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204B1 -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 Google Patents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204B1
KR102369204B1 KR1020200048022A KR20200048022A KR102369204B1 KR 102369204 B1 KR102369204 B1 KR 102369204B1 KR 1020200048022 A KR1020200048022 A KR 1020200048022A KR 20200048022 A KR20200048022 A KR 20200048022A KR 102369204 B1 KR102369204 B1 KR 102369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le
bottle
bottle cap
chamber
chamb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914A (ko
Inventor
조성주
임도균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20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9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e.g. a valve, opening an aperture of the auxiliary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병 또는 텀블러 등의 상단에 결합되어 필요 시 내용물 저장 공간이 상기 병 또는 텀블러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는 병뚜껑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Bottle cap with storage space for contents}
제안기술은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병 또는 텀블러 등의 상단에 결합되어 필요 시 내용물 저장 공간이 상기 병 또는 텀블러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는 병뚜껑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운동 후 먹게 되는 프로틴 등의 근육강화제는 물에 타서 먹게 되는데, 이때 물이 들어있는 물병과 프로틴이 들어있는 프로틴 통을 별도로 구비하여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65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물병의 병뚜껑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여 물병과 프로틴 등의 내용물이 들어있는 통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가루 또는 잎차 형태로 보관하게 되는 커피, 차 등을 물병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챔버부; 및
주입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병에 대한 상기 챔버부의 회전에 의해 병의 내부와 챔버부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병의 병뚜껑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여 물병과 프로틴 등의 내용물이 들어있는 통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루 또는 잎차 형태로 보관하게 되는 커피, 차 등을 물병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챔버부의 상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의 상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챔버부와 결합부의 결합 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챔버부의 내부와 병의 내부 연통 시 병뚜껑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챔버부의 내부와 병의 내부 차단 시 병뚜껑의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병 또는 텀블러 등의 상단에 결합되어 필요 시 내용물 저장 공간이 상기 병 또는 텀블러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는 병뚜껑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플라스틱 물병 또는 텀블러 등의 주입부(4)와 회전으로 개폐되는 본 발명의 병뚜껑은,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챔버부(6)와, 상기 주입부(4)에 결합되는 결합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챔버부의 상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챔버부(6)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부(6)에는 저장 용량을 알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다.
상기 챔버부(6)의 상단은 개방되어 상기 챔버부(6)의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내용물의 유입구가 된다. 상기 챔버부(6)의 상단에는 덮개부(24)가 결합되어 상기 챔버부(6)의 상단을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에는 제1연통홀(8)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통홀(8)은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홀(8)이 복수 개일 때, 복수 개의 상기 제1연통홀(8)은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의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의 외측면에서 상기 제1연통홀(8)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반원의 단면을 갖도록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의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의 외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로드부(10)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부(10)의 하단에는 플레이트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부(10)와 상기 플레이트부(12)는 동축인 것으로, 상기 로드부(10)의 하단은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상면 중앙부에 연결된다.
상기 플레이트부(12)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2연통홀(14)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통홀(14)은 상기 플레이트부(12)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홀(14)이 복수 개일 때, 복수 개의 상기 제2연통홀(14)은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중앙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연통홀(8)과 상기 제2연통홀(14)은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의 상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챔버부(6)의 하단에는 상기 주입부(4)와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6)는 하단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단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홀(18)과, 상기 중앙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연통홀(20)과, 내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부(4)의 외경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16)와 상기 챔버부(6)는 3D 프린터 또는 사출 금형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16)의 중앙홀(18)에는 상기 로드부(10)가 삽입되며, 상기 결합부(16)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플레이트부(12)가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면과 상기 결합부(16)의 상단면의 하면이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6)의 상단면의 하면과 상기 플레이트부(12)의 상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결합부(16)의 상단면의 상면과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의 외측면 또한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플레이트부(12)는 상기 결합부(16)의 단면형상 및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부(12)는 상기 결합부(16)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의 직경은 상기 결합부(16)의 외경과 동일하다.
상기 결합부(16)의 중앙홀(18)의 직경은 상기 로드부(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로드부(10)가 상기 중앙홀(18)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중앙홀(18)의 내경면과 상기 로드부(10)의 외경면은 서로 밀착되지 않는다.
즉, 상기 결합부(16)와 상기 챔버부(6)는 일체로 형성되지만, 상기 결합부(16)는 상기 로드부(10)를 회전축으로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16)와 상기 챔버부(6)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결합부(16)의 상단면의 상면에서 상기 제3연통홀(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반원의 단면을 갖도록 파여진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면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홀(18)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오목부는 상기 돌출부의 개수와 동일하며, 어느 하나의 상기 돌출부와어느 하나의 상기 오목부는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일 때, 상기 결합부와 상기 챔버부(6)는 서로 고정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탈거된 상태일 때, 상기 결합부와 상기 챔버부(6)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3연통홀(20)은 상기 제1연통홀(8) 및 상기 제2연통홀(14)과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연통홀(20)은 상기 결합부의 상단면 둘레방향으로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연통홀(20)이 복수 개일 때, 복수 개의 상기 제3연통홀(20)은 상기 중앙홀(18)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연통홀(8), 상기 제2연통홀(14) 및 상기 제3연통홀(20)은 서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통홀(8)이 복수 개일 때 상기 제1연통홀(8) 사이의 이격 각도는 상기 제2연통홀(14)이 복수 개일 때 상기 제2연통홀(14) 사이의 이격 각도 및 상기 제3연통홀(20)이 복수 개일 때 상기 제3연통홀(20) 사이의 이격 각도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형성되는 상기 병뚜껑은, 상기 병(2)에 결합된 상기 결합부(16)에 대한 상기 챔버부(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병(2)의 내부와 상기 챔버부(6)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챔버부와 결합부의 결합 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병(2)의 주입부(4)에 상기 결합부가 결합될 때, 상기 제3연통홀(20)은 상기 제1연통홀(8) 및 상기 제2연통홀(14)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상기 주입부(4)를 삽입하여 상기 주입부(4)에 대해 상기 결합부(16)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병뚜껑과 상기 병(2)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챔버부(6)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된 돌기부에 의해 상기 결합부(16)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상기 결합부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챔버부의 내부와 병의 내부 연통 시 병뚜껑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챔버부의 내부와 병의 내부 차단 시 병뚜껑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이 결합된 물병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이 폐쇄되어 상기 병(2)의 내부와 상기 챔버부(6)의 내부가 서로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병(2)의 내부와 상기 챔버부(6)의 내부 연통은 상기 로드부(1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챔버부(6)의 회전에 의해 진행된다. 상기 로드부(10)는 상기 챔버부(6)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된다.
상기 챔버부(6)의 하단면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부(1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회전하는 상기 챔버부(6)에 의해 상기 제1연통홀(8) 및 상기 제2연통홀(14)이 상기 제3연통홀(20)과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쳐져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챔버부(6)의 회전을 위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돌기부는 상기 오목부로부터 탈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병(2)의 내부와 상기 챔버부(6)의 내부는 서로 연통되며, 상기 내용물은 상기 제1연통홀(8), 상기 제3연통홀(20), 상기 제2연통홀(14)을 차례로 지나쳐 상기 병(2)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병(2)의 내부와 상기 챔버부(6)의 내부를 다시 차단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로드부(10)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챔버부(6)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챔버부(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3연통홀(20)은 상기 제1연통홀(8) 및 상기 제2연통홀(14)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으며, 서로 겹쳐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챔버부(6)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챔버부(6)는 상기 결합부(16)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상기 챔버부(6)는 상기 결합부(16)에 대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제3연통홀(20)이 상기 챔버부(6)의 둘레방향으로 어느 하나의 제1연통홀(8)과 다른 하나의 제1연통홀(8)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병(2)의 내부와 상기 챔버부(6)의 내부를 차단시키게 되며, 상기 챔버부(6) 내부의 상기 내용물은 상기 병(2)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 병
4 : 주입부
6 : 챔버부
8 : 제1연통홀
10 : 로드부
12 : 플레이트부
14 : 제2연통홀
16 : 결합부
18 : 중앙홀
20 : 제3연통홀
22 : 나사부
24 : 덮개부

Claims (14)

  1. 병의 주입부와 회전으로 개폐되는 병뚜껑에 있어서,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챔버부; 및
    상기 주입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병에 대한 상기 챔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병의 내부와 상기 챔버부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되며,
    상기 챔버부의 상단은 개방되며, 하단면에는 제1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부의 하단면의 외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챔버부의 하단면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로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부의 하단에는 상기 로드부와 동축인 플레이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제2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제2연통홀은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하단에는 상기 주입부와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하단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인 것으로,
    상기 결합부의 상단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앙홀;
    상기 중앙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연통홀;
    상기 결합부의 내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부의 외경면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홀에는 상기 로드부가 삽입되며, 상기 결합부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플레이트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로드부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통홀 상기 제1연통홀 및 상기 제2연통홀과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의 내부와 상기 챔버부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는 경우, 상기 제3연통홀과 상기 제1연통홀 및 상기 제2연통홀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의 내부와 상기 챔버부의 내부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3연통홀은 상기 챔버부의 둘레방향으로 어느 하나의 제1연통홀과 다른 하나의 제1연통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상단에는 상기 챔버부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덮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KR1020200048022A 2020-04-21 2020-04-21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KR102369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022A KR102369204B1 (ko) 2020-04-21 2020-04-21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022A KR102369204B1 (ko) 2020-04-21 2020-04-21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914A KR20210129914A (ko) 2021-10-29
KR102369204B1 true KR102369204B1 (ko) 2022-02-28

Family

ID=7823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022A KR102369204B1 (ko) 2020-04-21 2020-04-21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20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585A (ko) * 2012-12-26 2014-07-04 이준우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
KR20150116543A (ko) 2014-04-07 2015-10-16 지승광 음료수와 영양제 및 엑기스를 함께 보관 이용할 수 있는 용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914A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203B1 (ko)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KR200468340Y1 (ko) 슬라이딩 회전에 의해서 혼합되는 이액형 혼합 화장용기
KR102369204B1 (ko) 내용물 저장 공간이 형성된 병뚜껑
WO2006126832A1 (en) Container with a web-shaped containing member between container body and lid
US10947019B2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US9848685B2 (en) Tubular case for cosmetics
KR102053626B1 (ko) 콤팩트 용기
KR102043106B1 (ko) 회전식 용기
JP4911498B2 (ja) 複数の開口形態を選択できるキャップ
JP6510825B2 (ja) キャップ
EP2841885B1 (en) Dosing device
KR20210090858A (ko) 분말의 혼합이 가능한 음료병
JP7446691B2 (ja) パウダー容器
KR200253694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337707Y1 (ko) 페트병의 보관케이스
KR101839611B1 (ko) 원터치캡
KR200433650Y1 (ko) 분할용기 조립체
JP6160992B2 (ja) 計量器付き注出ノズル
CN218527672U (zh) 一种滤棒存储装置
JP5026952B2 (ja) 計量キャップ
JP2018002173A (ja) 吐出キャップ
JP2021024594A (ja) 定量吐出キャップ
JP2020196476A (ja) 容器
JP2021024595A (ja) 定量吐出キャップ
JP4326725B2 (ja) キー差込み式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