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482B1 -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482B1
KR102526482B1 KR1020210002000A KR20210002000A KR102526482B1 KR 102526482 B1 KR102526482 B1 KR 102526482B1 KR 1020210002000 A KR1020210002000 A KR 1020210002000A KR 20210002000 A KR20210002000 A KR 20210002000A KR 102526482 B1 KR102526482 B1 KR 102526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code
arrow
augmented reality
arc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739A (ko
Inventor
남수
Original Assignee
남수
주식회사 리처스엘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수, 주식회사 리처스엘앤에이치 filed Critical 남수
Priority to KR1020210002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48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5/00Bows; Crossbows
    • F41B5/14Details of bows; Accessories for arc shooting
    • F41B5/1484Bows with special adaptations or device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52Shooting devices therefor
    • A63F2009/0265Shooting devices therefor using resilient elements
    • A63F2009/0269Bow and arrow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61Projection of a two-dimensional real image
    • A63F2009/2463Projection of a two-dimensional real image on a screen, e.g. using a video proj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증강현실 영상이 제공되는 AR 고글을 착용한 상태에서 실제로 종래 국궁 또는 양궁과 같이 화살을 과녁을 향해 발사하였을 때, 화살에 부착된 화살 AR 코드와 화살이 맞은 과녁 부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과녁 AR 코드를 인식하여 화살과 관련된 증강현실 효과와, 과녁과 관련된 증강현실 효과를 사용자가 착용한 AR 고글 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활쏘기와 함께 다양한 증강현실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ARCHERY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활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수행 가능한 국궁 또는 양궁 관련 활쏘기 시스템에 있어서, 화살이 과녁판에 맞았을 때, 화살과 관련된 증강현실 효과와 화살을 맞은 과녁판 내 각 구역별로 설정된 증강현실 효과가 사용자가 착용한 고글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새로운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하나의 분야에 서 파생된 기술로서, 증강현실은 실제 환경에 가상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그래픽 기법이다. 가상현실은 모든 환경을 컴퓨터를 통해 가상환경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지만,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가상의 물체와 상호작용 함으로서 향상된 현실감을 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최근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을 스포츠 산업에 폭넓게 적용시키려는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증강현실을 스포츠에 접목시키면서 스포츠 행위 자체 외에도 스포츠 행위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스포츠에 더 몰입하게 하는 요소나 즐길거리 등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본 발명은 국궁 또는 양궁과 같은 종래의 활쏘기 스포츠에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활쏘기 관련 다양한 효과음, 음성, 영상을 포함하는 특수효과를 활쏘기를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이고 다양한 활쏘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637호(2018.12.21. 공고일)는 가상 화살 슈팅기를 이용한 스크린 양궁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실제 활을 들고 실제 화살이 장전된 활시위를 당겨 화살을 발사하되, 화살이 활에서 발사되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활을 들고 있는 위치 및 자세에 따른 활 자세 및 사용자가 화살을 당겨 발사한 화살의 속도를 반영한 화살 비행궤적을 계산 한 후, 계산된 화살 비행 궤적에 대한 화살의 화살 비행 영상을 시뮬레이션 영상에 합성하여 표시하는 가상 화살 슈팅기를 이용한 스크린 양궁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6248호(2019.10.23. 공고일)는 스크린 양궁 시스템은 스크린 양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활을 통해 사격을 실시하면, 활에서 실제 화살이 발사되지 않고, 활에서 화살의 이동상태와 속도를 제어부에서 판단하고, 상기 세기를 통해 가상의 공간에 생성될 화살의 속도가 결정되고, 화살에서 출력되는 레이저를 인식하여 가상의 화살이 생성될 위치를 결정함에 따라, 가상의 공간에 가상의 화살이 생성되어 움직여, 사용자가 양궁을 체험할 수 있는 스크린 양궁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7409호(2019.02.20. 공개일)는 양궁 개인훈련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양궁 개인훈련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수가 화살을 쏘기 위한 활, 사수가 화살을 쏘는 목표물인 서로 다른 득점 구간으로 나뉘어진 과녁, 상기 과녁 및 상기 과녁에 꽂히는 화살의 위치를 촬영하기 위한 영상기기인 양궁캠, 상기 양궁캠에서 촬영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로 전송된 영상데이터에서 상기 과녁, 상기 과녁에 꽂힌 화살의 위치 및 바람의 영향을 계산하는 영상분석서버 및 상기 영상분석서버에서 분석된 상기 과녁 및 화살의 영상을 유무선으로 전송받아 사수가 시각 혹은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궁 개인훈련을 위한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637호 및 제10-2016248호는 활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상현실(VR)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는 가상의 영상을 제공하는 등 활쏘기 시스템에 가상현실(VR) 기술을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 유사점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본 발명과는 달리 실제로 화살이 발사되는 것이 아니라 화살읠 궤적을 유추하여 스크린 상에 출력할 뿐 실제 화살이 발사 되면서 체험할 수 있는 타격감 등의 실제 활쏘기 체험을 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7409호는 실제 화살을 발사하여 화살이 맞은 과녁 부위에 관한 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 유사점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화살이 적중한 과녁 부위에 대응하는 다양한 증강현실 이펙트를 제공하는 데 관한 기술을 기재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증강현실 요소를 실제 활쏘기를 수행하면서 체험할 수는 없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637호(2018.12.21. 공고일)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6248호(2019.10.23. 공고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7409호(2019.02.20. 공개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서 수행 가능한 국궁 또는 양궁 관련 활쏘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증강현실 영상이 제공되는 AR 고글을 착용한 상태에서 실제로 종래 국궁 또는 양궁과 같이 화살을 과녁을 향해 발사하였을 때, 화살과 관련된 증강현실 효과와, 과녁판 내 각 구역별로 화살이 적중 시 설정된 증강현실 효과를 사용자가 착용한 AR 고글 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활쏘기와 함께 다양한 증강현실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한 AR 고글을 통해 화살 관련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화살을 쏘기전 고글에 장착된 카메라로 화살에 부착된 AR 코드를 스캔하면 해당 AR 코드에 설정된 화살 관련 정보 및 증강현실 효과가 상기 AR 고글 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한 AR 고글을 통해 화살 발사 후의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과녁판을 점수별로 다수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각 구역마다 고유의 AR 코드를 부여하고, 화살이 과녁에 맞았을 때 맞은 부위에 부여된 AR 코드를 과녁판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이를 카메라로 스캔하여 해당 AR 코드에 설정된 과녁 부위 관련 정보 및 증강현실 효과가 상기 AR 고글 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R 코드를 스캔 및 인식 시간이 매우 빠른 QR 코드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화살에 부착된 AR 코드 및 과녁판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AR 코드가 카메라로 빠르게 스캔 및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활쏘기 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과녁에 화살에 맞았을 때 시간 딜레이 없이 거의 동시적으로 화살을 맞은 과녁 부위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효과가 출력되도록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은, 각 화살마다 고유 화살 AR 코드가 부착되어 있는 화살; 상기 화살을 시위에 당겨 발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활; 사용자의 얼굴 또는 머리 전체 부위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부위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눈 전면 부분에 고글의 렌즈가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고글 프레임, 상기 고글 프레임에 장착되며 고글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의 영상 및 상기 화살에 부착되어 있는 AR 코드를 촬영하는 고글 카메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고글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살 AR 코드를 하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는 고글 통신부, 및 상기 고글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하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증강현실 효과가 반영된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고글 렌즈부,를 포함하는 AR 고글;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각 구역마다 고유 과녁 AR 코드가 부여되고 화살을 맞은 구역에 해당하는 AR 코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과녁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AR 코드를 촬영하는 과녁 카메라, 및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과녁 카메라에서 촬영된 과녁 AR 코드를 하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에 전송하는 과녁 통신부,를 포함하는 과녁부; 및 상기 AR 고글 및 상기 과녁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중앙 통신부, 상기 화살 AR 코드 및 상기 과녁 AR 코드가 저장되며, 상기 화살 AR 코드 및 상기 과녁 AR 코드 마다 기설정되어 있는 증강현실 효과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중앙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화살 AR 코드 및 과녁 AR 코드에 기설정되어 있는 증강현실 효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해당 증강현실 효과 정보를 상기 AR 고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과녁부는, 상기 과녁판내 각 구역과 동일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과녁판내 각 구역마다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화살을 맞은 과녁판내 구역 상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구역에 AR 코드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과녁부는, 상기 과녁판내 소정 구역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살 AR 코드 및 과녁 AR 코드는, QR 코드 형식의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살 AR 코드는, 화살 AR 코드가 부착된 해당 화살의 번호, 점수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살 정보에 대한 증강현실 효과를 읽어올 수 있도록 설정된 QR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과녁 AR 코드는, 과녁 AR 코드가 부여된 해당 과녁내 각 구역의 위치, 점수 및 명중 이펙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과녁 정보에 대한 증강현실 효과를 읽어올 수 있도록 설정된 QR 코드이며, 상기 명중 이펙트는, 효과음, 음성,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명중 이펙트는, 과녁판내 과녁 AR 코드가 부여된 각 구역마다 각기 다른 동물에 대한 영상 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과녁판은, 과녁판 내부 또는 후면에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과녁판에 화살이 맞은 구역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과녁 AR 코드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증강현실 영상이 제공되는 AR 고글을 착용한 상태에서 실제로 종래 국궁 또는 양궁과 같이 화살을 과녁을 향해 발사하였을 때, 화살과 관련된 증강현실 효과와, 과녁판 내 각 구역별로 화살이 적중 시 설정된 증강현실 효과를 사용자가 착용한 AR 고글 상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목표물에 대한 활쏘기 경험을 제공할 수 있고, 화살 발사 및 적중시의 다양한 이펙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종래의 실제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활쏘기에서는 얻을 수 없는 완전히 새로운 활쏘기 체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에서의 증강현실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내 주차 맞춤 안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사이즈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고, 특징적 구성이 드러나도록 공지의 구성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므로 도면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기반으로 하는 활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내 또는 실외 활쏘기 현장에서 사용자가 착용한 고글 상에 화살 정보 및 효과와, 과녁 적중시의 다양한 정보 및 효과를 증강현실을 통해 제공하는 새로운 활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은 활과 화살, AR 고글, 과녁부 및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과녁을 향해 활쏘기를 수행하면, 화살 관련 증강현실 효과와 화살이 맞은 과녁 관련 증강현실 효과가 사용자가 착용한 AR 고글 상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활쏘기를 수행하면서 다양한 증강현실 효과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때, 과녁판은 다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각 구역마다 별도의 증강현실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활쏘기에 앞서 우선 AR 고글 상에 설치된 카메라로 화살에 화살에 부착된 화살 AR 코드를 스캔하면,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는 화살 AR 코드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효과를 사용자가 착용한 AR 고글 상에 출력한다.
상기 화살 AR 코드는 화살 AR 코드가 부착된 해당 화살의 번호, 화살에 부여된 점수 및 화살의 종류(화살의 재질, 화살의 고유 속성(불, 물, 전기 등)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살 정보에 대한 증강현실 효과를 읽어올 수 있도록 설정된 QR 코드이다.
또한, 과녁판은 다양한 방식으로 통해 다수개의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구역마다 별도의 과녁 AR 코드가 부여되며, 사용자가 과녁을 향해 활쏘기를 수행하였을 때, 과녁판은 화살이 맞은 부위를 감지하여 화살이 맞은 부위에 해당하는 과녁 구역에 부여된 과녁 AR 코드를 과녁판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설치된 카메라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과녁 AR 코드를 스캔하면,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는 과녁 AR 코드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효과를 사용자가 착용한 AR 고글 상에 출력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은 화살을 맞은 과녁의 구역에 따라 각각 다른 증강현실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과녁 AR 코드는 과녁 AR 코드가 부여된 해당 과녁내 각 구역의 위치, 점수 및 명중 이펙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과녁 정보에 대한 증강현실 효과를 읽어올 수 있도록 설정된 QR 코드이다.
상기 명중 이펙트는 효과음, 음성,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하는 증강현실 효과를 포함한다.
상기 명중 이펙트는 과녁판내 과녁 AR 코드가 부여된 각 구역마다 각기 다른 동물에 대한 영상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로 3칸, 세로 4간의 사각형 형태의 과녁판인 경우, 1-1, 1-2, 1-3, 2-1, 2-2, 2-3, 3-1, 3-2, 3-3, 4-1, 4-2, 4-3 구역에 순서대로, 꿩, 비둘기, 참새, 용, 호랑이, 사자, 여우, 곰, 늑대, 너구리, 멧돼지, 오소리에 대한 증강현실 효과가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화살이 2-1 구역을 맞추면 사용자의 AR 고글상에 용 관련 증강현실 효과가 바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한 증강현실 효과를 과녁판의 각 구역별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AR 코드를 스캔 및 인식 시간이 매우 빠른 QR 코드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QR 코드 방식으로 AR 코드를 구성함으로써, 화살에 부착된 AR 코드 및 과녁판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AR 코드가 카메라로 빠르게 스캔 및 인식되도록 하여, 화살 AR 코드를 고글 카메라로 인식하는데 시간을 소요할 필요가 없어 활쏘기 동작에 방해가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과녁 AR 코드가 출력되는 동시에 과녁 카메라가 이를 인식하기 때문에 과녁에 화살에 맞았을 때 시간 딜레이 없이 거의 동시적으로 화살을 맞은 과녁 부위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효과를 사용자가 착용한 AR 고글상에 출력할 수 있어 현실감 있는 증강현실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AR 코드가 카메라로 빠르게 스캔 및 인식한다 것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메라가 AR 코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였을 때, 상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에서 전송받은 AR 코드를 인식하여빠르게 해당 AR 코드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효과 정보를 상기 AR 고글로 전송한다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증강현실 활쏘기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은 활과 화살, AR 고글, 과녁부 및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활은 실제 화살을 시위에 당겨 발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활로서 활대와 시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국궁 또는 양궁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화살은 상기 활의 시위에 걸어 실제 발사되는 화살로서, 각 화살마다 화살 촉 또는 화살대에 고유 화살 AR 코드가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AR 고글은 고플 프레임, 고글 카메라, 고글 통신부 및 고글 렌즈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글 프레임은 사용자의 얼굴 또는 머리 전체 부위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부위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눈 전면 부분에 고글의 렌즈가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고글 프레임은 사용자의 얼굴 또는 머리 전체 부위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부위에 지지되는 방식으로서, 머리 둘레를 감싸 지지되는 밴드 방식 또는 귀에 걸 거나 머리의 양측면부를 압박하면서 지지되는 안경 다리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고글 카메라는 고글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의 영상과 상기 화살에 부착되어 있는 AR 코드를 촬영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글 프레임에 장착된다.
상기 고글 통신부는 블루투스, 지그비, 지웨이브 또는 와이파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고글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살 AR 코드를 상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로 전송한다.
상기 고글 렌즈부는 상기 고글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상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증강현실 효과가 반영된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AR 고글은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증강현실 관련 다양한 사운드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과녁부는 과녁판, 과녁 카메라 및 과녁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녁판은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각 구역마다 고유 과녁 AR 코드가 부여되고 화살을 맞은 구역에 해당하는 AR 코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과녁판은 세로 4칸, 가로 3칸으로서, 총 12개의 칸으로 구분된 사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12개의 칸을 각각 별도의 구역으로 지정하여 12개의 각 칸(구역)마다 별도의 AR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과녁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과녁부는 상기 과녁판내 각 구역과 동일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과녁판내 각 구역마다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화살을 맞은 과녁판내 구역 상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구역에 AR 코드가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세로 4칸, 가로 3칸의 과녁판의 경우, 12개의 칸 각각에 디스플레이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화살을 맞은 칸 상에 직접적으로 AR 코드를 출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과녁판은 과녁판에 화살이 맞은 구역을 감지하기 위하여 과녁판 내부 또는 후면에 센서부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부를 통해 과녁판에 화살이 맞은 구역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과녁 AR 코드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과녁부는 상기 과녁판내 소정 구역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녁판의 중앙부 또는 모서리부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어, 화살을 맞은 칸에 부여된 AR 코드를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과녁판 상에 형성될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은 화살에 맞아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투명재질 소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과녁판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되 과녁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과녁판과는 독립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과녁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과녁 AR 코드를 촬영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부가 위치 따라 디스플레이부 전체가 카메라 앵글 범위에 들어올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녁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통해 상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과녁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AR 코드 영상을 상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는 중앙 통신부, 데이터베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앙 통신부는 상기 AR 고글 및 상기 과녁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AR 고글로부터 화살 AR 코드를 전송받고, 상기 과녁 통신부로부터 과녁 AR 코드를 전송받고, 상기 AR 고글로 화살 AR 코드 및 과녁 AR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데이터를 상기 AR 고글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화살 AR 코드 및 상기 과녁 AR 코드가 저장되며, 상기 화살 AR 코드 및 상기 과녁 AR 코드 마다 기설정되어 있는 증강현실 효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 통신부로부터 화살 AR 코드 및 과녁 AR 코드를 전송받은 후, 각 화살 AR 코드 및 과녁 AR 코드에 따라 기설정되어 있는 증강현실 효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해당 증강현실 효과 정보를 상기 AR 고글로 전송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110 : 화살
120 : 활
130 : AR 고글
131 : 고글 프레임
132 : 고글 카메라
133 : 스피커
134 : 고글 통신부
135 : 고글 렌즈부
140 : 과녁부
141 : 과녁판
142 : 디스플레이부
143 : 과녁 카메라
144 : 과녁 통신부
150 :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
151 : 중앙 통신부
152 : 데이터베이스
153 : 제어부

Claims (8)

  1. 각 화살마다 고유 화살 AR 코드가 부착되어 있는 화살;
    상기 화살을 시위에 당겨 발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활;
    사용자의 얼굴 또는 머리 전체 부위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부위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눈 전면 부분에 고글의 렌즈가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고글 프레임,
    상기 고글 프레임에 장착되며 고글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의 영상 및 상기 화살에 부착되어 있는 AR 코드를 촬영하는 고글 카메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고글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살 AR 코드를 하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는 고글 통신부, 및
    상기 고글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하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증강현실 효과가 반영된 증강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고글 렌즈부,를 포함하는 AR 고글;
    적어도 둘 이상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각 구역마다 고유 과녁 AR 코드가 부여되고 화살을 맞은 구역에 해당하는 AR 코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과녁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된 AR 코드를 촬영하는 과녁 카메라, 및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와 상호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과녁 카메라에서 촬영된 과녁 AR 코드를 하기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에 전송하는 과녁 통신부,를 포함하는 과녁부; 및
    상기 AR 고글 및 상기 과녁부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중앙 통신부,
    상기 화살 AR 코드 및 상기 과녁 AR 코드가 저장되며, 상기 화살 AR 코드 및 상기 과녁 AR 코드 마다 기설정되어 있는 증강현실 효과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중앙 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화살 AR 코드 및 과녁 AR 코드에 기설정되어 있는 증강현실 효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해당 증강현실 효과 정보를 상기 AR 고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R 활쏘기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과녁부는,
    상기 과녁판내 각 구역과 동일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과녁판내 각 구역마다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화살을 맞은 과녁판내 구역 상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구역에 AR 코드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녁부는,
    상기 과녁판내 소정 구역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 AR 코드 및 과녁 AR 코드는,
    QR 코드 형식의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살 AR 코드는,
    화살 AR 코드가 부착된 해당 화살의 번호, 점수 및 종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살 정보에 대한 증강현실 효과를 읽어올 수 있도록 설정된 QR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녁 AR 코드는,
    과녁 AR 코드가 부여된 해당 과녁내 각 구역의 위치, 점수 및 명중 이펙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과녁 정보에 대한 증강현실 효과를 읽어올 수 있도록 설정된 QR 코드이며,
    상기 명중 이펙트는,
    효과음, 음성,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명중 이펙트는,
    과녁판내 과녁 AR 코드가 부여된 각 구역마다 각기 다른 동물에 대한 영상 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녁판은,
    과녁판 내부 또는 후면에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과녁판에 화살이 맞은 구역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과녁 AR 코드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KR1020210002000A 2021-01-07 2021-01-07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KR102526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000A KR102526482B1 (ko) 2021-01-07 2021-01-07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000A KR102526482B1 (ko) 2021-01-07 2021-01-07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739A KR20220099739A (ko) 2022-07-14
KR102526482B1 true KR102526482B1 (ko) 2023-04-27

Family

ID=8240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000A KR102526482B1 (ko) 2021-01-07 2021-01-07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076B1 (ko) * 2022-10-13 2023-07-18 정인순 Vr 리얼 모듈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645B1 (ko) * 2015-10-14 2016-06-29 주식회사 씨에이테크놀로지 국궁 또는 양궁 과녁의 명중을 실시간 확인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60232715A1 (en) * 2015-02-10 2016-08-11 Fangwei Lee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control with mobile devices
KR101689330B1 (ko) * 2016-02-22 2016-12-26 조세희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706170B1 (ko) * 2016-08-31 2017-02-14 주식회사 건파워 서바이벌 스마트 활쏘기 게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637B1 (ko) 1996-11-30 1999-06-15 이형도 인버터의 전류 제어 회로
KR102287150B1 (ko) * 2017-08-09 2021-08-06 (주)모테가컨버전스 증강현실형 hmd를 이용한 전자 다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17409A (ko)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알텍 양궁 개인훈련을 위한 시스템
KR102016248B1 (ko) 2018-02-02 2019-10-2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크린 양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32715A1 (en) * 2015-02-10 2016-08-11 Fangwei Lee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control with mobile devices
KR101634645B1 (ko) * 2015-10-14 2016-06-29 주식회사 씨에이테크놀로지 국궁 또는 양궁 과녁의 명중을 실시간 확인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89330B1 (ko) * 2016-02-22 2016-12-26 조세희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706170B1 (ko) * 2016-08-31 2017-02-14 주식회사 건파워 서바이벌 스마트 활쏘기 게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739A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444B1 (ko) 실시간 상호 연동 가능한 가상 사격 시스템
US8360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projectile impact coordinates
KR101926178B1 (ko) 가상 공간에의 몰입감과 실제 공간에서의 이동을 양립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투 훈련 시스템
KR101642956B1 (ko) 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시스템
US6417841B1 (en) Information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0567879C (zh) 热成像型互动射击训练系统
CN205537314U (zh) 一种3d虚拟现实实战训练系统
US9504907B2 (en) Simulated shooting system and method
KR101904314B1 (ko) 증강현실형 hmd를 이용한 전자 다트 서비스 제공방법
CN106225556A (zh) 一种基于精确位置跟踪的多人射击仿真训练系统
KR20190119004A (ko) 가상 현실에서 실제 개인화기의 사격 환경을 적용하여 탄도 궤도 및 탄착점의 정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탄착점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사격 훈련 시뮬레이션
CA2647956A1 (en) Sports simulation system
US20070254266A1 (en) Marksmanship training device
KR102526482B1 (ko) 증강현실 기반 활쏘기 시스템
KR101921249B1 (ko)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7071403A (ja) 射撃模擬装置
US200701609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projectile impact coordinates
KR101247213B1 (ko) 전투 게임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전투 게임 시스템과 방법
KR10133006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양방향 시뮬레이터 사격술 전술훈련 시스템 및 방법
CN110709667A (zh) 程序及飞镖游戏系统
KR101912126B1 (ko) 야구 연습 장치에 이용되는 센싱장치 및 센싱방법과, 이를 이용한 야구 연습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70805B1 (ko)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16930A (ko) 증강현실형 hmd를 이용한 전자 다트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20140062408A (ko)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11659102B (zh) 一种模拟射击的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