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538B1 -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538B1
KR102215538B1 KR1020200050933A KR20200050933A KR102215538B1 KR 102215538 B1 KR102215538 B1 KR 102215538B1 KR 1020200050933 A KR1020200050933 A KR 1020200050933A KR 20200050933 A KR20200050933 A KR 20200050933A KR 102215538 B1 KR102215538 B1 KR 10221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racket
block
rotation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조
Original Assignee
정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조 filed Critical 정성조
Priority to KR102020005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 브라켓에 구성되고 샤프트에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는 결합구; 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된 칼날의 양측부에 타단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좌측연장봉과 우측연장봉; 좌측연장봉과 우측연장봉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샤프트가 좌우 방향으로 스윙시 지면에 대하여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되어 좌우 방향의 스윙동작을 보조하는 좌측회전체와 우측회전체; 및 좌측회전체와 우측회전체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샤프트가 전후 방향으로 스윙시 지면에 대하여 회동되어 좌측회전체와 우측회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전후 방향의 스윙동작을 보조하는 복수개의 회전롤러체를 포함하는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Swing assistance apparatus for brush cutter}
본 발명은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예초기의 샤프트에 보조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예초기가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스윙되는 것을 보조하여 초보자도 쉽고 간편하게 예초 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는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농가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도 널리 보급되어 조상묘의 벌초작업시에도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엔진을 등에 지고 엔진의 동력을 와이어를 통해 샤프트의 말단에 부착된 칼날을 회전시켜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잡초를 절단하게 되는데, 칼날이 결합된 샤프트를 전후좌우로 이동시켜 예초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예초작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의 스윙 동작시 칼날이 지면에 부딪히지 않도록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샤프트를 들고 스윙동작을 수행해야 하지만 이러한 스윙동작은 초보자에게는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때때로 위험한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한 바와 같은 취급특성이 숙달되지 않은 미숙련 작업자는 예초기 취급 혹은 조작시 칼날에 의해 땅을 파헤치기도 하고, 또 잡초의 절단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깔끔하고 단정한 예초작업을 수행하기 어렵고 조작 미숙으로 칼날이나 파편에 맞아 심각한 부상을 입기도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초기의 칼날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는, 샤프트에 바퀴가 부착된 거치대가 부착되어 칼날을 지면과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고 있으나, 바퀴가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스윙동작이 자유롭지 못하여 피로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 10-2000-6747
(특허문헌 0002) 등록실용 20-25644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초기의 샤프트에 보조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예초기가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조하고 자유로운 스윙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초보자도 쉽고 간편하게 예초 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는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초기의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을 이용한 샤프트의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 기울기를 가능하게 하여 샤프트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키지 않고도 칼날의 높이가 현재 보다 낮아지도록 하여 잡초가 더 짧게 절단되도록 할 수 있는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 브라켓에 구성되고 샤프트에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는 결합구; 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된 칼날의 양측부에 타단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좌측연장봉과 우측연장봉; 좌측연장봉과 우측연장봉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샤프트가 좌우 방향으로 스윙시 지면에 대하여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되어 좌우 방향의 스윙동작을 보조하는 좌측회전체와 우측회전체; 및 좌측회전체와 우측회전체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샤프트가 전후 방향으로 스윙시 지면에 대하여 회동되어 좌측회전체와 우측회전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전후 방향의 스윙동작을 보조하는 복수개의 회전롤러체를 포함하는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결합구는, 샤프트의 외주면 하부가 거치되는 거치블록; 거치블록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샤프트의 외주면 상부가 커버되는 커버블록; 커버블록의 내주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커버블록의 외주면에 구성된 조임나사를 통하여 샤프트의 외주면 상부를 가압하는 조임클램프; 및 커버블록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거치블록에 샤프트가 거치된 상태에서 거치블록과 커버블록이 결속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결속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구와 브라켓 사이에 구성되고 결합구가 브라켓에 대하여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샤프트 단부에 결합된 칼날의 위치가 임시로 낮아지고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기울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울기조절부는,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 구성되어 브라켓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제1회동체와; 거치블록의 하면에 연장 구성되고 제1회동체에 삽입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 구성되어 제1회동체에 대하여 좌우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제2회동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회동체는, 브라켓에 회동축을 통하여 브라켓의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회동블록; 전후회동블록의 하면에 결합되고 전후회동블록이 브라켓에 대하여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복원스프링; 전후회동블록의 상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블록; 및 전후회동블록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2회동체가 회동축을 통하여 전후회동블록에 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좌우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회동체는, 거치블록의 하면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고 좌우회동결합부에 회동축을 통하여 좌우회동결합부에 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회동블록; 거치블록의 하면 좌우회동블록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 및 좌우회동블록과 좌우회동결합부 사이의 대면 부위에 구성되고 응력을 제공하는 응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롤러체는, 좌측회전체와 우측회전체의 바퀴 외주연에 복수개가 수직 또는 비스듬한 각도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일정하게 결합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측연장봉과 우측연장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브라켓에 회동축을 가지면서 결속되고 브라켓의 결속체에 의해 회동 또는 회동 불가능한 상태로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예초기의 샤프트에 보조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예초기가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조하고 자유로운 스윙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초보자도 쉽고 간편하게 예초 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초기의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을 이용한 샤프트의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 기울기를 가능하게 하여 샤프트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키지 않고도 칼날의 높이가 현재 보다 낮아지도록 하여 잡초가 더 짧게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윙보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윙보조장치에 있어서 브라켓, 결합구 및 기울기조절부의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도 4와 도 5는 도 3의 결합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과 도 7은 도 3의 기울기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의 스윙보조장치가 예초기의 샤프트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샤프트가 좌우 방향으로 스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의 샤프트가 전후 방향으로 스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과 도 12는 각각 도 3의 샤프트가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와 배면도; 및
도 13은 도 1의 스윙보조장치에 있어서 연장봉이 브라켓에 대하여 회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는, 브라켓(110), 브라켓(110)의 상면에 구성되고 샤프트(10)에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는 결합구(120), 결합구(120)와 브라켓(110) 사이에 구성되고 작업자의 힘에 의해 결합구(120)가 브라켓(110)에 대하여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샤프트(10) 단부에 결합된 칼날(20)의 위치가 임시로 낮아지고 외력 해제시 결합구(120)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여 칼날(20)의 위치가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기울기조절부(160), 브라켓(1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단부에 결합된 칼날(20)의 양측부에 타단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샤프트(10)가 좌우 방향으로 스윙시 지면에 대하여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되어 좌우 방향의 스윙동작을 보조하는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 및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샤프트(10)가 전후 방향으로 스윙시 지면에 대하여 회동되어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전후 방향의 스윙동작을 보조하는 복수개의 회전롤러체(150) 등을 포함한다.
브라켓(110)은, 도 1 내지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부들이 예초기의 샤프트(10)에 결합되도록 하는 베이스부재로서,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이 연결되는 연결편(111)과, 연결편(111) 사이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후술된 기울기조절부(160)가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홈(112) 등을 포함한다.
결합구(120)는, 도 3 내지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가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도록 하는 샤프트 결합수단으로서, 기울기조절부(16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샤프트(10)의 외주면 하부가 거치되는 거치블록(121), 거치블록(121)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거치블록(121)에 삽입된 샤프트(10)의 외주면 상부가 커버되는 커버블록(122), 커버블록(122)의 내주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커버블록(122)의 외주면에 구성된 조임나사(123)를 통하여 샤프트(10)의 외주면 상부를 가압하여 샤프트(10)가 거치블록(121)과 커버블록(122) 사이에 조임 상태를 가지면서 결합되도록 하는 조임클램프(124) 및 커버블록(122)의 일측면에 탄성력을 가지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거치블록(121)에 샤프트(10)가 거치된 상태에서 커버블록(122)이 거치블록(121)을 커버시 거치블록(121)의 결속홈에 단부가 끼움 고정되어 거치블록(121)과 커버블록(122)이 안정적으로 결속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결속편(125) 등을 포함한다.
기울기조절부(160)는, 도 3 내지 도 7 및 도 11과 도 1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120)와 브라켓(110) 사이에 구성되어 결합구(120)가 브라켓(110)에 대하여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샤프트(10) 단부에 결합된 칼날(20)의 위치가 임시로 낮아지고 외력 해제시 결합구(120)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여 칼날(20)의 위치가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기울기 조절수단으로서, 브라켓(110)의 설치홈(112)에 삽입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 구성되어 설치홈(112)에 대하여 외력 작용시 전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제1회동체(160-1)와, 거치블록(121)의 하면에 연장 구성되고 제1회동체(160-1)에 삽입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 구성되어 제1회동체(160-1)에 대하여 외력 작용시 좌우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제2회동체(160-2) 등을 포함한다.
제1회동체(160-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초 작업 중 특정 위치의 잡초가 조금 더 짧게 절단되어야 하는 경우 샤프트(10)에 결합된 칼날(20)의 각도가 전방을 향해 임의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는 수단으로서, 브라켓(110)의 설치홈(112)에 회동축을 통하여 설치홈(112)의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회동블록(161), 전후회동블록(161)의 하면에 결합되고 전후회동블록(161)이 설치홈(112)에 대하여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며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에 연결된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가 지면에 접촉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소정의 힘이 전달되는 경우 전후회동블록(161)이 설치홈(112)에 대하여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샤프트(10) 단부의 칼날(20)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가 지면에 접촉 해제되거나 작업자에 의해 소정의 힘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전후회동블록(161)이 설치홈(112)에 대하여 후방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스프링(162) 및 전후회동블록(161)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2회동체(160-2)가 회동축을 통하여 전후회동블록(161)에 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좌우회동결합부(165)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좌우회동결합부(165)는, 전후회동블록(161)의 상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블록(163)과, 결합블록(163)의 전후방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제2회동체(160-2)가 결합블록(163)이 안착되도록 하고 제2회동체(160-2)가 회동축을 통하여 결합블록(163)에 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회동홈(164)을 포함한다.
제2회동체(160-2)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초 작업 중 특정 위치의 잡초가 조금 더 짧게 절단되어야 하는 경우 샤프트(10)에 결합된 칼날(20)의 각도가 좌우측을 향해 임의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는 수단으로서, 거치블록(121)의 하면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고 결합블록(163)과 회동홈(164)에 회동축을 통하여 결합블록(163)에 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회동블록(166), 거치블록(121)의 하면 좌우회동블록(166)의 양측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어 좌우회동블록(166)이 결합블록(163)에 대하여 좌우측 방향 회동시 전후회동블록(165)의 상면에 걸림 지지되어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한 쌍의 스토퍼(167) 및 좌우회동블록(166)과 결합블록(163) 사이의 대면 부위에 구성되고 작업자에 의해 소정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만 좌우회동블록(166)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좌우회동블록(166)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과 가압봉으로 구성된 응력제공부(168)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좌우회동블록(166)은, 결합블록(163)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회동홈(164)에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안착부와 가이드부는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응력제공부(168)의 가압봉이 접촉되는 결합블록(163)에는 가압봉의 외주면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조절부(160)에 의하면, 샤프트(10)가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를 통하여 좌우 방향 스윙동작 또는 전후 방향 스윙동작을 통한 제초 작업 중 특정 위치의 잡초가 조금 더 짧게 절단되어야 하는 경우, 즉, 칼날(20)의 전방 부위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야 하는 경우, 작업자가 샤프트(10)를 들어 올리면서 제1회동구조체(160-1)에 대하여 제2회동구조체(160-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외력을 가하게 되면, 제1회동구조체(160-1)가 브라켓(110)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제2회동구조체(160-2)가 제1회동구조체(160-1)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것에 의해, 칼날(20)의 전방 부위가 간편하게 현재의 작업 위치보다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샤프트(10)가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를 통하여 좌우 방향 스윙동작 또는 전후 방향 스윙동작을 통한 제초 작업시에는, 복원스프링(162)의 탄성력 보다 결합구(120)와 샤프트(10) 등의 무게가 크기 때문에 이미 전후회동블록(161)의 경우 설치홈(112)에 대하여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가지게 되며, 이때, 샤프트(10)가 결합구(120)에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됨에, 상기와 같이 전후회동블록(161)이 브라켓(110)에 대해 전방 회동됨에 따라 샤프트(10) 단부의 칼날(20)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회동구조체(160-1)의 결합블록(163)과 제2회동구조체(160-2)의 좌우회동블록(166) 사이에 구성된 응력제공부(168) 보다 큰 힘으로, 샤프트(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비틀게 되면, 좌우회동블록(166)이 결합블록(163)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기울기조절부(160)에 의하여 결합구(120)가 브라켓(110)에 대하여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으로 회동되어, 샤프트(10) 단부의 칼날(20)이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제초 작업 중 특정 위치의 잡초가 조금 더 짧게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은, 도 1과 도 2 및 도 8 내지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10)에 각각 일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단부에 결합된 칼날(20)의 양측부에 타단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연장부재로서, 강성의 재질과 경량의 무게를 가지는 바(bar)인 것이 좋다.
여기서,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은, 브라켓(110)의 연결편(111)에 각각 일단이 볼팅 결합되고 타단에 후술된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용샤프트(131)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111)에 회동축을 가지면서 결속되고 연결편(111)에 구성되는 결속체(130-3)에 의해 회동 또는 회동 불가능한 상태로 연결편(11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속체(130-3)는, 연결편(111)에 고정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연장봉의 일부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하는 결속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초 작업 중에는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 모두 연결편(111)에 회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를 통한 좌우 방향 스윙동작 또는 전후 방향 스윙동작 기능을 제공하고, 제초 작업 이외에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결편(111)에 대하여 고정 해제되고 다른 하나를 향해 회동되면서 접히도록 하여 보관 공간을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는, 도 1과 도 2 및 도 8 내지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샤프트(10)가 좌우 방향으로 스윙시 지면에 대하여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되어 좌우 방향의 스윙동작을 보조하는 부재로서, 좌측연장봉(130-1) 또는 우측연장봉(130-2)의 타단에 구성된 결합용샤프트(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바퀴(141)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퀴(141)와 결합용샤프트(131)의 회전 결합 구조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에 의하면, 바퀴(141)의 하단 외주연이 지면에 접촉되는 경우 샤프트(10)의 단부에 결합된 칼날(20)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샤프트(10)가 좌우 방향으로 스윙동작시 바퀴(141)가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되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칼날(20)과 지면의 이격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회전롤러체(150)는, 도 1과 도 2 및 도 8 내지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샤프트(10)가 전후 방향으로 스윙시 지면에 대하여 회동되어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전후 방향의 스윙동작을 보조하는 부재로서, 복수개가 바퀴(141)의 외주연에 대하여 수직 또는 비스듬한 각도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일정하게 결합 구성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회전롤러체(150)에 의하면, 샤프트(10)가 좌우 방향으로 스윙동작하는 경우에는 지면과 접촉 및 마찰되면서 바퀴(141)가 회전되도록 하고, 샤프트(10)가 전후 방향으로 스윙동작하는 경우에는 바퀴(141)가 회전되지 않고 지면에 접촉된 해당 회전롤러체(150)들만 샤프트(10)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회전되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칼날(20)과 지면의 이격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회전롤러체(150)는, 바퀴(141)의 외주연에 바퀴(141)의 지면에 접촉된 부분이 전후로 이동되는 경우 회전되는 각도로 설치되는 것을 통하여 바퀴(141)의 회동방향과 샤프트(10)의 진행방향이 교차되더라도 바퀴(141)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결합용샤프트(131)와의 결합 구조가 마찰력에 의해 강제로 해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의 거치블록(121)과 커버블록(122)에 예초기의 샤프트(10) 단부가 결합되어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에 의해 샤프트(10)의 단부에 결합된 칼날(20)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가지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예초기를 이용한 잡초의 절단 작업이 진행된다.
이때, 작업자에 의해 예초기의 샤프트(10)가 좌우 방향으로 스윙 동작되는 경우에는, 칼날(20)의 양측부에 위치된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의 바퀴(141)가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되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칼날(20)과 지면의 이격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예초기의 샤프트(10)가 전후 방향으로 스윙 동작되는 경우에는, 샤프트(10)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가지지 않는 바퀴(141)는 회전되지 않고 바퀴(141)의 외주연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지면에 접촉된 해당 회전롤러체(150)들이 샤프트(10)의 전후 방향에 대해 회전되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칼날(20)과 지면의 이격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최소화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샤프트(10)의 좌우 방향 스윙동작 또는 전후 방향 스윙동작을 통한 제초 작업 중 특정 위치의 잡초가 조금 더 짧게 절단되어야 하는 경우, 칼날(20)의 전방 부위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야 하는 경우, 작업자가 샤프트(10)를 들어 올리면서 제1회동구조체(160-1)에 대하여 제2회동구조체(160-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외력을 가하게 되면, 제1회동구조체(160-1)가 브라켓(110)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제2회동구조체(160-2)가 제1회동구조체(160-1)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것에 의해, 칼날(20)의 전방 부위가 간편하게 현재의 작업 위치보다 낮아지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예초기의 샤프트에 보조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예초기가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조하고 자유로운 스윙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초보자도 쉽고 간편하게 예초 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초기의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을 이용한 샤프트의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 기울기를 가능하게 하여 샤프트의 결합 위치를 가변시키지 않고도 칼날의 높이가 현재 보다 낮아지도록 하여 잡초가 더 짧게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브라켓(110); 브라켓(110)에 구성되고 샤프트(10)에 비스듬한 각도로 결합되는 결합구(120); 브라켓(1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샤프트(10)의 단부에 결합된 칼날(20)의 양측부에 타단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의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샤프트(10)가 좌우 방향으로 스윙시 지면에 대하여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되어 좌우 방향의 스윙동작을 보조하는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 및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샤프트(10)가 전후 방향으로 스윙시 지면에 대하여 회동되어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전후 방향의 스윙동작을 보조하는 복수개의 회전롤러체(150)를 포함하고,
    결합구(120)는,
    샤프트(10)의 외주면 하부가 거치되는 거치블록(121); 거치블록(121)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샤프트(10)의 외주면 상부가 커버되는 커버블록(122); 커버블록(122)의 내주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커버블록(122)의 외주면에 구성된 조임나사(123)를 통하여 샤프트(10)의 외주면 상부를 가압하는 조임클램프(124); 및 커버블록(122)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거치블록(121)에 샤프트(10)가 거치된 상태에서 거치블록(121)과 커버블록(122)이 결속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결속편(125)을 포함하며,
    기울기조절부(160)는,
    브라켓(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 구성되어 브라켓(110)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제1회동체(160-1)와; 거치블록(121)의 하면에 연장 구성되고 제1회동체(160-1)에 삽입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 구성되어 제1회동체(160-1)에 대하여 좌우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제2회동체(16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구(120)와 브라켓(110) 사이에 구성되고 결합구(120)가 브라켓(110)에 대하여 전방 좌측 또는 전방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샤프트(10) 단부에 결합된 칼날(20)의 위치가 임시로 낮아지고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기울기조절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제1회동체(160-1)는,
    브라켓(110)에 회동축을 통하여 브라켓(110)의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회동블록(161);
    전후회동블록(161)의 하면에 결합되고 전후회동블록(161)이 브라켓(110)에 대하여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복원스프링(162);
    전후회동블록(161)의 상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블록(163); 및
    전후회동블록(161)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2회동체(160-2)가 회동축을 통하여 전후회동블록(161)에 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좌우회동결합부(1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2회동체(160-2)는,
    거치블록(121)의 하면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고 좌우회동결합부(165)에 회동축을 통하여 좌우회동결합부(165)에 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회동블록(166);
    거치블록(121)의 하면 좌우회동블록(166)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167); 및
    좌우회동블록(166)과 좌우회동결합부(165) 사이의 대면 부위에 구성되고 응력을 제공하는 응력제공부(1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회전롤러체(150)는,
    좌측회전체(140-1)와 우측회전체(140-2)의 바퀴(141) 외주연에 복수개가 수직 또는 비스듬한 각도 또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일정하게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좌측연장봉(130-1)과 우측연장봉(13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브라켓(110)에 회동축을 가지면서 결속되고 브라켓(110)의 결속체(130-3)에 의해 회동 또는 회동 불가능한 상태로 브라켓(1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KR1020200050933A 2020-04-27 2020-04-27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KR102215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33A KR102215538B1 (ko) 2020-04-27 2020-04-27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33A KR102215538B1 (ko) 2020-04-27 2020-04-27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538B1 true KR102215538B1 (ko) 2021-02-15

Family

ID=7456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933A KR102215538B1 (ko) 2020-04-27 2020-04-27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778A (ko) * 2020-12-16 2022-06-24 진성정밀(주)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013U (ko) * 1990-02-07 1991-10-25
KR20000006747A (ko) 1999-10-29 2000-02-07 이주혁 휴대용 예취기 바퀴
KR200256445Y1 (ko) 2001-08-25 2001-12-24 박제원 예취기
JP3103013U (ja) * 2004-01-26 2004-07-22 峰夫 大角 刈払い機における草刈り刃の高さ維持装置
KR20050028231A (ko) * 2003-09-18 2005-03-22 조재천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JP2005343277A (ja) * 2004-06-02 2005-12-15 Kanto Auto Works Ltd ローラ付き車輪
JP3141500U (ja) * 2008-02-22 2008-05-08 秀之 萩原 草刈機用回転刃の高さ保持部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3013U (ko) * 1990-02-07 1991-10-25
KR20000006747A (ko) 1999-10-29 2000-02-07 이주혁 휴대용 예취기 바퀴
KR200256445Y1 (ko) 2001-08-25 2001-12-24 박제원 예취기
KR20050028231A (ko) * 2003-09-18 2005-03-22 조재천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JP3103013U (ja) * 2004-01-26 2004-07-22 峰夫 大角 刈払い機における草刈り刃の高さ維持装置
JP2005343277A (ja) * 2004-06-02 2005-12-15 Kanto Auto Works Ltd ローラ付き車輪
JP3141500U (ja) * 2008-02-22 2008-05-08 秀之 萩原 草刈機用回転刃の高さ保持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778A (ko) * 2020-12-16 2022-06-24 진성정밀(주)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KR102528567B1 (ko) 2020-12-16 2023-05-08 진성정밀(주) 밴딩 헤드부를 가지는 잡초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78188A1 (en) Stump grinder with laterally offset grinding arm operated by single joystick
US4829755A (en) Trimmer wheels
EP2050327B1 (en) Bush cutter
KR102107169B1 (ko)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WO1988008663A1 (en) Grass cutter
KR102215538B1 (ko)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JPH0660315U (ja) 刈払機の操作ハンドル
JP2012034631A (ja) 建設機械の草刈用アタッチメント
KR102589222B1 (ko) 예초기용 스윙보조장치
JPS6013322Y2 (ja) 携帯式動力刈払機
KR20050028231A (ko) 예초기의 회전칼날 지지용 거치대
KR20080029075A (ko) 예초기용 보조 거치대
JP4388015B2 (ja) 芝刈機
JP3907323B2 (ja) 刈払機
US2686364A (en) Weighted grass edger
JP3016184B2 (ja) 二輪式両面裾刈機
JP3322130B2 (ja) 刈高均等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204491B2 (ja) 機体の地上高調節装置
AU608434B2 (en) Grader arrangement
JPH07115824A (ja) 刈り払い機に於ける角度調節用ジョイント
JP3035398U (ja) 耕耘機におけるバランス制御装置
JPH0731245A (ja) 草刈機
CA3074078A1 (fr) Machine agricole et procede de pliage d'une machine agricole
JP2001045832A (ja) 歩行型草刈機
JPH0423914A (ja) 草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