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355B1 - 콤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콤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355B1
KR101142355B1 KR1020090089190A KR20090089190A KR101142355B1 KR 101142355 B1 KR101142355 B1 KR 101142355B1 KR 1020090089190 A KR1020090089190 A KR 1020090089190A KR 20090089190 A KR20090089190 A KR 20090089190A KR 101142355 B1 KR101142355 B1 KR 10114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ct container
present
overcap
connecting membe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789A (ko
Inventor
김유섭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09008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355B1/ko
Priority to PCT/KR2010/006462 priority patent/WO2011034395A2/ko
Publication of KR2011003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오버캡으로 이루어진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는 서로 다른 몸체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용기에 의하면, 몸체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용기의 좌,우 연결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화장품의 종류별 세트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몸체, 오버캡, 연결부재, 삽입홈

Description

콤팩트 용기{COMPACT CASE}
본 발명은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몸체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용기의 좌,우 연결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화장품의 종류별 세트화가 가능한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용기는 여성들이 휴대하면서 얼굴화장에 사용되는 색조화장품이나 백분을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콤팩트 용기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되고 있는대, 어떤 형상과도 무관하게 색조화장품이나 백분을 수납 보관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는 반드시 외부뚜껑을 용기본체에서 힌지 회동에 의한 일측 회전에 의해 열고 내부에 수용된 퍼프나 솔 등의 화장용구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묻혀 얼굴화장에 사용하는 것은 공통점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콤팩트 용기는 보통 사용자의 가방속에 보관하게 되는대, 화장품의 종류별로 콤팩트 용기를 각각 낱개로 보관하기 때문에 가방의 움직임 에 따라 콤팩트 용기가 섞이게 되어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원하는 화장품을 바로 찾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출장, 여행 등과 같이 가방속에 많은 화장품을 보관해야할 경우, 화장품의 종류별로 용기가 분리된 상태로 존재함으로써, 원하는 화장품을 찾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어 보관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용기의 좌,우 연결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화장품의 종류별 세트화가 가능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몸체의 하단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용기의 상,하 적층을 통한 연결이 가능한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오버캡으로 이루어진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는 서로 다른 몸체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 중 하나는 몸체의 측면하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상방향 및 내측방향으로 2단절곡되어 형성되며, 다른 하나는 몸체의 측면상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하방향 및 내측방향으로 2단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또 다른 몸체의 상단이 결합되어 상하 적층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양측면에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용기의 좌,우 연결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화장품의 종류별 세트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하단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서로 다른 용기의 상,하 적층을 통한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오버캡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삽입홈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연결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몸체(100), 오버캡(200)이 포함된다.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단 중앙부에 내용물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내용물 수용부(1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에는 서로 다른 몸체(100,10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1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110) 중 하나는 몸체(100)의 측면하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상방향 및 내측방향으로 2단절곡되어 형성되며, 다른 하나는 몸체의 측면상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하방향 및 내측방향으로 2단절곡되어 형성되어 서로 다른 몸체(100,10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10,110')의 결합을 통한 측면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는 또 다른 몸체(100',100'',...)의 상단이 결합되어 상하 적층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삽입홈(12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삽입홈(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하단 전체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또 다른 몸체(100',100'',...)의 상단의 삽입을 통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오버캡(200)은 상기 몸체(100)에 힌지 결합되어 몸체(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100)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보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200)의 외측에는 오버캡(200)의 직경보다 작은 결합부(210)가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결합부(210)가 또다른 몸체(100',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홈(120)에 삽입되어 서로 다 른 몸체(100, 100',100'',...)간의 상하적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오버캡(200)의 외측에서 오버캡(200)과 단턱(a)을 형성하며 상방향으로 돌출형성 되는대, 상기 단턱(a)이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안착되어 서로 다른 몸체(100, 100',100'',...)간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오버캡(200)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오버캡(20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100)의 전면부에 가압식 버튼(미도시)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시에 오버캡(200)이 상방향으로 회동하며 개방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오버캡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삽입홈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콤팩트 용기의 연결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몸체 110: 연결부재
120: 삽입홈 130: 내용물 수용부
200: 오버캡 210: 결합부
300: 힌지

Claims (3)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힌지(300) 결합되어 몸체(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오버캡(200)으로 이루어진 콤팩트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에는 서로 다른 몸체(100,10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10)가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110) 중 하나는 몸체(100)의 측면하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상방향 및 내측방향으로 2단절곡되어 형성되며, 다른 하나는 몸체의 측면상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하방향 및 내측방향으로 2단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는 또 다른 몸체(100')의 상단이 결합되어 상하 적층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삽입홈(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KR1020090089190A 2009-09-21 2009-09-21 콤팩트 용기 KR10114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190A KR101142355B1 (ko) 2009-09-21 2009-09-21 콤팩트 용기
PCT/KR2010/006462 WO2011034395A2 (ko) 2009-09-21 2010-09-20 콤팩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190A KR101142355B1 (ko) 2009-09-21 2009-09-21 콤팩트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789A KR20110031789A (ko) 2011-03-29
KR101142355B1 true KR101142355B1 (ko) 2012-05-18

Family

ID=4375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190A KR101142355B1 (ko) 2009-09-21 2009-09-21 콤팩트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2355B1 (ko)
WO (1) WO201103439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105B1 (ko) * 2019-06-20 2019-11-1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슬라이드 용기
KR102043106B1 (ko) * 2019-06-20 2019-11-1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회전식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031U (ko) * 1986-07-21 1988-02-04
JPH0744600Y2 (ja) * 1988-03-10 1995-10-11 吉田工業株式会社 折畳式パレット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031U (ko) * 1986-07-21 1988-02-04
JPH0744600Y2 (ja) * 1988-03-10 1995-10-11 吉田工業株式会社 折畳式パレット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105B1 (ko) * 2019-06-20 2019-11-1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슬라이드 용기
KR102043106B1 (ko) * 2019-06-20 2019-11-1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회전식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4395A3 (ko) 2011-08-11
WO2011034395A2 (ko) 2011-03-24
KR20110031789A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099B1 (ko) 콤팩트 용기
US20130121752A1 (en) Powder cosmetic brush
KR20170078280A (ko)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회전식 콤팩트 용기
US20190200724A1 (en) Structurally simple compact container improved in cosmetic material-filling process
KR101142355B1 (ko) 콤팩트 용기
KR200484072Y1 (ko) 접이식 종이컵
US9101192B2 (en) Refill-locking system, a package comprising said locking system, and a refill
KR101214566B1 (ko) 다용도 화장품 용기
KR10210192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9286Y1 (ko) 뚜껑의 내부에 독립된 밀폐 보조수용공간을 갖는 화장품 용기
CN203889198U (zh) 包装容器
KR20170090893A (ko) 아이섀도용 화장품 용기
KR20120026341A (ko) 콤팩트 용기
KR200459349Y1 (ko) 세트 화장품용기 보관 케이스 어셈블리
KR20110040507A (ko) 콤팩트 용기
KR102361393B1 (ko) 화장품 용기
KR200267485Y1 (ko) 화장품용기의 케이스
CN213849125U (zh) 一种化妆品箱包
CN215400449U (zh) 一种储物瓶
KR20190004439A (ko) 이중 튜브 뚜껑
CN210642914U (zh) 一种用于洗漱化妆用品的组合收纳包
CN214325619U (zh) 一种茶叶包装盒
CN208199197U (zh) 用以收纳胶囊的靓体盒及其蕊心泡壳
JP5285935B2 (ja) 容器収容ケース
CN209396243U (zh) 可形成有拎手的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