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446B1 -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446B1
KR102525446B1 KR1020210134127A KR20210134127A KR102525446B1 KR 102525446 B1 KR102525446 B1 KR 102525446B1 KR 1020210134127 A KR1020210134127 A KR 1020210134127A KR 20210134127 A KR20210134127 A KR 20210134127A KR 102525446 B1 KR102525446 B1 KR 102525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punch
product
forming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1365A (ko
Inventor
서종덕
박수완
권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to KR102021013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446B1/ko
Publication of KR2023005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2Deep-drawing with devices for holding the edge of the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16Additional equi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tools, e.g. for shearing, f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이는 펀치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강 또는 상승 동작함에 따라 펀치와 형합 또는 형분리되며 펀치와의 사이에 공급되는 알루미늄 판재를 펀치와 형합시 제품 부분과 제거될 비제품 부분을 갖는 성형품으로 성형한다. 블랭크 홀더는 펀치의 외측에 다이의 홀딩면과 마주한 상태로 상방으로 탄성 편향되어 설치되어, 펀치와 다이의 형합시 상면에 얹어진 알루미늄 판재를 다이의 홀딩면과 함께 구속한다. 피어싱 장치들은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과 펀치측 비제품 성형면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다이의 하강 동작에 따라 다이의 홀딩면과 블랭크 홀더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가 구속된 상태에서 알루미늄 판재에 구멍들을 뚫는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Mold for forming aluminum vehicle body part and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알루미늄 차체부품을 제조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종래의 자동차 산업에서는 스틸(steel)의 사용빈도가 높았으나, 환경 및 연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차량의 경량화를 위한 신소재 적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비철금속인 알루미늄(aluminum)을 적용한 차체부품을 제조함으로써 자동차 차체 경량화를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소재의 상온 성형성은 스틸 소재의 상온 성형성과 대비하여 열위에 있다. 성형이 난해한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한 차체부품의 딥드로잉 프레스 성형시 금형 내부로의 적절한 소재 유입이 관건이다.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시 소재 유입, 억제 등이 스틸 소재 대비 까다롭기 때문에, 제품 형상면 내측에 발생하는 주름, 크랙, 스프링백 등을 제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알루미늄 차체부품의 딥드로잉 성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은 펀치와, 다이와, 블랭크 홀더, 및 피어싱 장치들을 포함한다. 펀치는 제품 부분의 하면 형상을 만드는 펀치측 제품 성형면과, 제거될 비제품 부분의 하면 형상을 만드는 펀치측 비제품 성형면을 구비한다. 다이는 펀치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강 또는 상승 동작함에 따라 펀치와 형합 또는 형분리되며 펀치와의 사이에 공급되는 알루미늄 판재를 펀치와 형합시 제품 부분과 제거될 비제품 부분을 갖는 성형품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제품 부분의 상면 형상을 만드는 다이측 제품 성형면과, 제거될 비제품 부분의 상면 형상을 만드는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과, 알루미늄 판재의 외측 상면에 대응되는 홀딩면을 구비한다.
블랭크 홀더는 펀치의 외측에 다이의 홀딩면과 마주한 상태로 상방으로 탄성 편향되어 설치되어, 펀치와 다이의 형합시 상면에 얹어진 알루미늄 판재를 다이의 홀딩면과 함께 구속한다. 피어싱 장치들은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과 펀치측 비제품 성형면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다이의 하강 동작에 따라 다이의 홀딩면과 블랭크 홀더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가 구속된 상태에서 알루미늄 판재에 구멍들을 뚫는다.
추가 양상으로, 블랭크 홀더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다이의 홀딩면과의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를 구속하는 비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성형방법은 다이를 상승 동작시켜 펀치로부터 형분리한 상태에서 펀치와 다이 사이로 알루미늄 판재를 공급하는 단계; 다이를 하강 동작시켜 다이의 홀딩면과 블랭크 홀더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를 구속한 상태에서 피어싱 장치들에 의해 알루미늄 판재에 구멍들을 뚫는 단계; 및 다이를 계속적으로 하강 동작시켜 펀치와 형합시킴에 따라 알루미늄 판재를 성형품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 양상으로, 다이의 홀딩면과 블랭크 홀더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를 구속하는 과정에서, 블랭크 홀더의 상면에 돌출된 비드에 의해 다이의 홀딩면과의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를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루미늄 차체부품의 딥드로잉 성형성 개선 및 블랭킹 공정 중 피어싱 공정 삭제로 인한 공정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형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성형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성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형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성형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100)은 펀치(110)와, 다이(120)와, 블랭크 홀더(130), 및 피어싱 장치(140)들을 포함한다.
펀치(110)는 다이(120)와의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1)를 공급받는다. 알루미늄 판재(1)는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판재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펀치(110)는 제품 부분(10a)의 하면 형상을 만드는 펀치측 제품 성형면(111a)과, 제거될 비제품 부분(10b)의 하면 형상을 만드는 펀치측 비제품 성형면(111b)을 구비한다.
제품 부분(10a)은 펀치(110)와 다이(120)에 의해 성형된 성형품(10)에서 차체부품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비제품 부분(10b)은 성형품(10)에서 제품 부분(10a)으로부터 트리밍 장치 등에 의해 절단되어 제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성형품(10)은 제품 부분(10a)으로부터 비제품 부분(10b)이 제거되어 차체부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이(120)는 펀치(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강 또는 상승 동작함에 따라 펀치(110)와 형합 또는 형분리된다. 다이(120)는 유압식 또는 기계식 프레스장치의 가동 프레임(미도시)에 다이 프레임을 매개로 연결되어, 가동 프레임이 승강 동작할 때, 가동 프레임과 함께 승강 동작할 수 있다. 프레스장치는 금형(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에 의해 구동 제어될 수 있다.
다이(120)는 펀치(110)와의 사이에 공급되는 알루미늄 판재(1)를 펀치(110)와 형합시 제품 부분(10a)과 제거될 비제품 부분(10b)을 갖는 성형품(10)으로 성형한다. 다이(120)는 제품 부분(10a)의 상면 형상을 만드는 다이측 제품 성형면(121a)과, 제거될 비제품 부분(10b)의 상면 형상을 만드는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121b)과, 알루미늄 판재(1)의 외측 상면에 대응되는 홀딩면(122)을 구비한다.
즉, 다이측 제품 성형면(121a)은 펀치(110)와 다이(120)의 형합시 펀치측 제품 성형면(111a)과 함께 성형품(10)의 제품 부분(10a)을 딥드로잉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한다.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121b)은 펀치(110)와 다이(120)의 형합시 펀치측 비제품 성형면(111b)과 함께 성형품(10)의 비제품 부분(10b)을 만든다.
홀딩면(122)은 알루미늄 판재(1)의 외측 하면이 블랭크 홀더(130)의 상면에 얹어진 상태에서 다이(12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알루미늄 판재(1)의 외측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블랭크 홀더(130)와 함께 알루미늄 판재(1)의 외측 부위를 구속한다.
블랭크 홀더(130)는 펀치(110)의 외측에 다이(120)의 홀딩면(122)과 마주한 상태로 상방으로 탄성 편향되어 설치된다. 블랭크 홀더(130)는 가스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131)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아 지지될 수 있다. 블랭크 홀더(130)는 펀치(110)와 다이(120)의 형합시 상면에 얹어진 알루미늄 판재(1)를 다이(120)의 홀딩면(122)과 함께 구속한다.
블랭크 홀더(13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다이(120)가 펀치(110)에 대해 형분리되어 대기해 있을 때, 블랭크 홀더(130)는 탄성수단(131)에 의해 펀치(110)보다 높게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알루미늄 판재(1)가 블랭크 홀더(130)의 상면에 얹어진다. 이후, 다이(120)가 하강하여 펀치(110)와 형합되어 알루미늄 판재(1)를 성형품(10)으로 성형한다. 이때, 다이(120)는 홀딩면(122)에 의해 블랭크 홀더(130)와 함께 알루미늄 판재(1)를 잡은 상태로 하강하게 되므로, 알루미늄 판재(1)를 구속한 상태로 성형시킬 수 있게 하다.
블랭크 홀더(130)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다이(120)의 홀딩면(122)과의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1)를 구속하는 비드(132)를 구비할 수 있다. 비드(132)는 알루미늄 판재(1)의 성형시 다이(120)와 펀치(110) 사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소재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비드(132)는 알루미늄 판재(1)의 성형시 피어싱 장치(140)에 의해 알루미늄 판재(1)에 뚫린 구멍(1a)들과 함께 제품 형상면 내측에 발생하는 주름, 크랙, 스프링백 등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비드(132)는 알루미늄 판재(1)의 외측 하면에 대응되게 일정 폭으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이(120)의 홀딩면(122)은 비드(132)에 의해 눌러진 알루미늄 판재(1) 부분을 유입시키는 비드용 홈(122a)을 갖고 블랭크 홀더(130)와 함께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알루미늄 판재(1)를 구속할 수 있다.
피어싱 장치(140)들은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121b)과 펀치측 비제품 성형면(111b)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다. 피어싱 장치(140)들은 다이(120)의 하강 동작에 따라 다이(120)의 홀딩면(122)과 블랭크 홀더(130)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1)가 구속된 상태에서 알루미늄 판재(1)에 구멍(1a)들을 뚫는다.
피어싱 장치(140)들에 의해 알루미늄 판재(1)에 뚫린 구멍(1a)들은 알루미늄 판재(1)의 성형시 소재 유입이 부족한 면 방향으로 주변 형상을 변형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품 형상면 내측에 발생하는 주름, 크랙, 스프링백 등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요구되는 성형 품질이 충족될 수 있다.
알루미늄 판재(1)의 성형 후, 구멍(1a)들 주변은 비제품 부분(10b)에 해당하여 제품 부분(10a)과 비제품 부분(10b) 사이의 트림 라인을 따라 절단되어 제거됨으로써, 성형품(10)의 제품 부분(10a)만 최종적으로 남겨지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피어싱 장치(140)들은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121b)에 설치될 수 있다. 피어싱 장치(140)는 피어싱툴(141)이 구동기(142)에 의해 왕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어싱툴(141)은 알루미늄 판재(1)로 이동하여 알루미늄 판재(1)에 구멍(1a)을 용이하게 뚫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동기(142)는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어싱 장치(140)는 구동기(142)가 다이(120)에 내장된 상태로 피어싱툴(141)을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121b)의 개구를 통해 구동기(14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출입시킬 수 있다.
피어싱 장치(14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다이(120)가 펀치(110)에 대해 형분리되어 대기해 있을 때, 피어싱 장치(140)는 피어싱툴(141)을 구동기(142)에 의해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121b)의 개구 내에 인입시킨 상태로 대기한다.
다이(120)의 하강 동작에 따라 다이(120)의 홀딩면(122)이 블랭크 홀더(130)와 함께 알루미늄 판재(1)를 구속시키면, 피어싱 장치(140)는 피어싱툴(141)을 구동기(142)에 의해 하강시킴에 따라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121b)의 개구로부터 인출시켜 알루미늄 판재(1)에 구멍(1a)을 뚫는다. 이후, 피어싱 장치(140)는 피어싱툴(141)을 구동기(142)에 의해 상승시킴에 따라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121b)의 개구 내에 복귀시킨다.
펀치측 비제품 성형면(111b)에는 피어싱툴(141)들에 각각 대응되는 피어싱용 홀(146)들이 형성될 수 있다. 피어싱용 홀(146)은 해당 피어싱툴(141)의 하강 동작시 눌러지는 알루미늄 판재(1) 부분과 함께 피어싱툴(141)의 하단 부위를 삽입시켜 알루미늄 판재(1)를 파단시킴에 따라 알루미늄 판재(1)에 구멍(1a)을 원활하게 뚫을 수 있게 한다. 또한, 피어싱용 홀(146)은 알루미늄 판재(1)의 피어싱시 알루미늄 판재(1)로부터 떨어져나간 파편을 유입시켜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어싱 장치(140)들은 펀치측 비제품 성형면(111b)에 설치되고,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121b)에 피어싱용 홀(146)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피어싱 장치(140)들은 각각 필요에 따라 설정된 크기의 구멍(1a)을 뚫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100)에 의하면, 다이(120)의 홀딩면(122)과 블랭크 홀더(130)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1)가 구속된 상태에서 알루미늄 판재(1)에 구멍(1a)들을 뚫은 후 딥드로잉 성형을 완료하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품 성형을 위한 알루미늄 판재를 재단하는 블랭킹 공정에서 성형 후 불필요한 형상을 제거하는 트림 공정으로 제거될 자리에 구멍을 뚫은 후 금형에 투입하는 비교 예보다, 공정 감소를 통한 비용 절감 및 성형성 개선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성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120)를 상승 동작시켜 펀치(110)로부터 형분리한 상태에서 펀치(110)와 다이(120) 사이로 알루미늄 판재(1)를 공급한다. 이때, 피어싱 장치(140)는 피어싱툴(141)을 구동기(142)에 의해 다이(120) 내에 인입시킨 상태로 대기한다. 알루미늄 판재(1)는 블랭크 홀더(130)의 상면에 얹어져 지지된다.
그 다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120)를 하강 동작시켜 다이(120)의 홀딩면(122)과 블랭크 홀더(130)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1)를 구속한 상태에서 피어싱 장치(140)들에 의해 알루미늄 판재(1)에 구멍(1a)들을 뚫는다.
이때, 피어싱 장치(140)는 피어싱툴(141)을 구동기(142)에 의해 하강시킴에 따라 다이(120)로부터 인출시켜 알루미늄 판재(1)에 구멍(1a)을 뚫은 후, 피어싱툴(141)을 구동기(142)에 의해 상승시킴에 따라 다이(120) 내로 복귀시킨다.
다이(120)의 홀딩면(122)과 블랭크 홀더(130)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1)를 구속하는 과정에서, 블랭크 홀더(130)의 상면에 돌출된 비드(132)에 의해 다이(120)의 홀딩면(122)과의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1)를 구속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120)를 계속적으로 하강 동작시켜 펀치(110)와 형합시킴에 따라 알루미늄 판재(1)를 성형품(10)으로 성형한다. 이때, 알루미늄 판재(1)에 뚫린 구멍(1a)들은 알루미늄 판재(1)의 성형시 소재 유입이 부족한 면 방향으로 주변 형상을 변형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품 형상면 내측에 발생하는 주름, 크랙, 스프링백 등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요구되는 성형 품질이 충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알루미늄 판재 10..성형품
110..펀치 120..다이
130..블랭크 홀더 131..탄성수단
132..비드 140..피어싱 장치
141..피어싱툴 142..구동기

Claims (4)

  1. 제품 부분의 하면 형상을 만드는 펀치측 제품 성형면과, 제거될 비제품 부분의 하면 형상을 만드는 펀치측 비제품 성형면을 구비하는 펀치;
    상기 펀치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강 또는 상승 동작함에 따라 상기 펀치와 형합 또는 형분리되며 상기 펀치와의 사이에 공급되는 알루미늄 판재를 상기 펀치와 형합시 제품 부분과 제거될 비제품 부분을 갖는 성형품으로 성형하는 것으로, 제품 부분의 상면 형상을 만드는 다이측 제품 성형면과, 제거될 비제품 부분의 상면 형상을 만드는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과, 알루미늄 판재의 외측 상면에 대응되는 홀딩면을 구비하는 다이;
    상기 펀치의 외측에 상기 다이의 홀딩면과 마주한 상태로 상방으로 탄성 편향되어 설치되어, 상기 펀치와 다이의 형합시 상면에 얹어진 알루미늄 판재를 상기 다이의 홀딩면과 함께 구속하는 블랭크 홀더; 및
    상기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에 설치되어, 상기 다이의 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다이의 홀딩면과 블랭크 홀더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가 구속된 상태에서 알루미늄 판재에 구멍들을 뚫는 피어싱 장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피어싱 장치는 구동기가 상기 다이에 내장된 상태로 피어싱툴을 상기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의 개구를 통해 상기 구동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출입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다이가 상기 펀치에 대해 형분리되어 대기해 있을 때, 상기 피어싱툴을 상기 구동기에 의해 상기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의 개구 내에 인입시킨 상태로 대기하며,
    이후 상기 다이의 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다이의 홀딩면이 상기 블랭크 홀더와 함께 알루미늄 판재를 구속시키면, 상기 피어싱툴을 상기 구동기에 의해 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의 개구로부터 인출시켜 알루미늄 판재에 구멍을 뚫은 후 상기 피어싱툴을 상기 구동기에 의해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다이측 비제품 성형면의 개구 내에 복귀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홀더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다이의 홀딩면과의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를 구속하는 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3. 제1항에 기재된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성형방법으로서,
    다이를 상승 동작시켜 펀치로부터 형분리한 상태에서 펀치와 다이 사이로 알루미늄 판재를 공급하는 단계;
    다이를 하강 동작시켜 다이의 홀딩면과 블랭크 홀더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를 구속한 상태에서 피어싱 장치들에 의해 알루미늄 판재에 구멍들을 뚫는 단계; 및
    다이를 계속적으로 하강 동작시켜 펀치와 형합시킴에 따라 알루미늄 판재를 성형품으로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성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다이의 홀딩면과 블랭크 홀더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를 구속하는 과정에서, 블랭크 홀더의 상면에 돌출된 비드에 의해 다이의 홀딩면과의 사이에 알루미늄 판재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성형방법.
KR1020210134127A 2021-10-08 2021-10-08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2525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27A KR102525446B1 (ko) 2021-10-08 2021-10-08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27A KR102525446B1 (ko) 2021-10-08 2021-10-08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365A KR20230051365A (ko) 2023-04-18
KR102525446B1 true KR102525446B1 (ko) 2023-04-27

Family

ID=8610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127A KR102525446B1 (ko) 2021-10-08 2021-10-08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4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179Y1 (ko) * 1992-04-01 1998-11-02 이대원 프레스 금형
KR20040000990A (ko) * 2002-06-26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스용 비드 성형 장치
KR20100006470A (ko) * 2008-07-09 2010-01-19 주식회사화신 복합 프레스금형장치
KR20170024684A (ko) * 2015-08-26 2017-03-08 주식회사 대신이씨엠 주름 형성이 억제된 프레스 부품 성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365A (ko)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6470A (ko) 복합 프레스금형장치
CN209773246U (zh) 一种切边翻边模具
CN106975696B (zh) 汽车左右门铰链安装板冲压模具及冲压工艺
KR102525446B1 (ko) 알루미늄 차체부품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EP1340557B1 (en) Method for removing strain from press-formed workpiece
JPH0375247B2 (ko)
KR100468260B1 (ko) 복수 패널 성형용 포밍 프레스 금형
CN217912401U (zh) 一种应用于汽车安全气囊扩散器生产的侧冲孔模具
CN211941204U (zh) 一种驾驶室内饰冲压模具
CN115740213A (zh) 一种基于撕口成型的防爆盖成型模具及方法
CN113543904B (zh) 冲压装置和冲压方法
JP2600475B2 (ja) パネルの切断成形機
CN107096830A (zh) 一种带孔电脑扣板冲压模具
CN109351863B (zh) 一种汽车驱动后桥制动器防尘罩复合模具及复合工艺
JP2591391B2 (ja) 抜き型
CN112024721A (zh) 一种高强度汽车b柱冲压模具及冲压方法
US6474126B1 (en) Method of deep drawing heavy-gage parts, and related apparatus and article
CN210586660U (zh) 一种挡板冲翻孔模具
KR20030037643A (ko) 드로우 성형 프레스용 블랭크 홀더
JPH06328157A (ja) プレス加工装置
CN219503552U (zh) 汽车侧围成品成型的模具及其汽车侧围半成品成型的模具
CN201735662U (zh) 一种用于汽车进气管支架的冲压装置
JP2521684B2 (ja) プレス成形方法
CN214768329U (zh) 一种用于压差传感器支架二次折弯的模具
CN210586687U (zh) 用于加工轿车天窗框的自动落料模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