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694Y1 - 화장용 파우더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 파우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694Y1
KR200253694Y1 KR2020010014674U KR20010014674U KR200253694Y1 KR 200253694 Y1 KR200253694 Y1 KR 200253694Y1 KR 2020010014674 U KR2020010014674 U KR 2020010014674U KR 20010014674 U KR20010014674 U KR 20010014674U KR 200253694 Y1 KR200253694 Y1 KR 200253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ents
container
rotary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010014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694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용기의 내부에 균등 분할된 내부용기를 리필(Refill)을 위하여 분리 가능하게 내설하고, 내부용기의 회전캡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게 장착하여, 회전캡의 회전 각도에 따라 내부용기에 분할되어 채워진 서로 다른 종류의 파우더중 하나가 사용 가능하게 노출되거나, 또는 두 가지 파우더가 동시에 사용 가능하게 노출되도록 한 구조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 파우더 용기{Powder vessel for makeup}
본 고안은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종류의 파우더가 분할되어 채워진 용기를 분리 가능하게 내설시켜, 사용시에는 하나의 파우더만을 선택 사용하거나, 또는 두 가지 파우더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그 용도와 기능에 따라, 모양과 형상을 달리하며 다양하게 설계 제작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용기는 소비자의 구매 선호도를 고려하여, 디자인을 차별화시키고, 무엇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제품의 종류에 따라 독특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제작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외부용기의 내부에 균등 분할된 내부용기를 리필(Refill)을 위하여 분리 가능하게 내설하고, 내부용기의 회전캡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게 장착하여, 회전캡의 회전 각도에 따라 내부용기에 분할되어 채워진 서로 다른 종류의 파우더중 하나가 사용 가능하게 노출되거나, 또는 두 가지 파우더가 동시에 사용 가능하게 노출되도록 한 구조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있어서, 파우더가 채워지는 용기를 리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용기 12 : 분리용 손잡이부
14 : 공기배출구 16 : 나사산
20 : 내부용기 22 : 제1실
24 : 제2실 26 : 분할막
30 : 내용물 캡 32 : 제1내용물 인출구
34 : 제2내용물 인출구 36 : 위치고정단
38 : 스토퍼 40 : 회전캡
41 : 제1연통홀 42 : 제2연통홀
43 : 제3연통홀 44 : 제4연통홀
46 : 걸림단 48 : 핀
49 : 홈 50 : 내캡
60 : 외캡 100 : 화장용 파우더 용기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용기는:
상부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정 체적의 외부 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고, 서로 다른 내용물이 채워지도록 내부공간이 분할막(26)에 의하여 제1실(22)과 제2실(24)로 나누어진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의 상부 개방부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실(22)과 통하는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상기 제2실(24)과 통하는 제2내용물 인출구(34)가 상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내용물 캡(30)과;
상기 내용물 캡(30)의 바로 위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면에서 정확한 사방 위치중 세 곳의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제1, 제2, 제3 연통홀(41,42,4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3연통홀(43)의 바로 옆 위치에는 제4연통홀(44)이 더 형성된 구조의 회전캡(40)과;
상기 외부용기(10)의 나사산(16)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캡(40)의 상면쪽을마감하는 내캡(50)과;
상기 내캡(50)의 위에 안착되는 덮개형 외캡(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회전캡(40)의 총 회전 각도는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회전캡(40)을 45°회전시키면 회전캡(40)의 제2연통홀(42)과 상기 내용물 캡(30)의 제1내용물 인출구(32)가 서로 연통되고, 상기 회전캡(40)을 90°로 회전시키면 회전캡(40)의 제4연통홀(44)과 상기 내용물 캡(30)의 제2내용물 인출구(34)가 서로 연통되며, 상기 회전캡(40)을 135°로 회전시키면 회전캡(40)의 제1연통홀(41)이 상기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연통되는 동시에 회전캡(40)의 제3연통홀(43)이 상기 제2내용물 인출구(34)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캡(40)의 총 회전 각도를 135°로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내용물 캡(30)의 내경면 하단에 두 개의 스토퍼(38)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이 스토퍼(38)에 걸리게 되는 두 개의 걸림단(46)이 상기 회전캡(40)의 외경면 하단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캡(30)의 저면에는 상기 내부용기(20)의 분할막(26) 상단이 삽입되는 위치고정단(36)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캡(30) 상면 중앙에는 상기 회전캡(4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핀(48)이 삽입되는 홈(4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내부용기(20)와 내용물 캡(30)과 회전캡(40)이 서로 조립된 상태로 상기 외부용기(10)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10)의 외경면 상단에서 일정부위에 오목하게 된 분리용 손잡이부(12)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캡(40)을 위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된 상태의 내부용기(20)와 내용물 캡(30)과 회전캡(40)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는 외부용기를 나타낸다.
상기 외부용기(10)는 소정의 내부체적을 갖는 원형 용기로서, 상부 테두리에 나사산(16)이 형성되고, 일정 부위에는 나사산(16)의 높이보다 깊게 함몰된 분리용 손잡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용기(10)의 내부에는 내부용기(2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는 바, 상기 내부용기(20)의 내부공간은 서로 다른 내용물이 채워지도록 분할막(26)에 의하여 제1실(22)과 제2실(24)로 이등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20)의 제1실(22)과 제2실(24)에는 서로 다른 색채(하나는 연한색, 다른 하나는 짙은색)를 갖는 각각의 파우더가 균등 분할되어 채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용기(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내부용기(20)를 삽입 안착시 내부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공기배출구(14)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용기(20)의 상부 개방부에는 오목한 용기형상의 내용물 캡(30)이 삽입 결합되는 바, 상기 내용물 캡(30)의 상면에는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제2내용물 인출구(34)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제2내용물 인출구(34)는 다수의 작은 원형홀이 삼각형 면적 범위내에 배열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내부용기(20)에 상기 내용물 캡(30)을 결합시키게 되면, 내용물 캡(30)의 제1내용물 인출구(32)는 내부용기(20)의 제1실(22)과 연통하게 되고, 제2내용물 인출구(34)는 내부용기(20)의 제2실(24)과 연통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용물 캡(30)의 상면과 밀착되게 회전캡(4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내용물 캡(30) 상면 중앙에 형성된 홈(49)에 상기 회전캡(4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핀(48)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특히, 상기 회전캡(40)의 상면에는 정확한 사방 위치중 세 곳의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제1, 제2, 제3 연통홀(41,42,4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3연통홀(43)의 바로 옆 위치에는 제4연통홀(44)이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3,4연통홀(41,42,43,44)의 크기는 상기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제2내용물 인출구(34)의 삼각형 면적 범위와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캡(40)의 총회전각은 135°로 제한하게 되는데, 이 제한을 위하여 상기 회전캡(40)의 외경면 하단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두 개의 걸림단(46)이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또한 상기 내용물 캡(30)의 내경면 하단에는 두 개의 스토퍼(38)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캡(4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캡(40)의 걸림단(46)이 상기 내용물 캡(30)의 스토퍼(38)에 걸리게 됨에 되어, 결국 회전캡(40)의 총회전각은 135°로 용이하게 제한된다.
다른 구성으로서, 내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내캡(50)이 상기 외부용기(10)의 나사산(16)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캡(40)의 상면쪽을 마감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캡(50)의 위쪽에는 덮개형 외캡(60)이 안착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파우더 용기의 사용상태를 첨부한 도 3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100)에서 내캡(50)과 외캡(60)이 열려져 제거되어 있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도면 (a)는 회전캡(40)의 닫힘상태를 나타내고, 내용물 캡(30)의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제2내용물 인출구(34)는 회전캡(40)에 의하여 막혀져 있는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회전캡(40)의 걸림단(46)이 상기 내용물 캡(30)의 스토퍼(38)에 걸려서, 한쪽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도면 (b)는 상기 회전캡(40)을 45°로 회전시킨 상태로서, 회전캡(40)의 제2연통홀(42)이 상기 내용물 캡(30)의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연통되어지고, 그에따라 내부용기(20)의 제1실(22)에 채워져 있는 파우더가 상기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제2연통홀(4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결국 사용자가 상기 내부용기(20)의 제1실(22)내의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20)의 제2실(24)에는 제1실(22)의 파우더와 다른 종류의 파우더가 채워져 있는 바, 사용자가 제2실(24)의 파우더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면(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캡(40)을 90°로 회전시키면 된다.
즉, 상기 회전캡(40)을 90°로 회전시키면, 회전캡(40)의 제4연통홀(44)이 상기 내용물 캡(30)의 제2내용물 인출구(34)와 연통되어지고, 그에따라 상기 내부용기(20)의 제2실(24)에 채워져 있는 파우더는 상기 제2내용물 인출구(34)와 제4연통홀(44)을 통하여 노출되어, 결국 사용자는 제2실(24)내의 파우더를 선택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른 구현예로서, 사용자가 상기 내부용기(20)의 제1실(22) 및 제2실(24)내의 파우더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면 (d)와 같이 상기 회전캡(40)을 135°로 회전시키면 된다.
즉, 상기 회전캡(40)을 135°로 회전시키면, 회전캡(40)의 제1연통홀(41)이 상기 내용물 캡(30)의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연통되고, 동시에 회전캡(40)의 제3연통홀(43)은 상기 내용물 캡(30)의 제2내용물 인출구(34)와 연통된다.
그에따라, 상기 내부용기(20)의 제1실(22)에 채워진 파우더는 상기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제1연통홀(4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고, 또한 상기 내부용기(20)의 제2실(24)에 채워진 파우더는 상기 제2내용물 인출구(34)와 제3연통홀(4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회전캡(40)을 135°로 회전시킨 경우, 회전캡(40)의 걸림단(46)이 상기 내용물 캡(30)의 스토퍼(38)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20)내의 제1실(22)과 제2실(24)에 채워진 파우더를 모두 소모 사용한 경우, 첨부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필(refill)을 하게 되고, 이때의 리필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있는 상기 내부용기(20)와 내용물 캡(30)과 회전캡(40)을 교체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외부용기(10)의 외경면 상단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 분리용 손잡이부(12)를 통하여 상기 회전캡(40)을 위로 밀어 올려서, 조립된 상태의 내부용기(20)와 내용물 캡(30)과 회전캡(40)을 용이하게 분리시킨 후, 새로운 제품(파우더가 채워진 내부용기와 내용물 캡과 회전캡)을 외부용기(10)내로 다시 삽입 장착함으로써, 리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의하면, 두 가지 종류의 파우더중 하나만을 선택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두 가지 파우더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화장용 파우더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구매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파우더를 모두 소모한 후에는, 소비자가 리필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용기의 재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8)

  1. 상부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정 체적의 외부 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안착되고, 서로 다른 내용물이 채워지도록 내부공간이 분할막(26)에 의하여 제1실(22)과 제2실(24)로 나누어진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의 상부 개방부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제1실(22)과 통하는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상기 제2실(24)과 통하는 제2내용물 인출구(34)가 상면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 내용물 캡(30)과;
    상기 내용물 캡(30)의 바로 위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면에서 정확한 사방 위치중 세 곳의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제1, 제2, 제3 연통홀(41,42,4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3연통홀(43)의 바로 옆 위치에는 제4연통홀(44)이 더 형성된 구조의 회전캡(40)과;
    상기 외부용기(10)의 나사산(16)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캡(40)의 상면쪽을 마감하는 내캡(50)과;
    상기 내캡(50)의 위에 안착되는 덮개형 외캡(60)으로 구성된 것을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40)의 총 회전 각도는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40)을 45°회전시키면 회전캡(40)의 제2연통홀(42)과 상기 내용물 캡(30)의 제1내용물 인출구(32)가 서로 연통되고, 상기 회전캡(40)을 90°로 회전시키면 회전캡(40)의 제4연통홀(44)과 상기 내용물 캡(30)의 제2내용물 인출구(34)가 서로 연통되며, 상기 회전캡(40)을 135°로 회전시키면 회전캡(40)의 제1연통홀(41)이 상기 제1내용물 인출구(32)와 연통되는 동시에 회전캡(40)의 제3연통홀(43)이 상기 제2내용물 인출구(34)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40)의 총 회전 각도를 135°로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내용물 캡(30)의 내경면 하단에 두 개의 스토퍼(38)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이 스토퍼(38)에 걸리게 되는 두 개의 걸림단(46)이 상기 회전캡(40)의 외경면 하단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캡(30)의 저면에는 상기 내부용기(20)의 분할막(26) 상단이 삽입되는 위치고정단(36)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캡(30) 상면 중앙에는 상기 회전캡(40)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 핀(48)이 삽입되는 홈(4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20)와 내용물 캡(30)과 회전캡(40)이 서로 조립된 상태로 상기 외부용기(10)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10)의 외경면 상단에서 일정부위에 오목하게 된 분리용 손잡이부(12)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캡(40)을 위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된 상태의 내부용기(20)와 내용물 캡(30)과 회전캡(40)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20010014674U 2001-05-18 2001-05-18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253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674U KR200253694Y1 (ko) 2001-05-18 2001-05-18 화장용 파우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674U KR200253694Y1 (ko) 2001-05-18 2001-05-18 화장용 파우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694Y1 true KR200253694Y1 (ko) 2001-11-17

Family

ID=7310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674U KR200253694Y1 (ko) 2001-05-18 2001-05-18 화장용 파우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6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005B1 (ko) * 2006-03-02 2007-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구획 화장품 용기
KR20160002023U (ko) * 2014-12-03 2016-06-14 (주)아모레퍼시픽 서로 다른 함침부재를 갖는 이액 혼합 콤팩트 용기
WO2018221994A1 (ko) * 2017-05-31 2018-12-06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005B1 (ko) * 2006-03-02 2007-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구획 화장품 용기
KR20160002023U (ko) * 2014-12-03 2016-06-14 (주)아모레퍼시픽 서로 다른 함침부재를 갖는 이액 혼합 콤팩트 용기
KR200482302Y1 (ko) 2014-12-03 2017-01-10 (주)아모레퍼시픽 서로 다른 함침부재를 갖는 이액 혼합 콤팩트 용기
WO2018221994A1 (ko) * 2017-05-31 2018-12-06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WO2018221993A1 (ko) * 2017-05-31 2018-12-06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180003440U (ko) * 2017-05-31 2018-12-10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180003441U (ko) * 2017-05-31 2018-12-10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0489092Y1 (ko) * 2017-05-31 2019-04-29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0489432Y1 (ko) 2017-05-31 2019-06-18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515A (en) Multi-color lipstick case
US6341720B1 (en) Tri-closure dispensing top
KR20130090357A (ko) 비틀림 가능한 뚜껑을 가진 화장품 콤팩트
US6378735B1 (en) Device for obtaining contents in a container at desired quantity
KR200468340Y1 (ko) 슬라이딩 회전에 의해서 혼합되는 이액형 혼합 화장용기
KR20010082685A (ko) 밀봉식 분배 용기
US5779095A (en) Portable gumball dispenser
KR200253694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90000299A (ko) 화장품 케이스의 파우더 배출장치
CN209441937U (zh) 单手操作控量出料的卫生型瓶盖
KR200399930Y1 (ko) 페이스 파우더 용기
JP4911498B2 (ja) 複数の開口形態を選択できるキャップ
KR101199770B1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200390640Y1 (ko) 회전에 의한 절삭취출부를 갖는 립스틱 용기
KR200274568Y1 (ko) 파우더 콤팩트용 리필케이스 구조
JP4184048B2 (ja) 塗布栓
JP5501744B2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5477022B2 (ja) 替芯容器
CN217919401U (zh) 应用于储粉瓶的出粉机构和储粉瓶
KR102369204B1 (ko)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KR101787343B1 (ko) 회전 개폐형 다색 립메이크업 용기
JPH041096Y2 (ko)
CN210747809U (zh) 多色拼色粉盒
KR101765715B1 (ko) 다색의 겔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립글로즈 용기
JPH04277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