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179Y1 - 양념통 뚜껑 - Google Patents

양념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179Y1
KR200446179Y1 KR2020090002977U KR20090002977U KR200446179Y1 KR 200446179 Y1 KR200446179 Y1 KR 200446179Y1 KR 2020090002977 U KR2020090002977 U KR 2020090002977U KR 20090002977 U KR20090002977 U KR 20090002977U KR 200446179 Y1 KR200446179 Y1 KR 200446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ver body
outlet
guid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혜
Original Assignee
박영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혜 filed Critical 박영혜
Priority to KR2020090002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tub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금, 고추가루, 후추 등의 가루 형태의 양념을 저장하고 활용하기에 적합한 양념통 뚜껑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 적당한 양만큼을 조절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창의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배출구를 별도로 형성하고, 커버체에서 돌출되는 회동가이드촉이 뚜껑의 가이드공에 끼워져 회동가이드촉을 축으로 커버체가 회전하면서 배출구의 크기를 선택하여 가루 양념의 조절된 투입을 제어하되, 중요하게는 커버체의 측면으로 투입을 하는 양념통 뚜껑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배출창의 정확한 개폐를 위해서 일정한 각도로 대응되게 배열되는 뚜껑의 스톱퍼돌기와 커버체의 스톱퍼홈을 형성하여 커버체의 회전시 스톱퍼돌기가 스톱퍼홈에 삽입되는 클릭감으로 배출구의 용이한 선택을 조절하는 양념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상판면, 뚜껑, 커버체, 체결부, 배출창, 배출구, 스톱퍼홈, 스톱퍼돌기

Description

양념통 뚜껑{VESSEL COVER}
본 고안은 소금, 고추가루, 후추 등의 가루 형태의 양념을 저장하고 활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양념통 뚜껑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 적당한 양만큼을 조절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창의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배출구를 별도로 형성하고, 커버체에서 돌출되는 회동가이드촉이 뚜껑의 가이드공에 끼워져 회동가이드촉을 축으로 커버체가 회전하면서 배출구의 크기를 선택하여 가루 양념의 조절된 투입을 제어하되, 중요하게는 커버체의 측면으로 투입을 하는 양념통 뚜껑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배출창의 정확한 개폐를 위해서 일정한 각도로 대응되게 배열되는 뚜껑의 스톱퍼돌기와 커버체의 스톱퍼홈을 형성하여 커버체의 회전시 스톱퍼돌기가 스톱퍼홈에 삽입되는 클릭감으로 배출구의 용이한 선택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양념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념통은 가루형태의 양념통과 액상의 양념통이 존재한다. 가루 형태로 존재하는 양념통은 고추가루, 소금, 설탕, 후추가루 등의 양념을 저장하는 것으로, 음식을 조리할 때 이들 양념을 적당량 투입할 수 있도록 배출구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반하여 액상의 양념통은 간장이나 참기름 등의 양념을 보관하기도 하지만 음식물을 조리할 때 적당한 양만큼 흘려 보낼 수 있는 가루 양념의 배출구와는 다른 형태의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고안은 이중에서 가루 형태의 양념통에 적합한 뚜껑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본 고안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해 종래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등록 제10-0811087호)된 가루 형태의 양념통의 구성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들어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양념통은, 용기(3) 위에 복수의 작은 통공(4)과 하나의 큰 통공(5)이 형성된 토출캡을 덮는 제 1, 2 뚜껑(1,2)으로 용기를 구성하는데, 토출캡(14)의 상부 앞쪽에는 돌출림(15)을 형성시키고, 제 1, 2 뚜껑(1,2) 사이에는 돌출림(15)과 결합되는 보호판(11)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보호판(11)에는 림홈(16)을 형성시켜 돌출림(15)과 결합 가능하게 구성한다. 보호판(11)은 제 2 뚜껑(2)의 선단 측부에서 제 1 뚜껑(1)의 선단측부까지 연결되고, 제 1 뚜껑(1)은 연결부(19)로 연결된다. 제 1, 2 뚜껑(1,2)의 앞쪽에 형성된 고정대(18)에는 돌기(17)를 형성하여 토출캡(14)과의 결합과 해체에 의해 제 1, 2 뚜껑(1,2)의 닫힘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양념통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구성이 복잡하고 양념을 배출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뚜껑(1, 2)을 개방하도록 되어있어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양념통을 사용하기 위해 항상 뚜껑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양념 투입을 위해 제 1 뚜껑(1)과 제 2 뚜껑(2)의 개방을 별개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작은 구멍을 사용하려면 제 1 뚜껑(2)을 개방해야 하고, 큰 구멍을 사용하려면 제 2 뚜껑(2)을 별개로 개방해야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소금, 고추가루, 후추 등의 가루 형태의 양념을 저장하고 활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양념통 뚜껑에 관한 것으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 적당한 양만큼을 조절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창의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배출구를 별도로 형성하고, 커버체에서 돌출되는 회동가이드촉이 뚜껑의 가이드공에 끼워져 회동가이드촉을 축으로 커버체가 회전하면서 배출구의 크기를 선택하여 가루 양념의 조절된 투입을 제어하되, 중요하게는 커버체의 측면으로 투입을 하는 양념통 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배출창의 정확한 개폐를 위해서 일정한 각도로 대응되게 배열되는 뚜껑의 스톱퍼돌기와 커버체의 스톱퍼홈을 형성하여 커버체의 회전시 스톱퍼돌기가 스톱퍼홈에 삽입되는 클릭감으로 배출구의 용이한 선택을 조절하는 양념통 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은, 상부가 개방된 다양한 형상의 양념통(50) 상부와 결합되는 체결부(11)와, 체결부(11) 상부로 수직하게 형성하되 50 내지 80°간격을 두고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와 측면의 일부를 관통한 3개의 배출구(12)가 형성된 상판면(13)을 가진 뚜껑(10); 뚜껑(10)의 상판면(13) 외주면을 포함하는 지름으로 상부가 폐쇄된 상면(24)을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배출구(12)에 대응되 는 배출창(21)과, 몸체(23)의 측면 외곽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다수의 손잡이홈(22)이 형성된 커버체(20); 뚜껑(10)의 상판면 정 중앙에 형성되는 가이드공(31)과 이에 대응되게 커버체(20)의 상면 하단에 돌출 회동가이드촉(32)으로 이루어진 회동가이더(30); 및 커버체(20)가 뚜껑(10)의 상부에서 회전할 때, 3개의 배출구(12)의 중 하나의 배출구(12)를 확보하는 가이드가 되는 회동제어부(70);가 결합하되, 회동가이드촉(32)이 가이드공(31)에 삽입 결합하고, 커버체(20)가 회동가이드촉(32)을 축으로 회전하여 그 배출창(21)과 배출구(12)를 연통시켜 가루 양념의 조절된 배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에서 체결부(11)는 스크류결합(41) 또는 억지 끼움 방식의 걸림결합(42)을 통해 양념통(50)의 상부와 체결되고, 커버체(20)에 형성된 배출창(21)은, 상단면의 외곽 모서리를 확대하여 돌출되는 테이퍼형 외측부(29)를 형성하며, 뚜껑(10)의 3개의 배출구(12)는, 완전히 개방된 4각배출구(12a)와, 2개의 칸막이바(19)를 통해 3개의 배출구로 구획된 3구배출구(12b)와, 4개의 칸막이바(19)를 통해 5개의 배출구로 구획된 5구배출구(12c)가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에서, 회동가이더(30)는, 커버체(20)의 상면 하단에서 일정한 폭으로 하향 돌출되는 원형축(33)과, 원형축(33)의 하단으로 단턱부(38)를 통해 그 지름이 확개되고 테이퍼지게 내측으로 지름이 작아지는 화살촉 형상을 한 걸림촉부(34)로 이루어진 회동가이드촉(32); 뚜껑(10)의 상판면 정 중앙에 관통되는 가이드공(31);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에서, 회동가이드촉(32)은 일정한 각도로 다수의 절개부(35)를 통해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가이드공(31)이 회동가이드촉(32)에 삽입되어 커버체(20)와 뚜껑(10)의 결합과 커버체(20)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에서 회동제어부(70)는, 체결부(11) 상부로 중앙 배출구(12)의 180°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배치홈(71)과, 배치홈(71)에서 체결부(11)의 상부로 돌출 성형되는 스톱퍼돌기(72); 스톱퍼돌기(72)에 대응되게 커버체(20)의 내주면에 배출구(12)의 형성위치인 50 내지 80°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5개의 스톱퍼홈(73);이 결합하되, 스톱퍼돌기(72)가 회전하여 각각의 스톱퍼홈(73)에 삽입시 뚜껑(10)의 3개 배출구(12) 중 하나와 커버체(20)의 배출창(21)이 연통하고, 최 외곽부 스톱퍼홈(73)에 스톱퍼돌기(72)가 삽입시 배출창(21)의 폐쇄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은, 뚜껑(10)의 상판면 가이드공(31)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원형으로 형성하되 배치홈(71) 방향은 제외하고 형성되는 보조가이드홈(101); 보조가이드홈(101)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쌍의 보조스톱퍼(102); 및 보조가이드홈(101)에 대응되도록 커버체(20)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보조가이드돌기(103);를 포함하는 보조회동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보조가이드돌기(103)가 보조가이드홈(101)에 끼워져 회동할 때 각각의 배출구(12)를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에서 보조가이드돌기(103)가 쌍의 보조스톱퍼(102) 사이에 끼워지며 클릭감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에 의하면 양념통 상부의 커버체를 돌리는 작용만으로 커버체의 배출창과 뚜껑의 다수 배출구 중 하나와 연통시킴으로써 양념 투입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에 의하면 회동가이드촉과 가이드공의 유기적인 결합인 회동가이더에 의해 배출창의 개방과 폐쇄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고 기능 작동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에 의하면 스톱퍼돌기와 스톱퍼홈의 면접시 딸깍 거리는 클릭감을 이용하여 배출구와 배출창의 정확한 개방과 폐쇄 작용을 인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소금, 고추가루, 후추 등의 가루 형태의 양념을 저장하고 활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양념통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고안의 양념통 뚜껑은 크게 뚜껑(10)과 커버체(20)로 이루어지는데, 먼저 뚜껑(10)은 상부가 개방된 다양한 형상의 양념통(50) 상부와 결합되는 체결부(11)와, 체결부(11) 상부로 수직하게 형성하되 50 내지 80°간격을 두고 대응되는 위치 에 상부와 측면의 일부를 관통한 3개의 배출구(12)가 형성된 상판면(1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체(20)는 뚜껑(10)의 상판면(13) 외주면을 포함하는 지름으로 상부가 폐쇄된 상면(24)을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배출구(12)에 대응되는 배출창(21)과, 몸체(23)의 측면 외곽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다수의 손잡이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10)의 상판면 정 중앙에 형성되는 가이드공(31)과 이에 대응되게 커버체(20)의 상면 하단에 돌출 회동가이드촉(32)으로 이루어진 회동가이더(30)가 마련된다. 또한 커버체(20)가 뚜껑(10)의 상부에서 회전할 때, 3개의 배출구(12)의 중 하나의 배출구(12)를 확보하도록 가이드되는 회동제어부(70)가 있다.
따라서 이들의 구성요소가 결합하되, 회동가이드촉(32)이 가이드공(31)에 삽입 결합하고, 커버체(20)가 회동가이드촉(32)을 축으로 회전하여 배출창(21)과 배출구(12)를 연통시켜 가루 양념의 조절된 배출을 제어하면서, 커버체(20)의 측면으로 투입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양념통(50)에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양념통(50)의 상단에 스크류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스크류 결합되는 뚜껑(10)을 제작했기에 가능하고, 걸림 돌기를 형성하여 억지끼움의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형태이기에 가능하다. 본 고안은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양념통(50)에 모두 활용될 수 있도록 제작된 양념통 뚜껑이며,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자가 양념 투입량을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뚜껑(10)과 그 커버판(20)의 결합방식과 구조를 통해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결합방식은, 뚜껑(10)과 커버체(20)는 그 회동가이더(30)를 통해 서로 유기적인 결합을 달성하고, 커버체(20)가 뚜껑(10)의 외곽부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배출구(12)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커버체(20)의 몸체(23) 상판의 정 중심부에는 가이드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는 뚜껑(10)의 상판면 하단에는 돌출 회동가이드촉(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가이드촉(32)을 가이드공(31)에 끼워 삽입을 하면, 커버체(20)는 뚜껑(10)의 상부로 포개지면서 체결을 완성하는 것이다.
뚜껑(10)에는 다수의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약 50 내지 80°간격을 두고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와 측면의 일부를 관통한 3개의 배출구(12)가 형성되는 것이다. 배출구(12)는 크기가 상이하도록 설정되어 가루 형태의 양념을 배출시킬 때, 선택에 따라 자동적으로 배출되는 가루 양념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배출구(12)의 크기가 작은 곳에서는 보다 적은 양념을 투입시킬 것이고, 크기가 큰 배출구(12)로는 보다 많은 양념을 투입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배출구(12)는 그 상부로 포개어 지는 배출창(21)과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만 양념의 배출을 허용한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는 뚜껑(10)의 상판면 측면에 위치하며, 배출창(21)은 뚜껑(10)을 포개어 덮는 커버체(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뚜껑(10)이 체결된 양념통(50)은 가루 양념을 배출시킴에 있어서 커버체(20)의 측면으로 입출입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가루 양념통은 일반적 으로 상부면으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배출방식은 배출 후에 남겨진 양념이 상부면에 남아 양념통(50)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온다. 중력은 항상 하향하는 힘을 주기에 양념통(50)의 상부면으로 배출되다가 그 상면에 끼인 가루 양념들은 떨어지지 않고, 양념통(50)에 낀 상태로 굳어지며, 그 점성에 따라 달라붙어 양념통(50)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양념통(50)은 측면에 형성된 배출창(21)을 통해 양념이 배출되기에 배출 이후에 양념통(50)을 세우게 되면 측면에 달라붙은 양념이 중력의 작용으로 인하여 양념통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된다.
본 고안에서 커버체(20)의 회동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의 양념이 투입되는 작동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에는 다수의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출구(12)는 각각 상이한 크기의 창을 보유하고 있기에 선택되어 지는 배출구(12)에 따라 각기 다른 양의 가루 양념이 투입될 수 있다. 그리고 뚜껑(10)에 포개어지는 커버체(20)는 [도 4]와 [도 5]에서처럼 몸체(23)의 일측면만이 개방된 배출창(21)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커버체(20)가 회동가이더(30)를 통해 뚜껑(10)의 외주면을 타고 회전하면, 일정한 각도를 두고 배열된 뚜껑(10)의 배출구(12)에 커버체(20)의 배출창(21)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50 내지 80°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3개의 배출구(12)는 커버체(20)의 배출창(21)이 약 50 내지 80°로 회전을 할 때마다 서로 연통되어 선택되는 것이다. 커버체(20)의 회전시 사용자는 커버체(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홈(22)을 손으로 잡고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시 다수의 배출구(12)와 연통되는 커버체(20)의 배출창(21)의 위치확보를 위해서 회동제어부(70)를 비치하고 있다. 회동제어부(70)는 다수 개로 형성된 배출구(12)에 커버체(20)의 배출창(21)이 일치되게 연통할 때, 바로 그 위치를 사용자가 인지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며, 또한 완벽하게 배출창(21)이 폐쇄되는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의 설명은 후술한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체결부(11)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스크류결합(41) 또는 억지 끼움 방식의 걸림결합(42)을 통해 양념통(50)의 상부와 체결되는 것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것은 일반적인 스크류결합을 도시한 것으로, 양념통(50)의 상단 외주면에 스크류를 형성하고, 뚜껑(10)의 체결부(11) 내측에도 스크류를 형성하여 스크류와 스크류를 회전시켜 체결하는 방식이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걸림결합(42)은 양념통(50)의 상단 외주면에 하나 또는 2열로 돌출되는 장형의 돌기를 형성하고, 뚜껑(10)의 체결부(11) 내측에도 동일하게 돌출되는 장형의 돌기를 형성한다. 뚜껑의 체결부(11)를 양념통(50)의 상단에 가압하여 포개어 끼우게 되면 돌기가 돌기를 타고 넘어가서 억지 끼움되고, 그 돌기가 다시 빠져나오기 힘들게 체결되는 체결방식을 말한다.
또한 [도 5], [도 8], [도 9]에서처럼 커버체(20)에 형성된 배출창(21)은 상단면의 외곽 모서리를 확대하여 돌출되는 테이퍼형 외측부(29)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체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배출창(21)을 형성하여 시각적으로 정확하고 빠른 인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배출창(21)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미관에도 수려하게 상측에만 다소 돌출되고 하향하면서 테이퍼지게 원형의 몸체와 체결될 수 있도록 테이퍼형 외측부(29)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외부에서 배출창(21)의 위치를 보다 더 인지시킬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하면서, 단순화될 수 있는 양념통의 심미감을 향상시킨 부분이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뚜껑(10)에 설치된 3개의 배출구(12)는, 완전히 개방된 4각배출구(12a), 2개의 칸막이바(19)를 통해 3개의 배출구로 구획된 3구배출구(12b), 그리고 4개의 칸막이바(19)를 통해 5개의 배출구로 구획된 5구배출구(12c)가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즉, [도 6]과 [도 7]에서처럼 약 50 내지 80°의 간격으로 서로 다른 창의 크기를 갖는 배출구(12)를 형성한다. 일 예로서 정 중심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2)는 2개의 칸막이바(19)가 형성되어 3개의 배출구(12)를 가진 3구배출구(12b)가 형성되고, 좌우 측으로 각각 칸막이바(19)가 형성되지 않은 완전히 개방된 4각배출구(12a)와 칸막이바(19)가 4개 형성된 5구배출구(12c)를 형성한다. 물론 이러한 배출구(12)는 본 고안을 구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계자가 임의로 위치적 변경을 가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다수의 배출구(12)를 보유함으로써 배출구(12)와 배출창(21)이 연통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양의 가루 양념을 투입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4각배출구(12a)와 배출창(21)이 연통된 경우에는 다량의 양념이 배출될 수 있고, 칸막이바(19)가 형성된 5구배출구(12c)와 배출창(21)이 연통되면 적은 양의 양념이 배출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회동가이더(30)를 통해서 커버체(20)가 뚜껑(10)을 포개는 상태로 체결도 되면서, 커버체(20)가 뚜껑(10)의 외곽부를 타고 회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안한다. 즉, 커버체(20)의 상면 하단에서 일정한 폭으로 하향 돌출되는 원형축(33)과, 원형축(33)의 하단으로 단턱부(38)를 통해 지름이 확개되고 테이퍼지게 내측으로 지름이 작아지는 화살촉 형상을 한 걸림촉부(34)로 이루어진 회동가이드촉(32)이 있고, 뚜껑(10)의 상판면 정 중앙에 관통되는 가이드공(31)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면 회동가이드촉(32)이 가이드공(31)에 삽입 결합하되, 회동가이드촉(32)은 일정한 각도로 다수의 절개부(35)를 통해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가이드공(31)이 회동가이드촉(32)에 삽입되어, 커버체(20)와 뚜껑(10)의 결합과 커버체(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커버체(20)의 하단에 화살촉 형상의 회동가이드촉(32)이 있기에 뚜껑(10)의 상판면 정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공(31)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가이드공(31)에 회동가이드촉(32)을 가압하면, 회동가이드촉(32)은 테이퍼진 걸림촉부(34)의 끝단이 가이드공(31)의 내주면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절개부(35)에 의해 지름이 축소되며 가이드공(31)에 미끄러져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공(31)의 내주면은 회동가이드촉(32)의 원형축(33)과 면접하게 되어 원형축(33)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원형축(33)과 걸림촉부(34)는 단턱부(38)로 구분되어 있어, 일단 걸림촉부(34)가 가이드공(31)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쉽게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체(20)를 그 손잡이홈(22)을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원형축(33)이 가이드공(31)에 끼인 상태로 회전하여 커버체(20)를 뚜껑(10)의 외주면을 타고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어서, 커버체(20)가 뚜껑을 타고 자유롭게 회전하지만 커버체(20)의 배출창(21)이 정확하게 뚜껑(10)의 배출구(12)와 연통되는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인 회동제어부(70)를 설명한다. 뚜껑(10)의 체결부(11) 상부로 중앙 배출구(12)의 180°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배치홈(71)과, 배치홈(71)에서 체결부(11)의 상부로 돌출 성형되는 스톱퍼돌기(72)가 있고, 스톱퍼돌기(72)에 대응되게 커버체(20)의 내주면에 배출구(12)의 형성위치인 50 내지 80°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5개의 스톱퍼홈(73)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되, 스톱퍼돌기(72)가 회전하여 각각의 스톱퍼홈(73)에 삽입시 뚜껑(10)의 3개 배출구(12) 중 하나와 커버체(20)의 배출 창(21)이 연통하고, 최 외곽부 스톱퍼홈(73)에 스톱퍼돌기(72)가 삽입시 배출창(21)의 폐쇄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뚜껑(10)에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구(12) 중 정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12)에서 정확하게 180°각도를 가지고 형성되는 배치홈(71)에 돌출되는 스톱퍼돌기(72)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커버체(20)의 내주면에는 약 5개의 스톱퍼홈(73)을 형성하되 배출구(12)의 배열 방식과 동일하게 약 50 내지 80°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커버체(20)가 뚜껑(10)의 외곽부를 포개어 덮은 상태로 회전을 할 때, 일정한 회전 즉, 50-80°각도의 회전마다 스톱퍼돌기(72)는 스톱퍼홈(73)과 만나는 것이다. 이때 스톱퍼돌기(72)는 스톱퍼홈(73)에 끼어 들어가면서 딸깍거리는 클릭감을 가져다 주는데, 사용자는 이 클릭감을 통해서 적당한 회전을 인지하고, 배출창(21)이 선택된 하나의 배출구(12)와 연통된 상태임을 인지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에서 배출구(12)는 3개이고 스톱퍼홈(73)은 5개가 형성된다. 그 이유는 양쪽 끝단에 형성되는 스톱퍼홈(73)은 커버체(20)가 완전히 회전하여 배출창(21)이 완벽하게 차단된 상태의 위치를 인지시켜 준다. 즉, 회동제어부(70)는 선택된 배출구(12)의 완벽한 개방을 인지시킬 뿐만 아니라, 그 배출창(21)의 완벽한 폐쇄도 인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스톱퍼홈(73)과 배출구(12)의 위치를 약 50 내지 80°간격으로 배열한 이유는 기본적인 배출구(12)가 3개이고, 이에 대응되는 스톱퍼돌기(72)와 스톱퍼홈(73)은 폐쇄를 위해서 5개가 형성되어야 하기에 그러하다. 만일 90° 이상의 간격으로 배열하게 되면, 간격이 커서 배출구(12)의 개방 및 폐쇄가 정확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추가로, 본 고안에서는 앞서 설명하였던 회동제어부(7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커버체(20)가 배출창(21)으로 뚜껑(10)의 배출구(12)를 완벽하게 개방한 상태라는 것을 인지시켜주면서 커버체(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보조적인 보조회동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회동제어부는 커버체(20)가 회전하면서 배출창(21)을 통하여 회동제어부(70)의 배치홈(71)과 스톱퍼돌기(72)가 엿보일 수 있는 문제점도 해결하였다.
즉, 본 고안의 보조회동제어부는 뚜껑(10)의 상판면 가이드공(31)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하되, 배치홈(71) 방향은 제외하고 형성되는 보조가이드홈(101)과 그 보조가이드홈(101)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쌍의 보조스톱퍼(102)가 있고, 보조가이드홈(101)에 대응되게 커버체(20)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보조가이드돌기(103)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보조가이드돌기(103)가 보조가이드홈(101)에 끼워져 회동할 때, 각각의 배출구(12)를 완전히 개방하는 위치에서 보조가이드돌기(103)가 쌍의 보조스톱퍼(102) 사이에 끼워지며 클릭감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20)가 뚜껑(10)에 포개져 체결될 때, 커버체(20)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보조가이드돌기(103)가 뚜껑(10)의 상판면에 형성되는 보조가이드홈(10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커버체(20) 를 회전시키면, 보조가이드돌기(103)는 보조가이드홈(101)을 타고 이동하다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쌍으로 형성되는 보조스톱퍼(102)를 타고 넘게 된다. 바로 이때 보조가이드돌기(103)와 보조스톱퍼(102)는 서로 면접하여 비켜가면서 클릭감을 형성하게 된다. 보조스톱퍼(102)의 사이에 낀 상태에서 커버체(20) 배출창(21)은 뚜껑(10)의 배출구(12)를 개방시키는 위치이다.
즉, 보조스톱퍼(102)도 뚜껑(10)에 형성되는 각각의 배출구(12)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바람직하게는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체(20)의 배출창(21)이 배출구(12)를 비켜 회전하여 보조가이드돌기(103)가 보조가이드홈(101)의 양단 부분으로 돌아가면 배출창(21)은 완벽하게 폐쇄된다. 보조가이드홈(101)은 완벽한 원형의 상태가 아니고, 일부가 형성되지 않은 미완성의 원형이다. 그 이유는 원형 보조가이드홈(101)을 타고 보조가이드돌기(103)가 360°를 완벽하게 회전한다면 커버체(20)의 배출창(21)으로 불필요한 배치홈(71)과 스톱퍼돌기(72)가 비칠 수 있는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도로는 커버체(20)가 회전할 수 없도록 원형의 보조가이드홈(101)의 일부를 남겨두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사용되던 양념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의 평면과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의 상부와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의 상면과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의 사시도와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 뚜껑이 양념통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통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뚜껑 11; 체결부
12; 배출구 13; 상판면
20; 커버체 21; 배출창
23; 몸체 30; 회동가이더
31; 가이드공 32; 회동가이드촉
33; 원형축 34; 걸림촉부
38; 단턱부 70; 회동제어부
71; 배치홈 72; 스톱퍼돌기
73; 스톱퍼홈

Claims (7)

  1. 양념통(50)에 결합되는 체결부(11)와, 상기 체결부(11) 상부로 수직하게 형성하되 미리 설정된 각도의 간격을 두고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와 측면의 일부를 관통한 하나이상의 배출구(12)가 형성된 상판면(13)을 가진 뚜껑(10);
    상기 뚜껑(10)의 상판면(13) 외주면을 포함하는 지름으로 상부가 폐쇄된 상면(24)을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구(12)에 대응되도록 배출창(21)이 측면에 형성된 커버체(20); 및
    상기 뚜껑(10)의 체결부(11) 상부로 상기 배출구(12)의 반대 위치에 형성되는 배치홈(71)과, 상기 배치홈(71)에서 상기 체결부(11)의 상부로 돌출 성형되는 스톱퍼돌기(72)와, 상기 스톱퍼돌기(72)에 대응되게 상기 커버체(20)의 내주면에 배출구(12)의 형성위치에 형성되는 스톱퍼홈(73)을 구비하여, 상기 스톱퍼돌기(72)가 회전하여 상기 스톱퍼홈(73)에 삽입시 상기 뚜껑(10)의 배출구(12)와 상기 커버체(20)의 배출창(21)이 연통하고, 최 외곽부 스톱퍼홈(73)에 상기 스톱퍼돌기(72)가 삽입시 배출창(21)의 폐쇄를 가이드함하여, 상기 커버체(20)가 상기 뚜껑(10)의 상부에서 회전할 때 상기 배출구(12) 중 하나의 배출구(12)를 확보하도록 가이드하는 회동제어부(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념통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념통 뚜껑은, 상기 뚜껑(10)의 상판면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공(31)과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체(20)의 상면 하단에 돌출된 회동가이드촉(32)으로 이루어진 회동가이더(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동가이드촉(32)이 상기 가이드공(31)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커버체(20)가 상기 회동가이드촉(32)을 축으로 회전하여 배출창(21)과 배출구(12)를 연통시켜 양념의 배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뚜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의 배출구(12)는,
    완전 개방된 제 1 배출구(12a); 및 미리 설정된 개수의 칸막이바(19)를 통해 구획된 하나이상의 제 2 배출구(12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뚜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동가이더(30)는,
    상기 커버체(20)의 상면 하단에서 일정한 폭으로 하향 돌출되는 원형축(33)과, 상기 원형축(33)의 하단으로 단턱부(38)를 통해 그 지름이 확개되고 테이퍼지게 내측으로 지름이 작아지는 화살촉 형상을 한 걸림촉부(34)로 이루어진 회동가이드촉(32); 및
    상기 뚜껑(10)의 상판면 중앙에 관통되는 가이드공(31);
    이 삽입 결합하되, 상기 회동가이드촉(32)은 일정한 각도로 다수의 절개부(35)를 통해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공(31)이 회동가이드촉(32)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체(20)와 뚜껑(10)의 결합과 상기 커버체(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 뚜껑.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양념통 뚜껑은,
    상기 뚜껑(10)의 상판면 가이드공(31)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원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배치홈(71) 방향은 제외하고 형성되는 보조가이드홈(101);
    상기 보조가이드홈(101)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보조스톱퍼(102); 및
    상기 보조가이드홈(101)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체(20)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조가이드홈(101)에 끼워져 회동할 때 상기 배출구(12)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조스톱퍼(102) 사이에 끼워지며 클릭감을 형성하는 보조가이드돌기(10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념통 뚜껑.
  7. 삭제
KR2020090002977U 2009-03-16 2009-03-16 양념통 뚜껑 KR200446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977U KR200446179Y1 (ko) 2009-03-16 2009-03-16 양념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977U KR200446179Y1 (ko) 2009-03-16 2009-03-16 양념통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179Y1 true KR200446179Y1 (ko) 2009-10-05

Family

ID=4164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977U KR200446179Y1 (ko) 2009-03-16 2009-03-16 양념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1093A (zh) * 2017-03-31 2017-05-24 陈来胜 一种便捷水杯
KR20180068500A (ko) 2016-12-14 2018-06-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분탐상검사용 자분 스프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4156U (ja) 1982-06-21 1983-12-23 杉プラスチツク工業株式会社 振り出し式容器
JPH03109902U (ko) * 1990-02-26 1991-11-12
KR960001962Y1 (ko) * 1993-07-21 1996-03-06 오뚜기식품 주식회사 분말조미료용 용기
JP3109902U (ja) * 2005-01-19 2005-06-02 株式会社タツタ合成工業所 粉体用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4156U (ja) 1982-06-21 1983-12-23 杉プラスチツク工業株式会社 振り出し式容器
JPH03109902U (ko) * 1990-02-26 1991-11-12
KR960001962Y1 (ko) * 1993-07-21 1996-03-06 오뚜기식품 주식회사 분말조미료용 용기
JP3109902U (ja) * 2005-01-19 2005-06-02 株式会社タツタ合成工業所 粉体用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500A (ko) 2016-12-14 2018-06-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자분탐상검사용 자분 스프레이
CN106691093A (zh) * 2017-03-31 2017-05-24 陈来胜 一种便捷水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0543A1 (en) Dual overlapping flip top closure assembly
AU2006276269A1 (en) Dispensing closur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86731B1 (en) Sealed dispensing container
KR200446179Y1 (ko) 양념통 뚜껑
JP6238031B2 (ja) 容器
KR200468340Y1 (ko) 슬라이딩 회전에 의해서 혼합되는 이액형 혼합 화장용기
CN102389246B (zh) 饮料用容器的栓体
US5960999A (en) Condiment dispenser
US10039397B2 (en) Seasoning jar
JP5966240B2 (ja) 容器
KR200348302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US20140361011A1 (en) Container and Lid Assembly
KR100971860B1 (ko) 화장품 용기
KR101903558B1 (ko) 텀블러 뚜껑
US20070251959A1 (en) Spice dispensing flip cap device
KR102120407B1 (ko) 조미료 용기용 뚜껑
CN213293301U (zh) 一种可调流速的酱汁瓶盖
CN104605734A (zh) 多用途水壶
KR200253694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JPH041096Y2 (ko)
CN209951028U (zh) 锅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20200016760A (ko) 하단에서 내용물이 나오는 양념통
KR200294400Y1 (ko) 두 칸으로 구획된 구이판
KR100418250B1 (ko) 조미료용기 뚜껑
JP2522280Y2 (ja) 振り出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