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765B1 -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 - Google Patents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765B1
KR101805765B1 KR1020150162206A KR20150162206A KR101805765B1 KR 101805765 B1 KR101805765 B1 KR 101805765B1 KR 1020150162206 A KR1020150162206 A KR 1020150162206A KR 20150162206 A KR20150162206 A KR 20150162206A KR 101805765 B1 KR101805765 B1 KR 101805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frame body
guide
width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531A (ko
Inventor
김재환
장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서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서정공
Priority to KR1020150162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7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2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b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9/00Harvesters for peanu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6Haulm-cut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01D43/07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in or into a trail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랑의 폭에 따라 뒷바퀴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에 장착되는 앞바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후방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뒷바퀴와; 상기 프레임본체에 장착되어 콩 줄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콩 줄기를 절단하는 절단톱날과; 상기 프레임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엔진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와 상기 프레임본체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뒷바퀴의 폭을 조절하면서 상기 엔진의 동력을 상기 뒷바퀴에 전달하는 폭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 {Dual Type Bean Reaper}
본 발명은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콩을 수확할 때 고랑의 폭에 따라 바퀴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역 및 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고랑의 폭에 구애받지 않고 콩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확할 수 있는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콩은 대두(大豆)라고도 하며 식용작물로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콩의 줄기는 그 높이가 60~100cm 정도로 곧게 자라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덩굴성 품종도 있다.
이러한 콩을 밭에서 재배하는 경우, 물 빠짐 등을 고려하여 일정 간격으로 고랑을 형성하고, 고랑 사이의 밭 두둑에 콩을 심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에는 밭 두둑에 비닐을 씌우고, 일정 간격으로 구멍을 뚫은 후 이 구멍에 콩을 심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밭 두둑에 비닐을 씌워 콩을 재배하게 되면, 잡초가 자라지 않기 때문에 제초제를 살포할 필요가 없고, 토양의 유실이 없어 콩의 성장 도중에 밭 두둑을 높여줄 필요가 없다.
콩의 열매는 줄 모양의 편평한 꼬투리 속에 다수의 종자가 들어있는데, 콩이 완전히 익으면 꼬투리가 터져 종자가 흩어지게 된다.
따라서 콩은 열매가 완전히 익기 전에 줄기를 잘라 수확을 해야 한다.
그런데 콩의 줄기를 수작업으로 자르는 경우,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고, 그 수확시기가 집중됨에 따라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계로 콩을 수확할 수 있는 2조식 콩 수확기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상기한 2조식 콩 수확기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2조식 콩 수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과 구동용 엔진 및 바퀴(35)로 이루어진 본체와; 프레임(30)의 전방에 배치되어 2줄의 콩줄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11,11`)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안내부와; 안내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30)에 설치되며, 안내부재(11,11`)에 의해 안내되는 콩 줄기를 각각 절단하는 톱날(12,12`)이 구비된 절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의 2조식 콩 수확기는, 엔진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양측의 바퀴(35)가 각각의 고랑을 타고 이동하면서 콩을 수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2조식 콩 수확기는, 지역 및 환경에 따라 고랑의 폭이 다르게 형성된 경우에, 바퀴(35)가 고랑에서 이탈하여 밭 두둑으로 올라가거나 미끄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콩 줄기의 절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수확기의 이동이 어렵게 되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6808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역 및 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고랑의 폭에 맞게 바퀴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랑의 폭이 다른 경우에도 바퀴가 고랑을 타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랑의 폭이 다른 경우에도 콩 줄기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 콩 수확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에 장착되는 앞바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후방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뒷바퀴와; 상기 프레임본체에 장착되어 콩 줄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콩 줄기를 절단하는 절단톱날과; 상기 프레임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엔진과; 상기 뒷바퀴와 상기 프레임본체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뒷바퀴의 폭을 조절하면서 상기 엔진의 동력을 상기 뒷바퀴에 전달하는 폭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폭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본체의 후방에서 좌우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공이 형성된 안내프레임과; 상기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봉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내프레임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안내프레임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상기 가이드봉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신축수단과; 상기 신축수단에 의해 신축되면서 상기 엔진의 동력을 상기 뒷바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수단은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축은 스플라인 축으로 이루어져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신축되어 상기 엔진의 동력을 뒷바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폭조절수단에 의해 뒷바퀴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역 및 밭의 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고랑의 폭에 구애받지 않고 콩을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축수단에 의해 안내프레임의 끝단에서 지지프레임이 가이드봉과 가이드공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여,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뒷바퀴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폭이 조절된 뒷바퀴가 고랑에서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축수단이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짐으로써, 주행중에도 고랑의 폭에 따라 뒷바퀴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축이 스플라인 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신축이 가능하면서 엔진의 동력을 뒷바퀴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2조식 콩 수확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에서 프레임본체와 뒷바퀴 및 폭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에서 프레임본체와 뒷바퀴 및 폭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일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에서 프레임본체와 뒷바퀴 및 폭조절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타측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에서 폭조절수단에 의해 뒷바퀴의 폭이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에서 동력전달축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00), 앞바퀴(200), 뒷바퀴(300), 안내부재(400), 절단톱날(500), 엔진(600) 및 폭조절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본체(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구성요소들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는 콩 수확기가 좌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프레임본체(100)에는 의자(101), 핸들(102) 등이 장착되어 있다.
앞바퀴(200)는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콩을 수확할 때 가운데 고랑을 타고 이동하면서 핸들(102)에 의해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뒷바퀴(300)는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후방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앞바퀴(200)가 이동하는 중앙 고랑의 좌우 양측 고랑을 타고 이동한다.
상기 뒷바퀴(300)는, 후술하는 폭조절수단(700)에 의해 폭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안내부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바퀴(200)의 전방, 뒷바퀴(300)의 전방 등에 배치되어 콩 줄기를 안내한다.
이러한 상기 안내부재(400)는, 콩 줄기가 상기 앞바퀴(200)와 뒷바퀴(300)에 밟히지 않도록 하면서 절단톱날(500)에 의해 콩 줄기가 절단되도록 콩 줄기를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부재(400)를 간략하게 도시하였지만, 상기 안내부재는 콩 줄기의 안내되는 방향 및 절단톱날(50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절단톱날(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부재(400)에 의해 안내되는 콩 줄기를 절단한다.
즉, 상기 절단톱날(500)은, 2개의 고랑에서 안내되는 콩줄기를 각각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엔진(600)은 상기 프레임본체(100)에 장착되어 상기 뒷바퀴(30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엔진(600)은, 후술하는 동력전달축(740)에 통해 상기 뒷바퀴(300)에 동력을 전달하여 뒷바퀴(300)를 회전시킴으로써 콩 수확기가 이동하게 한다.
또한 상기 엔진(600)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폭조절수단(70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바퀴(300)와 상기 프레임본체(100) 사이에 각각 즉, 좌우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뒷바퀴(300)의 폭을 조절하면서 상기 엔진(600)의 동력을 상기 뒷바퀴(300)에 전달한다.
상기 폭조절수단(700)에 의해, 지역 및 밭의 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고랑의 폭에 맞게 뒷바퀴(300)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뒷바퀴(300)가 고랑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뒷바퀴(300)가 고랑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콩 수확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폭조절수단(7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프레임(710), 지지프레임(720), 신축수단(730) 및 동력전달축(7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프레임(71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후방에서 좌우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프레임(710)에는, 길이방향 즉, 상기 프레임본체(100)에서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가이드공(71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7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공(71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봉(721)이 돌출형성된다.
이렇게 돌출형성된 상기 가이드봉(721)이 상기 가이드공(711)에서 슬라이딩되면 상기 뒷바퀴(300)의 폭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720)의 하부에는 뒷바퀴(300)가 장착되어 상기 안내프레임(710)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된다.
신축수단(730)의 일단은 상기 안내프레임(710)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720)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공(711)을 따라 상기 가이드봉(721)을 슬라이딩시킨다.
즉, 상기 신축수단(730)이 신축되면서 상기 가이드공(711)에서 상기 가이드봉(721)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안내프레임(710)의 끝단에서 상기 지지프레임(720)이 멀어졌다가 가까워지게 하면서 상기 뒷바퀴(300)의 폭을 조절한다.
즉, 상기 신축수단(730)은, 고랑과 고랑의 폭이 좁을 때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되면서 상기 뒷바퀴(300) 간의 폭을 줄여주고, 고랑과 고랑의 폭이 넓을 때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되면서 상기 뒷바퀴(300)의 간의 폭을 넓혀 고랑의 폭에 맞게 상기 뒷바퀴(300)의 폭을 조절한다.
상기 신축수단(730)에 의해, 상기 안내프레임(710)의 끝단에서 상기 지지프레임(720)이 상기 가이드봉(721)과 상기 가이드공(711)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720)에 장착된 상기 뒷바퀴(300)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폭의 고랑에서 원활하게 콩을 수확할 수가 있다.
상기 신축수단(730)은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수단(730)이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압실린더의 힘에 의해 주행중에도 고랑의 폭에 따라 상기 뒷바퀴(300)의 폭을 조절하여 뒷바퀴(300)가 고랑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동력전달축(740)은, 상기 신축수단(730)에 의해 신축되면서 상기 엔진(600)의 동력을 상기 뒷바퀴(300)에 전달한다.
즉, 상기 동력전달축(740)은 신축이 가능하면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하여, 폭 조절되는 상기 뒷바퀴(300)에 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동력전달축(7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라인 축으로 이루어져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신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축(740)이 스플라인 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신축이 가능하면서 상기 엔진(600)의 동력을 상기 뒷바퀴(300)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봉(721)과 가이드공(711) 및 신축수단(730)을 전후방향의 좌우 양측에 각각 2개씩 배치하였지만, 그 숫자는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가이드봉(721)과 가이드공(711)이 사각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좌식에 폭조절수단(700)을 적용하였지만, 입식인 경우에도 상기 폭조절수단(700)에 의해 뒷바퀴의 폭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수확하고자 하는 밭으로 이동하여, 3개의 고랑 중 앞바퀴(200)가 가운데 고랑을 따라 이동하도록 진입한다.
이어서 콩을 수확하다가 고랑의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면, 상기 폭조절수단(700)으로 뒷바퀴(300)의 폭을 조절하면서 상기 뒷바퀴(300)가 고랑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고랑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장착하여, 고랑의 폭에 따라 상기 폭조절수단(700)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프레임본체
101: 의자
102: 핸들
200: 앞바퀴
300: 뒷바퀴
400: 안내부재
500: 절단톱날
600: 엔진
700: 폭조절수단
710: 안내프레임
711: 가이드공
720: 지지프레임
721: 가이드봉
730: 신축수단
740: 동력전달축

Claims (4)

  1. 프레임본체(100)와;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전방에 장착되는 단일의 앞바퀴(200)와;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후방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뒷바퀴(300)와; 상기 프레임본체(100)에 장착되어 콩 줄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400)와;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부재(400)에 의해 안내되는 콩 줄기를 절단하는 절단톱날(500)과; 상기 프레임본체(100)에 장착되어 상기 뒷바퀴(300)를 회전시키는 엔진(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300)와 상기 프레임본체(100)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뒷바퀴(300)의 폭을 조절하면서 상기 엔진(600)의 동력을 상기 뒷바퀴(300)에 전달하는 폭조절수단(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폭조절수단(700)은,
    상기 프레임본체(100)의 후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좌우 양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가이드공(711)이 형성된 4개의 안내프레임(710)과;
    상기 가이드공(71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봉(721)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내프레임(710)의 양 끝단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지지프레임(720)과;
    일단은 상기 안내프레임(710)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720)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봉(721)을 가이드공(711)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상기 지지프레임(72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한 쌍의 신축수단(730)과;
    좌우 양측에 배치된 안내프레임(710) 사이에 구비되는 동력전달축(7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수단(730)은 4개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축(740)은, 스플라인 축을 구비하여 신축수단(73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엔진(600)의 동력을 뒷바퀴(30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62206A 2015-11-19 2015-11-19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 KR101805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206A KR101805765B1 (ko) 2015-11-19 2015-11-19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206A KR101805765B1 (ko) 2015-11-19 2015-11-19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531A KR20170058531A (ko) 2017-05-29
KR101805765B1 true KR101805765B1 (ko) 2017-12-07

Family

ID=5905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206A KR101805765B1 (ko) 2015-11-19 2015-11-19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6703B (zh) * 2018-05-21 2023-09-01 安徽平天湖投资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小型花生采收脱粒机
KR20200043645A (ko) 2018-10-18 2020-04-28 (주)한서정공 콩 수확기
CN112335401B (zh) * 2020-11-06 2021-10-15 义乌市龙川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山地用黄豆收割装置
KR102564727B1 (ko) * 2021-09-07 2023-08-07 노정현 작물 줄기 절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6213A (ja) * 2000-11-02 2002-05-14 Minoru Industrial Co Ltd 豆刈取機
KR200337839Y1 (ko) * 2003-09-02 2004-01-13 백은기 딸기수확관리기구조
KR200355607Y1 (ko) * 2004-04-27 2004-07-08 백은기 딸기수확관리대차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6213A (ja) * 2000-11-02 2002-05-14 Minoru Industrial Co Ltd 豆刈取機
KR200337839Y1 (ko) * 2003-09-02 2004-01-13 백은기 딸기수확관리기구조
KR200355607Y1 (ko) * 2004-04-27 2004-07-08 백은기 딸기수확관리대차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531A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891B2 (en) Agricultural device
KR101805765B1 (ko) 2조식 농업용 콩 수확기
KR101601806B1 (ko) 고랑용 줄기절단수단이 구비된 트랙터용 제초기
EP3590317B1 (en) Agricultural machine for cleaning soils used to grow orchards and vineyards
EP3804484A1 (de) Vorrichtung zur reb- und zeilenkulturpflanzenpflege und maschine zum betreiben der vorrichtung
RU164780U1 (ru) Косилка садовая окашивающая
KR101861610B1 (ko) 2조식 승용 콩 수확기
KR101471996B1 (ko) 두둑용 이동수단이 구비된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KR101391914B1 (ko) 트랙터 부착형 제초기
KR101578654B1 (ko) 로터리
JP2021136897A (ja) 簡易蔓切機
US42532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rowth of unwanted plants
CN106688340B (zh) 一种果园除草装置
CN104429657B (zh) 钢珠调臂扭向式双行割伐机
KR101472630B1 (ko) 폭 가변 조절이 가능한 쟁기
KR101170513B1 (ko) 조사료 수확기의 가변폭 예취기구
GB1541223A (en)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machines for cutting or trimming hedges grass weeds crops and other vegetable or arboreal growth
US20180042180A1 (en) Stalk conditioner for a header of an agricultural combine
WO2021113932A1 (pt) Sistema de controle do direcionamento de uma máquina agrícola, método para ajustar o direcionamento de uma máquina agrícola e máquina agrícola
JP2007228869A (ja) 除草機
JP2011234625A (ja) 刈取り作業機
JP2016096749A (ja) 刈り倒し機
BR102017004491B1 (pt) Equipamento auxiliar capador agrícola
JP2018064473A (ja) 茎葉処理機
JP2008079520A (ja) 農作物の収穫装置又は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