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646B1 -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 Google Patents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646B1
KR102526646B1 KR1020220086624A KR20220086624A KR102526646B1 KR 102526646 B1 KR102526646 B1 KR 102526646B1 KR 1020220086624 A KR1020220086624 A KR 1020220086624A KR 20220086624 A KR20220086624 A KR 20220086624A KR 102526646 B1 KR102526646 B1 KR 102526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ing
soft
cavity
soft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125A (ko
Inventor
현태섭
Original Assignee
현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태섭 filed Critical 현태섭
Priority to KR1020220086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64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29C33/3857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by making impressions of one or more parts of models, e.g. shaped articles and including possible subsequent assembly of the parts
    • B29C33/3892Preparation of the model, e.g. by 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40Plastics, e.g. foam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58Applying the releas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4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29C39/32Moulds or cores with joints or the like for making the mould impervi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6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등의 연질 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성형 몰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빠른 시간 안에 실험이나 샘플, 연구 목적으로 필요한 실사용 가능 수준의 연질 성형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에 관한 것으로,
상부 일측에 주입구(110)가 구비되고,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을 주입할 수 있는 캐비티(101)가 중심단에 구비되고, 내주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결합요소 삽입공(120)이 서로 이격 구비된 몰드부(100)와, 상기 몰드부(100)가 대응한 형상의 캐비티(101`)가 구비된 서로 다른 몰드부(100)를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몰드 유닛(10)을 형성하는 연질 성형물의 성형틀을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101)의 외주면에 요철부(130)가 이격 구비되고, 상기 몰드부(100)의 외주면 선단부에는 챔퍼(150)가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형물 3D 파일 형성 단계(S100), 캐비티 생성 단계(S110), 몰드 요소 조성 단계(S120), CAM 데이터 변환 단계(S130), 몰드 제작 단계(S140), 몰드 유닛 생성 단계(S150), 연질 성형물 배합 단계(S160), 액상 연질 성형물 삽입 단계(S170), 벌지 삽입 단계(S180), 몰드부 분리 단계(S190)를 통해 연질 성형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빠른 개발 시일 안에 실험이나 연구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실사용 샘플을 제작할 수 있고, 전문적인 설비 없이 복잡한 형상의 연질 성형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몰드 틀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The Soft molding Mold}
본 발명은 실리콘 등의 연질 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성형틀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빠른 시간 안에 실험이나 샘플, 연구 목적으로 필요한 실사용 가능 수준의 연질 성형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터가 대중화되면서 폴리머 재질로 제조되는 각종 물품들, 지그 등의 여러 가지 물건들의 개발 시간이 감축되고있다. 또한, 그 개발의 성과 역시 상향 평준화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연구나 디자인, 개발 기반의 기업들이 국내외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3D 프린터는 다양한 재질의 사용이 가능하나, 대표적으로는 ABS, PLA 등 경질 폴리머를 대중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연질의 재료로는 PP, TPU 와 같은 재질들이 사용되어지고 있고 최근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 역시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실리콘의 경우 합성과 경화 방법에 따라 축합형과 부가형으로 나뉘는데, 특히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서로 성질이 다른 두 액상의 실리콘을 배합하여 실리콘을 경화시키는 방식인 부가형 방식은 유해 물질 등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비누 몰드, 생리컵, 얼음틀, 로봇 등 그 자체가 사람의 신체에 접촉되어야 하거나 사람의 피부나 장기 등으로 접촉하거나 유입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결과물을 만드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므로 해당 재질로 만들어 진 물건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 편, 3D 프린터를 이용한 제품의 생산은 통념적으로 시제품의 제작에만 국한되어 있고 실제 제품처럼 활용 가능한 수준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동안 제품을 조형해야 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은 어떠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설계적인 부분에 하자가 있거나 개량해야 할 점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도면으로써의 목적이나 디스플레이 모형이나 조형물 등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반대로 이러한 특징 때문에 제품의 편집이나 개량이 빨리 이루어질 수 있고, 실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제품의 틀로 활용함으로써 제품을 만들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앞서 상술한 실리콘을 포함, 비슷한 물성나 특성을 지닌 액상 연질 성형물을 넣어 생산할 수 있는 몰드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한 편, 액상 실리콘을 활용하여 특정한 제품을 복수개 만들어 낼 수 있는 몰드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2038326호로 게시된 립스틱 실리콘 몰드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립스틱 실리콘 몰드의 제조방법을 참고할 수 있다.
당해 문헌은 립스틱 실리콘 몰드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립스틱 실리콘 몰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상하로 배치된 2단 구조로 구성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상부금형에 복수 개의 성형 코어핀을 일렬로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하부금형에 복수 개의 성형 캐비티를 일렬로 형성하여 종래의 4단 금형에 비해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 편, 상술한 바와 같은 실리콘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실리콘을 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발생으로 인한 완성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을 넣은 몰드를 진공 주형기에 넣고 그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실리콘이 빠른 시간 안에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주형' 기법으로 가공되는데, 상술한 진공 주형 기법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 실용 공보 제 20-0288769호로 게시된 진공주형기의 몰드를 참고할 수 있다.
종래의 진공 주형 기법을 통해 실리콘 제품을 제작하게 되면 실리콘의 탈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한 편 기포에 의해 주형물 안에 몰드 안에 있는 실리콘이 모두 충진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종래의 기법은 그 단가가 비싸고 진공 주형기라고 하는 설비가 갖추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작을 희망하는 수요자들이 많은 비용을 부담하고 제품을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 10-2038326호. 2.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 20-0288769호. 3.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 20-0376230호. 4. 중국 공개 특허공보 제 CN 107650312A호.
본 원 발명의 구성 및 그 작용, 결합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는 빠른 개발 시일 안에 실험이나 연구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실사용 샘플을 제작할 수 있고,
둘째는 전문적인 설비 없이 복잡한 형상의 연질 성형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몰드 틀을 얻을 수 있고,
셋째는 반복 사용을 통해 복수개의 성형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연질 성형물의 성형 캐비티를 이용한 연질 성형품 성형 방법을 얻고자 하기 위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원 발명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을 주입하여 연질 성형제품을 만들 수 있는 캐비티(101)를 중심단에 구비한 몰드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몰드부(100)의 상부 일측에는 주입구(110)와 단일 혹은 복수개의 오버 플로우(200)가 더 구비되는 한 편, 상기 몰드부(100)의 내주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결합요소 삽입공(120)이 서로 이격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101)의 외주면에 이격하여 요철부(13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몰드를 탈거할 때 지렛대(L) 등을 삽입하기 좋도록 상기 몰드부(100)의 외주면 선단부에는 챔퍼(150)가 더 구비된다.
이상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 진 몰드부(100)는 대응한 형상의 캐비티(101`)가 있는 대응한 몰드부(100`)를 결합함으로써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몰드 유닛(10)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몰드 유닛(10)을 각각의 몰드부(100)(100`)로 분리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 성형물(F1)이 경화되어 성형 제품(F2)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때, 요철부(130)는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이 캐비티(10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경화가 이루어져서 제품의 성형이 완료되었을 때, 연질 성형물(F1)의 외주면에 몰드 슬러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몰드 슬러지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떼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임과도 동시에 각각의 몰드부(100)(100`)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면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비티(101)를 정렬시켜 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편, 상기 주입구(110)가 구비된 몰드부(100)의 이격된 상부 일측에는 단일 혹은 복수개의 오버 플로우(2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101)의 상부 일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버 플로우(200)는 성형체가 캐비티(101) 안에 모두 삽입되어 액상 상태의 연질 성형물(F1)이 충진되었을 때 남게 되는 일부의 성형체가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시공자가 보았을 때 상기 액상 상태의 연질 성형물(F1)이 모두 충진되었음을 알 수 있는 요소이기도하며, 성형체가 캐비티(101) 안에 충진될 때 캐비티(101)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는 통기구의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역할을 지닌 플로우는 상기 캐비티(101) 안에 성형체가 끝까지 주입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는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 사용되는 플로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몰드부(100)의 하단부 일측에는 단일 혹은 복수개의 차징 플로우(21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101)의 하부 일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성형물이 캐비티(101)의 최하단부까지 충진되었을 경우 시공자에게 이를 알려주기 위해 상기 차징 플로우(210)로 일부의 성형체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원 발명이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그 작용, 결합이 적용된 본 원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는 빠른 개발 시일 안에 실험이나 연구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실사용 샘플을 제작할 수 있고,
둘째는 전문적인 설비 없이 복잡한 형상의 연질 성형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몰드 틀을 얻을 수 있고,
셋째는 반복 사용을 통해 복수개의 성형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연질 성형물의 성형 캐비티를 이용한 연질 성형 제품을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원 발명의 형상과 구성의 결합에 있어서, 본 원 발명을 위한 연질 성형물(F1)의 성형 캐비티 몰드를 이루는 기본적인 구성과의 결합을 도시한 분해도.
도 1a는 본 원 발명의 바림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몰드부(100)(100`)를 결합하여 연질 성형물의 성형 준비를 마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원 발명의 바림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몰드부(100)의 외주면 일측단에 분리용 홈(109)이 더 구비된 형상을 도시한 부분 형상도.
도 2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면의 몰드부(100)를 제거하여 성형 제품(F2)이 사출된 형상을 도시하는 실시도.
도 2a는 본 원 발명의 형상과 구성의 결합에 있어서, 결합요소 삽입공(120)의 형상과 그 구성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원 발명의 형상과 구성의 결합에 있어서, 주입구(110)와 오버 플로우(200)의 형상과 그 구성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a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구(110)의 벌지(115)에 인젝터를 끼워서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을 삽입하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4는 본 원 발명의 형상과 구성의 결합에 있어서, 몰드부(100`)에 형성된 차징 플로우(210)의 형상과 그 구성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a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징 플로우(210)로부터 연질 성형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부(290)를 설치하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4b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개부(290)의 형상과 구성간의 결합을 도시한 부분도.
도 5는 본 원 발명의 형상과 구성의 결합에 있어서, 가지 플로우(221)가 가지부(220)와 연결되어 형성된 형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a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지 플로우(221)로부터 연질 성형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부(290)를 설치하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5b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지 플로우(221)가 형성되지 않은 가지부(220)에 연질 성형물(F1)이 충진되어 기포(U)가 발생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6은 본 원 발명의 형상과 구성의 결합에 있어서, 블레이드 단턱(131)과 블레이드 홈(132), 격벽(135)의 형성과 그 결합 예시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몰드부(100)의 외주면에 오버 행(105)을 형성하여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7a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버 행(105)이 형성되지 않은 몰드부(100)를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때 서포트(S)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도.
도 7b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버 행(105)이 형성되지 않은 몰드부(100)를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할 때 서포트(S)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실시도.
도 8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질 성형물(F1)을 성형할 수 있는 몰드 유닛(10)을 이용한 연질 성형품 성형 방법의 전체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형성된 3D 파일 형성물을 통해 캐비티(101)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실시도.
도 9a는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B1)을 본체로 3D파일을 통해 캐비티(101)를 형성하는 실시 예시를 도시한 실시도.
도 10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질 성형물(F1)의 주입이 완료된 몰드 유닛의 주입구(110)에 형성된 벌지(115)에 연질 성형물(F1)을 충진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11은 본 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몰드 유닛(10)을 분리한 후 몰드부(100)를 떼어내어 성형 제품(F2)을 꺼내는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과 의미는 도면을 참고로 한 실시예에서의 기능과 작용 및 구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이며, 사용자 및 실시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원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 그 정의에 따르지만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당업자에게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원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에는 일부 부호가 생략 도시될 수 있으나 이는 통상적으로 본 원 발명을 이루기 위해 하기 기술하는 구성 및 작용 실시예를 근거로 부속의 위치 등을 본 원 발명의 실시범위 안에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설명하는 내용과 상응하는 도면을 참고 첨부함에 있어서, 설명하고자 하는 특정한 문단에 해당하는 내용의 간결하고 명확한 전달을 위하여 도면에 기재된 각각의 부호는 복수개의 요소로 구성된 하나의 집합을 통틀어서 설명하였으며, 이 중 특히 하기에 명시할 몰드 유닛(10), 요철부(130), 몰드부(100), 결합요소 삽입공(120), 주입구(110), 마개부(290)는 일부의 도면에서 여러개의 부속을 하나의 큰 구성인 것을 축약하여 설명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본 원 발명에 의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을 주입하여 연질 성형제품을 만들 수 있는 캐비티(101)를 중심단에 구비한 몰드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몰드부(100)의 상부 일측에는 주입구(110)와 단일 혹은 복수개의 오버 플로우(200)가 더 구비되는 한 편, 상기 몰드부(100)의 내주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결합요소 삽입공(120)이 서로 이격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101)의 외주면에 이격하여 요철부(13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몰드를 탈거할 때 지렛대(L) 등을 삽입하기 좋도록 상기 몰드부(100)의 외주면 선단부에는 챔퍼(150)가 더 구비된다.
이상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 진 몰드부(100)는 대응한 형상의 캐비티(101`)가 있는 대응한 몰드부(100`)를 결합함으로써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몰드 유닛(10)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몰드 유닛(10)을 각각의 몰드부(100, 100`)로 분리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 성형물(F1)이 경화되어 성형 제품(F2)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삭제
이때, 요철부(130)는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이 캐비티(10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경화가 이루어져서 제품의 성형이 완료되었을 때, 연질 성형물(F1)의 외주면에 몰드 슬러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몰드 슬러지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떼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임과도 동시에 각각의 몰드부(100, 100`)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면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비티(101)를 정렬시켜 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부(100)의 내주면 일측단에는 분리용 홈(109)이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분리용 홈(109)은 지렛대(L) 등을 넣음으로써 상기 몰드부(100,100`)를 보다 탈거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몰드부(100,100`)는 서로 요철부(130)를 통해 결합면을 맞물려 결합시킨 후 결합요소 삽입공(120)을 통해 나사나 리벳 등의 기계 결합 요소를 통해 그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요소 삽입공(12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은 육각형 통공(121)이 구비되어 있는 형태로, 상기 육각형 통공(121)의 선단과 대응하는 쪽의 선단에는 상기 육각형 통공(12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형성하는 원통형 통공(122)이 구비된다. 육각형 통공(121)은 너트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으로써, 상기 결합요소 삽입공(120)의 선단에 너트를 삽입한 후, 반대쪽 몰드부(100`)의 결합요소 삽입공(120`)에는 볼트를 삽입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원통형 통공(122)은 그 형성된 거리만큼 볼트와 너트가 서로 결합요소 삽입공(120)에 삽입된 상태로 볼트와 너트가 결합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볼트와 너트의 결합 간격은 상기 결합요소 삽입공(120)에서 원통형의 통공 길이를 설계 단계에서 잘 설정한다면 반대쪽 몰드부(100`)의 결합요소 삽입공(120`)에 삽입된 볼트는 선단 끝 부분만 너트에 결합시키더라도 몰드부(100,100`)가 결합을 유지하여 몰드 유닛(10)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요소로 이루어져 결합된 몰드 유닛(10)은 상단에 구비된 주입구(110)를 통해 액상 상태의 연질 성형물(F1)을 형성하는 성형체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성형체를 삽입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110)의 상부에는 벌지(115)가 더 구비되고, 상기 벌지(115)의 양쪽 측단에는 노루발(119)이 더 구비된다. 상기 노루발(119)에는 시공을 수행하는 시공자가 제품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인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요소이기도 하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지(115)에 인젝터(I)를 끼워 성형체를 삽입할 때 인젝터(I)와의 결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110)가 탈거되지 않도록 손가락으로 걸어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요소인 것이다.
한 편, 상기 주입구(110)가 구비된 몰드부(100)의 이격된 상부 일측에는 단일 혹은 복수개의 오버 플로우(2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101)의 상부 일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버 플로우(200)는 성형체가 캐비티(101) 안에 모두 삽입되어 액상 상태의 연질 성형물(F1)이 충진되었을 때 남게 되는 일부의 성형체가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시공자가 보았을 때 상기 액상 상태의 연질 성형물(F1)이 모두 충진되었음을 알 수 있는 요소이기도하며, 성형체가 캐비티(101) 안에 충진될 때 캐비티(101)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는 통기구의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역할을 지닌 플로우는 상기 캐비티(101) 안에 성형체가 끝까지 주입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는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 사용되는 플로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며, 도 4에 도시된 몰드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몰드부(100)와 대응되는 몰드부(100`)이다. 상기 몰드부(100`)의 하단부 일측에는 단일 혹은 복수개의 차징 플로우(21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101)의 하부 일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성형물이 캐비티(101`)의 최하단부까지 충진되었을 경우 시공자에게 이를 알려주기 위해 상기 차징 플로우(210)로 일부의 성형체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 편, 차징 플로우(210)를 통해 성형체가 유출됨으로써 액상 상태의 연질 성형물(F1)에 비 성형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징 플로우(210)의 선단 일측에는 상기 차징 플로우(21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마개 삽입공(211)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개 삽입공(211)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290)를 끼우도록 함으로써 상기 차징 플로우(210)의 선단을 막을 수 있다.
한 편,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차징 플로우(210)는 한 쪽 몰드부(100`)에만 형성하거나 혹은 반대쪽 몰드부(100)에도 함께 형성될 수도 있게 해야 한다.
상기 마개부(29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끝에는 플로우 마개(291)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우 마개(291)가 구비된 마개부(290)의 전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끼움용 돌출(292)이 더 구비된다. 상기 끼움용 돌출(292)은 상기 마개 삽입공(211)의 내주면과 인접하여 상기 플로우 마개(291)가 성형체의 유출로 인해 발생하는 유체압으로부터 차징 플로우(210)의 전면을 막고 있는 상태를 잘 결속 유지 시켜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 편, 상기 플로우 마개(291)가 구비된 마개부(290)의 후면에는 그립(295)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는 시공자가 마개부(290)를 잘 잡을 수 있도록 구비한 요소로써, 상기 차징 플로우(210)를 통해 성형체가 캐비티(101)의 끝까지 삽입되었음을 확인한 후 마개부(290)를 통해 상기 차징 플로우(210)를 손 쉽게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오버 플로우(200)와 차징 플로우(210)는 성형체가 캐비티(101) 안에 모두 삽입되어 연질 성형물(F1)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려줄 수 있는 수단으로써 쓰이는 실시 예시와 구성간의 결합을 이루는 한 편, 특정한 부위에 성형체가 모두 삽입되었을 때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상기 캐비티(101)에서, 본래 성형이 이루어져야 할 캐비티(101)의 본체로부터 택일 특정된 일측면 중 단일 혹은 복수개가 뻗어 나와서 그 끝이 단독적으로 상기 캐비티(101)의 상부측을 뻗어 올라가는 형태의 가지부(220)가 더 형성되었을 경우 상기 가지부(220)에는 액상의 연질 성형물(F1)가 상기 가지부(220)의 최상단까지 끝까지 뻗어서 충진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지부(220)의 최상단에 잔류되어 있는 기포(U)에 의해 비 성형면이 형성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기포(U)의 형성으로 인한 연질 성형물(F1)에 비 성형면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편, 상기 가지부(220)의 끝까지 액상의 연질 성형물(F1)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지부(220)가 구비된 몰드부(100)의 외측 일부에 상기 가지부(220)와 연결되는 가지 플로우(221)가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 편, 상기 가지 플로우(221)도 가지부(220)에 성형체가 모두 충진되어 연질 성형물(F1)를 형성한 후 이를 막도록 하여 필요 이상의 성형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부(290)를 통해 상기 가지 플로우(221)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가지 플로우(221)의 선단에 마개 삽입공(211`)을 더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상기 요철부(130)의 구성과 형상 및 그 결합에 의한 상세 요소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경화가 완료된 연질 성형물(F1)는 필연적으로 몰드부(100)의 결합과 탈거로 인해 상기 연질 성형물(F1)의 외주면에는 파팅 라인이 발생하는데, 상기 파팅 라인의 외주면에 몰드 슬러지가 형성되어 추가적인 가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몰드부(100)의 캐비티(101)의 외주면에 이격하여 구비된 요철부(130)는 블레이드 단턱(131) 혹은 블레이드 홈(132)중 하나를 택일 선택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캐비티(101)가 형성된 몰드부(100)와 대응되어 짝을 이루는 몰드부(100`)에는 상기 몰드부(100)의 요철부(130)에서 택일 선택 형성된 블레이드 단턱(131) 혹은 블레이드 홈(132)과 대응을 이루는 것으로 형성된 요철부(130`)가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몰드부(100,100`)가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원활히 포개어 질 수 있도록 한다.
한 편, 몰드부(100)를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였을 경우, 통상적인 3D 프린터는 조형 구경이 0.4mm 인 노즐을 사용하였을 시 0.05mm 내지 0.3mm의 출력 공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따라서 이를 위해 원활한 결합을 위해 어느 정도 공차를 두고 블레이드 단턱(131)과 블레이드 홈(132)을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단차로 인해 블레이드 단턱(131)에 비해 비교적 큰 크기로 형성되는 블레이드 홈(132)은 상기 캐비티(101)로 향하는 블레이드 홈(132)의 내주면 일측단과 상기 캐비티(101)의 외주면의 이격을 이루는 간격에 격벽(135)이 형성하고, 상기 격벽(135)은 가급적이면 0.3mm 내지 0.7mm 중 택일한 치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한정함으로써 조밀하고 깨끗한 파팅라인이 나타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단차를 두고 블레이드 단턱(131)과 블레이드 홈(132)을 형성하게 될 경우, 단차로 인한 틈으로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의 일부가 들어가서 이후 경화된 연질 성형물(F1)의 외주면에 몰드 슬러지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 단턱(131)을 상 · 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타원형으로 설계하여 블레이드 홈(132)의 상 · 하 인접면은 단차를 주지 않는 방법으로 상기 블레이드 단턱(131)의 최상단이 블레이드 홈(132)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질 성형물(F1)의 외주면에 몰드 슬러지가 형성되지 않게 하거나 쉽게 떼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그 결합으로 이루어 진 몰드부(100)는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였을 경우 출력을 통한 제작 시간을 보다 더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부(100)의 일부 혹은 전체의 외주면 모서리부에 일정 거리만큼 오버 행(105)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일정 거리'는 상기 오버 행(105)을 형성할 때 몰드부(100)가 캐비티(101)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외벽 두께를 간섭하지 않는 정도까지의 거리이면 족하다.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함에 있어서 오버 행(over overhang)이란, 3D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였을 경우 3D 프린터의 베드(B)의 상면에 서포트(support)(S)를 생성하지 않고 형성물을 생성할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한 편, 서포트(S)란 3D 프린터를 통해 물건을 출력해서 제작할 때 3D 프린터의 베드(B)로부터 이탈하여 장공을 두고 형성되는 특정 형성면이 원활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베드(B)로부터 이격된 거리만큼 함께 출력하는 일종의 보강대를 의미하며, 서포트(S)가 많이 형성될수록 출력에 필요한 시간, 사용하는 원료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서포트(S)가 생성되는 면은 그 표면이 미려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벽이 완전히 밀봉되지 않고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틈이 생기기 때문에 엔지니어링을 하는 데 필요한 제품을 제작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몰드부(100)에 생성되는 오버 행(105)은 상기 몰드부(100)(100`)의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되는 면을 의미한다. 오버 행(105)을 형성하지 않은 몰드부(1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도 7a 과 같이 오버 행(105)을 형성하지 않았을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S)를 생성해야지만 정상적인 면으로 출력이 되기 때문에 출력 시간과 사용 원료가 많이 소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 설계의 단계에서 반드시 바닥부터 생성하지 않아도 되는 몰드부(100)의 외주면에는 오버 행(105)을 적용시키도록 함으로써 3D 프린터로 몰드부(100)를 출력하였을 때 그 출력에 필요한 출력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자체적인 보강면을 형성하여 상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용 홈(109)이나 챔퍼(150)에 지렛대(L)를 넣고 몰드부(100)(100`)를 서로 이탈시켰을 때 상기 몰드부(100)(100`)를 서로 파손시키지 않고 분리하여 재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 편, 바람직한 오버 행(105)의 형성 각도는 베드(B)의 수직(90˚)으로부터 25˚내지 75˚중 택일한 형성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통상적으로는 45˚로 하였을 때 가장 좋은 오버행(105)의 가공면이 나타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결합 및 그 작용으로 이루어 진 본 원 발명은 하기와 같은 일 실시의 순서가 연속으로 작용하여 이루어진다.
하기 서술할 일 실시의 순서는 실시자나 사용자의 단순 행동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기계나 프로그램 등을 통해 수행하는 방법 역시도 망리한다.
먼저, 성형이 필요한 형상물의 3D 파일을 형성하는 성형물 3D 파일 형성 단계(S100)가 실시되어야 한다.
성형물의 3D 파일 형성은 성형을 희망하는 성형물의 파일을 3D화 하는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사람의 행동에 의한 작용 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프로그램이나 3D 스캐너 등의 기계 장치를 통해 3D 파일(P)을 생성하는 방법 역시 망리하는 것 으로써, 해당 3D 파일(P)이 저장되었을 때 그 파일의 확장자는 설계나 디자인 툴을 통해 열람하였을 때 편집이 가능한 형식이어야 한다. 실시자가 성형을 희망하는 제품을 3D화 한 후 3D 화 한 파일을 기반으로 해당 파일의 형상과 대응하여 사출물을 뽑아낼 수 있는 캐비티(101)로 변환할 수 있는 캐비티 생성 단계(S110)가 실시된다.
캐비티(101)의 생성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로 형성된 3D 파일(P)을 설계 프로그램을 통해 열람 한 후, 상기 3D 파일(P)이 절반 혹은 한쪽 측면에 해당하는 면 전부를 덮을 수 있도록 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블록(B1)을 형성하는 블록 생성 단계(S115)를 거친다. 해당 블록(B1)을 본체로 하여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파일(P)을 통해 상기 블록(B1)과 3D 파일(P)이 인접된 인접면을 상기 3D 파일(P)을 매개채로 잘라냄으로써 상기 3D 파일(P)에 대응한 면을 생성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캐비티(101)를 형성하게 될 경우 생성을 희망하는 3D로 제작한 성형물의 반대되는 부분을 제작할 때 상기 성형물 3D 파일 형성 단계(S100)에서 제작된 3D 파일을 만들었을 때 사용된 과정을 다시 처음부터 반복하지 않아도 실시자는 원하는 캐비티(101)를 빠른 시간 내에 얻어낼 수 있다.
이후 캐비티(101)가 생성된 블록(B1)에 몰드 요소를 조성하는 몰드 요소 조성 단계(S120)가 실시된다.
몰드의 조성에 있어서 몰드 요소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오버 플로우(200), 차징 플로우(210), 요철부(130), 챔퍼(150), 결합요소 삽입공(120)을 모두 포함하여 몰드부(100)(100`)를 이루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의미하며, 상기 요소들을 블록(B1)에 조성함으로써 몰드부(100)(100`)로 최종 형성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후 몰드 요소 조성 단계(S120)를 마친 몰드부(100)(100`)의 3D 파일(P)을 추출한 후 CAM 데이터로 변환하는 CAM 데이터 변환 단계(S130)가 실시되고, 이후 몰드 제작 단계(S140)가 실시된다.
이때 CAM 데이터는 자동화 된 수치제어 가공을 할 수 있는 형태의 파일로 변환할 수 있는 단계를 의미하며, CAM 데이터의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은 컴퓨터 응용 가공을 의미한다.
상기 CAM 데이터 변환은 머시닝 센터, CNC 밀링, CNC 선반, 고속 조각기 등 절삭 기반의 가공을 할 수 있는 공작기계나 3D 프린터와 같은 생성 기반의 가공을 할 수 있는 조형기계가 어떠한 형상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로써 'G코드'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변환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한 편, 3D 프린터를 통해 몰드부(100)(100`)를 출력할 수 있도록 CAM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몰드 요소 조성 단계(S120)에서 생성하는 몰드 요소에 오버 행(105)을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이후 기반하는 기계에 따른 CAM 데이터의 G코드를 사용하기에 적절한 공작기계 혹은 조형기계를 통하여 몰드부(100)(100`)를 제작하는 몰드 제작 단계(S140)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후 제작된 각각의 몰드부(100)(100`)는 결합요소 삽입공(120)을 통해 볼트나 리벳 등의 결합 요소를 끼움으로써 몰드 유닛(10)을 생성하는 몰드 유닛 생성 단계(S150)가 실시된다.
한 편, 생성된 몰드 유닛(10)의 내부에 주입되는 연질 성형물(F1) 중 특히 실리콘의 경우에는 캐비티(101)에 유착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몰드부(100)(100`)를 서로 분리할 때 원활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몰드 유닛 생성 단계(S150)를 실시하기 전 몰드부(100)(100`)의 캐비티(101)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 단계(S155)를 진행한 후 몰드 유닛 생성 단계(S150)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이후 연질 성형물(F1)을 배합하여 몰드 유닛(10)에 주입할 준비를 하는 연질 성형물 배합 단계(S160)를 실시한다.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은 액상 상태의 주제와 경화제를 합성하여 몰드 유닛(10)의 캐비티(101) 안에서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시자나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작업이고, 주제와 경화제를 합성할 때 조색제를 가미할 수도 있다.
한 편, 합성된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은 주제와 경화제를 합성하면서 발생하는 기포나 거품 등을 제거하여야 원활한 품질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으며,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 미려한 품질의 경화된 연질 성형물(F1)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성형물 탈포 단계(S165)를 함께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이때, 성형물 탈포 단계(S165)에서 사용되는 탈포 방식은 진공 탈포기를 이용하는 탈포 방식이 있고, 드럼이나 컵 등에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을 담고 일정시간 측면으로 회전시켜 주는 탈포 방식이 있고,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을 높은 위치에서 아주 조금씩 낙하시킴으로써 낙하가 이루어지는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이 아주 얇은 실처럼 늘어나면서 거품이 자연스럽게 제거되거나 거품이 0.1mm 내지 0.7mm 내외의 아주 작은 면적으로 소분되는 방식의 탈포 방식이 있는데, 상술한 방법 중 한 가자의 방법을 택일해서 사용하거나 모두 혼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질 성형물 배합 단계(S160)를 통해 합성된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은 몰드 유닛(10)의 주입구(110)를 통해 삽입하는 액상 연질 성형물 삽입 단계(S170)를 실시한다.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은 기계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여 삽입하거나 수동 피스톤에 넣고 삽입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 두가지 방법을 혼용하거나 둘 중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되 주입의 방식은 중요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상술한 방식은 어디까지나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다만 반드시 압착 방식의 인젝터(주입구)를 이용한 방식으로 한정되어야만 한다. 삽입된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은 차징 플로우(210)를 통해 바깥으로 유출되기 시작한 후 오버 플로우(200)에서도 연질 성형물(F1)이 유출되기 시작할 때 해당 작업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주입구(110)의 벌지(115)에도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의 여분량을 주입하는 벌지 삽입 단계(S180)를 실시한다.
벌지 삽입 단계(S180)는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고할 수 있는데, 상기 벌지(115)는 인젝터(주입구)를 끼울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을 어느 정도 더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요소인 것이다.
이전에는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이 경화가 이루어지면서 제품이 완성될 때 경화 중 발생하는 수축으로부터 사출물의 표면에 비 사출면이 발생하여 제품의 완성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벌지(115)에 여분의 연질 성형물(F1)을 더 충진함으로써 상기 연질 성형물(F1)이 경화되면서 수축할 때, 여분의 연질 성형물(F1)이 캐비티(101)의 내부로 더 들어가서 함께 경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 사출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몰드 유닛(10)의 캐비티(101) 내부에서 경화된 연질 성형물(F1)을 꺼내는 몰드부 분리 단계(S190)를 실시한다.
몰드 유닛(10)에서 몰드부(100)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몰드부(100)의 챔퍼(150)나 분리용 홈(109)에 지렛대(L)를 넣고 몰드부(100)(100`)를 서로 떨어뜨려서 한 쪽의 캐비티(101)와 자연적으로 분리시킨 후, 벌지(115)에 삽입되어 있는 여분의 연질 성형물(F1)과 본체를 절단하여 떼어낸다.
그 후 경화된 연질 성형물(F1)에 남아있는 몰드부(100)를 떼어내도록 한 후 완전히 분리된 연질 성형물(F1)에 남아있는 몰드 슬러지를 제거함으로써 성형 제품(F2)을 최종 완성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연질 성형물(F1)을 사출 제작하는 방법은 빠른 개발 시일 안에 업의 실시가 가능한 실사용 샘플을 제작할 수 있고, 성형에 필요한 전문적인 설비가 충족되지 않더라도 몰드부(100)(100`)를 CNC기계 혹은 3D 프린터로 제작할 수 있다면 복잡한 형상의 연질 성형 제품을 만들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를 반복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 기술을 익히지 않은 비 전문가들이 콘텐츠 제작이나 아트 토이 산업을 할 수 있는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와 구성 및 작용을 포괄하여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되고 이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B : 베드 B1 : 블록
F1 : 연질 성형물 F2 : 성형 제품
I : 인젝터 L : 지렛대
P : 3D 파일 S : 서포트
U : 기포
10 : 몰드 유닛 100, 100` : 몰드부
101, 101` : 캐비티 105, 105` : 오버 행
109 : 분리용 홈 110 : 주입구
115 : 벌지 119 : 노루발
120, 120` : 결합요소 삽입공 121 : 육각형 통공
122 : 원통형 통공 130, 130` : 요철부
131 : 블레이드 단턱 132 : 블레이드 홈
135 : 격벽 150 : 챔퍼
200 : 오버 플로우 210 : 차징 플로우
211, 211` : 마개 삽입공 220 : 가지부
221 : 가지 플로우 290 : 마개부
291 : 플로우 마개 292 : 끼움용 돌출
295 : 그립
S100 : 성형물 3D 파일 형성 단계
S110 : 캐비티 생성 단계
S115 : 블록 생성 단계
S120 : 몰드 요소 조성 단계
S130 : CAM 데이더 변환 단계
S140 : 몰드 제작 단계
S150 : 몰드 유닛 생성 단계
S155 : 이형제 도포 단계
S160 : 연질 성형물 배합 단계
S165 : 성형물 탈포 단계
S170 : 액상 연질 성형물 삽입 단계
S180 : 벌지 삽입 단계
S190 : 몰드부 분리 단계

Claims (5)

  1. 서로 결합 가능한 한 쌍의 몰드부(100, 100`)가 구비된 몰드 유닛(10)을 포함하는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100, 100`)의 결합면 상부 일측에는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을 주입하는 주입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몰드부(100, 100`)의 각 중심단에는 상기 몰드부(100, 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110)를 통해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이 주입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캐비티(101, 101`)가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101, 101`)의 외측에는 상기 몰드부(100, 10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요소 삽입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몰드부(100, 100`)의 각 결합면 위에는 상기 캐비티(101, 101`)의 외곽을 따라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는 한 쌍의 요철부(130)가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요철부(130)는 블레이드 단턱(131) 및 블레이드 홈(132) 형상을 나눠 가짐으로써 서로 맞물리는 상보적인 구조이고, 상기 몰드부(100, 100`)의 각 결합면은 상기 요철부(130)의 단부에서 상기 캐비티(101, 101`)를 향해 추가로 연장되어 격벽(135)을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101, 101`)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단부가 상기 몰드부(100, 100`)의 결합면 반대측 후면 상부를 향해 뻗어 올라가는 가지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가지부(220)는 그 선단까지 상기 액상의 연질 성형물(F1)이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몰드부(100, 100`)의 후면을 관통하는 가지플로우(221)와 연통되고, 상기 가지 플로우(221)의 선단에는 상기 가지 플로우(221)를 폐쇄할 수 있는 마개 삽입공(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2. 제 1항에 있어서,
    몰드부(100, 100`)의 상부 일측에 복수개의 오버 플로우(2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100, 100`)의 외주면 선단부에는 챔퍼(1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몰드부(100, 100`)의 내주면 일측단에는 분리용 홈(109)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100,100`)의 하단부 일측에는 단일 혹은 복수개의 차징 플로우(2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마개 삽입공(211)은 상기 차징 플로우(210)의 선단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차징 플로우(21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마개 삽입공(211)에는 마개부(290)를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100,100`)의 일부 혹은 전체의 외주면 모서리부에 오버 행(105)이 더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KR1020220086624A 2020-12-21 2022-07-14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KR102526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624A KR102526646B1 (ko) 2020-12-21 2022-07-14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141A KR20220088963A (ko) 2020-12-21 2020-12-21 연질 성형물의 성형 캐비티
KR1020220086624A KR102526646B1 (ko) 2020-12-21 2022-07-14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141A Division KR20220088963A (ko) 2020-12-21 2020-12-21 연질 성형물의 성형 캐비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125A KR20220104125A (ko) 2022-07-26
KR102526646B1 true KR102526646B1 (ko) 2023-04-27

Family

ID=822682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141A KR20220088963A (ko) 2020-12-21 2020-12-21 연질 성형물의 성형 캐비티
KR1020220086624A KR102526646B1 (ko) 2020-12-21 2022-07-14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141A KR20220088963A (ko) 2020-12-21 2020-12-21 연질 성형물의 성형 캐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889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592B1 (ko) 1994-11-21 1999-06-15 나까자와 모또요시 릴리스필름을 이용한 수지몰드장치와 수지몰드방법 및 거기에 이용되는 릴리스필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769Y1 (ko) 1998-12-17 2002-10-19 강명순 진공주형기의 몰드
KR100449155B1 (ko) * 2001-11-15 2004-09-18 엘지전선 주식회사 액상 실리콘고무 주물 내 기포잔류 방지를 위한 주형 금형구조
KR200376230Y1 (ko) 2004-11-18 2005-03-10 이상한 안경테본체의 성형틀 구조
WO2015064466A1 (ja) * 2013-10-31 2015-05-07 積水テクノ成型株式会社 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
KR101695620B1 (ko) * 2015-02-23 2017-01-13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안구내 렌즈 지지체 제조장치
CN107650312A (zh) 2017-09-22 2018-02-02 台州市黄岩迅发橡塑制品厂(普通合伙) 一种硅胶杯的制作模具、制作方法及其产品
KR102038326B1 (ko) 2018-10-26 2019-10-30 고광옥 립스틱 실리콘 몰드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립스틱 실리콘 몰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592B1 (ko) 1994-11-21 1999-06-15 나까자와 모또요시 릴리스필름을 이용한 수지몰드장치와 수지몰드방법 및 거기에 이용되는 릴리스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125A (ko) 2022-07-26
KR20220088963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1448A (en) Method of producing plastic injection molds for prototype parts
US20110189046A1 (en) Mold for injection molding of cutting tool inserts having air gap of controlled width and method of making such inserts
Ong et al. Rapid moulding using epoxy tooling resin
US9067345B2 (en) Mold for manufacture of fiber composite part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fiber composite parts with such a mold
KR20200087217A (ko)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및 몰드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2526646B1 (ko) 연질 성형물의 성형 몰드
JP4887195B2 (ja) 金型、液状樹脂射出成形方法および光学素子
KR101280013B1 (ko) 엘보우 사출금형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코어조립체
CN105473314A (zh) 用于根据rtm法制造构件的方法和工具系统
CN104149233B (zh) 树脂钻石的制作方法
JP2019130286A (ja) 有床義歯の製造方法
CN108237616A (zh) 一种陶瓷注模装置
KR101732269B1 (ko) 오버플로우 용기를 이용한 진공주형 장치
CN203919578U (zh) 树脂钻石塑料成型模具的母模
KR20180113936A (ko) 버어 제거가 가능한 성형 장치
CN206568298U (zh) 一种陶瓷注模装置
JP5290555B2 (ja) 成形用金型の製法
JP4329715B2 (ja) 極薄容器の射出圧縮成形方法
KR0163675B1 (ko) 수지금형 제작방법
CN108973023A (zh) 一种注塑模具
CN217098672U (zh) 一种用于加工盒体的pet成型模具
KR20190092007A (ko) Pva를 이용한 성형 방법
CN211683161U (zh) 一种实现金属件和弹簧同时埋射快速成型模具
EP2688724B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product
CN208006171U (zh) 一种高精度双料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