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407B1 - 조미료 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조미료 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407B1
KR102120407B1 KR1020180123440A KR20180123440A KR102120407B1 KR 102120407 B1 KR102120407 B1 KR 102120407B1 KR 1020180123440 A KR1020180123440 A KR 1020180123440A KR 20180123440 A KR20180123440 A KR 20180123440A KR 102120407 B1 KR102120407 B1 KR 102120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mpartment
seasoning
coupled
central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815A (ko
Inventor
박내덕
Original Assignee
박내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내덕 filed Critical 박내덕
Priority to KR102018012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4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미료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 측에 연통공이 관통형성되어 조미료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하측이 결합되는 하부 캡, 대량함실, 중량함실, 소량함실이 구획되어 하부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중앙조절 캡 및 일 측에 인출공이 관통형성되어 인출공이 개폐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중앙조절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상부 캡을 포함함으로써 조리시 요구되는 조미료 양에 대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양인 대량, 중량, 소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별도의 계량도구가 없이도 조리에 요구되는 조미료의 양을 조리시 요구되는 필요한 양만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인출시킴과 동시에 계량 성능을 구현시키면서 사용상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미료 용기용 뚜껑{Cap for seasoning container}
본 발명은 조미료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 측에 연통공이 관통형성되어 조미료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하측이 결합되는 하부 캡, 대량함실, 중량함실, 소량함실이 구획되어 하부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중앙조절 캡 및 일 측에 인출공이 관통형성되어 인출공이 개폐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중앙조절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상부 캡을 포함함으로써 조리시 요구되는 조미료 양에 대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양인 대량, 중량, 소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별도의 계량도구가 없이도 조리에 요구되는 조미료의 양을 조리시 요구되는 필요한 양만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인출시킴과 동시에 계량 성능을 구현시키면서 사용상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미료 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추나 소금 등의 각종 조미료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플라스틱 뚜껑으로 마감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미료 용기용 뚜껑은 일정간격을 가진 다수개의 인출공을 형성하고 이러한 인출공을 회전식 캡에 의해 완전 개방하거나 또는 일부 폐쇄하여 인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조미료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시켜 사용되고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조미료 용기용 뚜껑은 개선된 제품으로서, 다량, 소량 및 미세량으로 인출되는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85-0009365호 1985.12.02.공개.)에서 보는 바와 같은 조미료 용기 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85-0009365호 1985.12.02.공개.)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의 조미료 용기 뚜껑은 뚜껑 본체(1)에는 다량 인출공(2a)을 갖는 제1 인출부(2)와, 미세량 인출공(4a)을 갖는 제2 인출부(4)와, 다량 인출공(2a)의 측부에 배치되며 소량 인출공(3a)을 갖는 제3 인출부(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출부(2)와 제2 인출부(4)와 제3 인출부(3)에 각각 대응하도록 돌출턱(5a)을 가진 제1 캡(5)과 다수개의 돌기(7a)를 가진 제2 캡(7)과 돌출턱(6a)을 가진 제3 캡(6)이 각각 일체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미료 용기 뚜껑은 단순히 인출공의 종류가 다량, 소량, 미세량으로 구분되어 있기만 하여, 다량, 소량, 미세량을 위한 조미료의 인출이 지속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구성일 뿐이며, 인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조미료의 양에 대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양인 다량, 소량, 미세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조미료 용기 뚜껑에서 조미료의 인출에 대한 정지는 사용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구현될 수밖에 없어 조리시 조미료의 양을 알맞게 조절하여 인출시키기가 어려워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하면, 조리시 요구되는 조미료 양에 대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양인 다량, 소량, 미세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킬 수 없으므로 별도의 계량도구, 예컨대 계량스푼 등을 사용하여야하며, 이에 따라 조리시 요구되는 필요한 양만큼의 조미료의 인출이 어려워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조리시 요구되는 조미료 양에 대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양인 다량, 소량, 미세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별도의 계량도구가 없이도 조리에 요구되는 조미료의 양을 조리시 요구되는 필요한 양만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인출시킴과 동시에 계량 성능을 구현시키면서 사용상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미료 용기용 뚜껑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85-0009365호 1985.12.02.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79456호 2017.09.12.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에 연통공이 관통형성되어 조미료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하측이 결합되는 하부 캡, 대량함실, 중량함실, 소량함실이 구획되어 하부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중앙조절 캡 및 일 측에 인출공이 관통형성되어 인출공이 개폐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중앙조절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상부 캡을 포함함으로써 조리시 요구되는 조미료 양에 대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양인 대량, 중량, 소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 조미료 용기용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하부 캡, 중앙조절 캡 및 상부 캡으로 구성되어 조리시 요구되는 조미료 양에 대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양인 대량, 중량, 소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계량도구가 없이도 조리에 요구되는 조미료의 양을 조리시 요구되는 필요한 양만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인출시킴과 동시에 계량 성능을 구현시키면서 사용상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은 조미료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시킨 후 조미료 용기를 상, 하 반전시켜 조미료 용기 내부의 조미료를 일정하게 정해진 대량, 중량, 소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미료 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개방된 하측이 조미료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하측이 결합되고, 상면 일 측에 연통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연통공을 통해 조미료 용기 내부의 조미료가 외향 안내되도록 하는 하부 캡; 상, 하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하측이 상기 하부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내부공간이 제1격벽을 통해 분할되는 반구 형상의 대량함실과, 상기 대량함실의 외측 공간에 대하여 제2격벽을 통해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호형으로 분할되는 중량함실 및 소량함실의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한편, 상기 하부 캡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을 통해 상기 하부 캡의 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상기 대량함실, 중량함실, 소량함실이 연통되면서 상기 하부 캡의 연통공을 거쳐 상기 대량함실, 중량함실, 소량함실 내에 조미료가 충전되는 중앙조절 캡; 및 상기 중앙조절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일 측 상면에 상기 중앙조절 캡의 대량함실, 중량함실, 소량함실 내에 충전된 조미료 중 어느 한 함실 내부의 조미료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도록 인출 안내하는 인출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인출공이 힌지구조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되는 개폐커버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상부 캡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중앙조절 캡은 상기 하부 캡 및 상부 캡에 대하여 회전을 위한 파지시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측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반구 형상의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조절 캡의 대량함실, 중량함실, 소량함실 내에 충전된 조미료 중 어느 한 함실 내부의 조미료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 안내되는 상기 하부 캡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조절 캡과 상부 캡의 회전위치가 식별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캡은 상기 중앙조절 캡의 하측이 결합되는 상측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으로서 상기 연통공과 대향되는 측의 외면에 기준식별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조절 캡은 상기 하부 캡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측 외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대량함실, 중량함실, 소량함실의 중앙부분에 대응되는 외면에 각각 상기 기준식별부와 선택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조절식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인출공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둘레면 상에 상기 조절식별부 중 어느 하나의 조절식별부가 선택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인출식별부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기준식별부를 기준으로 상기 조절식별부 중 어느 하나의 조절식별부가 일치하는 경우에 걸림감이 있게 정지하면서 인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캡의 기준식별부와 대응되는 상기 중앙조절 캡과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상측의 외면에 걸림인지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중앙조절 캡의 상기 하부 캡의 상측과 결합되는 하측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인지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림감이 있게 걸림 정지되면서 걸림상태가 인지되도록 하는 걸림인지홈이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조절식별부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식별부가 일치하는 경우에 걸림감이 있게 정지하면서 인식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조절 캡의 상기 상부 캡의 하측과 결합되는 상측의 외면에 걸림인지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중앙조절캡의 상측과 결합되는 하측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인지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림감이 있게 걸림 정지되면서 걸림 상태가 인지되도록 하는 걸림인지홈이 함몰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하부 캡과, 중앙조절 캡 및 상부 캡은 상호 결합되는 부분이 단이 지게 일정길이 삽입구속되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한편, 단이 지게 삽입되는 외면 부분이 상호 홈, 돌기 구조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 측에 연통공이 관통형성되어 조미료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하측이 결합되는 하부 캡, 대량함실, 중량함실, 소량함실이 구획되어 하부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중앙조절 캡 및 일 측에 인출공이 관통형성되어 인출공이 개폐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중앙조절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상부 캡을 포함함으로써 조리시 요구되는 조미료 양에 대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양인 대량, 중량, 소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둘째, 하부 캡, 중앙조절 캡 및 상부 캡으로 구성되어 조리시 요구되는 조미료 양에 대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양인 대량, 중량, 소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계량도구가 없이도 조리에 요구되는 조미료의 양을 조리시 요구되는 필요한 양만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인출시킴과 동시에 계량 성능을 구현시키면서 사용상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을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을 나타낸 횡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종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을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을 나타낸 횡단면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종단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100)은 조미료 용기(2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시킨 후 조미료 용기를 상, 하 반전시켜 조미료 용기(200) 내부의 조미료를 일정하게 정해진 대량, 중량, 소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하부 캡(110), 중앙조절 캡(120) 및 상부 캡(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캡(11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개방된 하측이 조미료 용기(200)의 개방된 상부에 하측이 결합되고, 상면 일 측에 연통공(11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연통공(111)을 통해 조미료 용기(200) 내부의 조미료가 외향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통공(1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캡(110)의 상면 일 측의 반원 형상 영역에 반원형상에 대한 2개로 분할된 한 쌍의 호형 구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단일의 반구형 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조절 캡(120)은 상, 하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하측이 상기 하부 캡(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앙조절 캡(120)은 특히, 내부공간이 제1격벽(121)을 통해 분할되는 반구 형상의 대량함실(125)과, 상기 대량함실(125)의 외측 공간에 대하여 제2격벽(122)을 통해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호형으로 분할되는 중량함실(126) 및 소량함실(127)의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은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내부공간을 대, 중, 소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중앙조절 캡(120)은 상기 하부 캡(11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을 통해 상기 하부 캡(110)의 연통공(111)과 선택적으로 상기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이 연통되면서 상기 하부 캡(110)의 연통공(111)을 거쳐 상기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 내에 조미료가 충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캡(130)은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일 측 상면에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 내에 충전된 조미료 중 어느 한 함실 내부의 조미료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도록 인출 안내하는 인출공(13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인출공(131)이 힌지구조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되는 개폐커버(133)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커버(133)는 하면 일측에 개폐돌부(133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폐돌부(133a)는 상기 개폐커버(133)의 하면 일 측에 하향 돌출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인출공(131)에 일정걸이 삽입고정되면서 상기 인출공(131)을 선택적으로 긴밀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에서, 상기 중앙조절 캡(120)은 상기 하부 캡(110) 및 상부 캡(130)에 대하여 회전을 위한 파지시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중앙조절 캡(120)은 하측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반구 형상의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미부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100)은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 내에 충전된 조미료 중 어느 한 함실 내부의 조미료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 안내되는 상기 하부 캡(110)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조절 캡(120)과 상부 캡(130)의 회전위치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하부 캡(110)은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하측이 결합되는 상측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으로서 상기 연통공(111)과 대향되는 측의 외면에 기준식별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중앙조절 캡(120)은 상기 하부 캡(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측 외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의 중앙부분에 대응되는 외면에 각각 상기 기준식별부(미도시)와 선택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조절식별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상부 캡(130)은 상기 인출공(131)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둘레면 상에 상기 조절식별부(미도시) 중 어느 하나의 조절식별부(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인출식별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하부 캡(110)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조절 캡(120)과 상부 캡(130)의 회전위치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식별부(미도시), 조절식별부(미도시) 및 인출식별부(미도시)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마킹처리를 통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마킹처리가 아닌 별도의 함몰된 홈이나 돌출된 돌기 등으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100)은 상기 기준식별부를 기준으로 상기 조절식별부 중 어느 하나의 조절식별부가 일치하는 경우에 걸림감이 있게 정지하면서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 캡(110)의 기준식별부(미도시)와 대응되는 상기 중앙조절 캡(120)과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상측의 외면에 걸림인지돌기(미도시)가 돌출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상기 하부 캡(110)의 상측과 결합되는 하측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인지돌기(미도시)가 선택적으로 걸림감이 있게 걸림 정지되면서 걸림상태가 인지되도록 하는 걸림인지홈(미도시)이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100)은 상기 조절식별부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식별부가 일치하는 경우에 걸림감이 있게 정지하면서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상기 상부 캡(130)의 하측과 결합되는 상측의 외면에 걸림인지돌기(미도시)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130)의 상기 중앙조절캡(120)의 상측과 결합되는 하측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인지돌기(미도시)가 선택적으로 걸림감이 있게 걸림 정지되면서 걸림 상태가 인지되도록 하는 걸림인지홈(미도시)이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100)에서의, 상기 하부 캡(110)과, 중앙조절 캡(120) 및 상부 캡(130)은 상호 결합되는 부분이 단이 지게 일정길이 삽입구속되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한편, 단이 지게 삽입되는 외면 부분이 상호 홈, 돌기 구조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부 캡(110)과, 중앙조절 캡(120) 및 상부 캡(130)은 단이 지게 삽입되는 외면 부분이 상호 홈, 돌기 구조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되, 단이 지게 삽입되는 외면 부분이 상호 홈, 돌기 구조로 공회전 가능토록 결합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100)에서의 중앙조절 캡(120)은 제1격벽(121)의 하단과 직교하여 판 상으로 제1격판(미부호)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제2격벽(122)의 하단과 직교하여 판 상으로 제2격판(미부호)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은 제1격판(미부호)과 제2격판(미부호)이 구비됨으로써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 중 어느 하나의 함실 내에 충전된 조미료의 인출공(131)을 통한 인출시 나머지 다른 함실 내에 충전된 조미료가 인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100)의 사용상태로서, 조미료 용기(200)의 개방된 상부에 하부 캡(110) 하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소량, 중량, 대량 중 택일적인 조미료 양을 인출공(131)을 통해 인출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100)의 하부 캡(110) 하측이 조미료 용기(200)의 개방된 병목 상부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최초에 조미료 용기(200) 내부의 조미료가 하부 캡(110)의 연통공(111)을 거쳐 조미료 용기용 뚜껑(100)의 중앙조절 캡(120)에 형성된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 내부에 충전되도록 하부 캡(110)을 기준으로 중앙조절 캡(120) 또는 중앙조절 캡(120)과 상부 캡(130)을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 내부에 각각 대량, 중량, 소량의 조미료 양이 되도록 충전된 후에는 선택적으로 대량의 조미료 양을 인출공(131)을 통해 인출되도록 할 경우에, 1차적으로 상부 캡(130)의 인출공(131)이 하부 캡(110)의 연통공(111)이 형성된 반대영역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도록 상부 캡(130)을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위치시킨다.
이후, 중앙조절 캡(120)의 대량함실(125) 중앙 라인이 상기 상부 캡(130)의 인출공(131) 중앙과 일치하도록 중앙조절 캡(120)을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위치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대량함실(125) 내부에 기 충전된 일정량, 즉 상기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 내부에 충전된 조미료 양에 비하여 대량인 일정량의 조미료를 상기 상부 캡(130)의 개폐커버(133)를 회전개방시켜 상기 인출공(131)이 개방되어 상기 인출공(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과정을 시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대량함실(125) 내부에 충전된 대량으로서의 조미료를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중량함실(126) 및 소량함실(127) 내부에 충전된 중량 및 소량의 조미료를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하는 방법은 전술한 대량함실(125)의 경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되 선택적으로 중량함실(126) 또는 소량함실(127)의 중앙라인이 상기 상부 캡(130)의 인출공(131) 중앙과 일치하도록 중앙조절 캡(120)을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중량 또는 소량의 조미료를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미료 용기용 뚜껑에 의하면, 일 측에 연통공이 관통형성되어 조미료 용기의 개방된 상부에 하측이 결합되는 하부 캡, 대량함실, 중량함실, 소량함실이 구획되어 하부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중앙조절 캡 및 일 측에 인출공이 관통형성되어 인출공이 개폐커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중앙조절 캡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상부 캡을 포함함으로써 조리시 요구되는 조미료 양에 대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양인 대량, 중량, 소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더욱이, 하부 캡, 중앙조절 캡 및 상부 캡으로 구성되어 조리시 요구되는 조미료 양에 대하여 일정하게 정해진 양인 대량, 중량, 소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계량도구가 없이도 조리에 요구되는 조미료의 양을 조리시 요구되는 필요한 양만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인출시킴과 동시에 계량 성능을 구현시키면서 사용상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조미료 용기용 뚜껑
110: 하부 캡 111: 연통공
120: 중앙조절 캡 121: 제1격벽
122: 제2격벽 125: 대량함실
126: 중량함실 127: 소량함실
130: 상부 캡 131: 인출공
133: 개폐커버 133a: 개폐돌부
200: 조미료 용기

Claims (6)

  1. 조미료 용기(20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시킨 후 조미료 용기를 상, 하 반전시켜 조미료 용기(200) 내부의 조미료를 일정하게 정해진 대량, 중량, 소량 중 택일적으로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개방된 하측이 조미료 용기(200)의 개방된 상부에 하측이 결합되고, 상면 일 측에 연통공(11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연통공(111)을 통해 조미료 용기(200) 내부의 조미료가 외향 안내되도록 하는 하부 캡(110); 상, 하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하측이 상기 하부 캡(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내부공간이 제1격벽(121)을 통해 분할되는 반구 형상의 대량함실(125)과, 상기 대량함실(125)의 외측 공간에 대하여 제2격벽(122)을 통해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호형으로 분할되는 중량함실(126) 및 소량함실(127)의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한편, 상기 하부 캡(110)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을 통해 상기 하부 캡(110)의 연통공(111)과 선택적으로 상기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이 연통되면서 상기 하부 캡(110)의 연통공(111)을 거쳐 상기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 내에 조미료가 충전되는 중앙조절 캡(120); 및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상부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일 측 상면에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 내에 충전된 조미료 중 어느 한 함실 내부의 조미료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도록 인출 안내하는 인출공(131)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인출공(131)이 힌지구조로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이 회전되는 개폐커버(133)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상부 캡(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미료 용기용 뚜껑(100)에 있어서,
    상기 중앙조절 캡(120)은 상기 하부 캡(110) 및 상부 캡(130)에 대하여 회전을 위한 파지시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측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반구 형상의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 내에 충전된 조미료 중 어느 한 함실 내부의 조미료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 안내되는 상기 하부 캡(110)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조절 캡(120)과 상부 캡(130)의 회전위치가 식별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캡(110)은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하측이 결합되는 상측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으로서 상기 연통공(111)과 대향되는 측의 외면에 기준식별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조절 캡(120)은 상기 하부 캡(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측 외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대량함실(125), 중량함실(126), 소량함실(127)의 중앙부분에 대응되는 외면에 각각 상기 기준식별부와 선택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조절식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130)은 상기 인출공(131)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둘레면 상에 상기 조절식별부 중 어느 하나의 조절식별부가 선택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한 인출식별부가 형성되되,
    상기 기준식별부를 기준으로 상기 조절식별부 중 어느 하나의 조절식별부가 일치하는 경우에 걸림감이 있게 정지하면서 인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캡(110)의 기준식별부와 대응되는 상기 중앙조절 캡(120)과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상측의 외면에 걸림인지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상기 하부 캡(110)의 상측과 결합되는 하측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인지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림감이 있게 걸림 정지되면서 걸림상태가 인지되도록 하는 걸림인지홈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조절식별부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식별부가 일치하는 경우에 걸림감이 있게 정지하면서 인식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조절 캡(120)의 상기 상부 캡(130)의 하측과 결합되는 상측의 외면에 걸림인지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130)의 상기 중앙조절캡(120)의 상측과 결합되는 하측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인지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림감이 있게 걸림 정지되면서 걸림 상태가 인지되도록 하는 걸림인지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하부 캡(110)과, 중앙조절 캡(120) 및 상부 캡(130)은 상호 결합되는 부분이 단이 지게 일정길이 삽입구속되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되, 단이 지게 삽입되는 외면 부분이 상호 홈, 돌기 구조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용 뚜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23440A 2018-10-16 2018-10-16 조미료 용기용 뚜껑 KR102120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440A KR102120407B1 (ko) 2018-10-16 2018-10-16 조미료 용기용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440A KR102120407B1 (ko) 2018-10-16 2018-10-16 조미료 용기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815A KR20200042815A (ko) 2020-04-24
KR102120407B1 true KR102120407B1 (ko) 2020-06-08

Family

ID=7046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440A KR102120407B1 (ko) 2018-10-16 2018-10-16 조미료 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44498S1 (en) 2022-07-05 2024-10-01 Mccormick & Company, Inc. Receptacle li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626B1 (ko) * 2020-12-28 2023-04-2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보관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143A (ja) * 2002-09-30 2004-04-22 Yoshino Kogyosho Co Ltd 開閉蓋付き粉体容器
KR101628344B1 (ko) * 2014-08-18 2016-06-08 김우순 용기 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815Y1 (ko) 1984-05-10 1987-05-16 강용훈 조미료통의 뚜껑
JPH0872914A (ja) * 1994-09-01 1996-03-19 Freedom:Kk 粉状体計量装置
KR20030060595A (ko) * 2002-01-10 2003-07-16 황현덕 정용량 토출장치를 갖는 분말용기
KR101779456B1 (ko) 2015-12-30 2017-09-19 이지혜 조미료 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3143A (ja) * 2002-09-30 2004-04-22 Yoshino Kogyosho Co Ltd 開閉蓋付き粉体容器
KR101628344B1 (ko) * 2014-08-18 2016-06-08 김우순 용기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44498S1 (en) 2022-07-05 2024-10-01 Mccormick & Company, Inc. Receptacle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815A (ko)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310A (en) Container system for smoking components
US10364089B2 (en) Powder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4648512A (en) Portable cooler with side receptacle
US3323683A (en) Compartmented portable dispensing container
CA2210384C (en) Bottle holder
US10065774B1 (en) Powder container and method of use
KR102120407B1 (ko) 조미료 용기용 뚜껑
US6286731B1 (en) Sealed dispensing container
US20040026420A1 (en) Rotatable dispenser closure for use with a container
US20170210545A1 (en) Individual pill dispenser
CN106660666A (zh) 保存容器
US20220041345A1 (en) Container With Lid Opener
KR102043106B1 (ko) 회전식 용기
US4112542A (en) Auxiliary handle for plurality of carrying handles
US20130200766A1 (en) Supply pod dispens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446179Y1 (ko) 양념통 뚜껑
US4928970A (en) Bingo chip dispenser
KR101920743B1 (ko) 펠릿형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하는 상품용기
AU2015246004B2 (en) A cap with a closure assembly
CN108698737A (zh) 容器
KR200253694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US11730294B1 (en) Multiple chamber dispenser assembly
KR900009500Y1 (ko) 조미료 용기
US5758801A (en) Dispenser for free-flowing, fine granular, powdered or beaded substances
KR102369204B1 (ko)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