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653B1 - 다용도 곡괭이 - Google Patents

다용도 곡괭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653B1
KR101493653B1 KR20140075088A KR20140075088A KR101493653B1 KR 101493653 B1 KR101493653 B1 KR 101493653B1 KR 20140075088 A KR20140075088 A KR 20140075088A KR 20140075088 A KR20140075088 A KR 20140075088A KR 101493653 B1 KR101493653 B1 KR 10149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dapter
grass
blade
bla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국
Original Assignee
백남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국 filed Critical 백남국
Priority to KR20140075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01B1/12Hoes; Hand cultivators with blades provided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22Attaching the blades or the like to handles; 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26Locking and securing devices comprising nails, screws, bolts, or pins traversing or entering the socke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구의 일종인 다용도 곡괭이에 관한 것으로, 예초기에 사용되는 커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예초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곡괭이의 기능은 물론이고 긁개, 거친 풀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예초기를 사용할 때에는 이를 예초기에 장착하여 예초기의 커터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장변에 절단면(11)이 형성되고 단변에는 날부(12)가 형성된 본체(10)의 중심부에 주 체결공(13)을 형성하고 상기 주 체결공(13)의 주변부에는 보조 체결공(14)을 복수 개 형성하며 상기 보조 체결공(14)에는 자루(20)가 고정되는 어댑터(30)의 플랜지(32)를 접속하여 상기 본체(10)와 어댑터(30)가 체결부재(4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곡괭이{Multipurpose Pickax}
본 발명은 농기구의 일종인 곡괭이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각종 농사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인 곡괭이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다용도 곡괭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기구(農器具)는 각종 농사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 및 기구로서, 주로 인력용, 축력용(畜力用)으로 사용되며 손발의 연장으로 이용되는 것이 많다. 처음 단순한 막대로 시작한 농구는 경서용구(耕鋤用具), 파종용구(播種用具), 시비용구(施肥用具), 관개용구(灌漑用具), 수확용구(收穫用具) 등 농업의 전과정에 걸쳐 많은 종류의 농구가 생겼고, 또 운반용구 등 부차적(副次的)인 것도 발달되었다.
한편, 위와 같은 농기구 중 곡괭이 또는 괭이는 돌이 많은 밭을 갈 때 주로 사용되고, 김을 맬 때 땅을 파거나 고르는 작업을 할 때에도 사용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곡괭이는 김을 매기에 부적당하며 다른 농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겁다. 또한, 괭이는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단단한 지면 또는 돌이 많은 곳에서는 사용이 불편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지의 예들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81-0000893호 '괭이겸용 쇠스랑',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986-0011158호 '괭이' 등이 개시되어 경량,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용도 농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작업부재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지주대(100)는 각종 작업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나무재질의 봉(棒) 형태를 구비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부재(200)와 연결되는 단부는 작업부재(20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테이퍼(taper)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작업부재(200)는 본체(210)와, 본체의 상면 대략 중앙부에 부착되는 지주대삽입구(220)를 포함하는데, 이때, 본체(210)는 5㎜ 두께의 대략 포크(fork) 형태의 금속(가령, S45C) 재질로서, 중앙부에는 지주대(100)의 밑면에 나사(212) 결합되기 위한 나사체결공(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대삽입구(220) 또한 금속(S45C) 재질로서, 중공의 원통형상을 구비하며, 나사체결공(214)에 취부된 상태에서 본체(210)상에 용접을 통해 고정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주대삽입구(220)는 단부가 테이퍼진 지주대(100)의 형상과 대응하여 하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데, 이때, 주대삽입구(220)에는, 지주대(100)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222)가 결합되는 나사체결공(2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대(100)는 하단부를 통해 지주대삽입구(220)에 망치와 같은 타격도구를 통해 삽입된 후, 나사(212)(222)를 통해 작업부재(20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한편, 평면에서 보아 본체(210)의 하부에는 제 1날부(216)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210)의 상부에는 1쌍의 제 2날부(217)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2날부(217) 사이에 제 1돌출부(218)가 형성되어 있고, 제 1날부(216)와 제 2날부(217)의 사이에는 제 2돌출부(2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날부(216)와 제 2날부(217)는 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감소하는 쐐기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날부(216)와 제 2날부(217)는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대향 형성되어 작업부재(200)는 측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일직선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지주대(100)를 파지하고 작업장으로 이동하여 작업부재(200)를 사용하는데, 굳은 땅이나 단단한 지면을 파고자 할 경우 제 1날부(216)를 이용하여 땅을 힘있게 타격하여 파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파여진 땅에는 씨앗이나 모종, 파종 작업을 할 수가 있다.
각종 뿌리작물을 캐고자 할 경우, 제 2날부(217)를 이용하여 땅에 깊은 홈을 낼 수가 있다.
또한, 제 2날부(217) 및 돌출부(218)를 이용하여 뿌리보다 크게 자란 잎과 줄기가 제 2날부(217) 및 돌출부(218)에 의해 걸려서 나오게 됨으로써 작업 효율이 높아지고, 크고 작은 잡초를 뿌리 깊이까지 파내지 않아도 되므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2날부(217)의 외측면(217a)은 씨앗을 뿌린 홈 위에 흙을 덮을 때에 유용하고, 흙을 평평하게 고르거나 밭고랑에 뽑힌 잡초를 걷어내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날부(217)와 제 1돌출부(218) 사이를 통해 고추대나 가지대와 같은 비교적 큰 작물을 뽑아서 제거할 수 있고, 제 2날부(217)를 통해 흙속의 뿌리열매, 뿌리작물 등을 캐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날부(217)를 이용하여 흙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데에도 편리하고, 각종 작물을 심을 때 유용하다. 또한, 제 2날부(217)를 이용하여 홈에 웃거름을 주고 메우거나 작은 돌을 골라내는데 유용하다.
또한, 제 2돌출부(219)를 통해 작은 작물이나 잡초를 제거할 때에 뿌리까지 뽑을 수 있고, 작은 돌이나 작은 흙덩어리 등을 걷어내거나 파종작물을 솎아내는 데 효율적이다.
또한, 제 2돌출부(219)를 이용하여 판자를 고르거나 각종 작물을 심을 때 유용하다.
또한, 제 2돌출부(219)를 이용하여 땅에 홈을 파고 이렇게 형성된 홈에는 씨앗이나 모종, 파종 작업을 하거나, 파종작물을 솎아내는 데 효율적이다.
한편, 동절기에 제 1날부(216), 제 2날부(217), 제 2날부(217)의 외측면(217a)등을 이용하여 굳어진 눈을 타격하여 치우거나, 사람이 밟고 지나간 눈자국, 차량이 지나간 눈자국 등을 처리하여 치우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작업부재(200)가 지주대(100)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밭농사를 할 때 각각의 농기구를 챙기고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작업의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각종 작업에 필요한 도구가 작업부재(2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 중에 다른 농기구의 사용을 위해 이동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또한, 통상적인 곡괭이에 비해 경량 구조이므로 사용이 용이하고, 단단한 지면 또는 돌이 많은 곳에서도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제 1날부(216)와 제 2날부(217)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대향 형성되어 일직선 형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종래 곡면 형태를 갖는 괭이에 비해 작업부재 전체에 걸쳐 힘을 골고루 분산시켜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작업부재(200)는 제 1날부(216)와 제 2 날부(217)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대향 형성되어 일직선 형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굳은 땅을 힘있게 타격하는 것이 가능하고, 힘이 적게 들며, 제작 과정이 간단하여 생산원가가 절감되고, 일체형 구조이므로 견고함이 강하며, 중량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므로 사용이 용이하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29970호(2009. 11. 26), 배경기술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44577호(2009. 05. 14),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도구들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그 용도가 정해지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단단한 지면 또는 돌이 많은 곳에서 사용하는 경우 구조적인 취약점으로 인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밭을 파거나, 고르는데에는 유용하게 사용하지만, 거친 풀이나 나무 등을 자를 수 없어 별도의 커터 또는 낫을 사용하여야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써, 예초기에 사용되는 커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예초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곡괭이의 기능은 물론이고 긁개, 거친 풀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예초기를 사용할 때에는 이를 예초기에 장착하여 예초기의 커터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장변에 절단면이 형성되거나 장변과 단변에 각각 절단면과 날부가 형성되는 본체의 중심부에 주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주 체결공의 주변부에는 보조 체결공을 복수 개 형성하며 상기 보조 체결공에는 자루가 고정되는 어댑터의 플랜지를 접속하여 상기 본체와 어댑터가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곡괭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밭을 파거나, 고르는 작업은 물론이고 거친 풀이나 나무 등의 절단이 가능하므로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단단한 지면 또는 돌이 많은 곳에서 사용하더라도 그 구조가 견고함은 물론이고 강도가 커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셋째, 필요에 따라 본체에서 어댑터를 제거하여 이를 예초기에 장착하면 예초기의 커터로도 사용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다용도 농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작업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곡괭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5는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용도 곡괭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판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가 길이방향의 수직방향 양측에 장변들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측에 폭이 좁은 2개의 단변들을 형성되고, 중심부 쪽에서 양측의 단변들 쪽으로 폭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변들에 절단면(1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변들에 날부(1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주 체결공(13)의 주변부에는 보조 체결공(14)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필요에 따라 직사각형 형상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의 각 장변에 형성된 절단면(11)은 거친 풀이나, 나무 등을 절단할 때 사용하거나, 돌을 고르거나, 또는 씨앗을 파종하고 평탄작업을 하는 등의 작업을 할 때 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단변에 형성된 날부(12)는 밭을 파거나, 보다 거친 풀이나, 나무 뿌리를 캘 때 사용하거나 잡초 등을 제거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날부(12)는 장변에 형성된 절단면(11)과 같이 날카로운 절단면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는 날부(12)가 형성된 단변들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3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뾰쪽하게 형성할 경우에는 땅을 팔 때, 보다 적은 힘으로도 작업이 가능한 이점을 갖으며, 둥근 형상으로 라운딩되게 하여 흙을 고르는 작업을 쉽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단변들은 필요에 따라 날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장변의 절단면(11)에 소정의 간격으로 요홈(15)을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 단변의 날부(12)에도 소정의 간격으로 요홈(15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곡괭이의 흙파기 기능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예초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본체(10)에 고정되어 자루(20)가 고정되는 어댑터(30)에는 본체(10)에 형성된 보조 체결공(14)과 같은 개수의 체결공(31)을 갖는 플랜지(32)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어댑터(30)의 플랜지(32)를 본체(10)의 상면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보조 체결공(14)과 체결공(31)을 일치시키고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0)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되는 4개의 보조 체결공(14)을 형성하고 어댑터(30)에 형성된 플랜지(32)에도 4개의 체결공(31)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10) 및 어댑터(30)가 4개의 체결부재(40)에 의해 고정하도록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5와 같이 상기 플랜지(32)가 각각의 체결공(31)을 갖는 4개로 분리된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구조를 갖는 어댑터(30)는 금속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의 상면에 어댑터(30)를 접속하여 본체(10)에 형성된 보조 체결공(14)과 플랜지(32)에 형성된 체결공(31)을 일치시키고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40)를 체결함에 따라 이들의 조립이 완성되는데, 이때 어댑터(30)에는 손잡이역할을 하는 자루(20)가 고정되어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본 발명의 다용도 곡괭이를 이용하여 밭을 팔 경우에는 단변의 날부(12)를 이용하게 된다.
즉, 단변에 형성된 날부(12)가 넓적하여 흙을 파거나, 흙을 떠서 옮기는 삽괭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은 날부(12)가 넓고 견고하여 종래의 농기구와 같이 쉽게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뿌리가 억센 풀이나, 비교적 작은 나무의 뿌리를 캘 때에도 견고한 날부(12)를 이용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한편, 넓은 면적에 자란 풀을 절단하거나, 파서 제거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자루(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장변에 형성된 절단면(11)을 이용하여 한꺼번에 많은 양의 풀을 뿌리까지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에 의해 제거된 풀은 평탄한 날부(12)를 이용하여 한꺼번에 손쉽게 수거됨에 따라 처리하는데에도 신속한 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는 달리 날부(12)에 의해 흙을 판 다음 씨앗을 뿌리고 난 다음에도 평탄한 절단면(11)을 이용하여 평탄화시키는 작업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곡괭이를 이용하여 농사를 짓다가 벌초 또는 집주변이나 밭 주변에 자란 풀을 제거하는 제초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체결부재(40)로 일체화되어 있던 본체(10)와 어댑터(30)를 분리한 후 본체(10)에 형성된 주 체결공(13)을 예초기(도시는 생략함)의 축에 결합한 다음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하면 본체(10)가 예초기의 회전커터작업을 하게 되므로 통상의 예초기와 같이 제초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제초작업을 위한 별도의 커터를 구입하지 않고도 평상 시 곡괭이로 사용하던 본체(10)를 이용하여 제초작업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절단면
12 : 날부 13 : 주 체결공
14 : 보조 체결공 20 : 자루
30 : 어댑터 31 : 체결공
32 : 플랜지 40 : 체결부재

Claims (6)

  1. 길이방향의 수직방향 양측에 절단면(11)을 갖는 장변들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측에 날부(12)가 형성된 단변들이 형성된 본체(10)의 중심부에 주 체결공(13)을 형성하고 상기 주 체결공(13)의 주변부에는 보조 체결공(14)을 복수 개 형성하며 상기 보조 체결공(14)에는 자루(20)가 고정되는 어댑터(30)의 플랜지(32)를 접속하여 상기 본체(10)와 어댑터(30)가 체결부재(4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본체(10)와 어댑터(30)를 분리한 후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두 체결공(13)을 예초기의 축에 결합한 다음 체결부재로 고정하여 상기 본체(10)가 예초기의 회전 커터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곡괭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절단면(11) 및 날부(12)에 복수개의 요홈(15)(15a)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곡괭이.


KR20140075088A 2014-06-19 2014-06-19 다용도 곡괭이 KR10149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5088A KR101493653B1 (ko) 2014-06-19 2014-06-19 다용도 곡괭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5088A KR101493653B1 (ko) 2014-06-19 2014-06-19 다용도 곡괭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653B1 true KR101493653B1 (ko) 2015-02-13

Family

ID=5259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5088A KR101493653B1 (ko) 2014-06-19 2014-06-19 다용도 곡괭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697B1 (ko) 2016-11-15 2017-05-17 김재희 풀감김 방지용 예초기의 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893Y1 (ko) * 1980-05-13 1981-08-18 이관구 괭이 겸용 쇠스랑
JP2004267206A (ja) * 2003-02-18 2004-09-30 Yui Inoue 地面を、年中草が生えないように、つるつるにする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893Y1 (ko) * 1980-05-13 1981-08-18 이관구 괭이 겸용 쇠스랑
JP2004267206A (ja) * 2003-02-18 2004-09-30 Yui Inoue 地面を、年中草が生えないように、つるつるにする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697B1 (ko) 2016-11-15 2017-05-17 김재희 풀감김 방지용 예초기의 날
WO2018093016A1 (ko) * 2016-11-15 2018-05-24 김재희 풀감김 방지용 예초기의 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8370A (en) Lawn and garden tool
CA1125523A (en) Garden tool head
KR101493653B1 (ko) 다용도 곡괭이
US20100200255A1 (en) Gardening tool wtih prongs and blade member
US10143121B2 (en) Garden tool
US2873809A (en) Cultivating tool
KR102346534B1 (ko) 호미 괭이
US6360826B1 (en) Weed hook
KR101636619B1 (ko) 수작업식 제초기
CN211322757U (zh) 一种农业大棚除草装置
KR20150054639A (ko) 예초기용 김매기 호미
US20060059882A1 (en) Rake-Hoe TM
US2497506A (en) Garden tool
KR101213216B1 (ko) 다용도 농기구
KR101137328B1 (ko) 보행형 다목적 제초기
US20170295712A1 (en) Hand-held weed extractor and cultivator
KR101149656B1 (ko) 다용도 농기구
US9661796B1 (en) Bulb, plant, and seedling digging tool
US20130000931A1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KR200408890Y1 (ko) 농업용 비닐 천공기
US7083001B1 (en) Multipurpose, hand held, weed extracting, garden tool
KR20200141332A (ko) 뿌리제거가 가능한 예초기용 칼날
KR20160100445A (ko) 다목적 곡괭이
KR20160100446A (ko) 다목적 곡괭이
RU2318301C1 (ru) Ручной культив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