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203B1 -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 Google Patents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203B1
KR100920203B1 KR1020090035897A KR20090035897A KR100920203B1 KR 100920203 B1 KR100920203 B1 KR 100920203B1 KR 1020090035897 A KR1020090035897 A KR 1020090035897A KR 20090035897 A KR20090035897 A KR 20090035897A KR 100920203 B1 KR100920203 B1 KR 100920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ousing
discharge
container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성
Original Assignee
노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성 filed Critical 노재성
Priority to KR102009003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203B1/ko
Priority to US12/630,517 priority patent/US20100270333A1/en
Priority to JP2009287659A priority patent/JP2010253244A/ja
Priority to FR0906301A priority patent/FR2944779A1/fr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operated by rotary va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4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운동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분말을 외부로 공급하는 회전식 분말공급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기 내부에 수용된 분말의 배출량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배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분말이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되어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분말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구비한 배출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 운동에 의해 하우징에 수용된 분말을 상기 배출판의 배출공으로 공급하는 회전식 분말공급수단과, 그리고
상기 분말공급수단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분말, 파우더, 배출량, 조절, 회전, 공급, 용기

Description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A POWDER CASE CAPABLE OF REGULARING DISCHARGE AMOUNT OF THE POWDER}
본 발명은 파우더 화장품 또는 분말 조미료 등 분말 형태로 된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분말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 운동에 의해 용기에 수용된 분말을 외부로 공급하는 회전식 분말공급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기 내부에 수용된 분말의 배출량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배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이 사용하는 화장품으로는 로션 등과 같은 액상의 화장품, 스펀지 등으로 묻혀 사용하는 고형상의 화장품, 그리고 조금씩 뿌리거나 묻혀서 사용하는 파우더형 화장품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파우더형 화장품의 기본적인 구조는, 파우더가 수용된 용기에 파 우더가 배출되기 위한 미세한 통공이 다수 형성된 중간판을 위치시키고, 그리고 상기 중간판 위로는 통공을 통해 배출된 파우더를 묻혀져 사용자의 피부에 바를 수 있는 퍼프가 위치되는 구조를 들 수 있는데,
이의 사용은 사용자가 퍼프로 배출공을 막은 상태에서 용기를 거꾸로 들어 용기 저면부를 타격함으로 인해 파우더를 퍼프쪽으로 배출시켜 사용을 하게 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화장품은 구조로는 가장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배출되는 파우더의 량을 용기 저면을 두드리는 강도와 횟수가 아니고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을 할 수 없다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는 제품이다.
또한 커버를 열게 되면 용기 타격으로 인해 압력을 받은 파우더가 뿜어져나와 주변이 지저분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용기를 타격하여 파우더를 배출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소위 펌핑방식으로 파우더를 배출공으로 배출시키는 방식들이 개시되고 있는데,
등록특허 제10-647455호(2006.11.13 등록)『화장품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 등록실용신안 제20-0424791호(2006.08.21 등록)『화장품 용기의 파우더 배출구조』, 등록실용신안 제20-0430573호(2006.11.01 등록)『파우더형 펌핑구조』, 등록실용신안 제20-0402608호(2005.11.28 등록) 『파우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파우더 용기』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펌핑방식을 도입하여 용기에 수용된 파우더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하는 구조들인 것으로, 용기 저면부를 단순히 타격하여 파우더를 배출하는 기본적인 구조의 용기보다 사용이 간편해지고 배출되는 파우더의 량을 정교하지는 않으나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는 장점을 가진 구조들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방식의 구조에 비하면, 상기 기술들의 펌핑방식은 파우더의 배출량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파우더의 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용기에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펌핑시켜 파우더를 배출시켜야만 한다는 한계가 있으며,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펌핑을 시켜야 하는 구조이기에 배출되는 량이 얼마 정도가 되는지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면서 파우더를 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 기술들이다.
또한 파우더형 화장품에 제한을 두지 않고 분말형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 선행될 수 있는 기술을 언급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20-0235199호(2001.06.11 등록)『분말공급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235199호는 분유, 고춧가루, 설탕, 소금 등 분말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장치인 것으로, 분말저장용기에 결속되어진 하우징 내에 삽입된 유량조절을 위한 원구형 볼은 일정한 폭의 공간부와 막힘부가 성형되어 힌지샤프트에 의해 결속되고 하우징 외부 일측에 원구형 볼을 단계별로 회전하도록 힌지샤프트에 고정된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필요한 양만큼 공급할 수 있어 부족한 양을 조금씩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분말공급장치는 회전방식을 도입하여 분말의 배출 량을 조절한다는 개념은 본원 발명과 관련된 면이 있으나,
그 구체적인 구조 및 이로 인한 효과에 있어 본원발명과는 상이한 차이를 보이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화장품 용기의 펑핌 구조에서 벗어나 회전 운동에 의해 분말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출량 조절이 용이하고 배출 작업이 정교한 분말용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타격을 하거나 펌핑하는 구조가 아니기에 외부로 분말 배출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분말이 뿜어져 나와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분말용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분말의 배출에 있어서 용기를 뒤집지 않고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배출되는 량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량만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분말용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말용 용기는,
분말이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되어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분말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구비한 배출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 운동에 의해 하우징에 수용된 분말을 상기 배출판의 배출공으로 공급하는 회전식 분말공급수단과, 그리고
상기 분말공급수단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분말공급수단은 상기 회전안내수단과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 분말공급부로 구성되고,
상기 분말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분말을 적재하여 상기 배출공으로 공급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상기 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는 용이한 분말 공급을 위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전안내수단을 돌리면 이와 연결된 회전식 분말공급수단이 회전되면서 용기 내 수용되어 있는 분말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또한 이는 용기를 뒤집거나 용기 내 수용된 펑핑구조에 타격을 주어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어서 분말 배출시 용기를 뒤집어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그렇기에 사용자는 눈으로 직접 배출되는 량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양만큼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물론 분말 배출시, 분말이 원하지 않는 순간에 뿜어져나와 주변으로 흩어져 지저분해진다는 문제 또한 해결하게 되었으며,
종국적으로는 분말의 배출량 조절이 보다 정교해지고 용이해져 사용상 편의 성이 증진된 분말용 용기를 얻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 용기를 파우더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에 한정을 하여 설명하지만,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파우더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에만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분말 형태를 수용하는 용기에 포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파우더는 분말과 동일한 의미로 지칭되는 용어임을 알린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분말용 용기 즉, 파우더 화장품 용기는
파우더가 수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에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시키는 커버(20)가 힌지결합되어 외형을 이루고,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파우더가 배출되는 배출공(30a)을 구비한 배출판(30)과, 회전 운동에 의해 파우더를 상기 배출관의 배출공(30a)으로 공급하는 회전식 분말공급수단(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식 분말공급수단(40)과 결합되어 이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수단(50)이 구비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판(30)은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단턱(10a)에 걸쳐지는 것으로 저면과 옆면으로 이루어진 즉, 높이가 낮은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단턱에 걸쳐지는 구조이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뺏다 꽂았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판(30)에는 파우더가 배출되는 배출공(3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공은 배출판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출공은 배출판에 돌출 형성되지 않고 단순한 통공 형상으로도 형성이 가능하고 배출판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지만 가장 바람직한 구조는 배출판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후술하겠으나 회전식 분말공급수단(40)에 의해 퍼올려진 파우더가 상기 배출공(30a)으로 용이하게 공급되어지도록 하기 위함일 뿐만이 아니라
사용 후 하우징(10)과 커버(20)와의 결합시 배출판(30)에는 퍼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배출판 상면에 퍼프를 위치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내지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퍼프를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퍼우더 화장품 용기 사용 후 상기 배출공(30a)으로 파우더가 수시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버(20)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30a)을 폐쇄시킬 수 있는 마개부(25)가 더 구비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배출공(30a)이 배출판(30) 상면으로 돌출 형성되지 않고 저면으로 돌출형성되어야만 배출공(30a)에 대한 마개부(25)의 삽입 내지 가림 즉, 폐쇄 작업이 보다 정확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배출공(30a)은 배출판(30)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회전식 분말공급수단(40)과 이와 연결되어 회전식 분말공급수단의 회전을 가능케하는 회전안내수단(50)을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회전식 분말공급수단(40)은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 분말공급부(42)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분말공급부(42)는 하우징에 수용된 파우더를 적재하여 배출공(30a)으로 공급하는 헤드부(42a)와, 상기 헤드부(42a)를 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연결부(42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축(41)은 회전안내수단(50)과 체결되어
사용자가 회전안내수단(50)을 돌리게 되면, 이와 체결된 회전축(41)이 회전되면서 함께 회전되는 헤드부(42a)에 파우더가 적재되고, 적재된 파우더는 배출공(30a)을 지나면서 배출공을 통해 배출판(30)으로 파우더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42a)는 파우더를 적재할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을 가진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헤드부를 사각형상으로 도 시하였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헤드부는 용기 저면과 수평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회전 운동을 하면서 파우더의 적재를 보다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고, 적재된 파우더를 상기 배출공으로 수월하게 삽입시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헤드부(42a)는 파우더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아래로 함물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회전축(41)과 회전안내수단(50)의 체결은 암수결합의 억지끼움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암수결합의 억지끼움의 구체적인 방식은 다양하게 고려될 수 있다.
그 중 일실시예로 도시된 구조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결부(42b)가 연결된 반대편의 회전축(41)의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이고, 내주면에는 체결돌기(41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돌기(41a)가 회전안내수단(50)과 결합된다.
한편, 회전안내수단(50)은 상기 체결돌기(41a)가 삽입되는 체결홈(51a)이 형성된 체결축(51)과 상기 체결축(51)과 연결되어 하우징(10)의 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52)로 이루어진다.
즉, 회전식 분말공급수단(40)과 회전안내수단(50)을 결합시킴에 있어 사용자는 상기 회전식 분말공급수단(40)의 회전축(41)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돌기(41a)를 회전안내수단(50)의 체결축(51)에 형성된 체결홈(51a)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방식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회전식 분말공급수단(40)은 회전안내수단(50)과 일체되어 회전안내수단(50)이 회전되면 헛돌지 않고 함께 회전이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회전축과 회전안내수단의 체결방식을 특정된 구조에 한정을 하여 설명을 하였으나, 이러한 암수결합의 억지끼움 방식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하우징(10)과 힌지결합되어 있는 커버(20)의 저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 후 하우징(10)과 커버(20)의 결합시 배출공(30a)을 폐쇄시킬 수 있는 마개부(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30a)에 대한 마개부(25)의 폐쇄방식은 배출공에 삽입되는 형태 또는 배출공을 단순히 가리는 정도의 형태 어느 방식이든 상관없다.
다만, 배출공에 삽입되어 배출공을 폐쇄시키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에 있어서 는 상기 배출공(30a)은 배출판(30)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다.
따라서 파우더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커버를 닫은 상태로 화장품 용기를 거꾸로 뒤집어 용기 저면을 타격하거나 펌핑 방식으로 파우더를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를 열고 하우징 아래의 회전안내수단(50)을 돌리게 되면, 회전식 분말공급수단(40)이 회전되면서 헤드부(42a)에 파우더가 적재되고 적재된 파우더는 회전식 분말공급수단(40)의 회전 중 배출공(30a)을 통해 배출판(30)으로 배출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과정은, 커버(20)를 열고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파우더 배출량을 확인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사용자는 보다 정교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량의 파우더만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분말용 용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각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커버 25: 마개부
30: 배출판 30a: 배출공 40: 회전식 분말공급수단
41: 회전축 42: 분말공급부 42a: 헤드부 42b: 연결부
50: 회전안내수단 51: 체결축 52: 베이스부

Claims (4)

  1. 분말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힌지결합되어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시키는 커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분말이 배출되는 배출공을 구비한 배출판: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 운동에 의해 하우징에 수용된 분말을 상기 배출판의 배출공으로 공급하는 회전식 분말공급수단: 및
    상기 분말공급수단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식 분말공급수단은 상기 회전안내수단과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 분말공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분말을 적재하여 상기 배출공으로 공급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상기 회전축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는 용이한 분말 공급을 위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저면에는 상기 배출판의 배출공을 폐쇄시키기 위한 마개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KR1020090035897A 2009-04-24 2009-04-24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KR100920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897A KR100920203B1 (ko) 2009-04-24 2009-04-24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US12/630,517 US20100270333A1 (en) 2009-04-24 2009-12-03 Powder container capable of controlling amount of discharged powder
JP2009287659A JP2010253244A (ja) 2009-04-24 2009-12-18 排出量調節が容易な粉末用容器
FR0906301A FR2944779A1 (fr) 2009-04-24 2009-12-23 Recipient a poudre permettant de controler la quantite de poudre evacu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897A KR100920203B1 (ko) 2009-04-24 2009-04-24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203B1 true KR100920203B1 (ko) 2009-10-06

Family

ID=4157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897A KR100920203B1 (ko) 2009-04-24 2009-04-24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270333A1 (ko)
JP (1) JP2010253244A (ko)
KR (1) KR100920203B1 (ko)
FR (1) FR294477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14Y1 (ko) 2011-06-08 2013-01-15 (주)아모레퍼시픽 수동식 쉐이크 용기
KR101283123B1 (ko) 2012-12-13 2013-07-05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KR200469857Y1 (ko) * 2012-02-20 2013-11-13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혼합 용기
KR200479316Y1 (ko) 2014-07-14 2016-01-25 펌텍코리아(주) 구조가 단순하고 퍼올림부재가 형성된 배출펌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30111828A (ko) 2022-01-19 2023-07-26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선택적 로테이션을 통한 토출 조절이 가능한 토출 챔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21Y1 (ko) 2009-12-09 2012-03-28 박성주 약물용기용 캡
EP2463211A1 (en) * 2010-12-09 2012-06-13 Albéa Services Container for delivering a fragile or sensitive product
KR200462899Y1 (ko) 2011-01-05 2012-10-10 주식회사 정민 회전 개폐식 퍼프 일체형 파우더 용기
JP6506960B2 (ja) * 2014-12-12 2019-04-24 紀伊産業株式会社 パウダー容器
JP6733083B2 (ja) * 2016-03-01 2020-07-29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容器及び化粧料容器の製造方法
CN107362047B (zh) * 2017-08-25 2023-02-17 七次方家用电器(上海)有限公司 分料机构
JP7438628B2 (ja) 2020-05-12 2024-02-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パウダー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727A (ja) 1997-12-08 1999-06-22 Shiseido Co Ltd 化粧料容器
KR200400078Y1 (ko) * 2005-08-23 2005-11-01 (주)연우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02650Y1 (ko) 2005-09-15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인상 (引上)이 가능한 용기
US20080251096A1 (en) 2007-04-16 2008-10-16 Serena Eng Cosmetic compac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97516C (de) * 1928-08-14 1930-05-09 Elly Levy Geb Paschek Dose fuer losen Puder
GB9828332D0 (en) * 1998-12-23 1999-02-17 Crown Cork & Seal Tech Corp Cosmetic compa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727A (ja) 1997-12-08 1999-06-22 Shiseido Co Ltd 化粧料容器
KR200400078Y1 (ko) * 2005-08-23 2005-11-01 (주)연우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02650Y1 (ko) 2005-09-15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인상 (引上)이 가능한 용기
US20080251096A1 (en) 2007-04-16 2008-10-16 Serena Eng Cosmetic compac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14Y1 (ko) 2011-06-08 2013-01-15 (주)아모레퍼시픽 수동식 쉐이크 용기
KR200469857Y1 (ko) * 2012-02-20 2013-11-13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283123B1 (ko) 2012-12-13 2013-07-05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WO2014092261A1 (ko) * 2012-12-13 2014-06-19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KR200479316Y1 (ko) 2014-07-14 2016-01-25 펌텍코리아(주) 구조가 단순하고 퍼올림부재가 형성된 배출펌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30111828A (ko) 2022-01-19 2023-07-26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선택적 로테이션을 통한 토출 조절이 가능한 토출 챔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44779A1 (fr) 2010-10-29
JP2010253244A (ja) 2010-11-11
US20100270333A1 (en)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203B1 (ko)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EP3117737A1 (en) Rotary open/close-type tube container
US9894980B2 (en) Rotary-push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559078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0602426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JP6431544B2 (ja) パウダー吐出容器
KR101446762B1 (ko) 화장품 용기
EP3040289A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same
KR10129657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US20170303662A1 (en) Cosmetic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melted outside
KR20090000177U (ko) 화장용브러쉬
KR200459837Y1 (ko) 화장품 용기
KR100886456B1 (ko) 화장품 케이스의 파우더 배출장치
KR200385928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020774B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약제통
KR101387379B1 (ko) 화장품 용기
KR102031115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EP2463211A1 (en) Container for delivering a fragile or sensitive product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101451766B1 (ko) 화장용 브러시
KR20120034864A (ko) 회전개폐형 브러쉬 튜브용기
JP2012126415A (ja) ヒンジキャップのヒンジ構造
KR101646641B1 (ko)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료용 튜브용기
KR200477973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