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283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283B1
KR102531283B1 KR1020210170698A KR20210170698A KR102531283B1 KR 102531283 B1 KR102531283 B1 KR 102531283B1 KR 1020210170698 A KR1020210170698 A KR 1020210170698A KR 20210170698 A KR20210170698 A KR 20210170698A KR 102531283 B1 KR102531283 B1 KR 10253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iner
shoulder
r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창
김남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to KR102021017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필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외용기와, 외용기의 상부에 결합하는 숄더와, 외용기에 수납되고 숄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리필모듈과, 리필모듈의 상부에 결합하는 오버캡을 포함하고, 리필모듈은, 내용물이 충진되고 숄더와 나사 결합하는 내용기와, 내용기의 상부에 결합하는 링과, 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내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내용기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리필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으로 인한 재활용의 어려움과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서, 내용물 용기만을 교체해서 리필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내용물 용기만을 리필하는 경우, 화장품 용기 전체를 폐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47262호에는 리필이 가능한 컴팩트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컴팩트 용기는 외부의 화장품용 컴팩트에서 리필용기를 분리함으로써 리필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충진할 수 있다. 그리고 리필용기는 용기본체 및 용기커버를 구비하고, 용기커버는 용기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망사천 덮개, 스폰지, 보조 망사천 덮개, 밸브판, 덮개 케이싱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리필 가능한 컴팩트 용기는 리필용기의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크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리필용기는 하부케이스의 상부를 통해서 결합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하부케이스에 결합된 커버를 개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리필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단순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리필케이스가 하부케이스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내용물의 리필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외용기와, 외용기의 상부에 결합하는 숄더와, 외용기에 수납되고 숄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리필모듈과, 리필모듈의 상부에 결합하는 오버캡을 포함하고, 리필모듈은, 내용물이 충진되고 숄더와 나사 결합하는 내용기와, 내용기의 상부에 결합하는 링과, 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내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내용기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숄더는 내용기와 결합하는 제1 둘레면과, 외용기에 결합하는 제2 둘레면을 포함하고, 제1 둘레면의 외주면에는 숄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용기는, 외주면 및 내주면과, 제1 둘레면이 삽입되는 숄더결합홈을 구비하고, 외주면에는 숄더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는 내용기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숄더는 제1 둘레면과 제2 둘레면을 구분하는 단턱을 포함하고, 단턱에는 외주면이 위치할 수 있다.
내용기커버는 바닥면과 커버둘레면을 구비하고, 커버둘레면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링은 링둘레면을 구비하고, 씰링부재는 링둘레면을 가압할 수 있다.
씰링부재는 이중 사출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리필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AA선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에서 오버캡이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리필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숄더와 외용기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AA선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에서 오버캡(110)이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리필모듈(115)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숄더(180)와 외용기(200)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오버캡(110)이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충진되는 리필모듈(115)이 외용기(200)에 대해서 나사 결합에 의해서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내용물에 대한 사용을 완료한 경우 리필모듈(115)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오버캡(110), 리필모듈(115), 숄더(180) 및 외용기(200)를 포함한다. 외용기(200)의 상부에 숄더(180)가 결합되고, 숄더(180)의 상부에 리필모듈(115)이 나사 결합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리필모듈(115)의 상부에는 오버캡(110)이 결합된다.
오버캡(110)은 리필모듈(115)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오버캡(110)은, 리필모듈(115)과 결합시, 내용기(160)의 외주면(162) 둘레에 배치된다. 그리고 오버캡(110)은 숄더(180) 및 외용기(200)과 함께 교체되지 않는 부분에 해당한다.
리필모듈(115)은 내용기(160), 링(140) 및 내용기커버(120)를 포함하고 숄더(180)에 나사 결합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내용기커버(120)는 내용기(16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 및 밀폐한다. 그리고 내용기커버(120)는 링(14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내용물을 보호하면서도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내용기커버(120)는 바닥면(124). 커버둘레면(132) 및 커버플랜지(126)를 갖고 중앙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커버플랜지(126)는 커버둘레면(132)의 상단부에서 외향 돌출된 것으로, 링(140)과 내용기커버(120)가 결합하는 경우, 링(140)의 링플랜지(142)의 상부에 위치한다.
커버둘레면(132)은 링(140)의 링둘레면(146)의 내주면과 접하면서 내용기(16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한다. 특히, 커버둘레면(132)의 외주면에 씰링부재(130)가 이중 사출 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씰링부재(130)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으며, 커버둘레면(132)의 외주면과 링둘레면(146)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압착되면서 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내용기커버(120)의 일 측에는 힌지(128)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128)는 링(140)에 형성된 힌지연결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내용기커버(120)는 링(140)에 대해서 회전에 의해서 개방 및 폐쇄된다.
링(140)은 내용기(160)의 상부에 결합하고 내용기커버(1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링(140)은 링플랜지(142), 단턱(144), 링둘레면(146) 및 링삽입돌기(148)를 포함한다.
링플랜지(142)는 링둘레면(146)의 상단부에서 외향 돌출되고, 내용기(160)와 결합하는 경우 그 상면(164)에 위치한다. 그리고 링플랜지(142)의 상부에는 내용기커버(120)의 커버플랜지(126)가 위치한다.
링둘레면(146)은 내용기(160)의 내주면(166)의 내부에서 내주면(166)과 접한다. 그리고 링둘레면(146)의 하단부에는 단턱(144)이 내향 돌출된다. 또한, 단턱(144)의 하부에는 링삽입돌기(148)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링삽입돌기(148)는 내용기(160)의 링결합홈(172)에 억지끼워맞춤(press fitting)에 의해서 결합된다.
링(140)의 일 측에는 힌지연결부재(150)가 구비되어 있다. 힌지연결부재(150)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U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힌지연결부재(150)의 내부에는 내용기커버(120)에 구비되어 있는 힌지(128)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내용기커버(120)가 링(14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내용기(160)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고 외용기(20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내용기(160)는 외주면(162), 내주면(166), 숄더결합홈(168), 링결합홈(172) 및 수용공간(174)을 구비한다.
외주면(162)은 내용기(160)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 숄더(180)의 둘레에 위치하는 면에 해당한다. 오버캡(110)이 분리되면 외주면(162)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주면(162)을 잡고 회전시켜서 리필모듈(115)을 외용기(2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내주면(166)은 외주면(162)에서 일정 간격을 갖고 내측에 형성된 면에 해당한다. 내주면(166)의 내부에는 링(140)의 링둘레면(146)이 위치한다.
내주면(166)과 외주면(162)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에 해당하는 숄더결합홈(168)이 형성되어 있다. 숄더결합홈(168)의 내부에는 숄더(180)의 제1 둘레면(182)이 나사 결합에 의해서 삽입된다. 이와 같은 나사 결합을 위해서 숄더결합홈(168)의 내면에 해당하는 외주면(162)의 내측에는 내용기나사산(163)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면(162)과 내주면(166)의 상단부는 상면(164)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면(164)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용기(160)의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면(164)의 상부에는 링플랜지(142)가 위치할 수 있다.
내주면(166)에는 걸림홈(17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70)에는 링둘레면(146)에 형성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링(140)이 내용기(16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내주면(166)의 내부에는 링결합홈(172)이 형성되어 있다. 링결합홈(172)은 내주면(166)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일정한 깊이를 갖는다. 링결합홈(172)의 내부에는 링삽입돌기(148)가 삽입된다.
내용기(160)는 수용공간(174)을 갖는다. 수용공간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직경은 내주면(166)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174)의 직경은 외용기(200)에 비해서 작게 형성된다. 수용공간(174)의 내부에는 액체 또는 고체 등과 같은 다양한 내용물(예를 들면 크림 타입 화장품)이 충진될 수 있다.
리필모듈(115)을 이루는 내용기커버(120), 링(140) 및 내용기(160)는 모두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후 재활용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숄더(180)는 외용기(200)의 상부에 결합해서 리필모듈(115)과 결합한다. 숄더(180)는 중앙이 관통된 링 형상을 갖고, 제1 둘레면(182), 숄더단턱(186) 및 제2 둘레면(188)을 구비한다.
제1 둘레면(182)은 숄더단턱(186)에서 상향 돌출된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숄더나사산(184)이 형성되어 있다. 숄더나사산(184)은 내용기(160)의 외주면(162)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내용기나사산(163)과 나사 결합한다. 이와 같은 숄더나사산(184)과 내용기나사산(163)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서, 리필모듈(115)이 외용기(200)에 분리 및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숄더단턱(186)은 제1 둘레면(182)의 하단에서 외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숄더단턱(186)의 상면에는 내용기(160)의 외주면(162)과 오버캡(110)의 하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숄더단턱(186)의 단부에는 제2 둘레면(188)이 하향 돌출되어 있다. 제2 둘레면(188)은 제1 둘레면(182)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둘레면(188)의 내부에는 외용기(20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204)가 억지끼워맞춤에 의해서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숄더(180)가 외용기(200)에 결합하게 된다.
외용기(200)는 오버캡(110) 및 숄더(180)와 함께 화장품 용기(100)의 외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외용기(20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져서 내용기(160)를 수용한다. 외용기(200)는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고, 그 상부에는 외용기단턱(206) 및 결합돌기(204)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204)는 외용기단턱(206)에서 상향 돌출된 것으로, 숄더(180)와 결합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결합돌기(204)의 외주면에는 후크(hook) 형상의 걸림돌기(208)가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데, 걸림돌기(208)는 숄더(180)의 제2 둘레면(188)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도시하지 않음)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숄더(180)가 외용기(20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결합돌기(204)에는 회전방지홈(20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홈(202)에는 숄더(180)의 제2 둘레면(188)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숄더(180)는 외용기(200)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장품 용기
110: 오버캡
120: 내용기커버
140: 링
160: 내용기
180: 숄더
200: 외용기

Claims (5)

  1.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상부에 결합하는 숄더;
    상기 외용기에 수납되고 상기 숄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리필모듈; 및
    상기 리필모듈의 상부에 결합하는 오버캡을 포함하고,
    상기 리필모듈은, 내용물이 충진되고 상기 숄더와 나사 결합하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의 상부에 결합하는 링과, 상기 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상기 내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내용기커버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는 상기 내용기와 결합하는 제1 둘레면과, 상기 외용기에 결합하는 제2 둘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둘레면의 외주면에는 숄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는, 외주면 및 내주면과, 상기 제1 둘레면이 삽입되는 숄더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외주면에는 상기 숄더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는 내용기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는 상기 제1 둘레면과 상기 제2 둘레면을 구분하는 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단턱에는 상기 외주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커버는 바닥면과 커버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둘레면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링은 링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링둘레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이중 사출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210170698A 2021-12-02 2021-12-02 화장품 용기 KR10253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98A KR102531283B1 (ko) 2021-12-02 2021-12-02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698A KR102531283B1 (ko) 2021-12-02 2021-12-02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283B1 true KR102531283B1 (ko) 2023-05-11

Family

ID=8637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698A KR102531283B1 (ko) 2021-12-02 2021-12-02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608B1 (ko) * 2023-09-05 2024-03-18 김성용 원형 화장품 리필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59B1 (ko) * 2013-06-25 2014-06-05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160040012A (ko) * 2014-10-02 2016-04-12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KR20180012433A (ko) * 2016-07-27 2018-02-06 (주)아모레퍼시픽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2284145B1 (ko) * 2020-12-08 2021-08-02 정신환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59B1 (ko) * 2013-06-25 2014-06-05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160040012A (ko) * 2014-10-02 2016-04-12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KR20180012433A (ko) * 2016-07-27 2018-02-06 (주)아모레퍼시픽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2284145B1 (ko) * 2020-12-08 2021-08-02 정신환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608B1 (ko) * 2023-09-05 2024-03-18 김성용 원형 화장품 리필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7388B2 (ja) 粘性化粧料用容器
KR100758217B1 (ko) 화장용브러시의 토출구조
US11730249B2 (en) Cosmetic jars with sweep collar
KR20070088301A (ko) 토출용기
KR102531283B1 (ko) 화장품 용기
US20190150591A1 (en) Portable container for containing foundation cream
EP1595470B1 (en) Cosmetics dispenser container fitment
KR100757508B1 (ko) 화장용브러시
KR101228574B1 (ko) 듀얼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356605B1 (ko) 화장품 용기
JP5590554B2 (ja) 塗布容器
KR20190023436A (ko) 화장품 용기
KR101923180B1 (ko) 화장품 용기
JP3621471B2 (ja) ペア容器
KR101214566B1 (ko) 다용도 화장품 용기
KR101104842B1 (ko) 휴대용 액체용기
KR101151002B1 (ko) 화장품 용기
KR101756963B1 (ko) 컴팩트 용기
JP2000201729A (ja) 液体化粧料の収納容器
KR20220050262A (ko) 화장도구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JP5026030B2 (ja) 化粧料塗布具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CN112804911A (zh) 能够防止化妆品残留并且同时具有气密功能的化妆品容器
KR102620222B1 (ko) 리필이 용이한 내용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