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52Y1 - 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3852Y1 KR200463852Y1 KR2020120005112U KR20120005112U KR200463852Y1 KR 200463852 Y1 KR200463852 Y1 KR 200463852Y1 KR 2020120005112 U KR2020120005112 U KR 2020120005112U KR 20120005112 U KR20120005112 U KR 20120005112U KR 200463852 Y1 KR200463852 Y1 KR 2004638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root cutting
- cutting frame
- frame
- connecting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02—Device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ools or wheels
- A01B63/008—Vertical adjustment of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01D2023/024—Devices with fix blades for topp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금치, 쪽파와 같은 농작물을 수확하는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형) 관리기(경운기 등)의 전방에 설치되어 농작물을 수확하도록 이루어진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인 농작물 수확기는, 관리기 전방에 설치되도록 일단에 연결용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구동회전축용 베어링부재가 구비된 고정수평프레임과; 상기 고정수평프레임의 베어링부재에 설치되는 한편, 양단부에 회전캠이 구비되고, 일측에 클러치가 구비된 스프라킷이 설치된 구동회전축과; 상기 회전캠과 연결로드로 연결되는 수평왕복구동바와; 상기 수평왕복구동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고정수평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수평왕복구동바와 평행하게 설치된 회전중심축에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수직회동바와; 상기 수직회동바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형태로 형성된 뿌리절단용 프레임과,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에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뿌리에 달린 흙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흙털이용 바와,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모음용 안내가이드바로 이루어진 수확수단과;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의 절단 깊이를 조절하는 한편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절단 깊이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인 농작물 수확기는, 관리기 전방에 설치되도록 일단에 연결용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구동회전축용 베어링부재가 구비된 고정수평프레임과; 상기 고정수평프레임의 베어링부재에 설치되는 한편, 양단부에 회전캠이 구비되고, 일측에 클러치가 구비된 스프라킷이 설치된 구동회전축과; 상기 회전캠과 연결로드로 연결되는 수평왕복구동바와; 상기 수평왕복구동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고정수평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수평왕복구동바와 평행하게 설치된 회전중심축에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수직회동바와; 상기 수직회동바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형태로 형성된 뿌리절단용 프레임과,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에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뿌리에 달린 흙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흙털이용 바와,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모음용 안내가이드바로 이루어진 수확수단과;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의 절단 깊이를 조절하는 한편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절단 깊이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시금치, 쪽파와 같은 농작물을 수확하는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형 관리기(경운기 등)의 전방에 설치되어 농작물을 수확하도록 이루어진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수확기는 소형 관리기 또는 경운기 등에 농기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농기계에 부착되어 사용되거나, 자체적으로 동력장치가 구비되어 농작물의 수확을 편리하도록 돕는 기계이다.
여기에서 (소형) 관리기란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다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운기보다 몸체의 크기 및 동력(마력)이 크기가 작은 농기계를 칭한다.
농작물의 성장 및 종류에 따라 뿌리의 깊이가 상이하고, 농작물이 재배되는 토양에 따라 각각 상이한 특성을 지닌다.
본 고안은 시금치, 쪽파와 같은 농작물을 수확하는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농작물의 뿌리 일부분을 절단하여 지면(토양)과 분리시켜 후방에서 수확작업을 용이하도록 하는 농기계이며, 이러한 농작물을 수확하는 농기계는 농작물의 특성 및 토양에 따라 작업형태를 다양하게 바꿀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기술 중 (KR) 등록특허공보 10-547274의 시금치 수확기에는 본 고안과 같이 절단날의 깊이 조절 및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공된 (KR) 등록특허공보 10-547274의 시금치 수확기 자체동력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절단날의 이동 피치의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며, 이로 인하여 사용범위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KR) 등록특허공보 10-547274의 시금치 수확기는 자체적으로 동력장치가 부착됨으로써 그 구조가 복잡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시금치, 파, 상추 등과 같은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것으로, 시금치, 파, 상추 등과 같은 농작물을 소형 관리기(또는 경운기) 등의 전방에 부착되어 파손 없이 뿌리의 일부분만을 절단하여 수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종래에는 (소형) 관리기(또는 경운기)의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소형) 관리기(또는 경운기)의 이동바퀴에 농작물이 밟힘으로써 파손이 되거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소형) 관리기(또는 경운기)의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고자 한 농작물 수확기이다.
또한, 농작물의 종류 및 크기 또는 땅의 상태에 따라 수확수단인 뿌리절단용 프레임의 각도 또는 이동거리(피치)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관리기가 안정된 상태에서 농작물의 수확작업을 이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고안인 농작물 수확기는, 관리기 전방에 설치되도록 일단에 연결용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구동회전축용 베어링부재가 구비된 고정수평프레임과; 상기 고정수평프레임의 베어링부재에 설치되는 한편, 양단부에 회전캠이 구비되고, 일측에 클러치가 구비된 스프라킷이 설치된 구동회전축과; 상기 회전캠과 연결로드로 연결되는 수평왕복구동바와; 상기 수평왕복구동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고정수평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수평왕복구동바와 평행하게 설치된 회전중심축에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수직회동바와; 상기 수직회동바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형태로 형성된 뿌리절단용 프레임과,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에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뿌리에 달린 흙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흙털이용 바와,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모음용 안내가이드바로 이루어진 수확수단과;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의 절단 깊이를 조절하는 한편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절단 깊이 조절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확수단의 뿌리절단용 프레임과 털이용 바가 지면과 이루는 각(θ)을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로드의 길이가 조절가능하며, 상기 연결로드의 길이조절에 의하여 수확수단의 뿌리절단용 프레임과 흙털이용 바가 지면과 이루는 각(θ)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확수단의 왕복이동 피치를 조절하도록 수직회동바의 회동각도(α)를 조절하는 회동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회동각도조절수단은 회전캠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상이한 한편, 연결로드가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로드 설치용 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농작물 수확기는, (소형) 관리기의 전방에 설치되어 농작물을 지면에서 분리시키는 한편, 관리기의 이동바퀴에 밟히지 않도록 중앙으로 모아줌으로써 시금치, 파, 상추 등과 같은 농작물을 파손시키거나 상품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시금치, 파, 상추 등과 같은 농작물을 수확시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수확수단의 깊이를 조절하는 한편, 수확수단의 왕복이동 피치를 조절가능함으로써 다양한 지면의 상태 및 다양한 농작물의 종류 및 크기를 수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관리기는 일반적으로 경운기보다 동력이 작아 큰 부하의 발생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수확수단의 깊이를 조절하는 한편, 수확수단의 왕복이동 피치를 조절가능함으로써 부하의 조절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농작물 수확기의 사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농작물 수확기의 정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농작물 수확기의 평면 개략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농작물 수확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농작물 수확기의 부분 상세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인 농작물 수확기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수확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인 농작물 수확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인 농작물 수확기의 주요구성에 대한 상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농작물 수확기의 정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농작물 수확기의 평면 개략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농작물 수확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농작물 수확기의 부분 상세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인 농작물 수확기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수확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인 농작물 수확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인 농작물 수확기의 주요구성에 대한 상세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인 농작물 수확기는 크게 관리기 전방에 설치되도록 일단에 연결용 플랜지부(11)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구동회전축용 베어링부재(12)가 구비된 고정수평프레임(10)과; 상기 고정수평프레임(10)의 베어링부재(12)에 설치되는 한편, 양단부에 회전캠(21)이 구비되고, 일측에 클러치(23)가 구비된 스프라킷(22)이 설치된 구동회전축(20)과; 상기 회전캠(21)과 연결로드(31)로 연결되는 수평왕복구동바(30)와; 상기 수평왕복구동바(3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고정수평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수평왕복구동바(30)와 평행하게 설치된 회전중심축(13)에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수직회동바(40)와; 상기 수직회동바(4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형태로 형성된 뿌리절단용 프레임(51)과,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에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뿌리에 달린 흙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흙털이용 바(52)와,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양측에 설치된 모음용 안내가이드바(53)로 이루어진 수확수단(50)과;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절단 깊이를 조절하는 한편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절단 깊이 조절수단(6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평프레임(10)은 일단에 연결용 플랜지부(11)가 형성되어 (소형)관리기에 체결부재인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수평프레임(10)의 중간부분의 상측에는 (소형)관리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회전축(20)이 설치되도록 구동회전축용 베어링부재(12)가 설치되고, 타단(도면상 전방)의 하측에는 상기 구동회전축(20)과 평행하게 회전중심축(13)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회전축(20)은 구동회전축용 베어링부재(12)에 설치되어 (소형)관리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축으로써, 상기 구동회전축(20)의 양단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구성인 회전캠(21)이 구비되고, 일측에는 (소형)관리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연결 및 차단을 할 수 있도록 클러치(23)가 구비된 스프라킷(2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구동회전축(20)은 클러치(23)를 작동시키는 클러치용 레버(23a)의 조작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 및 차단되며, 회전하는 구동회전축(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캠(21)은 연결로드(31)를 직선왕복운동을 시키게 된다.
도 9와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캠(21)에는 회전중심축(13)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각도(α)로 회동하는 수직회동바(40)의 회동각도(α)의 크기를 변화시켜 수확수단(50)의 왕복이동 피치(P')를 조절하도록 하는 회동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회동각도조절수단은 회전캠(21)의 중앙에 형성된 구동회전축(20)이 설치되는 관통홀(21a)을 중심으로 거리가 각각 상이하게 이격된 연결로드(31)가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로드 설치용 홀(21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회동각도조절수단에 의하여 도 11과 같이 연결로드(31)의 일단에 형성된 핀(31a)이 다수의 연결로드 설치용 홀(21b) 중 어느 곳에 설치되느냐에 따라 수직회동바(40)의 피치(P)가 상이하게 됨으로써 수직회동바(40)의 회동각도(α)의 크기가 조절되고, 이로 인하여 수확수단(50)인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왕복이동 피치(P')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 수평왕복구동바(30)는 연결로드(31)로 구동회전축(20)의 회전캠(21)과 연결되어 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연결로드(31)는 회전캠(21)과 수평왕복구동바(30)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도 9와 같이 연결로드(31)의 길이(L)는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연결로드(31)의 길이(L)가 조절가능함은 도 10과 같이 수확수단(50)의 뿌리절단용 프레임(51)과 흙털이용 바(52)가 지면과 이루는 각(θ)이 조절가능토록 한다.
이와 같이 수확수단(50)의 뿌리절단용 프레임(51)과 흙털이용 바(52)가 지면과 이루는 각(θ)이 조절가능토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종류 및 크기, 지면(토양)의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로드(31)는 보통 왼나사와 오른나사의 원리를 이용하는 턴 버클의 구조로 이루어져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회동바(40)는 수평왕복구동바(3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편, 고정수평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수평왕복구동바(30)와 평행하게 설치된 회전중심축(13)에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평왕복구동바(30)의 왕복운동시 회전중심축(13)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동각도(α)로 회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회동바(40)는 연결로드(31)의 길이(L)의 조절에 의하여 도 10과 같이 지면과 이루는 각이 변화게 됨으로써 수직회동바(40)의 하측단부에 설치되는 수확수단(50)의 뿌리절단용 프레임(51)과 흙털이용 바(52)가 지면과 이루는 각(θ)이 조절가능토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확수단(50)은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땅으로부터 뿌리를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회전중심축(13)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는 수직회동바(40)의 하측단부에 설치되어 농작물의 뿌리를 절단하여 수확하는 수단으로, 수직회동바(40)의 하단에 체결부재인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되는 '┗┛'형태로 형성된 뿌리절단용 프레임(51)과,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에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뿌리에 달린 흙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흙털이용 바(52)와,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양측에 설치된 모음용 안내가이드바(53)로 이루어진다.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은 도 1과 도 2와 같이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에 절단용 날(51a)이 형성되고, 양단은 수직회동바(40)의 하단에 체결부재인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직회동바(40)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체결부재인 볼트가 설치되는 고정용 홀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용 홀은 회전중심인 제1 고정용 홀(51b)과 상기 제1 고정용 홀(51b)을 중심으로 한 호형상의 장홀로 이루어진 제2 고정용 홀(51c)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고정용 홀을 이용하여 뿌리절단용 프레임(51)과 흙털이용 바(52)가 지면과 이루는 각(θ)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절단 깊이 조절수단(60)은 수확수단(50)인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절단 깊이를 조절하는 한편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고정수평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며, 회전중심축(13)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사각 빔으로 이루어진 수평고정용 바(61)와, 상기 수평고정용 바(6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되 도 3과 같이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고정용 대(62)와, 상기 수직고정용 대(62)의 하측에 설치되되 도 2와 같이 상측에 설치된 높이조절용 회전손잡이(64)에 의하여 상하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을 위한 바퀴(6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절단 깊이 조절수단(60)은, 도 8과 같이 높이조절용 회전손잡이(64)를 이용하여 바퀴(63)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확수단(50)의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깊이(h)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인 농작물 수확기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수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관리기의 전방에 설치되는 농작물 수확기는 관리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체인에 의하여 전달되어 스프라킷(22)이 설치된 구동회전축(20)을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회전축(2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캠(21)에 일단이 설치된 연결로드(31)로 연결되는 수평왕복구동바(30)와 왕복운동에 의하여 수직회동바(40)가 회전중심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수직회동바(40)의 회동에 의하여 수확수단(50)의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은 소정의 피치(P')로 왕복이동하고, 절단 깊이 조절수단(60)에 의하여 소정의 깊이(h)로 삽입되어 농작물의 지면에서 분리시키고,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후방에 설치된 다수의 흙털이용 바(52)는 전후이동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을 함으로써 농작물의 뿌리에 붙어 있는 흙을 제거하게 되며, 이와 같이 수확되는 농작물은 모음용 안내가이드바(53)에 의하여 관리기의 바퀴에 밟히지 않도록 중앙으로 안내되어 모여지게 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회전캠(21)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로드 설치용 홀(21b)로 이루어진 수직회동바(40)의 회동각도(α)를 조절하는 회동각도조절수단 및 길이(L)의 조절이 가능한 연결로드(31)에 의하여 뿌리절단용 프레임(51)과 흙털이용 바(52)가 지면과 이루는 각(θ) 및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이동 피치(P')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지면의 상태, 농작물의 종류 및 크기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 : 고정수평프레임 11 : 연결용 플랜지부
12 : 구동회전축용 베어링부재
20 : 구동회전축 21 : 회전캠
22 : 스프라킷 23 : 클러치
30 : 수평왕복구동바
40 : 수직회동바
50 : 수확수단 51 : 뿌리절단용 프레임
52 : 털이용 바 53 : 모음용 안내가이드바
60 : 절단 깊이 조절수단
12 : 구동회전축용 베어링부재
20 : 구동회전축 21 : 회전캠
22 : 스프라킷 23 : 클러치
30 : 수평왕복구동바
40 : 수직회동바
50 : 수확수단 51 : 뿌리절단용 프레임
52 : 털이용 바 53 : 모음용 안내가이드바
60 : 절단 깊이 조절수단
Claims (5)
- 관리기 전방에 설치되도록 일단에 연결용 플랜지부(11)가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구동회전축용 베어링부재(12)가 구비된 고정수평프레임(10)과;
상기 고정수평프레임(10)의 베어링부재(12)에 설치되는 한편, 양단부에 회전캠(21)이 구비되고, 일측에 클러치(23)가 구비된 스프라킷(22)이 설치된 구동회전축(20)과;
상기 회전캠(21)과 연결로드(31)로 연결되는 수평왕복구동바(30)와;
상기 수평왕복구동바(3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고정수평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수평왕복구동바(30)와 평행하게 설치된 회전중심축(13)에 중간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수직회동바(40)와;
상기 수직회동바(40)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형태로 형성된 뿌리절단용 프레임(51)과,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후방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에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일부 절단된 뿌리에 달린 흙을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흙털이용 바(52)와,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양측에 설치된 모음용 안내가이드바(53)로 이루어진 수확수단(50)과;
상기 뿌리절단용 프레임(51)의 절단 깊이를 조절하는 한편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절단 깊이 조절수단(60)과;
상기 수확수단(50)의 왕복이동 피치(P')를 조절하도록 수직회동바(40)의 회동각도(α)를 조절하는 한편, 부하의 크기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회동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각도조절수단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로드(31)와, 회전캠(2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상이한 한편, 연결로드(31)가 설치되는 다수의 연결로드 설치용 홀(21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수단(50)의 뿌리절단용 프레임(51)과 털이용 바(52)가 지면과 이루는 각(θ)을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31)의 길이가 조절가능하며, 상기 연결로드(31)의 길이조절에 의하여 수확수단(50)의 뿌리절단용 프레임(51)과 흙털이용 바(52)가 지면과 이루는 각(θ)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5112U KR200463852Y1 (ko) | 2012-06-15 | 2012-06-15 | 농작물 수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5112U KR200463852Y1 (ko) | 2012-06-15 | 2012-06-15 | 농작물 수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3852Y1 true KR200463852Y1 (ko) | 2012-11-28 |
Family
ID=4756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5112U KR200463852Y1 (ko) | 2012-06-15 | 2012-06-15 | 농작물 수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3852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8291B1 (ko) | 2013-10-25 | 2014-01-09 | 남미정 | 트랙터용 진동형 농산물 수확기 |
KR20160015954A (ko) | 2014-08-01 | 2016-02-15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캠 유니트 |
JP2021003019A (ja) * | 2019-06-25 | 2021-01-14 |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 地下茎作物収穫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0253Y1 (ko) * | 2001-02-06 | 2001-07-03 | 김재동 | 구근 수확기 |
KR101048455B1 (ko) * | 2010-12-31 | 2011-07-12 | 남미정 | 구근류작물수확기 |
-
2012
- 2012-06-15 KR KR2020120005112U patent/KR20046385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0253Y1 (ko) * | 2001-02-06 | 2001-07-03 | 김재동 | 구근 수확기 |
KR101048455B1 (ko) * | 2010-12-31 | 2011-07-12 | 남미정 | 구근류작물수확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8291B1 (ko) | 2013-10-25 | 2014-01-09 | 남미정 | 트랙터용 진동형 농산물 수확기 |
KR20160015954A (ko) | 2014-08-01 | 2016-02-15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캠 유니트 |
KR101630811B1 (ko) | 2014-08-01 | 2016-06-16 | 대한민국 | 캠 유니트 |
JP2021003019A (ja) * | 2019-06-25 | 2021-01-14 |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 地下茎作物収穫機 |
JP7223421B2 (ja) | 2019-06-25 | 2023-02-16 |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 地下茎作物収穫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7220B1 (ko) | 2중 진동형 구근작물 수확기 | |
KR101601806B1 (ko) | 고랑용 줄기절단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제초기 | |
KR101471037B1 (ko) | 땅속 작물 수확기 | |
KR101885529B1 (ko) |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 |
CN108738638A (zh) | 一种果园割草机 | |
KR101471996B1 (ko) | 두둑용 이동수단이 구비된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 |
JP2008149785A5 (ko) | ||
KR200463852Y1 (ko) | 농작물 수확기 | |
KR100652515B1 (ko) | 경운기 부착식 고구마 수확 장치 | |
KR101106618B1 (ko) | 다목적 작물수확기 | |
CN208905295U (zh) | 一种果园割草机 | |
KR200448815Y1 (ko) | 경운기 탈부착용 고구마 수확장치 | |
KR101234685B1 (ko) | 관리기 부착형 작물 덩굴 처리기 | |
KR101805765B1 (ko) |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 | |
KR101282927B1 (ko) | 트랙터용 전방형 농산물수확기 | |
CN103477738B (zh) | 链传动除草松土机 | |
KR101663868B1 (ko) | 땅속 작물 수확기 | |
KR101734163B1 (ko) | 2중 진동형 수확기 | |
JP3231076U (ja) | 草引きプレート付きのブレード型草刈り装置 | |
CN116671332A (zh) | 一种基于无人农机的避障装置及方法 | |
KR200460767Y1 (ko) | 주행가능한 농작물 예초기 | |
KR101173005B1 (ko) |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 |
KR101374886B1 (ko) | 농산물 수확기 | |
CN109220017A (zh) | 一种除草覆土机 | |
CN209120599U (zh) | 一种除草覆土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