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연결 프레임은, 상기 바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퀴 프레임부; 및 상기 바퀴 프레임부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면서 상기 바퀴 프레임부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핸들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연결부에 대한 결합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퀴 프레임부에는 복수의 제1 관통홀 및 복수의 라운드진 제1 장공홀이 마련되고, 상기 핸들 연결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장공홀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제2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제2 관통홀과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1 장공홀의 대응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바퀴 프레임부에 대해 상기 핸들 연결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핸들 연결부는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홀과 상기 마운팅홀과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라운드진 제2 장공홀이 마련되며, 상기 핸들에 마련된 복수의 핸들 결합홀과 상기 마운팅홀과 상기 제2 장공홀의 대응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핸들 연결부에 대해 상기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91693A 2017-07-19 2017-07-19 제초기 KR101995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693A KR101995450B1 (ko) 2017-07-19 2017-07-19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693A KR101995450B1 (ko) 2017-07-19 2017-07-19 제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644A KR20190009644A (ko) 2019-01-29
KR101995450B1 true KR101995450B1 (ko) 2019-09-30

Family

ID=6532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693A KR101995450B1 (ko) 2017-07-19 2017-07-19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53B1 (ko) * 2020-05-07 2021-04-13 이수영 농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63860Y (zh) * 1996-06-06 1997-10-08 张建江 农用手推锄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5541A (ja) * 1998-02-12 1999-08-24 Kamiie Nokigu Seisakusho:Kk 葉物野菜刈取機
KR101292792B1 (ko) * 2010-07-21 2013-08-05 임욱삼 제초기
KR20160004425U (ko) 2015-06-16 2016-12-26 민영준 부유가이드가 구비된 수전용 제초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63860Y (zh) * 1996-06-06 1997-10-08 张建江 农用手推锄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053B1 (ko) * 2020-05-07 2021-04-13 이수영 농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644A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220B1 (ko) 2중 진동형 구근작물 수확기
CN207721045U (zh) 枸杞株间与田垄割草机
KR101292792B1 (ko) 제초기
TWI695672B (zh) 雜草搔除具、使用該搔除具的水田除草作業機及水田除草方法
KR101106618B1 (ko) 다목적 작물수확기
KR101995450B1 (ko) 제초기
US4187914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KR102254268B1 (ko) 밭고랑용 제초기
KR101578654B1 (ko) 로터리
EP1909554B1 (en) Vegetation cutter
KR101258332B1 (ko)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US8079423B2 (en) Cultivating tool
CN206713266U (zh) 一种农业或市政园林用除草锄头
KR200463852Y1 (ko) 농작물 수확기
KR20190003175U (ko) 김매기용 낫 호미
KR101636619B1 (ko) 수작업식 제초기
CN204069647U (zh) 便携式松土除草器
KR101137328B1 (ko) 보행형 다목적 제초기
CN209120599U (zh) 一种除草覆土机
CN208338227U (zh) 一种摆动式果园松土锄草机
KR100718656B1 (ko) 경운기용 작물 수확기
GB2554886B (en) Garden hand-tool
KR101493653B1 (ko) 다용도 곡괭이
CN218277856U (zh) 一种小型锄草机上的平地装置
US20050205271A1 (en) Hand propelled soil cultiv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