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265B1 -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265B1
KR102524265B1 KR1020210015735A KR20210015735A KR102524265B1 KR 102524265 B1 KR102524265 B1 KR 102524265B1 KR 1020210015735 A KR1020210015735 A KR 1020210015735A KR 20210015735 A KR20210015735 A KR 20210015735A KR 102524265 B1 KR102524265 B1 KR 102524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shock absorber
height
piston valve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2136A (ko
Inventor
김학주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5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265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는 차량에 사용되고, 상측 디스크부와 하측 디스크부를 포함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로서, 상부 가이드부재와 파일럿 케이스와 하부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부재는 상측 디스크부의 아래에 배치된다. 파일럿 케이스는 상부 가이드부재의 아래에 배치된다. 하부 가이드부재는 파일럿 케이스의 아래에 배치되고, 하측 디스크부의 위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Piston valve of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럿 케이스의 내측부의 높이를 외측부의 높이보다 낮게 함으로써 내측부가 요구하는 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하거나 감쇠하는 역할을 하며, 탑승자의 승차감 향상과, 적재화물 및 차량의 각종 부품을 보호하는데 기여한다.
쇽업소버는 작동유체(오일)가 충진된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 로드(Piston rod)를 포함하며, 실린더는 현가암 등을 통해 차륜 측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는 차체 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는 실린더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피스톤 밸브(Piston valve)가 연결된다. 이러한 쇽업소버는 피스톤 밸브를 통과하는 작동유체의 유동저항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쇽업소버는 차량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때 연속적으로 신축운동을 하며, 노면에서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을 억제하거나 감쇠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피스톤 밸브에는 작동유체의 유동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디스크와 리테이너(Retainer)와 파일럿 케이스(Pilot case) 등이 체결된다.
특히, 리테이너와 파일럿 케이스의 조립시 각각의 유로가 오버랩(overlap) 되어 두 부품에 변형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쇽업소버의 감쇠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파일럿 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 하중을 부가하는 경우, 파일럿 케이스의 내측 코어 부분이 변형되어 충분한 하중 부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며,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열처리 등으로 제품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파일럿 케이스의 내측 코어의 높이가 커서, 소결 공법으로 제품을 생산할 경우에, 내측 코어 부분이 요구하는 밀도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하여 제품을 양산하는데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1446호 (공고일자 2018년09월27일)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파일럿 케이스의 내측부의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내측부가 요구하는 밀도를 확보할 수 있어 소결 공법으로 파일럿 케이스를 양산할 수 있고, 내측부의 높이가 낮아지는 만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디스크유를 하부 가이드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시킴으로써 파일럿 케이스의 내측 유로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는 차량에 사용되고, 상측 디스크부와 하측 디스크부를 포함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로서, 상부 가이드부재와 파일럿 케이스와 하부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부재는 상측 디스크부의 아래에 배치된다. 파일럿 케이스는 상부 가이드부재의 아래에 배치된다. 하부 가이드부재는 파일럿 케이스의 아래에 배치되고, 하측 디스크부의 위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는 파일럿 케이스의 아래에 배치되는 디스크유를 더 포함한다. 디스크유는 하부 가이드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고, 하측 디스크부의 위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파일럿 케이스는, 피스톤 로드가 배치되는 중심홀과, 피스톤 로드와 접촉하는 내측부와, 실린더의 내면과 접촉하는 외측부와, 내측부와 외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측부의 높이는 외측부의 높이보다 낮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가이드부재는 링 형상이고, 내측부의 위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 가이드부재는 링 형상이고, 내측부의 아래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가이드부재의 두께는, 외측부의 높이로부터 내측부의 높이를 뺀 값과 같거나 또는 크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 가이드부재의 두께는, 외측부의 높이로부터 내측부의 높이를 뺀 값과 같거나 또는 크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가이드부재와 하부 가이드부재의 두께는 같거나 또는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는, 파일럿 케이스의 내측부의 높이를 외측부의 높이보다 낮게 함으로써 파일럿 케이스를 피스톤 로드에 고정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 충분한 하중을 부가할 수 있어 풀림 방지 기능이 향상될 수 있고, 제품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내측부가 요구하는 밀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소결 공법으로 파일럿 케이스를 양산할 수 있다.
또한, 조립과정에서 파일럿 케이스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 및 쇽업소버의 감쇠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유를 하부 가이드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시킴으로써 파일럿 케이스의 내측 유로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스톤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파일럿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하부 가이드부재와 디스크유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기술에 의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Piston valve of shock absorber)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스톤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100)는 차량에 사용되고, 상측 디스크부(130)와 하측 디스크부(Pilot case)(140)를 포함하는 피스톤 밸브(100)로서, 상부 가이드부재(111)와 파일럿 케이스(110)와 하부 가이드부재(113)를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부재(111)는 상측 디스크부(130)의 아래에 배치되고, 파일럿 케이스(110)는 상부 가이드부재(111)의 아래에 배치된다. 그리고, 하부 가이드부재(113)는 파일럿 케이스(110)의 아래에 배치되고, 하측 디스크부(140)의 위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100)는, 파일럿 케이스(110)의 아래에 배치되는 디스크유(Disk-U)(120)를 더 포함한다. 하기에서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100)는 실린더(미도시) 내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된 피스톤 로드(Piston rod)(10)의 하단에 결합된다.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100)는 파일럿 케이스(110)를 중심으로 그 위에 상측 디스크부(130)가 배치되고, 그 아래에 디스크유(120)와 하측 디스크부(140)가 배치된다. 즉, 피스톤 로드(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피스톤 밸브(100)는 상측 디스크부(130)와 파일럿 케이스(110)와 디스크유(120)와 하측 디스크부(14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조립된다. 하측 디스크부(140) 아래에는 너트(Nut)(20)가 피스톤 로드(10)에 체결되어 피스톤 밸브(100)를 고정시킨다.
상측 디스크부(130)는 파일럿 케이스(110)의 위에 배치되다.
상측 디스크부(130)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와셔(Washer)(131), 상부 리테이너(Retainer)(132), 복수개의 상부 디스크(133) 및 상부 파일럿 밸브(Pilot valve)(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디스크부(130)를 구성하는 와셔(131), 상부 리테이너(132), 복수개의 상부 디스크(133) 및 상부 파일럿 밸브(134)는 공지기술에 해당하는 와셔, 리테이너, 디스크 및 파일럿 밸브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크유(120)는 파일럿 케이스(110)의 아래에 배치된다.
디스크유(120)는 U자형 디스크이며, 그 중심에는 피스톤 로드(10)가 배치된다.
하측 디스크부(140)는 파일럿 케이스(110)와 디스크유(120)의 아래에 배치된다.
하측 디스크부(140)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하부 파일럿 밸브(141), 복수개의 하부 디스크(142) 및 하부 리테이너(1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유(120)와 하측 디스크부(140)를 구성하는 하부 파일럿 밸브(141), 복수개의 하부 디스크(142) 및 하부 리테이너(143)는 공지기술에 해당하는 디스크유, 파일럿 밸브, 디스크 및 리테이너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파일럿 케이스(110)는 상측 디스크부(130)와 하측 디스크부(140)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은 도 2의 파일럿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일럿 케이스(110)는 중심홀(114)과, 내측부(116)와 외측부(117), 내측부(116)와 외측부(117)를 연결하는 연결부(118) 및, 연결부(118)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로(115)를 포함한다.
중심홀(114)은 파일럿 케이스(11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피스톤 로드(10)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내측부(116)는 중심홀(114)을 형성하고 피스톤 로드(10)와 접촉한다. 내측부(116)는 피스톤 로드(10)를 감싼다.
외측부(117)는 실린더와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외측부(117)의 외면은 실린더의 내면과 접촉한다.
연결부(118)는 내측부(116)와 외측부(117)를 연결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유로(115)는 연결부(118)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로(115)는 연결부(118)의 상부면(118a)과 하부면(118b)을 관통하는 홀(hole)이며, 작동유체(오일)가 지나가는 통로이다.
내측부(116)의 높이(h, h')는 외측부(117)의 높이(H, H')보다 낮다. 즉, 내측부(116)의 높이(h, h')의 길이는 외측부(117)의 높이(H, H')의 길이보다 짧다. 여기서 내측부(116)의 높이(h)는 연결부(118)의 상부면(118a)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내측부(116)의 상면까지의 길이를 말하고, 외측부(117)의 높이(H)는 연결부(118)의 상부면(118a)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외측부(117)의 상면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또한, 내측부(116)의 높이(h')는 연결부(118)의 하부면(118b)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내측부(116)의 상면까지의 길이를 말하고, 외측부(117)의 높이(H')는 연결부(118)의 하부면(118b)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외측부(117)의 상면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내측부(116)의 높이(h, h')가 외측부(117)의 높이(H, H')와 같거나 더 높으면, 파일럿 케이스(110)를 피스톤 로드(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 하중을 부가하는 경우, 파일럿 케이스(110)의 내측부(116)가 변형되어 충분한 하중 부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며,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열처리 등으로 제품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부(116)의 높이(h, h')가 낮아짐으로써 파일럿 케이스(110)를 피스톤 로드(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 충분한 하중을 부가할 수 있어 풀림 방지 기능이 향상될 수 있고, 제품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소결 공법으로 파일럿 케이스(110)를 생산할 경우에, 파일럿 케이스(110)의 내측부(116)의 면적이 일정한 상태에서 내측부(116)의 높이(h, h')가 높으면, 내측부(116)가 요구하는 밀도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하여 파일럿 케이스(110)를 양산하는데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부(116)의 높이(h, h')가 낮아짐으로써 내측부(116)가 요구하는 밀도를 확보할 수 있어 소결 공법으로 파일럿 케이스(110)를 양산할 수 있고, 내측부(116)의 높이(h, h')가 낮아지는 만큼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다.
내측부(116)의 높이는, 연결부(118)를 기준으로 위나 아래로 돌출된 내측부(116)의 높이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부(118)의 상부면(118a)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내측부(116)의 상면까지의 길이(h)는, 연결부(118)의 하부면(118b)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내측부(116)의 상면까지의 길이(h')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이 경우에, 연결부(118)의 하부면(118b)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내측부(116)의 상면까지의 길이(h')는, 연결부(118)의 하부면(118b)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외측부(117)의 상면까지의 길이(H')보다 짧다.
외측부(117)의 높이는, 연결부(118)를 기준으로 위나 아래로 돌출된 외측부(117)의 높이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부(118)의 상부면(118a)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외측부(117)의 상면까지의 길이(H)는, 연결부(118)의 하부면(118b)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외측부(117)의 상면까지의 길이(H')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내측부(116)의 전체 길이(l)는 외측부(117)의 전체 길이(L)보다 짧다. 즉 연결부(118)를 기준으로 위로 돌출된 내측부(116)의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내측부(116)의 상면까지의 길이(l)는, 연결부(118)를 기준으로 위로 돌출된 외측부(117)의 상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외측부(117)의 상면까지의 길이(L)보다 짧다.
내측부(116)의 전체 길이(l)가 외측부(117)의 전체 길이(L)와 같거나 더 길면, 파일럿 케이스(110)를 피스톤 로드(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축방향으로 하중을 부가하는 경우, 파일럿 케이스(110)의 내측부(116)가 변형되어 충분한 하중 부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며,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열처리 등으로 제품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소결 공법으로 파일럿 케이스(110)를 생산할 경우에, 파일럿 케이스(110)의 내측부(116)의 면적이 일정한 상태에서 내측부(116)의 전체 길이가 길면, 내측부(116)가 요구하는 밀도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하여 파일럿 케이스(110)를 양산하는데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부(116)의 전체 길이(l)를 외측부(117)의 전체 길이(L)보다 짧게 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조립과정에서 파일럿 케이스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 및 쇽업소버의 감쇠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100)는 상부 가이드부재(111)와 하부 가이드부재(113)를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부재(111)는 파일럿 케이스(110)의 위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가이드부재(111)는 상측 디스크부(130)의 아래에 배치되고, 파일럿 케이스(110)의 위에 배치된다.
하부 가이드부재(113)는 파일럿 케이스(110)의 아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가이드부재(113)는 하측 디스크부(140)의 위에 배치되고, 파일럿 케이스(110)의 아래에 배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파일럿 케이스(110)의 내측부(116)에는 상부 가이드부재(111) 및 하부 가이드 부재가 배치된다.
상부 가이드부재(111)는 파일럿 케이스(110)의 내측부(116)의 위에 배치되고, 하부 가이드부재(113)는 내측부(116)의 아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파일럿 케이스(110)에서 연결부(118)의 상부면(118a)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내측부(116)의 상면 위에는 상부 가이드부재(111)가 배치되고, 연결부(118)의 하부면(118b)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내측부(116)의 상면 아래에는 하부 가이드부재(113)가 배치된다.
상부 가이드부재(111)는 소정의 두께(t1)를 갖는 링(ring) 형상일 수 있다.
상부 가이드부재(111)의 두께(링의 두께)(t1)는 외측부(117)의 높이(H)로부터 내측부(116)의 높이(h)를 뺀 값과 같거나 또는 클 수 있다. 상부 가이드부재(111)의 두께(t1)가 외측부(117)의 높이(H)로부터 내측부(116)의 높이(h)를 뺀 값보다 같거나 또는 커야, 상부 가이드부재(111) 자체의 밀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상부 가이드부재(111)의 위에 배치되는 상측 디스크부(130)의 상부 파일럿 밸브(134)와의 사이에서 유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하부 가이드부재(113)는 소정의 두께(t2)를 갖는 링(ring) 형상일 수 있다.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두께(링의 두께)(t2)는 외측부(117)의 높이(H')로부터 내측부(116)의 높이(h')를 뺀 값과 같거나 또는 클 수 있다.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두께(t2)가 외측부(117)의 높이(H')로부터 내측부(116)의 높이(h')를 뺀 값보다 같거나 또는 커야, 하부 가이드부재(113) 자체의 밀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아래에 배치되는 하측 디스크부(140)의 하부 파일럿 밸브(141)와의 사이에서 유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부재(111)와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두께는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이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측 디스크부(130)와 하측 디스크부(140)와의 사이에서 작동유체의 유동저항을 고려하거나, 상부 가이드부재(111)와 하부 가이드부재(113) 그 자체가 요구하는 밀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부 가이드부재(111)와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두께는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하부 가이드부재와 디스크유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파일럿 케이스(110)의 아래에 배치되는 디스크유(120)는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하측 디스크부(14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디스크유(120)가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위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도 5는 디스크유(120)가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아래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도 디스크유(120)는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아래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디스크유(120)가 하부 가이드부재(113)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됨으로써 파일럿 케이스(110)의 내측 유로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피스톤 밸브
110: 파일럿 케이스
111: 상부 가이드부재
113: 하부 가이드부재
120: 디스크유
130: 상측 디스크부
140: 하측 디스크부

Claims (8)

  1. 차량에 사용되고, 상부 파일럿 밸브(134)를 갖는 상측 디스크부(130), 및 하부 파일럿 밸브(141)를 갖는 하측 디스크부(140)를 포함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100)로서,
    중심에 피스톤 로드(10)가 관통되는 중심홀(114)이 형성되는 내측부(116)와, 실린더의 내면과 접촉하는 외측부(117), 및 상기 내측부(116)와 외측부(117)를 연결하며 복수 개의 유로(115)가 형성된 연결부(118)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18)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부(116)의 높이는 상기 외측부(117)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파일럿 케이스(110);
    상기 내측부(116)의 상면과 상기 상부 파일럿 밸브(134)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가이드부재(111);
    상기 내측부(116)의 저면과 상기 하부 파일럿 밸브(141)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가이드부재(113); 및
    상기 파일럿 케이스(110)와 하측 디스크부(140) 사이에서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디스크유(120);를 포함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11)가 링 형상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11)의 두께는, 상기 외측부(117)의 높이로부터 상기 내측부(116)의 높이를 뺀 값과 같거나 또는 큰,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13)가 링 형상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두께는, 상기 외측부(117)의 높이로부터 상기 내측부(116)의 높이를 뺀 값과 같거나 또는 큰,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11)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13)는 링 형상이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재(111)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113)의 두께는 같거나 또는 다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1020210015735A 2021-02-03 2021-02-03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102524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735A KR102524265B1 (ko) 2021-02-03 2021-02-03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735A KR102524265B1 (ko) 2021-02-03 2021-02-03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136A KR20220112136A (ko) 2022-08-10
KR102524265B1 true KR102524265B1 (ko) 2023-04-24

Family

ID=8284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735A KR102524265B1 (ko) 2021-02-03 2021-02-03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2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446B1 (ko) 2017-01-06 2018-09-27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JP7049901B2 (ja) * 2018-04-27 2022-04-07 日立Astemo株式会社 緩衝器
KR20200142293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만도 주파수 감응형 쇽 업소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136A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519B1 (ko) 정션 블리드
KR101383380B1 (ko) 완충 장치
US8590678B2 (en) Nested check high speed valve
US9067471B2 (en) Piston assembly with open bleed
KR101441526B1 (ko) 디스크 스프링 유입구조
KR101771682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US8794407B2 (en) Velocity progressive valving
JP5738387B2 (ja) 完全変位弁組立体を備えた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11536344B2 (en) Valve and shock absorber
KR102524265B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101756425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GB2397110A (en) A bottom valve apparatus for a hydraulic shock absorber
JP2020034068A (ja) 流体圧緩衝器
JP7275061B2 (ja) シリンダ装置
KR102309058B1 (ko) 진동 댐퍼의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
KR100832495B1 (ko) 차고조절용 쇽업소버
JP6014459B2 (ja) シリンダ装置
KR20230173890A (ko) 쇽업소버용 리테이너
KR101194988B1 (ko) 쇽업소버의 바디밸브
KR20060027616A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KR101263456B1 (ko) 쇽업소버의 바디밸브
JP2013029173A (ja) 流体圧緩衝器
KR20170113267A (ko) 변위가변형 쇽업소버의 유동 피스톤밸브
KR20200141743A (ko) 쇽업소버
KR20050079665A (ko) 쇽업소버의 바디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