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626B1 -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626B1
KR102526626B1 KR1020200184453A KR20200184453A KR102526626B1 KR 102526626 B1 KR102526626 B1 KR 102526626B1 KR 1020200184453 A KR1020200184453 A KR 1020200184453A KR 20200184453 A KR20200184453 A KR 20200184453A KR 102526626 B1 KR102526626 B1 KR 102526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charge hole
state
storage contai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588A (ko
Inventor
권오택
김상규
홍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0018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6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관 용기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제1 배출홀이 형성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제1 배출홀을 둘러싸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배출홀과 함께 개구부를 정의하는 가림부 및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림부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복수 개의 개구들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배출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제2 배출홀이 형성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배출홀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커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커버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 배출홀을 가림으로써, 상기 제1 배출홀과 상기 수용공간의 연통을 방해하게 마련되는 제3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복수 개의 개구들을 각각 가릴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 형성된다.

Description

보관 용기{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약은 캡슐형, 고체형, 분말형 등 다양한 제형을 가진다. 그 중 분말 형태의 약을 보관하기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용기가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분말 형태의 약은 입자가 매우 작으므로, 종래의 용기들로는 분말 형태의 약을 정량 토출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분말 형태의 약을 정량 토출하는 용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분말을 정량 토출할 수 있는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보관 용기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제1 배출홀이 형성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제1 배출홀을 둘러싸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배출홀과 함께 개구부를 정의하는 가림부 및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림부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복수 개의 개구들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배출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제2 배출홀이 형성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배출홀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커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커버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 배출홀을 가림으로써, 상기 제1 배출홀과 상기 수용공간의 연통을 방해하게 마련되는 제3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복수 개의 개구들을 각각 가릴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 형성된다.
다른 예에서 상기 보관 용기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배출홀이 차지하는 영역은, 상기 제3 커버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을 가리는 제1 상태일때, 상기 제2 배출홀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배출홀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2 배출홀이 연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보관 용기는, 상기 제3 커버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몸체의 일부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의 위치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1 배출홀이 서로 연통되는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2 몸체 중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3 커버와 서로 중첩되지않는 영역인 비중첩영역이 상기 개구부를 상측에서 가로막게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복수 개의 개구들을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복수 개의 개구들이 각각 차지하는 영역인 복수 개의 보관 영역들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은, 상기 제2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메인 덮개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은, 상기 복수 개의 메인 덮개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 덮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보관 용기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갈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커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마련되는 갈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을 가리는 상태를 제1 상태라 하고,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의 위치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1 배출홀이 서로 연통되는 상태를 제2 상태라 할 때, 상기 보관 용기는 상기 제2 커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게 마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3 커버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공간에 보관되어 있던 분말을 일정한 부피 안의 개구부안에 투입시킬 수 있으므로, 분말의 정량 토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개구부를 복수 개의 개구들로 구획하는 구획부로 인해 정량 토출된 분말의 일부분이 필요한 경우에도, 추가적인 계량 없이 토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관 용기에서 덮개가 열린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의 제1 커버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의 제2 커버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의 제3 커버 및 갈래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가 제1 상태일 때의 제1 내지 제3 커버를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가 제1 상태일 때의 보관 용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가 제2 상태일 때의 제1 내지 제3 커버를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가 제2 상태일 때의 보관 용의 측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의 보관 용기에서 복수 개의 덮개 부재 중 일부만이 열리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는 분말을 정량 토출할 수 있는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는 용기(10), 제1 커버(20), 제2 커버(30) 및 제3 커버(4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관 용기에서 덮개가 열린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용기(10)에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에는 분말이 보관될 수 있다. 단, 보관되는 대상이 반드시 분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캡슐형 등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고체가 보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수용공간(11)에 분말이 포함된 경우를 상정하고 기술하나, 분말은 알약, 캡슐형 약제 등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서 대체될 수 있다.
<제1 커버(2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의 제1 커버의 상면도이다. 제1 커버(20)는, 제1 몸체(21), 가림부(22) 및 구획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21)는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제1 배출홀(25, 도 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홀(25)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가림부(22)는 제1 몸체(21)의 상면에서 제1 배출홀(25)을 둘러싸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1 배출홀(25)과 함께 개구부(23)를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구부(23)는 제1 배출홀(25)을 입구로 하고, 가림부(22)를 옆면으로 하는 일종의 관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개구부(23)의 내부에는 분말이 투입될 수 있다. 개구부(23)의 부피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개구부(23)에는 개구부(23)의 부피만큼의 분말이 정량으로 투입될 수 있는 것이고, 이를 밖으로 토출하는 경우, 분말의 정량 토출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구획부(24)는 개구부(2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부(24)는 가림부(22)와 결합되어 개구부(23)를 복수 개의 개구들로 구획할 수 있다. 도 2에는 구획부(24)가 개구부(23)를 제1 개구(23a), 제2 개구(23b), 제3 개구(23c)의 3개의 개구로 구획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단, 구획부(24)의 형태는 개구부(23)를 몇 개의 개구로 나누기를 희망하는지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23)를 크기가 동일한 4개의 개구로 구획하고자 하는 경우, 구획부(24)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십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커버(3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의 제2 커버(30)의 상면도이다. 제2 커버(30)는 제2 몸체(31) 및 덮개(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31)는 제1 커버(2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몸체(31)에는 제2 배출홀(32, 도 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홀(32)은 제2 몸체(31)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배출홀(25)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제2 몸체(31)가 회전함에 따라, 제2 배출홀(32)은 제1 배출홀(25)과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덮개(33)는 제2 몸체(31)에 결합되어, 제2 배출홀(32)을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덮개(33)는 제2 몸체(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배출홀(32)을 개폐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2 덮개(33)는 제2 몸체(31)에서 인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됨에 따라, 제2 배출홀(32)을 개폐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커버(4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의 제3 커버 및 갈래부의 사시도이다. 제3 커버(40)는 제1 커버(20)의 하측에 배치되되, 제2 커버(30)의 회전축(60)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커버(40)는 제2 커버(3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제1 배출홀(25)을 가림으로써, 제1 배출홀(25)과 수용공간(11)의 연통을 방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출홀(25)과 수용공간(11)의 연통이 방해되는 경우, 수용공간(11)에 있던 분말이 제1 배출홀(25)을 통해 개구부(23)로 유입되는 것이 방해되고, 개구부(23) 내에 있던 분말이 제1 배출홀(25)을 통해 수용공간(11)으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에 따르면, 수용공간(11)에 보관되어 있던 분말을 일정한 부피 안의 개구부(23) 안에 투입시킨 후, 제3 커버(40)를 회전시켜 제1 배출홀(25)과 수용공간(11)의 연통을 방해한 후, 제2 커버(30)를 회전시켜 제2 배출홀(32)을 제1 배출홀(25)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덮개(33)를 열어 개구부(23) 내의 분말을 꺼낼 수 있으므로, 분말의 정량 토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에 의하면, 개구부(23)를 복수 개의 개구들로 구획하는 구획부(24)로 인해 정량 토출된 분말의 일부만이 필요한 경우에도, 추가적인 계량 없이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제2 배출홀(32)이 차지하는 영역이 제3 커버(40)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커버(3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3 커버(40)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의 정도와 무관하게 제3 커버(40)와 제2 배출홀(32)이 차지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항상 중첩될 수 있다.
<제1 상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가 제1 상태일 때의 제1 내지 제3 커버(40)를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가 제1 상태일 때의 보관 용기의 단면도이다. 단, 도 8에는 덮개(33)가 제2 배출홀(32)을 덮지 않고 열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는 제1 상태일 때, 개구부(23)와 제2 배출홀(32)이 연통될 수 있다. 제1 상태는 제3 커버(40)가 제1 배출홀(25)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제3 커버(40)가 제1 배출홀(25)을 가리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2 배출홀(32)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제1 배출홀(25)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위치되어, 개구부(23)와 제2 배출홀(32)이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는 제1 상태가 아닌 다른 상태에서 제2 커버(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 상태에 놓여지게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커버(40)와 제2 배출홀(32)이 차지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중첩될 수 있으므로, 제3 커버(40)가 제1 배출홀(25)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위치되는 경우, 제2 배출홀(32)이 제1 배출홀(25)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는 개구부(23)와 제2 배출홀(32)의 적어도 일부가 연통됨을 의미할 수 있다. 개구부(23)와 제2 배출홀(32)이 연통된다는 것은 덮개(33)를 열어 개구부(23)내의 분말을 외부로 꺼낼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상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가 제2 상태일 때의 제1 내지 제3 커버를 하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가 제2 상태일 때의 보관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는 제2 상태일 때, 비중첩영역(34)이 개구부(23)를 상측에서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태는 제3 커버(40)가 제1 배출홀(25)의 위치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수용공간(11)과 상기 제1 배출홀(25)이 서로 연통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비중첩영역(34)은 제2 몸체(31) 중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제3 커버(40)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3 커버(40)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제2 몸체(31)의 일부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커버(40)는 제2 몸체(31)의 일부와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제3 커버(40)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비중첩영역(34)은 제2 몸체(31) 중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제3 커버(40)의 부채꼴 형상과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상태는 수용공간(11)의 분말은 개구부(23)로 유입될 수 있되, 개구부(23)의 상측이 비중첩영역(34)에 의해 가로막혀 보관 용기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는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30)의 회전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또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정량 토출 과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가 분말을 정량 토출하는 과정에 관하여 상술한다.
첫 번째로, 사용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커버(30)를 회전시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를 제2 상태로 만든다. 이때, 제1 배출홀(25)과 수용공간(11)은 연통되고, 개구부(23)의 상측은 가로막히게 된다.
두 번째로, 사용자는 보관 용기를 거꾸로 뒤집는다. 이때, 수용공간(11)에 들어 있던 분말이 제1 배출홀(25)을 통해 개구부(23)로 유입된다.
세 번째로, 사용자는 보관 용기를 뒤집은 채로 제2 커버(30)를 회전시킨다. 제2 커버(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3 커버(40)가 회전하게 되고, 제3 커버(40)는 제1 배출홀(25)을 가려 수용공간(11)과 제1 배출홀(25)과의 연통을 막는다.
네 번째로, 사용자는 보관 용기를 원위치 시키고, 제2 커버(30)를 계속 회전시켜,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보관 용기를 제1 상태로 만든다. 단, 보관 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 보관 용기를 제1 상태로 만든 후, 보관 용기를 원위치 시켜도 무방하다.
다섯 번째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사용자는 덮개(33)를 개방한다. 덮개를 개방한다 함은, 덮개(33)에 의해 제2 배출홀(32)이 가려진 상태를 해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제2 배출홀(32)과 개구부(23)는 연통되어 있고, 개구부(23)의 하측은 제3 커버(40)에 의해 가로막혀 있으므로, 개구부(23)의 부피만큼의 분말을 획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보관 용기를 기울여 정량으로 계량된 분말을 획득한다.
<덮개(33)>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의 보관 용기에서 복수 개의 덮개 부재중 일부만이 열리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덮개(33)는, 복수 개의 개구들을 각각 가릴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덮개(33)는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은 복수 개의 보관 영역들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관 영역들은 복수 개의 개구들을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복수 개의 개구들이 각각 차지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이 복수 개의 보관 영역들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다 함은, 각각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덮개 부재가 각 보관 영역들을 커버할 수 있게 형성됨을 의미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한다. 일 예로, 복수 개의 보관 영역들 중 제1 개구(23a)의 위치에 형성되는 보관 영역을 제1 보관 영역(26a), 제2 개구(23b)의 보관 영역을 제2 보관 영역(26b), 제3 개구(23c)의 보관 영역을 제3 보관 영역(26c)이라 하고, 각각의 대응되는 덮개 부재들을 각각 제1 덮개 부재(33a), 제2 덮개 부재(33b) 및 제3 덮개 부재(33c)라고 명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가 분말을 정량 토출한 후 그 정량의 일부만을 사용하기 위한 과정에 관하여 추가로 상술한다.
사용자는 도 11을 기준으로, 개구부(23)의 부피의 절반에 해당하는 분말을 토출하기 희망하는 경우, 덮개(33) 중 제1 덮개 부재(33a)만을 개방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도 12를 기준으로, 개구부(23)의 부피의 절반에 해당하는 분말을 토출하기 희망하는 경우, 덮개(33) 중 제2 덮개 부재(33b) 및 제3 덮개 부재(33c)를 개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도 13을 기준으로 개구부(23)의 부피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분말을 토출하기 희망하는 경우, 덮개(33) 중 제3 덮개 부재(33c)만을 개방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은 제2 몸체(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메인 덮개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메인 덮개 부재들은 제1 덮개 부재(33a)와 제2 덮개 부재(33b)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은 복수 개의 메인 덮개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 덮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보조 덮개 부재는 제3 덮개 부재(33c)일 수 있다.
다만,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의 결합 방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슬라이드 방식 등을 활용한 방식들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갈래부(50)>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는 갈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갈래부(5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갈래 부재(5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갈래 부재(51)가 3개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갈래부(50)는 제3 커버(4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커버(30)의 회전축(60)에 연결되어, 제2 커버(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갈래부는 회전함에 따라, 내부의 분말을 저어주게 될 수 있어, 내부에 뭉쳐있던 분말의 뭉침을 풀어줄 수 있다.
갈래부(50)는 제2 커버(30)가 회전할 때, 제3 커버(40)가 회전하는 회전량에 대응되는 만큼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갈래부(50)는 제3 커버(40)와 결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복수 개의 갈래 부재(51) 중 한 개가 제3 커버(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커버(40)가 회전 할 때, 제3 커버(40)의 회전량만큼 갈래부(50)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용기
11: 수용공간
20: 제1 커버
21: 제1 몸체
22: 가림부
23: 개구부
23a: 제1 개구
23b: 제2 개구
23c: 제3 개구
24: 구획부
25: 제1 배출홀
26a: 제1 보관 영역
26b: 제2 보관 영역
26c: 제3 보관 영역
30: 제2 커버
31: 제2 몸체
32: 제2 배출홀
33: 덮개
33a: 제1 덮개 부재
33b: 제2 덮개 부재
33c: 제3 덮개 부재
34: 비중첩영역
40: 제3 커버
50: 갈래부
51: 갈래부재
60: 회전축

Claims (9)

  1. 수용공간이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에 제1 배출홀이 형성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상면에서 상기 제1 배출홀을 둘러싸도록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배출홀과 함께 개구부를 정의하는 가림부 및 상기 개구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림부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복수 개의 개구들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배출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제2 배출홀이 형성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배출홀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커버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1 배출홀을 가림으로써, 상기 제1 배출홀과 상기 수용공간의 연통을 방해하게 마련되는 제3 커버; 및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갈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커버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마련되는 갈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복수 개의 개구들을 각각 가릴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제3 커버의 하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갈래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한 쌍의 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보관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배출홀이 차지하는 영역은, 상기 제3 커버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을 가리는 제1 상태일때,
    상기 제2 배출홀은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배출홀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위치되어,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2 배출홀이 연통되는, 보관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버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몸체의 일부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의 위치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1 배출홀이 서로 연통되는 제2 상태일 때,
    상기 제2 몸체 중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3 커버와 서로 중첩되지않는 영역인 비중첩영역이 상기 개구부를 상측에서 가로막게 배치되는, 보관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복수 개의 개구들을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복수 개의 개구들이 각각 차지하는 영역인 복수 개의 보관 영역들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을 포함하는, 보관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은,
    상기 제2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메인 덮개 부재들을 포함하는, 보관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덮개 부재들은,
    상기 복수 개의 메인 덮개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 덮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보관 용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을 가리는 상태를 제1 상태라 하고, 상기 제3 커버가 상기 제1 배출홀의 위치와 어긋나게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1 배출홀이 서로 연통되는 상태를 제2 상태라 할 때,
    상기 제2 커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게 마련되는, 보관 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버는 부채꼴 형상인, 보관 용기.
KR1020200184453A 2020-12-28 2020-12-28 보관 용기 KR102526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53A KR102526626B1 (ko) 2020-12-28 2020-12-28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53A KR102526626B1 (ko) 2020-12-28 2020-12-28 보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88A KR20220093588A (ko) 2022-07-05
KR102526626B1 true KR102526626B1 (ko) 2023-04-27

Family

ID=8240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453A KR102526626B1 (ko) 2020-12-28 2020-12-28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6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2347A1 (en) * 2004-05-06 2013-03-14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KR200483377Y1 (ko) * 2016-01-13 2017-05-08 한화제약주식회사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트위스트캡 보관용기
KR102126860B1 (ko)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복용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2914A (ja) * 1994-09-01 1996-03-19 Freedom:Kk 粉状体計量装置
JPH1035748A (ja) * 1996-07-23 1998-02-10 Toppan Printing Co Ltd 粉体又は粒体用計量可変定量キャップおよび計量容器
JPH11105950A (ja) * 1997-09-30 1999-04-20 Yoshino Kogyosho Co Ltd 可変粉末定量栓
KR20030070801A (ko) * 2002-02-26 2003-09-02 정희채 정량 배출 용기
KR101779456B1 (ko) * 2015-12-30 2017-09-19 이지혜 조미료 용기 뚜껑
KR102120407B1 (ko) * 2018-10-16 2020-06-08 박내덕 조미료 용기용 뚜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2347A1 (en) * 2004-05-06 2013-03-14 Diversey, Inc. Metering and dispensing closure
KR200483377Y1 (ko) * 2016-01-13 2017-05-08 한화제약주식회사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트위스트캡 보관용기
KR102126860B1 (ko)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복용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88A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04833A (en) Never open container with a dispensing and measuring device
EP3040289B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US4530470A (en) Condiment dispenser
KR100886456B1 (ko) 화장품 케이스의 파우더 배출장치
US5186366A (en) Ground coffee dispenser utilizing a metering trap chamber
US9163970B2 (en) Dispenser with discharge control
KR102526626B1 (ko) 보관 용기
US2805799A (en) Coffee dispensing mechanism
US5971216A (en) Measuring canister with sliding closure
KR20180003174U (ko) 다수개의 수납부와 토출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10291022A (zh) 分配器
KR102643865B1 (ko) 소분이 가능한 용기
JPH10129603A (ja) 錠剤搬送機構
CA2522791C (en) Measuring particulate material dispenser
EP1034728A2 (en) Improved distributor-dispenser for substances having a fluid-like behaviour
JP4493757B2 (ja) ロック機構付き携帯用計量容器
JPH09290850A (ja) 可変式定量振出し蓋装置
JP2020037423A (ja) 振り出し容器
JP6794286B2 (ja) 粒状物収納容器
US11730294B1 (en) Multiple chamber dispenser assembly
KR200359025Y1 (ko) 분말 혼합 공급장치
US1855170A (en) Loose powder container
JP2001240158A (ja) 振出し容器
KR102092866B1 (ko) 마스크팩 용기
JP3644098B2 (ja) 粉粒体用定量栓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