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106B1 - 회전식 용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106B1
KR102043106B1 KR1020190073274A KR20190073274A KR102043106B1 KR 102043106 B1 KR102043106 B1 KR 102043106B1 KR 1020190073274 A KR1020190073274 A KR 1020190073274A KR 20190073274 A KR20190073274 A KR 20190073274A KR 102043106 B1 KR102043106 B1 KR 10204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houlder
container
rotar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to KR1020190073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8Non-removable lids or covers pivoted for movement in plane of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회전식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전식 용기는, 일면에 형성된 캡연결부와, 타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구비하는 캡과, 회전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걸리는 회전홈과, 회전홈의 일 측에 형성되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캡의 하면과 면접촉해서 수납부가 커버되는 숄더와, 숄더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공간과, 캡연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캡의 평면 형상과 바디의 평면 형상이 동일하다.

Description

회전식 용기{ROTATION TYPE CONTAINER}
본 발명은 회전 방식으로 캡을 개폐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는 일반적으로 용기본체와 커버로 이루어지고, 내용물은 용기본체에 보관되며 커버는 용기본체의 입구를 막아서 내용물이 유출되거나 또는 이물질이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커버는 용기본체의 형상 및 크기, 보관되는 내용물의 종류 및 성질 등에 따라서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용기본체에 대한 커버의 결합 형태로는, 나사 결합 방식, 힌지 회전에 의한 결합 방식, 슬라이드 결합 방식, 단순 삽입 방식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하나의 용기에 수납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색조 화장품의 경우에는 다양한 색상 및 성질을 갖는 다수의 색조 화장품이 사용되고, 이와 같은 색조 화장품은 다단식 용기 등에 수납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종류의 내용물이 포함된 개별 용기를 조합할 수 있는 복합 용기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012757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자유로운 조합이 가능한 회전식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전식 용기는, 일면에 형성된 캡연결부와, 타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구비하는 캡과, 회전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걸리는 회전홈과, 회전홈의 일 측에 형성되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캡의 하면과 면접촉해서 수납부가 커버되는 숄더와, 숄더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공간과, 캡연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캡의 평면 형상과 바디의 평면 형상이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은 편평하게 형성된 캡하면을 구비하고, 숄더는 캡하면과 면접촉하는 숄더상면을 구비하며, 수납부는 숄더상면에 의해서 그 입구가 규정될 수 있다.
캡연결부는 하부공간에 삽입되는 삽입측면을 구비하고, 캡은 그 평면 형상을 규정하는 캡측면을 구비하며, 삽입측면과 캡측면은 캡단턱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회전돌기는 다수 개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지고, 탄성편의 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돌기의 일 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홈에는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공간의 측면에는 하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돌기에 의해서 캡연결부가 하부공간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부공간이 하부공간에 비해서 깊이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단식 회전용기는 상기와 같은 회전식 용기가 두 개 이상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자유로운 조합이 가능한 회전식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회전식 용기의 배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회전식 용기에서 캡이 회전에 의해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의 캡의 배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회전식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BB선에 따른 회전식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CC선에 따른 회전식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다단용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예시된 회전식 다단용기에서 캡이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회전식 용기(100)의 배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회전식 용기(100)에서 캡(110)이 회전에 의해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의 캡(110)의 배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충진되는 수납용기(150)를 커버하는 캡(110)이 바디(16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캡(110)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회전돌기(122)는 수납용기(150)의 상부에 위치하지 않고 그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캡(110)의 상부에 형성된 캡연결부(108)는 다른 회전식 용기(100)의 바디(160) 하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다단식 용기(도 9 내지 도 11의 도면부호 200 참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직사각 형상의 절반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부분(수납용기(150)) 및 캡(110)의 절반에 해당하고, 나머지 절반은 캡(110)이 숄더(130) 및 바디(16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 및 캡(110)의 나머지 절반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는 캡(110), 숄더(130), 수납용기(150) 및 바디(160)를 포함한다.
캡(110)은 수납용기(15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면서 수납용기(150)를 커버하거나 또는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캡(110)은 다른 회전식 용기(100)의 바디(160) 하부에 형성된 하부공간(170)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다단식 용기(200)가 형성된다.
캡(110)은 직사각 형상 또는 바디(16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캡(110)의 평면 형상은 캡측면(118)에 의해서 규정되는데, 캡측면(118)은 캡(110)의 가장자리에 해당한다. 캡(110)의 평면 형상과 숄더(130) 및 바디(160)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110)은 숄더(130) 및 바디(160)의 상면에 완전히 포개질 수 있다.
캡(110)의 일 면에는 캡연결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캡연결부(108)는 정사각 형상의 돌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높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캡연결부(108)는 두 개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캡연결부(108)는 바디(16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공간(170)에 삽입될 수 있다.
캡연결부(108)는 캡상면(112)을 구비한다. 캡상면(112)은 편평하게 형성되는 평면에 해당한다. 캡(110)이 다른 회전식 용기(100)의 바디(160) 하부에 결합되는 경우, 캡상면(112)은 다른 회전식 용기(100)의 바디하면(172)과 면접촉할 수 있다.
캡연결부(108)는 측면에 해당하는 삽입측면(114)을 포함한다. 삽입측면(114)에 의해서 캡연결부(108)는 돌기 형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삽입측면(114)은 캡(110)의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이로 인해 캡단턱(116)이 형성된다. 삽입측면(114)은, 회전식 용기(100)가 다수 개 적층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도 9 참조).
캡(11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캡측면(118)은 회전식 용기(100)가 다수 개 적층되는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된다(도 9 참조).
캡(110)은 편평하게 형성된 캡하면(1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캡하면(120)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 일측에는 회전돌기(1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캡하면(120)은 숄더(130)의 숄더상면(136)에 대해서 면접촉하는데, 이로 인해 수납용기(150)에 삽입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거나 또는 외부 이물질이 수납용기(15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캡하면(120)의 일 측에는 회전돌기(1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전돌기(122)는 숄더(130)에 형성된 회전홈(13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서, 캡(11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돌기(122)는 일정 간격을 갖고 이격된 다수 개의 탄성편(124)을 구비한다.
탄성편(124)은 원기둥 형상의 둘레면에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돌기(122)가 회전홈(138)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편(124)은 내측으로 절곡되는데, 이로 인해 탄성편(124)이 회전홈(138)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물론, 탄성편(124)은 회전홈(138)에 삽입이 완료된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탄성편(124)의 선단부에는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1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126)의 상단부에는 경사면(128)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28)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돌기(126)가 회전홈(138)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는 직사각 형상의 캡(110)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캡(110)의 평면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는 정사각, 타원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캡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는 캡연결부(108)가 상호 분리되어 두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캡연결부(108)의 형상 및 크기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연결부(108)는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숄더(130)는 캡(110)과 바디(160) 사이에 개재되어 캡(110)을 바디(160)에 대해서 연결한다. 숄더(130)는 캡(110) 및 바디(160)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게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숄더(130)는 수납부(132)를 구비한다. 수납부(132)는 상면 및 하면이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고 숄더(130)의 평면 형상의 절반에 해당하는 정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숄더(130)가 바디(160)에 결합되는 경우, 수납부(132)의 내부에는 수납용기(15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숄더(130)의 수납부(132)는 상하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숄더는 수납부의 하면이 폐쇄된 구조를 갖고 별도의 수납용기(150)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수납부(132)의 입구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입구경사면(13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구경사면(134)은 숄더상면(136)과 연결될 수 있다. 숄더상면(136)은 수납부(132)의 둘레에는 폭이 좁게 형성되고, 수납부(132)의 일 측(회전홈(138)이 그 중앙에 형성된 부분)에는 정사각 형상을 갖는다.
숄더상면(136) 중에서 수납부(132)의 일 측에는 회전홈(138)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홈(138)은 숄더상면(136)에서 하향 연장된 구조를 갖고, 그 내부에는 회전돌기(12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회전홈(138)의 입구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입구(142)가 형성된다. 경사입구(142)는 회전돌기(122)가 회전홈(138)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회전홈(138)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숄더(130)는 숄더측면(144)을 구비한다. 숄더측면(144)은 바디(160)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숄더측면(144)의 폭은 캡측면(118) 및 바디측면(168)에 비해서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숄더측면(144)에는 다수 개의 결합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46)에는 바디(160)의 내부에 형성된 바디돌기(164)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숄더(130)가 바디(160)의 내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수납용기(150)는 정사각 형상을 갖고 그 상면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수납용기(150)의 내부에는 파우더 또는 밤(balm) 등과 같은 내용물이 충진된다. 그리고 수납용기(150)의 상부는 캡(110)에 의해 커버된다.
바디(160)는 캡(110) 및 숄더(130)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을 갖는다. 따라서 바디(160)의 상부에는 캡(110) 및 숄더(130)가 완전히 포개질 수 있다.
바디(160)는 상부공간(162)을 구비한다. 상부공간(162)에는 숄더(130)가 삽입된다. 그리고 숄더(130)의 수납부(132)에는 수납용기(150)가 삽입된다.
상부공간(162)을 형성하는 바디측면(168)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166)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66)는 숄더(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46)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부공간(162)의 내부 저면에는 바디돌기(164)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돌기(164)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고 중앙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바디돌기(164)의 높이는 바디측면(168)에 비해서 작게 형성된다.
바디(160)의 하부에는 하부공간(17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공간(170)은 상부공간(162)에 비해서 높이가 작게 형성되고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하부공간(170)을 형성하는 바디측면(168)의 내측면에는 하부돌기(174)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돌기(174)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공간(170)에 삽입되는 캡연결부(108)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캡연결부(108)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한다.
도 6은 도 1의 AA선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의 단면도이고, 7은 도 3의 BB선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8은 도 1의 CC선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는 바디(160)의 상부공간(162)에 숄더(13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숄더(130)의 숄더측면(144)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홈(146)에는 바디(160)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66)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숄더(130)가 상부공간(162)에서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숄더측면(144)의 외면과 바디측면(168)의 내면은 상호 접할 수 있다.
숄더(130)가 상부공간(162)의 내부에 삽입되면, 숄더상면(136)은 바디측면(168)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숄더상면(136) 및 바디측면(168)의 상면은 캡(110)의 캡하면(120)과 면접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110)은 숄더(130) 및 바디(160)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숄더(130)에 형성된 회전홈(138)의 상부 입구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회전홈(138)에 회전돌기(12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홈(138)은 단면이 원형인 중공의 원통에 의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걸림단턱(140)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단턱(140)에는 회전돌기(122)에 형성된 걸림돌기(126)가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회전돌기(122)가 회전홈(138)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회전돌기(122)가 회전홈(13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숄더(130)에 대해서 캡(1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캡(11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캡(110)이 수납용기(150)의 상부를 개방하거나(도 7 참조) 또는 폐쇄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회전홈(138)의 깊이에 대한 회전돌기(122)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캡(110)의 캡하면(120)과 숄더상면(136)이 면접촉하는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홈(138)의 깊이에 비해서 회전돌기(122)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한 상태에서 걸림돌기(126)가 걸림단턱(140)에 걸리게 함으로써, 캡하면(120)과 숄더상면(136)의 면접촉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납용기(150)에 대한 캡(110)의 밀폐력을 강화할 수 있다.
바디(160)의 하부에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하부공간(17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공간(170)의 깊이는 캡연결부(108)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식 용기(100)의 캡연결부(108)는 다른 회전식 용기(100)의 하부공간(170)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다단용기(2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예시된 회전식 다단용기(200)에서 캡(110)이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캡(110)의 회전 각도의 차이를 예시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는 두 개 이상 적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회전식 용기(100)의 캡(110)에 형성된 캡연결부(108)는 다른 회전식 용기(100)의 바디(160)에 형성된 하부공간(170)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공간(170)의 내주면에는 하부돌기(17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캡연결부(108)는 하부공간(170)에 억지끼워맞춤(press fitting)에 의해서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연결부(108)는 하부공간(17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회전식 용기(100)는 세 개 이상 적층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식 용기(100)의 바디(160)에 대해서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식 용기(100)의 바디(160)가 90도 회전함으로써 수납용기(150)가 완전히 개방됨을 알 수 있다. 이때,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식 용기(100)의 캡(110)과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식 용기(100)이 바디(160)가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식 용기(100)의 캡(110)도 90도로 회전함으로써 상부 회전식 용기(100)의 수납용기(150)도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캡(110)의 회전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수납용기(150)의 개방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바디(160)에 대해서 캡(110)의 회전 각도를 90도 미만으로 함으로써 수납용기(150)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일부만 개방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용기(100)는 바디(160)에 대한 캡(110)의 회전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수납용기(150)의 개방 정도 및 인접하는 수납용기(150)의 간격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용기(200)는 하나의 회전식 용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다른 회전식 용기(100)를 용이하게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각각의 회전식 용기(100)의 수납용기(150)에는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회전식 용기
110: 캡 108: 캡연결부
122: 회전돌기 130: 숄더
138: 회전홈 150: 수납용기
160: 바디 162: 상부공간
170: 하부공간

Claims (7)

  1. 일면에 형성된 캡연결부와, 타면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구비하는 캡;
    상기 회전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걸리는 회전홈과, 상기 회전홈의 일 측에 형성되는 하나의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의 하면과 면접촉해서 상기 수납부가 커버되는 숄더; 및
    상기 숄더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공간과, 상기 캡연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캡의 평면 형상과 상기 바디의 평면 형상이 동일하며,
    상기 회전돌기 및 회전홈은 상기 캡의 길이 방향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위치하고 있고,
    상기 캡은 편평하게 형성된 캡하면을 구비하며, 상기 숄더는 상기 캡하면과 면접촉하는 숄더상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숄더상면에 의해서 그 입구가 규정되며,
    상기 캡연결부는 상기 하부공간에 삽입되는 삽입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캡은 그 평면 형상을 규정하는 캡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측면과 상기 캡측면은 캡단턱에 의해서 구분되고,
    상기 회전돌기는 다수 개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편의 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의 일 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회전홈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공간의 측면에는 하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돌기에 의해서 상기 캡연결부가 상기 하부공간에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결합되는 회전식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73274A 2019-06-20 2019-06-20 회전식 용기 KR10204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74A KR102043106B1 (ko) 2019-06-20 2019-06-20 회전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74A KR102043106B1 (ko) 2019-06-20 2019-06-20 회전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106B1 true KR102043106B1 (ko) 2019-11-11

Family

ID=6853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274A KR102043106B1 (ko) 2019-06-20 2019-06-20 회전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1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4268A (zh) * 2019-11-14 2020-02-28 台州市恩晓科技咨询有限公司 信息载体储阅设备及其使用方法
CN114246144A (zh) * 2020-09-25 2022-03-29 洪江市益农益民禽业有限公司 一种家禽养殖用喂食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242B1 (ko) * 2007-05-08 2008-06-19 (주)쉘-라인 화장품 용기
KR100933928B1 (ko) * 2008-05-23 2009-12-28 (주)쉘-라인 화장품 용기
KR101142355B1 (ko) * 2009-09-21 2012-05-18 (주)연우 콤팩트 용기
KR101722235B1 (ko) * 2015-11-23 2017-04-03 주식회사 이지앤 다양한 크기의 밀폐용기를 크기와 결합방향에 상관없이 다양한 배열로 적층결합되는 다단적층밀폐용기
KR101843653B1 (ko) * 2016-11-03 2018-03-29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색조화장품 케이스
KR20180127573A (ko) 2017-05-18 2018-11-29 주식회사 메가코스제조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242B1 (ko) * 2007-05-08 2008-06-19 (주)쉘-라인 화장품 용기
KR100933928B1 (ko) * 2008-05-23 2009-12-28 (주)쉘-라인 화장품 용기
KR101142355B1 (ko) * 2009-09-21 2012-05-18 (주)연우 콤팩트 용기
KR101722235B1 (ko) * 2015-11-23 2017-04-03 주식회사 이지앤 다양한 크기의 밀폐용기를 크기와 결합방향에 상관없이 다양한 배열로 적층결합되는 다단적층밀폐용기
KR101843653B1 (ko) * 2016-11-03 2018-03-29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색조화장품 케이스
KR20180127573A (ko) 2017-05-18 2018-11-29 주식회사 메가코스제조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4268A (zh) * 2019-11-14 2020-02-28 台州市恩晓科技咨询有限公司 信息载体储阅设备及其使用方法
CN114246144A (zh) * 2020-09-25 2022-03-29 洪江市益农益民禽业有限公司 一种家禽养殖用喂食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731Y1 (ko) 다종의 크림형 화장품을 분리수용하는 다중 격실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043106B1 (ko) 회전식 용기
JP4415412B2 (ja) 吐出容器
US20180332892A1 (en) Container for Cannabis and Tobacco
KR20210008438A (ko) 멀티 용기 화장품 액세서리
US10994293B2 (en) Spray structure for portable atomizer
JP2008519666A (ja) 色合いを示す化粧品ケース
KR102089722B1 (ko) 용기 커버 개방 시 무게 균형이 유지되는 두께가 슬림한 화장품 용기
KR20120046859A (ko)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089282B1 (ko) 듀얼 화장품 용기
KR102531283B1 (ko) 화장품 용기
KR102043105B1 (ko) 슬라이드 용기
KR200375840Y1 (ko) 회전 개폐식 화장품 용기
KR101143948B1 (ko) 콤팩트 용기
KR101624996B1 (ko)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756963B1 (ko) 컴팩트 용기
AU2015246004B2 (en) A cap with a closure assembly
KR101433902B1 (ko) 개폐가 용이한 밀폐용기
KR200488760Y1 (ko) 화장품 용기
KR102050048B1 (ko) 이중 튜브 뚜껑
US20200247592A1 (en) Tamper Proof Container
US20030062390A1 (en) Dispensing container with rotatable lid
JP2011157098A (ja) 取出し容器
KR101765715B1 (ko) 다색의 겔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립글로즈 용기
US9580231B2 (e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