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997B1 -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 - Google Patents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997B1
KR102525997B1 KR1020200139318A KR20200139318A KR102525997B1 KR 102525997 B1 KR102525997 B1 KR 102525997B1 KR 1020200139318 A KR1020200139318 A KR 1020200139318A KR 20200139318 A KR20200139318 A KR 20200139318A KR 102525997 B1 KR102525997 B1 KR 102525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member
injector
inclination angle
armature
nee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147A (ko
Inventor
박정환
서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0013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9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02M51/066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 F02M51/067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 F02M51/067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the valve body having cylindrical guiding or metering portions, e.g. with fuel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20Closing valves mechanically, e.g. arrangements of springs or weights or permanent magnets; Damping of valve l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14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 F02M63/0015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며, 중공의 내부 유로가 형성된 마그네틱 코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외측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코일 어셈블리, 상기 마그네틱 코어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 상측의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상기 내부 유로 상에 배치되는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아마추어 및 상기 스토퍼를 관통하는 니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경사 유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젝터의 내부 구성 간 충돌로 인한 편마모 발생을 완화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STOPPER MEMBER FOR AN INJECTOR AND THE INJECTOR}
본 발명은 인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젝터와 인젝터에 구성되는 스토퍼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인젝터는 자동차의 엔진 등에 배치되어 연료를 미립화하여 고속으로 분사함으로써 연소실로 흡입되는 공기와 연료가 원활하게 혼합되어 연소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젝터는 엔진제어유닛(ECU)에 의해 전자 제어되며, 엔진제어유닛은 최적의 공연비를 이룰 수 있도록 인젝터의 연료분사시기 및 연료분사시간을 제어한다.
연료 주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를 분사구를 통해 고압 분사하기 위해서 인젝터는 마그네틱 코어, 코일 어셈블리, 아마추어, 니들 바 등을 포함하여, 코일 어셈블리, 마그네틱 코어 등에 의해 자기회로가 구성되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력으로 인해 아마추어를 승강 동작시킴으로써, 아마추어와 함께 니들 바가 상승하여 니들 바 끝단의 볼과 이격되어 개방되는 밸브 시트를 통해 연료가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연료 주입구로 유입된 연료는 마그네틱 코어에 형성된 내부 유로 및 아마추어에 형성된 관통홀을 경유하여 밸브 시트를 통해 분사되게 된다.
아마추어는 상승하여 아마추어 상측의 마그네틱 코어 내측의 내부 유로 상에 배치되는 스토퍼에 부딪히게 되고, 이후 스토퍼에 연결된 니들 바가 스토퍼와 함께 상승하여 들어올려지게 된다.
여기서, 스토퍼에도 유로홀이 형성됨으로써 마그네틱 코어 내부 유로로 유입되는 연료가 스토퍼를 거쳐 아마추어를 관통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토퍼에 형성된 유로홀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아마추어와 스토퍼 간의 잦은 충돌로 부품 간 표면 조도 차이에 의해 필연적으로 편마모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편마모가 발생하게 되면 유량 및 분무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082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젝터의 내부 구성 간 충돌로 인한 편마모 발생을 완화시키기 위한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인젝터는,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며, 중공의 내부 유로가 형성된 마그네틱 코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외측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코일 어셈블리, 상기 마그네틱 코어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 상측의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상기 내부 유로 상에 배치되는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아마추어 및 상기 스토퍼를 관통하는 니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경사 유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의 경사 방향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의 상기 경사각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측방으로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 부재는, 하단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방향으로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니들 바 삽입부 및 상기 니들 바 삽입부의 상측에 상기 니들 바 삽입부보다 측방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각 모서리에 챔퍼(chamfer) 구조가 적용된 사각 평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니들 바와 함께 승강하며, 승강시 승강 방향을 축으로 회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료 분사 전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아마추어에 안착된 위치는 연료 분사 후 상기 아마추어에 안착되는 위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아마추어의 내측 간에 결합되는 댐퍼 스프링 및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내측 간에 결합되는 컴프레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 각각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 각각은 경사각이 상이한 제1 유로홀과 제2 유로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로홀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홀은 상기 제1 유로홀로부터 이어져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이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60°보다 크고,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15°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이 a1,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이 a2일 때, a1/a2 ≤ 0.5 이고, a2/90°≥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이 a1,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이 a2일 때, a1/90°≤ 0.3 이고, a2/90°≥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는, 인젝터의 아마추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마추어 상승시 상기 아마추어와 충돌되는 스토퍼 부재로서, 니들 바가 관통하는 니들 바 결합홀이 형성되고, 유체가 통과하며,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경사 유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하단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방향으로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니들 바 삽입부 및 상기 니들 바 삽입부의 상측에 상기 니들 바 삽입부보다 측방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 각각은 경사각이 상이한 제1 유로홀과 제2 유로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홀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홀은 상기 제1 유로홀로부터 이어져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이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60°보다 크고,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15°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젝터 및 스토퍼 부재에 의하면, 스토퍼의 회전 동작으로 인해, 스토퍼와 아마추어의 충돌 부분을 계속적으로 변화시켜 줌으로써, 편마모 및 편측 거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니들 바의 회전으로 인해 유체에 swirl을 유도하여 미립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내구성, 유량 및 분무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젝터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젝터의 일 부분에 대한 단면 형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도 4a의 평면 형상으로 유체에 작용 힘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젝터 작동에 의한 스토퍼 부재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비교예에 의한 스토퍼 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비교예에 의한 유체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c는 도 6b의 평면 형상으로 유체에 작용 힘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스토퍼 부재의 유로홀의 각도를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젝터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젝터의 일 부분에 대한 단면 형상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젝터 및 스토퍼 부재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젝터는 인젝션 몰딩, 하우징(110), 리드 파이프가 외형을 형성하고, 인젝션 몰딩, 하우징(110), 리드 파이프 내부에 구성들이 장착된다.
인젝션 몰딩의 하부 외주면에 하우징(110)이 결합되고, 상부에는 연료 주입을 위한 튜브가 인젝션 몰딩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하면을 관통하여 리드 파이프가 장착된다.
다음,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마그네틱 코어(130), 코일 어셈블리(120), 아마추어(140), 등이 하우징(110) 내측에 구비된다.
마그네틱 코어(130)는 하우징(110) 내측에 삽입되며, 중공의 내부 유로가 형성되며, 내부 유로에 유량 조절을 위한 유량 조절 튜브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코일 어셈블리(120)는 터미널, 보빈,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마그네틱 코어(120)의 외주면에 보빈이 압입되고, 보빈 외주면에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또한, 도시와 같이, 마그네틱 코어(130)는 리드 파이프 내주면에 압입되고, 보빈은 리드 파이프 외주면에 압입되어 보빈에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아마추어(140)는 마그네틱 코어(130)의 하측에 배치되며, 니들 바(150)가 아마추어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아마추어(140) 상측의 마그네틱 코어(130) 내측의 내부 유로 상에는 스토퍼 부재(200)가 배치되고, 스토퍼 부재(200)의 하단부와 아마추어(140) 내측 간에 댐퍼 스프링(160)이 결합된다.
그리고, 스토퍼 부재(200)의 상단부와 마그네틱 코어(130)의 내측 간에는 컴프레션 스프링(170)이 결합되고, 컴프레션 스프링(170)은 마그네틱 코어(130) 내측의 유량 조절 튜브에 결합될 수 있으며, 유량 조절 튜브의 외주면에는 슬리브(190, sleeve)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구성을 위한 니들 바(150)가 아마추어(140) 및 스토퍼 부재(200)를 관통하고, 아마추어(140) 하측의 니들 바(150)의 외주면에는 포지션링(180)이 장착되어 아마추어(140)의 위치를 구속시킨다.
니들 바(150) 하단에는 볼이 형성되고, 니들 바(150) 하측에는 밸브 시트 등이 리드 파이프 내측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인젝터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니들 바(150) 하측의 볼이 밸브 시트의 내주면에 안착되어 기밀이 유지됨으로써 연료가 분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가 되면,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의해 코일 어셈블리(120), 마그네틱 코어(130), 아마추어(140), 하우징(110), 리드 파이프 등에 의해 자기회로가 형성되어, 아마추어(140)가 댐퍼 스프링(160)의 복원력을 극복하여 마그네틱 코어(130) 측 상방향으로 거동하게 된다.
상승된 아마추어(140)는 스토퍼 부재(200)와 충돌하게 되고, 댐퍼 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해서 스토퍼 부재(200)는 마그네틱 코어(130)의 내부 유로 상에서 상방향으로 동작되어 니들 바(150)와 함께 상승하게 되어 밸브를 on 시켜 연료가 분사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부재(200)는 아마추어(140)와 스토퍼 부재(200)의 충돌에 의한 편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밸브 on시 스토퍼 부재(200)의 회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부재(200)는 베이스부(210), 니들 바 삽입부(220), 가이드부(230)로 형성된다.
베이스부(210)는 하단부를 형성하고, 아마추어(140)와 접하게 되는 부분이다. 니들 바 삽입부(220)는 베이스부(210)의 상방향으로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며, 베이스부(2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230)는 니들 바 삽입부(220) 상측에 상기 니들 바 삽입부(220)보다 측방으로 확장되어 형성되고, 일정한 두께의 사각 평단면 형상일 수 있으며, 유체의 이동을 위해 각 모서리가 챔퍼(chamfer)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210), 니들 바 삽입부(220), 가이드부(230)를 관통하는 니들 바 결합홀(240)이 형성되며, 니들 바 결합홀(240)에 니들 바(15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토퍼 부재(200)는 상승 및 하강 동작시에 유체에 의해 회전하며 상승 및 하강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230)에는 복수 개의 경사 유로홀(231)이 형성된다.
경사 유로홀(231)은 가이드부(230)의 상하 높이 방향(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유체가 통과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 유로홀(231)은 도시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됨과 함께 측방으로 관통될 수 있으며, 일정한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다.
경사 유로홀(231)의 경사 방향은 가이드부(230)의 상하 두께 방향과 평행하지 않게 상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경사 유로홀(231)은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인젝터는 아마추어(140)에 자기력이 인가되어 아마추어(140)가 상승하기 시작하고, 아마추어(140)가 스토퍼 부재(200)에 충돌하고 니들 바(150)를 들어올리기 시작한다.
그러면 도 4a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200)에 형성된 경사 유로홀(231)에 유체가 흐르면서 유체가 스토퍼 부재(200)를 밀어 도 4b와 같이 반경 방향의 회전 토크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200)와 니들 바(150)는 상승시 회전하게 되고, 분사 시간 동안 유체가 경사 유로홀(231)을 지나면서 계속적으로 니들 바(1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후 분사가 종료되어 아마추어(140)가 하강하면, 상승시와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 후에 안착되고, 이때 도 5와 같이 스토퍼 부재(200)에 표시된 위치 마킹점(m)을 참고하면 좌측의 초기 위치에서 상승 후 하강된 분사 후의 스토퍼 부재(200) 및 니들 바(150)의 위치는 초기 위치와 다른 위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편심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 6a에 도시된 스토퍼 부재(20)는 본 발명과 같은 경사 유로홀이 없는 비교예에 의한 스토퍼 부재이며, 도 6b와 같이 유체는 상하 높이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도 6c의 화살표와 같이 상하 방향의 유체의 작용 힘이 발생하여 스토퍼 부재 내지 니들 바는 회전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7의 스토퍼 부재의 유로홀의 각도를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부재(300)는 가이드부에 복수 개의 경사 유로홀이 형성되되, 각 경사 유로홀이 경사각을 달리 하여 제1 유로홀(331)과 제2 유로홀(332)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유로홀(331)은 스토퍼 부재(300)의 가이드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제1 경사각(a1)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유로홀(332)은 제1 유로홀(331)로부터 이어지며, 제1 경사각(a1)과 다른 값의 제2 경사각(a2)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가이드부의 하면까지 형성된다.
이 같은 실시예에 의한 스토퍼 부재(300)는 제1 경사각(a1)과 제2 경사각(a2)을 조절하여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스토퍼 부재는 상승시 컴프레션 스프링(170)을 압축시키면서 상승하고, 스토퍼 부재의 회전에 의해 컴프레션 스프링(170) 또한 반경 방향으로도 압축이 되게 된다. 따라서, 전원 해제시 컴프레션 스프링(170)이 압축 해제됨에 따라 스토퍼 부재는 역회전하며 하강하게 되므로, 역회전량을 감소시키도록 설정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기준각도 b는 90°일 때 a1/a2 ≤ 0.5이고, a2/b ≥ 0.7 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위와 같이 상승시 보다 큰 회전을 유도하고 하강시 역회전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1 ≤ 30° 이고, a2 ≥ 75°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a1/b ≤ 0.3이고, a2/b ≥ 0.7 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a2는 첫 번째 예시와 같으나 a1이 첫 번째 예시보다 더 작음으로써 상승시 첫 번째 예시보다 더 큰 회전을 유도할 수가 있다.
복수 개의 경사 유로홀의 각각의 제1 유로홀과 각각의 제2 유로홀의 경사각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하우징
120 : 코일 어셈블리
130 : 마그네틱 코어
140 : 아마추어
141 : 관통홀
150 : 니들 바
160 : 댐퍼 스프링
170 : 컴프레션 스프링
180 : 포지션 링
190 : 슬리브
200, 300 : 스토퍼 부재
210 : 베이스부
220 : 니들 바 삽입부
230 : 가이드부
231 : 유로홀
240 : 니들 바 결합홀
331 : 제1 유로홀
332 : 제2 유로홀

Claims (22)

  1.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며, 중공의 내부 유로가 형성된 마그네틱 코어;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외측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코일 어셈블리;
    상기 마그네틱 코어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 상측의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상기 내부 유로 상에 배치되는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아마추어 및 상기 스토퍼 부재를 관통하는 니들 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복수 개의 경사 유로홀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 각각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 각각은 경사각이 상이한 제1 유로홀과 제2 유로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측방으로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하단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방향으로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니들 바 삽입부; 및
    상기 니들 바 삽입부의 상측에 상기 니들 바 삽입부보다 측방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인젝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각 모서리에 챔퍼(chamfer) 구조가 적용된 사각 평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니들 바와 함께 승강하며, 승강시 승강 방향을 축으로 회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연료 분사 전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아마추어에 안착된 위치는 연료 분사 후 상기 아마추어에 안착되는 위치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아마추어의 내측 간에 결합되는 댐퍼 스프링; 및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내측 간에 결합되는 컴프레션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인젝터.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홀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홀은 상기 제1 유로홀로부터 이어져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이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60°보다 크고,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15°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이 a1,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이 a2일 때, a1/a2 ≤ 0.5 이고, a2/90°≥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이 a1,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이 a2일 때, a1/90°≤ 0.3 이고, a2/90°≥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16. 인젝터의 아마추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마추어 상승시 상기 아마추어와 충돌되는 스토퍼 부재로서,
    니들 바가 관통하는 니들 바 결합홀이 형성되고,
    유체가 통과하며,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경사 유로홀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 각각은 경사각이 상이한 제1 유로홀과 제2 유로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하단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방향으로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니들 바 삽입부; 및
    상기 니들 바 삽입부의 상측에 상기 니들 바 삽입부보다 측방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경사 유로홀은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18. 삭제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홀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홀은 상기 제1 유로홀로부터 이어져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이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60°보다 크고,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15°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이 a1,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이 a2일 때, a1/a2 ≤ 0.5 이고, a2/90°≥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유로홀의 경사각이 a1, 상기 스토퍼 부재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유로홀의 경사각이 a2일 때, a1/90°≤ 0.3 이고, a2/90°≥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KR1020200139318A 2020-10-26 2020-10-26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 KR10252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18A KR102525997B1 (ko) 2020-10-26 2020-10-26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18A KR102525997B1 (ko) 2020-10-26 2020-10-26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147A KR20220055147A (ko) 2022-05-03
KR102525997B1 true KR102525997B1 (ko) 2023-04-26

Family

ID=8159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318A KR102525997B1 (ko) 2020-10-26 2020-10-26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9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4300A (ja) * 1998-04-09 1999-10-26 Denso Corp 燃料噴射弁
KR100956258B1 (ko) * 2008-04-10 2010-05-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볼-포핏밸브가 구비된 고압분사용 인젝터
KR101820829B1 (ko) 2015-12-07 2018-01-2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고압용 솔레노이드밸브
DE102019205301A1 (de) * 2019-04-12 2020-10-15 Robert Bosch Gmbh Ventil zum Zumessen eines Fl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147A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0726B2 (en) Fuel injection valve
JP4935882B2 (ja) 燃料噴射弁
US7571891B2 (en) Solenoid valve
JP4168448B2 (ja) 燃料噴射弁
JP5509117B2 (ja) 燃料噴射装置
US8430343B2 (en) Fuel injection valve
JP6082467B2 (ja) 噴射弁
JP2006017101A (ja) 燃料噴射弁
US6745993B2 (en) Fuel injection valve
JP2019090427A (ja) 燃料噴射弁
JP4026592B2 (ja) 燃料噴射弁
KR102525997B1 (ko) 인젝터용 스토퍼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
JP5482267B2 (ja) 燃料噴射弁
CN101910609A (zh) 可电磁操作的阀
KR101820829B1 (ko) 가이드 구조를 포함하는 고압용 솔레노이드밸브
US7467781B2 (en) Poppet valve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led fuel injectio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device
US6976643B2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129689B2 (ja) 燃料噴射弁
KR102419834B1 (ko) 니들바가 유도회전되는 인젝터 및 인젝터용 포지션링
CN107542612B (zh) 用于喷射阀的阀组件以及喷射阀
JP2005171845A (ja) 電磁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噴射弁
KR102604771B1 (ko) 편심 니들형 인젝터
JP6913816B2 (ja) 燃料噴射弁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2097704A (ja) 燃料噴射弁
KR20240077205A (ko) 아마추어 거동 개선형 인젝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