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701B1 -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 Google Patents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701B1
KR102526701B1 KR1020200066367A KR20200066367A KR102526701B1 KR 102526701 B1 KR102526701 B1 KR 102526701B1 KR 1020200066367 A KR1020200066367 A KR 1020200066367A KR 20200066367 A KR20200066367 A KR 20200066367A KR 102526701 B1 KR102526701 B1 KR 102526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 assembly
flexible part
shape
med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9389A (ko
Inventor
서정화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66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70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9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바늘과, 외부바늘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바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외부바늘은, 형상이 고정 유지되는 고정부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유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직선 또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의료치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NEEDLE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AND MED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바늘의 형태가 직선형태 또는 절곡된 형태로 선택적으로 변경됨으로써, 천자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체내 조직에 전극 등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용이한 의료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삽입용 주사는 직선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주사침(needle)이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는 목표한 부분에 최단 거리로, 정확하게 도달하여 천자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한편, 최근에는 비수술적인 방법을 이용한 치료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예로 인체 내에 전극을 삽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소적 열치료 또는 손상된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기능적 회복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가 있다.
이러한 인체 삽입 전극을 이용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9786호는,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신호 발생기,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전극측 위치센서가 봉침의 내부에 구비된 전극침 및 전극침에 연결되고,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손잡이측 위치센서가 내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인체 삽입 전극 위치 감지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주사침은, 전극 삽입 시 직선의 형태를 갖고 있는 만큼 목표한 부분에 최단거리로 정확하게 도달하여 천자를 하는 목적으로는 효과적이나, 신경, 혈관, 근육 등의 목표한 부분과 인접한 상태에서 전극을 삽입하기 위하여 목표한 부분에 대하여 그 각도가 완만해지거나 평행을 이루어여 하는 경우에는 제한이 있어 기존의 직선형태의 주사침으로는 삽입에 제한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9786호
본 발명은, 바늘의 형태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직선 또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게 하여, 직선형태로서 목표로 하는 부분에 대하여 최단거리로 정확하게 도달함은 물론 전극 등의 삽입을 위하여 각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는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직선형태의 주사침과 비교하여 의료치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외부바늘과; 외부바늘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바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외부바늘은, 형상이 고정 유지되고 내부바늘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제1삽입홀과 연통되도록 고정부와 결합되고, 내부바늘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바늘의 삽입 또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변형 되고 변형 후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유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를 제공한다.
외부바늘은, 선단부에 고정부가 위치하고, 고정부의 후단에 유연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바늘은, 유연부의 양측 단부에 고정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연부의 길이는, 고정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바늘은, 유연부가 설정 각도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선단부는 유연부의 절곡방향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유연부는, 절곡되게 형성되어 고정부와 접합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연부는, 절곡되게 굽힘 성형되어 고정부와 결합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연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형태가 고정되는 금속재질 또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술한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료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는, 바늘의 형태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직선 또는 절곡된 형태가 되게 함으로써, 천자용으로 목표로 하는 부분에 대하여 최단거리로 정확하게 도달함은 물론 전극의 삽입을 위하여 각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는 절곡되도록 하여 효과적이고 용이한 의료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의 이용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등 병원 관계자뿐 아니라 의료장치를 다루는 응급구조사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대상체"는 진단을 위한 의학영상 촬영이 필요한 환자뿐 아니라 수의학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기 위해 동물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목, 흉부, 복부 등의 신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이하 '바늘 조립체'라 한다)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형태를 직선 또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어, 최단거리로 정확하게 천자를 해야 되는 경우에는 직선형태로 그 형태를 형성하고, 목표부분에서 경사지거나 평행하게 인접해야하는 경우에는 절곡된 형태로 그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의료치료를 보다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늘 조립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늘 조립체는, 그 형태가 변형되는 외부바늘(100)과, 외부바늘(100)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바늘(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내부바늘(200)에 대하여 살펴보면, 내부바늘(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로 이루어져 그 형태가 유지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바늘(200)은, 외부바늘(100)에 삽입되어 절곡된 외부바늘(100)의 형태를 직선형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내부바늘(200)은, 외부바늘(10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공지의 스타일렛(stylet)이 적용될 수 있다.
내부바늘(200)은, 내부에 관통홀(201)이 형성되어, 관통홀(201)을 통하여 전극, 탐침, 약액 등을 이동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바늘(1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외부바늘(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그 형태를 직선형태 또는 절곡된 형태로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를 위해, 외부바늘(100)은, 고정부(110)와, 유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그 형상이 고정 유지되고, 내부바늘(200)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바늘(200)이 직선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대응하여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연부(120)는, 제1삽입홀(111)과 연통되도록, 단부가 고정부(110)의 단부와 결합되고, 내부바늘(200)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연부(12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그 형태가 변형됨은 물론 변형 후 원래 형태로 탄성 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이에, 유연부(120)는, 내부바늘(200)이 삽입되는 경우 내부바늘(200)의 형태에 따라 그 형태가 변경되며, 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탄성변형 될 수 있다.
한편, 외부바늘(100)은, 신경, 혈관, 근육 등과 같은 조직(1, 도 2참조)과 처음으로 대면하는 선단부에 고정부(110)가 위치하여 천자가 용이하게 하고, 고정부(110)의 후단에 유연부(120)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바늘(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부(120)의 양측 단부에 고정부(110)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유연부(120)가 외부바늘(100)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외부바늘(100)은, 전체 외부바늘(100)의 길이와 절곡부위 등을 고려하여 유연부(12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고정부(110)와 유연부(120)의 각 길이 또한 치료목적에 맞게 설정 가능하다.
도면에서, 유연부(120)의 길이는, 고정부(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치료목적, 치료대상 등에 따라 그 길이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외부바늘(100)은, 조직(1) 내 천자가 용이하도록 선단부가 예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바늘(100)은, 유연부(120)가 설정 각도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때, 선단부는 유연부(120)의 절곡방향에 대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부바늘(100)에서 길이가 긴 측면이 목표부분에 대면하도록 함으로써 전극삽입 시 전극의 하부를 가이드할 수 있기 때문이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선단부의 경사각도는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연부(120)는, 미리 정해진 각도에 따라 절곡형성되며, 이때의 절곡 각도는 천자되는 조직(1)의 특성과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외부바늘(100)의 소재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고정부(110)는, 변형이 되지 않고 형태가 고정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이러한 재질의 예로 금속재질 또는 비금속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등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반면, 유연부(120)는 절곡이 가능하고, 절곡변형 후 원래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연부(120)는, 이러한 재질의 예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령 고정부(110)가 금속재질인 경우 고정부(110)와 유연부(120)는 공지의 금속과 플라스틱 접합공정에 의하여 단부끼리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유연부(12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연부(120)는 이러한 소재의 예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이렇게 유연부(120)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유연부(120)는, 절곡되게 굽힘 성형되며 고정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연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절곡각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후술되는 유연부(120) 후방의 고정부(110)에 대한 각도변경이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절곡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지만, 이 외 설정조건에 따라 유연부(120)의 절곡 각도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로 유연부(120)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직구성 및 삽입과정에서 최적의 각도로 그 절곡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가령, 유연부(120)는, 절곡각도를 증가시켜 보다 절곡된 형태를 유지됨은 물론, 절곡각도를 감소시켜 보다 펴진 형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형상기억합금은, 공지의 소재로서, 온도 또는 인가되는 전류와 같은 설정조건에 따라 그 형태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형상기억합금의 조건을 변경하여 그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바늘 조립체는, 각도변경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유연부(120)의 절곡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각도변경수단은, 유연부(120)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와이어의 밀고 당기면 유연부(120)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늘 조립체를 사용하는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바늘 조립체를 조직(1) 내로 천자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조립체는, 내부바늘(200)이 외부바늘(100)의 선단부까지 삽입되어 있다.
이러면, 바늘 조립체는, 유연부(120)가 내부바늘(200)의 형태에 의하여 직선 형태로 변형되고, 이에 따라 바늘 조립체 전체가 직선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바늘 조립체는, 직선형태로 되어 있는 만큼 목표부위에 최단거리로 신속하게 천자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바늘 조립체는 이렇게 직선 형태인 상태에서 목표 부근에 인접하게 되면, 절곡형태가 필요해 진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조립체는, 내부바늘(200)을 후퇴시킨다. 그러면, 바늘 조립체는, 외부바늘(100)의 유연부(120)가 원래 상태로 탄성복원되면서 절곡형상을 갖게 된다. 이에, 바늘 조립체는, 조직(1) 내에서 절곡된 상태에서 절곡방향을 따라 완만한 각도로 전진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유연부(1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고정부(110)의 각도 조작에 따라 유연부(120)의 절곡각도를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바늘 조립체는, 사용자가 유연부(120) 후방의 고정부(110)의 각도를 절곡방향으로 더 절곡시킨 후 삽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절곡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에 따라, 바늘 조립체가 목표 부분에 도달하게 되면, 전극, 탐침 등을 목표 부분에 인접하게 길이에 따라 용이하게 삽입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늘 조립체는, 전극삽입이 필요한 신경전도기구 등 다양한 의료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조직 100 : 외부바늘
110 : 고정부 111 : 제1삽입홀
120 : 유연부 121 : 제2삽입홀
200 : 내부바늘 201 : 관통홀

Claims (10)

  1. 외부바늘과;
    상기 외부바늘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부바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부바늘은,
    형상이 고정 유지되고 상기 내부바늘이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제1삽입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내부바늘이 삽입되는 제2삽입홀이 형성되며, 설정 각도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바늘의 삽입 또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변형 되고 변형 후 상기 내부바늘이 후퇴하거나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설정 각도로 절곡되는 유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부바늘은,
    직선형태로 마련되어 절곡된 외부바늘의 형태를 직선형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외부바늘의 선단부는,
    상기 유연부의 절곡방향에 대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바늘은,
    선단부에 상기 고정부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 상기 유연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바늘은,
    상기 유연부의 양측 단부에 상기 고정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의 길이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와 접합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절곡되게 굽힘 성형되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스프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형태가 고정되는 금속재질 또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10. 제 1 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료기구.
KR1020200066367A 2020-06-02 2020-06-02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KR102526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367A KR102526701B1 (ko) 2020-06-02 2020-06-02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367A KR102526701B1 (ko) 2020-06-02 2020-06-02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89A KR20210149389A (ko) 2021-12-09
KR102526701B1 true KR102526701B1 (ko) 2023-04-27

Family

ID=7886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367A KR102526701B1 (ko) 2020-06-02 2020-06-02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7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9087A (ja) * 2011-02-28 2012-09-20 Terumo Corp 穿刺針
JP2016505299A (ja) 2013-03-13 2016-02-25 スパイレ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ディー.ビー.エイ.オリンパス・レスピラトリー・アメリカ 治療物質の最小侵襲送達用の装置
US20190239924A1 (en) 2006-09-29 2019-08-08 Baylis Medical Company Inc. Transseptal needle
WO2020047233A1 (en) * 2018-08-29 2020-03-05 Molmenti Ernesto Knot-tying device for surgical sutur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0571B2 (ja) * 1992-07-28 1998-11-0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套管針
KR200285727Y1 (ko) * 1999-03-04 2002-08-16 주식회사 스텐텍 의료용 스텐트 삽입장치
KR101549786B1 (ko) 2014-05-28 2015-09-0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인체 삽입 전극 위치 감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39924A1 (en) 2006-09-29 2019-08-08 Baylis Medical Company Inc. Transseptal needle
JP2012179087A (ja) * 2011-02-28 2012-09-20 Terumo Corp 穿刺針
JP2016505299A (ja) 2013-03-13 2016-02-25 スパイレ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ディー.ビー.エイ.オリンパス・レスピラトリー・アメリカ 治療物質の最小侵襲送達用の装置
WO2020047233A1 (en) * 2018-08-29 2020-03-05 Molmenti Ernesto Knot-tying device for surgical su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389A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3069B2 (en) Steerable stylet and manipulative handle assembly
JP2540021B2 (ja) カテ―テル導入器具
US8029495B2 (en) Intrathecal catheter having a stylet with a curved tip and method of use
US11154362B2 (en) Customized surgical guide and customized surgical guide generating method and generating program
JP2540020B2 (ja) カテ―テル導入器具
US7509172B2 (en) Stabilizing guide wire apparatus for use with implantable device
WO2014150666A1 (en) Subcutaneous delivery tool
JP2008522655A (ja) 皮下電極挿入装置および方法
US8267949B2 (en) Flexible device for introducing a medical apparatus into a body
JP2010501232A (ja) 神経外科用装置
US20170325725A1 (en) Vivo sensing and infusion devices
EP3058969A1 (en) Injection device for endoscopy
CN104758017B (zh) 用于利用身体用线来进行缝合或插入的工具
EP1482852B1 (en) Penile prosthesis implant insertion tool
US20230077743A1 (en) Precision steerable and angled medication delivery system
JP6618933B2 (ja) オーバ・ザ・ニードル式伸張可能カテーテル
KR102526701B1 (ko) 의료기기용 바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JP5394951B2 (ja) 穿刺針ガイド器具
CN111741788A (zh) 导丝及医疗器械
US7927289B2 (en) Catheter capable of being equipped with micro biopsy tool
CN113194858A (zh) 电外科设备
US11446112B2 (en) Injection site targeting device
US20190216371A1 (en) In vivo sensing and infusion devices
Rau et al. Toward steerable electrode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current research.
CN111493997A (zh) 一种辅助pfn手术中克氏针置入的导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