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865B1 - 소분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소분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865B1
KR102643865B1 KR1020210105119A KR20210105119A KR102643865B1 KR 102643865 B1 KR102643865 B1 KR 102643865B1 KR 1020210105119 A KR1020210105119 A KR 1020210105119A KR 20210105119 A KR20210105119 A KR 20210105119A KR 102643865 B1 KR102643865 B1 KR 102643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division
internal space
storage
closing memb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3217A (ko
Inventor
곽용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퀘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퀘어
Priority to KR102021010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8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분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제1 내부공간이 형성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제2 내부공간이 상기 저장부의 하단을 통해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소분부;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저장부가 구비되고, 저장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단부가 저장부의 외측 상방으로 연장된 소분부가 구비됨으로써, 소분부의 하단에 저장부로부터 일정량 유입된 내용물이 배출되어 내용물을 일정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소분이 가능한 용기{BOTTLE CAPABLE OF SUBDIVIDING CONTENT}
본 발명은 소분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한 양으로 소분하여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소분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분말 저장용기는 분말상태의 제품을 저장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 상단의 배출구를 개방하는 마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배출구에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분말을 소량으로 배출하면서 사용자가 눈짐작으로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눈짐작으로 배출량을 조절할 경우 정확한 양을 배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숙련되지 않은 사람의 경우에는 배출량조절이 더욱 어렵고, 배출량이 너무 많거나 적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분말의 정량 배출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에 격벽을 형성하여 저장공간이 배출구와 격리되도록 하면서 배출로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배출로 내의 분말만이 배출되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대한민국 특허등록 1199682호)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분말이 배출로 내에 잔류하는 양이 특정되지 않으므로 정량으로 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저장용기를 세워서 보관할 경우에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분말이 배출로로 흘러내리면서 충진되는 구조인데, 예를 들면 저장용기가 전혀 움직임되지 않도록 가만히 세워서 보관하면 배출로에 충진되는 양이 매우 적어지고 저장용기를 흔들게 되면 배출로에 분말이 가득 차게 충진되므로 배출로에 충진되는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8-002352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0916540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05-012158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3869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내용물 배출 시 일정한 양만큼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기울기에 따라 내용물의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분이 가능한 용기는, 일측에 제1 내부공간이 형성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제2 내부공간이 상기 저장부의 하단을 통해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소분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분부는 상기 제2 내부공간 중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 연결된 부분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소분부를 뒤집었을 시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저장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분부는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일측이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이 상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타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의 상단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소분부를 일방향으로 회동 시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타방향으로 회동 시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제1 내부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와 소분부가 서로 연결된 부분에는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제2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는 자중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결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소분부가 바로 세워지거나 타방향으로 회동 시 개방되고, 일방향으로 회동 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40도 내지 50도의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소분부의 기울기에 따라 자중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분이 가능한 용기에 따르면, 내용물이 수용되는 저장부가 구비되고, 저장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단부가 저장부의 외측 상방으로 연장된 소분부가 구비됨으로써, 소분부의 하단에 저장부로부터 일정량 유입된 내용물이 배출되어 내용물을 일정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분부의 저장부와 연결된 부분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저장부가 바로 세워져 있을 시 내용물이 하방으로 퍼지면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반대로 뒤집어졌을 시 내용물이 다시 안내되어 저장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소분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분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분부의 동작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분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분부의 동작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A" 및 "B"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소분이 가능한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분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분부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분이 가능한 용기는 내용물이 소분되어 배출됨에 따라 내용물의 정량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분이 가능한 용기는, 저장부(110) 및 소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10)는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제1 내부공간(111)을 가지며, 상단에는 상기 제1 내부공간(111)과 연결된 유입구(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10)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제1 테이퍼편(113)이 형성된다.
상기 소분부(120)는 상기 저장부(11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내부공간(111)과 연결된 제2 내부공간(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분부(120)는 상기 저장부(110)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이 상기 저장부(110)의 외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이 타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소분부(120)의 하단에는 상기 제1 내부공간(111)과 연결된 제2 내부공간(121)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제2 테이퍼편(1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소분부(120)의 하단에는 상기 저장부(110)로부터 내용물이 유입되고, 상기 소분부(120)가 일측으로 회동 시 내용물이 상기 제2 내부공간(121)을 따라 상기 배출구(122)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소분부(120)가 타측으로 회동 시 내용물이 상기 제2 테이퍼편(123)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제1 내부공간(111)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소분부(120)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소분부(120)의 하단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저장부(110)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분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분부의 동작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6에 도시된 "A" 및 "B"의 확대도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분이 가능한 용기는, 저장부(210) 및 소분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210)는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제1 내부공간(211)을 가지며, 상단에는 상기 제1 내부공간(211)과 연결된 유입구(2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210)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제1 테이퍼편(213)이 형성된다.
상기 소분부(220)는 상기 저장부(21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내부공간(211)과 연결된 제2 내부공간(2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분부(220)는 상기 저장부(210)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이 상기 저장부(210)의 외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이 타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저장부(210)의 하단에 연결된 부분에는 연결부(22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24)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내부공간(211)과 제2 내부공간(221)이 연결되도록 연결공(22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4)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공(224a)을 개폐하는 개폐부재(226)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24)의 내부에는 상기 개폐부재(226)가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홈(2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225)은 일측으로 갈수록 상방에 위치되도록 기울기를 가지며, 기울기는 대략 40도 내지 50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공(224a)은 지면과 직교되도록 횡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226)는 상기 슬라이드홈(225)의 하방에 위치 시 상기 연결공(224a)이 개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내주면과 일치될 수 있도록 단부에 수직편(226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분부(220)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공(224a)과 연결된 제2 내부공간(221)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제2 테이퍼편(2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소분부(220)의 하단에는 상기 저장부(210)로부터 내용물이 유입되고, 상기 소분부(220)가 일측으로 회동 시 내용물이 상기 제2 내부공간(221)을 따라 상기 배출구(222)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소분부(220)가 타측으로 회동 시 내용물이 상기 제2 테이퍼편(223)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제1 내부공간(211)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소분부(220)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소분부(220)의 하단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저장부(210)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224)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홈(225)과 연결되는 장홀(225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홀(225a)은 상기 슬라이드홈(225)과 동일한 기울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26)는 일측면에는 상기 장홀(225a)까지 연장되어, 상기 소분부(220)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장홀(225a)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장편(226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편(226a)은 상기 장홀(225a) 내에 위치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장편(226a)을 통해 상기 개폐부재(226)가 임의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장편(226a)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별도의 자성체(미도시)를 통해서만 임의로 조작되도록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슬라이드홈(225) 중 상기 개폐부재(226)를 통해 상기 연결공(224a)의 폐쇄 시 상기 개폐부재(226)의 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에는 힌지에 의해 회동되어 자중에 의해 폐쇄되거나, 상기 개폐부재(226)에 의해 밀려 개방되어 상단에 형성된 인입공(225b)에 배치되는 밀폐부재(225c)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225c)는 상기 연결공(224a)의 개방 시 상기 밀폐부재(225c)와 인접한 상기 슬라이드홈(225)으로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분이 가능한 용기에 따르면, 내용물이 수용되는 저장부가 구비되고, 저장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단부가 저장부의 외측 상방으로 연장된 소분부가 구비됨으로써, 소분부의 하단에 저장부로부터 일정량 유입된 내용물이 배출되어 내용물을 일정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분부의 저장부와 연결된 부분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저장부가 바로 세워져 있을 시 내용물이 하방으로 퍼지면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반대로 뒤집어졌을 시 내용물이 다시 안내되어 저장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소분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용기 110: 저장부
111: 제1 내부공간 112: 유입구
113: 제1 테이퍼편 120: 소분부
121: 제2 내부공간 122: 배출구
123: 제2 테이퍼편

Claims (5)

  1. 일측에 제1 내부공간이 형성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제2 내부공간이 상기 저장부의 하단을 통해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소분부;을 포함하고,
    상기 소분부는 상기 제2 내부공간 중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 연결된 부분이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소분부를 뒤집었을 시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저장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소분부는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일측이 상기 저장부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이 상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타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의 상단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소분부를 일방향으로 회동 시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타방향으로 회동 시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제1 내부공간으로 이동되고,
    상기 저장부와 소분부가 서로 연결된 부분에는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제2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는 자중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결공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소분부가 바로 세워지거나 타방향으로 회동 시 개방되고, 일방향으로 회동 시 폐쇄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40도 내지 50도의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소분부의 기울기에 따라 자중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일측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드홈에 인입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인출 시 단부가 타측에 위치한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타측에 위치한 슬라이드홈에는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폐쇄되도록 밀폐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밀려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분이 가능한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05119A 2021-08-10 2021-08-10 소분이 가능한 용기 KR102643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119A KR102643865B1 (ko) 2021-08-10 2021-08-10 소분이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119A KR102643865B1 (ko) 2021-08-10 2021-08-10 소분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217A KR20230023217A (ko) 2023-02-17
KR102643865B1 true KR102643865B1 (ko) 2024-03-08

Family

ID=8532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119A KR102643865B1 (ko) 2021-08-10 2021-08-10 소분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8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995B2 (ja) * 1992-01-30 2001-04-2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システム
JP2001122358A (ja) 1999-10-25 2001-05-08 Shoji Okada 立体型定量排出容器
US20080257917A1 (en) * 2004-07-12 2008-10-23 Lee Adam E Container to Receive and Dispense a Measured Amount of Particulate Material
US10232971B2 (en) 2013-03-08 2019-03-19 Robert M. Jennings Measu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580A (ko) 2004-06-22 2005-12-27 박인술 투약용 소분 계량용기
KR200386903Y1 (ko) 2005-03-31 2005-06-16 박인술 투약용 소분 계량용기
KR100916540B1 (ko) 2009-03-06 2009-09-14 황해윤 액체용 소분용기
JP3160995U (ja) * 2010-04-30 2010-07-15 有限会社さわだ園 粉粒状物の振出具
KR20180023521A (ko) 2016-08-26 2018-03-07 황해윤 액체용 소분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995B2 (ja) * 1992-01-30 2001-04-2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システム
JP2001122358A (ja) 1999-10-25 2001-05-08 Shoji Okada 立体型定量排出容器
US20080257917A1 (en) * 2004-07-12 2008-10-23 Lee Adam E Container to Receive and Dispense a Measured Amount of Particulate Material
US10232971B2 (en) 2013-03-08 2019-03-19 Robert M. Jennings Measu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217A (ko)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980B2 (en) Rotary-push type cosmetic container
US20160159555A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US8328010B2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movable working member
KR100920203B1 (ko) 배출량 조절이 용이한 분말용 용기
BR112013004938B1 (pt) Recipientes e método para misturar e dispensar concentrados de bebidas
US4779771A (en) Partitioned box for pouring a measured amount of a granulated solid
US20110266311A1 (en) Container with means for metering a dose of a predetermined size
BR112013030107B1 (pt) fecho de dispensação
US20070007310A1 (en) Dispenser
US11464315B2 (en) Dropping pipette-type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ressing button having adjustable descending distance
KR200468340Y1 (ko) 슬라이딩 회전에 의해서 혼합되는 이액형 혼합 화장용기
US20050000986A1 (en) Liquid dosing device
KR102643865B1 (ko) 소분이 가능한 용기
US20230189755A1 (en) Wildlife feeder
TW201438970A (zh) 多腔室容器(六)
US9567137B2 (en) Reversal-type liquid measuring device and bottle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516809B1 (ko) 정량배출이 가능한 분말 저장용기
US20150274399A1 (en) Multi-chamber container
KR102035519B1 (ko) 듀얼 믹싱용기
JP4493757B2 (ja) ロック機構付き携帯用計量容器
KR102092866B1 (ko) 마스크팩 용기
KR102526626B1 (ko) 보관 용기
KR102656867B1 (ko) 화장품 용기
KR102607739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174778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