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259B1 - 화장용 파우더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 파우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259B1
KR101404259B1 KR1020130072941A KR20130072941A KR101404259B1 KR 101404259 B1 KR101404259 B1 KR 101404259B1 KR 1020130072941 A KR1020130072941 A KR 1020130072941A KR 20130072941 A KR20130072941 A KR 20130072941A KR 101404259 B1 KR101404259 B1 KR 10140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uff
shoulder cap
powde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선
Original Assignee
정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선 filed Critical 정규선
Priority to KR1020130072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92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circ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프가 일체로 구비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력 및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소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 방식으로 퍼프(40)를 제작하고 이를 화장용 파우더가 수용되는 용기본체(10)의 숄더 캡(20)에 링형 고정구(30)를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 사용함으로써 종래 라텍스 소재의 스폰지를 이용하여 제작하던 것에 비하여 퍼프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높이면서도 퍼프의 교체 사용이 용이하고, 또 파우더 화장시 피부에 대한 양호한 터치감을 제공하면서도 터치시 터치면의 안정된 탄성 작용에 의해 파우더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화장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 파우더 용기{POWER VESSEL FOR MAKEUP}
본 발명은 퍼프가 일체로 구비된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기로는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소재로 사출 성형된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용 파우더의 화장을 하더라도 양호한 피부 터치감을 제공하면서도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또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품의 제조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한 가능하도록 한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파우더(Powder)는 주로 여성들이 기초 화장을 하기 위하여 파우더 용기에 담겨진 파우더를 퍼프(puff)라고 하는 화장도구를 주로 이용하여 얼굴에 묻혀 화장하게 되는 화장재료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화장용 파우더는 통상적으로 파우더 용기에 담아 사용하게 되는바, 근자에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퍼프를 일체형으로 조립 구성하여 뚜껑을 개방한 다음 한 손으로 파우더 용기를 잡고 퍼프를 얼굴에 두드려 주는 것에 의해 파우더가 퍼프를 통해 배출되면서 화장이 가능하도록 한 제품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고, 그 몇 가지 예로서는 아래 특허문헌 1,2,3,4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파우더 용기에 채용되고 있는 퍼프는, 특허문헌 1,2,3,4에서도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라텍스(latex) 재질의 스폰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라텍스 재질의 스폰지를 이용한 퍼프는 소재 특성상 부드럽고 쿠션이 좋아 피부에 대한 안정된 터치감을 제공하는 이점은 있지만, 가공성 및 작업성이 매우 나빠 대량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데 가장 큰 문제가 있다. 즉, 라텍스 소재의 스폰지를 퍼프의 용도에 맞도록하기 위해서는 스폰지를 조립 구조에 맞추어 외주면을 다양하게 절단 가공하거나, 또는 파우더 배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수직 방향으로 천공해야 하는 작업들이 매우 어렵고 곤란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라텍스 재질의 스폰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퍼프는 가공성 및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됨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여 제품의 신속한 공급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특히 종래 라텍스 재질의 스폰지를 이용한 퍼프는 안정된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는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파우더가 부주의로 인해 습하게 되는 경우 배출공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특허문헌 3,4 참조), 또한 재질이 약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8763호에 게재된 ‘화장용 퍼프’에 의하면, 몸체부를 통기성이 양호한 재질로 내피 및 외피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고, 내피 및 이피 사이에는 망사형태의 쿠션부재를 내장하거나, 또는 라텍스 재질의 결합체를 몸체부에 내장되도록 구성하여 종래 퍼프 전체가 라텍스 재질로만 이루어짐에 따른 쿠션 및 탄력성의 약화 문제를 해결하고, 화장하는 과정에서 파손되거나 촉감이 부드럽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되기도 하였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09670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36193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98407호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592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파우더 화장시 피부에 터치됨과 동시에 파우더를 피부에 배출시켜주는 퍼프를 사출성이 양호한 고무소재로 제작하고, 양호한 터치감을 갖도록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종래 라텍스 재질의 스폰지를 이용한 퍼프의 사용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함과 동시에 숄더 캡에 대하여 링형 고정구를 통해 퍼프 및 커버를 별도로 착탈가능하게 조립 구성함으로써 이들의 교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특히 커버의 안정된 조립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사용 편리성이 매우 높아지도록 한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는, 화장용 파우더가 담겨지는 수용부를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고, 동시에 결합관을 갖는 안착부가 구비된 숄더 캡과; 상기 숄더 캡의 결합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단 외주연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숄더 캡의 안착부에 걸림 밀착되는 받침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형 고정구와;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소재로 사출 성형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파우더 배출공이 형성된 터치면이 마련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또 상기 링형 고정구의 결합부 내부에 끼워지도록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는 결합 지지부와, 상기 링형 고정구의 받침턱 상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결합 지지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퍼프와; 탄력 개방부를 이용하여 상기 링형 고정구에 끼워지는 퍼프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기 위하여 씌워지는 커버와; 상기 숄더 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그 탄성 개방부가 상기 링형 고정구의 받침턱 하단까지 감싸지는 형태로 씌워지게 하여 상기 링형 고정구를 상기 숄더 캡의 결합관에 결합할 때 상기 링형 고정구의 받침턱 하단이 상기 숄더 캡의 안착부 상면과 밀착시 이들 사이에 개재되어 함께 밀착 고정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숄더 캡에 형성되는 결합관은 용기본체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공간이 마련되는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링형 고정구의 결합부 하단으로는 숄더 캡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한 푸쉬면이 내주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퍼프의 터치면은 그 중앙부를 향해 상향으로 만곡지는 형태로 형성하여 피부에 대한 안정된 터치감 및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면으로 형성되는 파우더 배출공은 “+”자 형태로 절제 형성하여 피부 터치시에만 개방되어 지면서 파우더가 배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 터치시 파우더를 배출하는 퍼프를 사출 성형성이 양호한 고무소재로 형성하고 파우더 배출공이 형성되는 터치면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라텍스소재의 퍼프에서 요구되는 안정된 터치 및 양호한 탄성력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어 파우더 화장에 따른 파우더의 배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퍼프의 제작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제품의 제조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또한 숄더 캡에 대하여 링형 고정구를 통해 퍼프나 이를 보호하는 커버를 간편하게 분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들의 교체작업을 누구나가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링형 고정구 형성되는 푸쉬면에 의해 숄더 캡으로 부터 링형 고정구를 외측으로 밀어내기가 용이하여 퍼프나 커버의 분리 교체에 따른 링형 고정구의 분리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퍼프의 터치면으로 형성되는 파우더 배출공을 구멍이 아닌 “+”자 형태로 절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터치면이 피부에 터치되는 경우에만 파우더가 배출되도록하여 파우더의 누출로 인한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보다 위생적인 휴대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절단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링형 고정구와 숄더캡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숄더캡으로부터 링형 고정구를 분리하는 상태를 보인 발췌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퍼프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뚜껑에 거울이 부착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일부 절단 조립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1)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용기본체(10)와, 숄더캡(20), 링형 고정구(30), 탄성력이 양호한 고무소재로 사출 성형되는 퍼프(40), 커버(50) 및 뚜껑(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본체(10)로는 일방으로 개방된 수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로는 일정량의 화장용 파우더가 담겨지게 된다. 용기본체는 화장용 파우더의 소모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투명체 또는 불투명체이어도 무방하다.
숄더 캡(20)은 용기본체의 상단 외주면으로 형성된 나사부(14)에 대하여 그 하단 내주면으로 형성된 나사부(22)가 상호 나사 결합 방식으로 분리 결합되어 진다. 숄더 캡은 링형 고정구(30)를 이용하여 퍼프(40)를 용기본체에 조립 고정하기 위한 중간체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그 상단으로는 안착부(24)가 마련되어 있고, 그 내주면으로는 결합관(26)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관은 용기본체(10)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공간(25)이 마련되는 상태로 형성하여 용기본체와 숄더 캡 간의 조립시 이들의 기밀력이 높아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링형 고정구(30)는 상기 숄더 캡(20)에 대하여 퍼프(40) 및 커버(50)를 안정되게 결합 고정하고, 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숄더 캡의 결합관(2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결합부(32)와, 상기 결합부의 상단 외주연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숄더 캡의 안착부(24)에 걸림 밀착되는 받침턱(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형 고정구(30)와 숄더캡(20)의 결합은, 다양한 방법이 제시될 수도 있으나, 상기 링형 고정구(30)의 결합부(32)의 외주연에 걸림턱(33)을 형성하고, 상기 숄더캡(20)의 결합관(34)의 내주면으로는 걸림홈(27)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이들의 상호 결합에 의해 조립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링형 고정구 및 숄더캡의 결합관에 각각 대등되게 형성되는 걸림턱(33) 및 걸림홈(27)은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링형 고정구(30)의 결합부(32) 하단으로는 도 9와 같이 숄더 캡(20)으로부터 링형 고정구를 안전하게 밀어내기 위한 푸쉬면(36)을 내주면으로 연장 형성하여, 숄더 캡에 대한 링형 고정구의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퍼프(40)는 화장시 피부에 터치되면서 용기본체(10)의 수용부(12)로부터 화장용 파우더를 외부로 배출시켜 화장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장시 우수한 탄력성과 양호한 터치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 복원력이 양호하고, 신축성이 우수한 성질을 갖는 고무(Rubber)소재로 사출 성형된다. 여기서 고무라 함은, 일반적으로 합성고무를 말하는 것으로서, 실리콘 고무(silicon rubber), NBR(Acrylo Nitril Butadiene RUBBER) 과 같은 고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퍼프(40)는 고무 소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출 작업성이 매우 양호하고 별도의 가공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퍼프(40)는 종래 라텍스 소재의 스폰지로 제작되던 퍼프에 비하여 높은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 단가를 현저하게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소재의 퍼프(40)는, 하나 이상의 파우더 배출공(41)이 형성된 터치면(42)이 마련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또 상기 링형 고정구(30)의 결합부(32) 내부에 끼워지도록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는 결합 지지부(44)와, 상기 링형 고정구(30)의 받침턱(34) 상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결합 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받침 테(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퍼프(40)의 터치면(42)은 텐션 작용이 가능한 형태라면 특별히 그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나, 중앙의 터치면을 향해 가장자리부분이 상향으로 만곡지는 형태로 형성하여 피부에 대한 안정된 터치감 및 강한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터치면(42)에 형성되는 구멍 형태의 배출공(41)은 도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수용부로 부터 화장용 파우더의 배출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중심으로 나머지 배출공은 방사상으로 고르게 배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출공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설계상 화장용 파우더가 원활하게 배출되는 정도의 크기라면 족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면(42)으로 형성되는 파우더 배출공(41)은 도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구멍 형태가 아니라 “+”자 형태로 절제 형성하여 피부 터치시에만 개방되어 지면서 화장용 파우더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와 같이 퍼프(40)의 터치면(42)에 형성되는 파우더 배출공(41)의 형태를 구멍이 아닌 “+”자 형태로 절제 형성함으로써 용기 본체(10)의 수용부(12)에 담겨진 화장용 파우더는 피부 터치시에만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화장용 파우더를 배출하기 때문에 도 7과 같이 항상 개방 상태에 있는 구멍 타입에 비하여 화장용 파우더의 과도한 배출이나 불필요한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커버(50)는 일방으로 구비되는 탄력 개방부(52)를 이용하여 상기 링형 고정구(30)에 끼워지는 퍼프(40)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기 위하여 씌워지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파우더 화장시 실질적으로 피부에 닿는 부분으로서, 터치시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고, 또 퍼프로부터 배출되는 파우더의 양호한 배출을 유도하기 위해 발포 스폰지의 표면에 미세한 섬유 분말을 접착제에 의하여 균일하게 접착시킨 프로킹스폰지(Flocking sponge)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뚜껑(60)은 상기 숄더 캡(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퍼프(40)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숄더 캡(2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진다. 여기서 숄더 캡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은 다양한 결합 방식이 강구될 수 있으나, 숄더 캡(20)과 뚜껑(60)의 내 외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돌기(21)와 걸림홈(62)의 상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퍼프(40)를 보호하는 커버(50)는 그 탄성 개방부(52)가 상기 링형 고정구(30)의 받침턱(34) 하단까지 감싸지는 형태로 씌워지게 하여 상기 링형 고정구를 상기 숄더 캡(20)의 결합공(24)에 결합할 때 상기 링형 고정구의 받침턱(34) 하단이 상기 숄더 캡(20)의 안착부(24) 상면과 밀착될 때 이들 사이에 개재되어 함께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숄더 캡(20)의 안착부(24)로는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원주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돌기(23)를 더 형성하여 링형 고정구(30)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커버(50)의 탄성 개방부(52)가 요철돌기에 더욱 가압 밀착되어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장용 파우더 용기(10)에 대한 조립과정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용기본체(10) 상부에 숄더 캡(20)을 나사 결합한다. 이때 솔더 캡은 결합관(26)의 형성시 마련되는 끼움공간(25)에 용기본체(10)의 상단이 상호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짐에 따라 용기본체와 숄더 캡 간의 기밀력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링형 고정구(30)의 결합부(32) 내측으로는 퍼프(40)의 결합 지지부(44)를 끼움하여 준다. 그러면 퍼프는 받침 테(46)가 링형 고정구(30)의 받침턱(34)에 받침되는 상태로 안전하게 고정지지 된다. 그리고, 퍼프(40)의 외주면으로는 커버(50)를 씌우게 되는바, 이때 탄성 개방부(52)가 링형 고정구(30)의 받침턱(34) 하단까지 감싸지는 상태로 씌워준다.
이런 상태에서 링형 고정구(30)를 상기 숄더 캡(20)의 결합관(26)을 통해 강제로 밀어넣어 끼워준다. 그러면 상기 링형 고정구(30)는 결합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3)이 숄더 캡(20)의 결합관(26)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홈(27)에 상호 탄성적으로 걸림 고정되어 지고, 이러한 결합에 의해 링형 고정구(30)는 숄더 캡(20)에 대하여 단단히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숄더 캡(20)에 대하여 링형 고정구(30)가 결합될 때 상기 링형 고정구에 씌워진 커버(50)의 탄성 개방부(52)는 링형 고정구의 받침턱과 숄더 캡의 안착부 상면에 게재되어 밀착 받침되어 지기 때문에 단단히 밀착 고정되어 진다. 더욱이 숄더 캡(20)의 안착부(24)에 형성된 요철돌기(23)에 의해 걸림되어 짐에 따라 강제로 분리하지 않는 이상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링형 고정구(30)를 숄더 캡(20)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퍼프(40)는 그 외주면이 커버(50)에 의해 안전하게 씌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 커버는 링형 고정구를 숄더 캡으로 부터 분리해내지 않는 이상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숄더 캡(20)의 상부로는 상기 링형 고정구(30)에 결합된 퍼프(40) 및 커버(50)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뚜껑(60)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완료되어 진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화장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숄더 캡(20)으로부터 뚜껑(60)을 개방한 다음 한 손으로 용기 본체(10)를 잡은 다음 커버(50)로 씌워진 퍼프(40)를 얼굴에 대고 두드려 주는 것에 의해 퍼프(40)의 터치면(42)이 탄력 작용을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터치면의 탄력 작용에 의해 용기본체(10)의 수용부(12)에 수용된 화장용 파우더가 터치면에 형성된 파우더 배출공(41)을 통해 배출되어 지고 동시에 커버(50)를 통해 화장하고자 하는 피부에 최종적으로 배출되어 지면서 파우더 화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퍼프(40)는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 소재로 성형되기 때문에 특히 터치면(42)이 양호한 탄성 작용을 발휘하게 되고, 이로 인해 화장용 파우더 배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피부에 대한 터치감 역시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어서 화장용 파우더의 화장에 따른 거부감이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우더 화장이 완료되면 다시 뚜껑(60)을 숄더 캡(20)에 닫아 주는 것에 의해 링형 고정구(30)에 구비된 퍼프(40) 및 커버(50)가 안전하게 보호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1)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파우더 화장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화장용 파우더 용기(10)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 커버(50)가 더러워 지거나 퍼프(40)가 훼손되어 다른 것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숄더 캡(20)으로부터 뚜껑(60)을 분리해 낸 다음 숄더 캡(20)을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숄더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하면 도 9와 같이 숄더 캡의 개방단 내부로는 링형 고정구(30)의 결합부(32)가 보이게 되고, 그 바닥으로 형성된 푸쉬면(36)을 이용하여 링형 고정구(30)를 강제로 밀어내는 것에 의해 숄더 캡(20)으로 부터 링형 고정구가 분리되어 지게 된다.
이렇게 링형 고정구(30)가 숄더 캡(20)으로 부터 분리되면, 커버(50)를 벗겨내어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아니면 퍼프(40) 까지 새것으로 교체 한 다음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링형 고정구를 다시 숄더 캡의 결합관에 강제로 밀어 넣어 고정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완료되어 지는 것이어서, 퍼프나 커버의 교체 작업을 보다 간편 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이와 같이 링형 고정구를 이용하여 퍼프나 커버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이들 부품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부품들은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작게는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일부 구성 부품의 리필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매우 경제적이다.
한편, 뚜껑(60)의 상면으로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파우더 화장시 얼굴을 볼 수 있는 거울(64)이 더 구비되어 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 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화장용 파우더 용기 10: 용기본체
12: 수용부 20: 숄더 캡
24: 안착부 25: 끼움공간
26: 결합관 27: 걸림홈
30: 링형 고정구 32: 결합부
33: 걸림턱 34: 받침턱
40: 퍼프 41: 파우더 배출공
42: 터치면 44: 결합 지지부
46: 받침 테 50: 커버
52: 탄성 개방부 60: 뚜껑

Claims (5)

  1. 화장용 파우더가 담겨지는 수용부를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고, 동시에 결합관을 갖는 안착부가 구비된 숄더 캡과;
    상기 숄더 캡의 결합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단 외주연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숄더 캡의 안착부에 걸림 밀착되는 받침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링형 고정구와;
    고무소재로 사출 성형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파우더 배출공이 형성된 터치면이 마련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또 상기 링형 고정구의 결합부 내부에 끼워지도록 일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는 결합 지지부와, 상기 링형 고정구의 받침턱 상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결합 지지부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 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퍼프와;
    탄력 개방부를 이용하여 상기 링형 고정구에 끼워지는 퍼프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기 위하여 씌워지는 커버와;
    상기 숄더 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그 탄성 개방부가 상기 링형 고정구의 받침턱 하단까지 감싸지는 형태로 씌워지게 하여 상기 링형 고정구를 상기 숄더 캡의 결합관에 결합할 때 상기 링형 고정구의 받침턱 하단이 상기 숄더 캡의 안착부 상면과 밀착시 이들 사이에 개재되어 함께 밀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캡에 형성되는 결합관은 용기본체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공간이 마련되는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고정구의 결합부 하단으로는 숄더 캡으로부터 밀어내기 위한 푸쉬면이 내주면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의 터치면은 그 중앙부를 향해 상향으로 만곡지는 형태로 형성하여 피부에 대한 안정된 터치감 및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면으로 형성되는 파우더 배출공은 “+”자 형태로 절제 형성하여 피부 터치시에만 개방되어 지면서 파우더가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20130072941A 2013-06-25 2013-06-25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40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941A KR101404259B1 (ko) 2013-06-25 2013-06-25 화장용 파우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941A KR101404259B1 (ko) 2013-06-25 2013-06-25 화장용 파우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259B1 true KR101404259B1 (ko) 2014-06-05

Family

ID=5113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941A KR101404259B1 (ko) 2013-06-25 2013-06-25 화장용 파우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8842A (zh) * 2018-11-29 2019-04-09 苏州海明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基于真空发生原理的粉底盒
KR102531283B1 (ko) * 2021-12-02 2023-05-11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30Y1 (ko) * 2005-08-12 2005-11-01 변영광 페이스 파우더 용기
KR100698407B1 (ko) * 2006-03-17 2007-03-23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060826B1 (ko) * 2011-02-25 2011-08-30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30Y1 (ko) * 2005-08-12 2005-11-01 변영광 페이스 파우더 용기
KR100698407B1 (ko) * 2006-03-17 2007-03-23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060826B1 (ko) * 2011-02-25 2011-08-30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8842A (zh) * 2018-11-29 2019-04-09 苏州海明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基于真空发生原理的粉底盒
CN109588842B (zh) * 2018-11-29 2023-09-05 苏州海明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真空发生原理的粉底盒
KR102531283B1 (ko) * 2021-12-02 2023-05-11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4031B1 (en) Compact case having airtight structure refillable with capsule cosmetic
EP3210492B1 (en) Compact cosmetics container having opening/closing button formed in lid thereof
KR101978869B1 (ko) 이중사출을 이용한 리필용기
WO2006110920A3 (en) Souvenir toothbrush, holder and soap dish
JP6386668B2 (ja) スポイト型異液混合容器
JP2014511317A (ja) 容器、特に化粧製品用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60285Y1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US20180037375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button integrally formed thereon
KR20170011603A (ko) 이중 어플리케이터 립메이크업 용기
KR101404259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529424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84833Y1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2375068B1 (ko) 버튼의 작동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101804172B1 (ko) 에어홀을 갖는 다중 메쉬망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11471006B2 (en) Soap-dispensing bath sponge assembly
KR20210026794A (ko) 리필용기의 교체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20160087483A (ko) 메쉬망을 구비한 콤팩트용 캡슐용기
KR101886143B1 (ko) 오염 방지 콤팩트 용기
JP2008061673A (ja) 化粧料容器
KR200473105Y1 (ko) 화장용 퍼프
KR200480771Y1 (ko) 버튼이 일체로 형성된 콤팩트 용기
KR102634641B1 (ko) 리필용기의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0319255Y1 (ko) 화장용 퍼프
CN108652183B (zh) 一种化妆粉容器
KR20220046877A (ko) 장식부를 갖는 원터치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