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727B1 -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727B1
KR102523727B1 KR1020220136890A KR20220136890A KR102523727B1 KR 102523727 B1 KR102523727 B1 KR 102523727B1 KR 1020220136890 A KR1020220136890 A KR 1020220136890A KR 20220136890 A KR20220136890 A KR 20220136890A KR 102523727 B1 KR102523727 B1 KR 102523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electronic scale
products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익환
Original Assignee
(주)모든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든솔루션 filed Critical (주)모든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3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weight of goods in commercial establishments, e.g. supermarket, P.O.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01G23/3728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07G1/0054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with control of supplementary check-parameters, e.g. weight or number of articles
    • G07G1/0072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with control of supplementary check-parameters, e.g. weight or number of articles with means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article of which the code is rea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07G1/0081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the reader being a portable scanner or data rea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들을 관리하도록 된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유통매장의 진열상품을 계근하도록 된 전자저울과, 상기 전자저울에 배치되는 상기 진열상품을 촬영하도록 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정보 및 상기 전자저울의 무게정보를 전달받아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에서 송신되는 상기 진열상품의 촬영정보 및 무게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로 이루어져, 진열상품에 대한 일련의 상품 및 상태정보를 자동전산화하여, 적시에 폐기상품을 분리 폐기할 수 있게 되고 결품된 진열상품을 신속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되며, 자동으로 전산화가 이루어져 진열상품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고, 폐기상품의 적시에 폐기할 수 있어 임의 폐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DISPLAY PRODUCT MANAGEMENT SYSTEM IN RETAIL STORES USING ELECTRONIC SCALES}
본 발명은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열상품에 대한 일련의 상품 및 상태정보를 자동전산화하여, 적시에 폐기상품을 분리 폐기할 수 있게 되고 결품된 진열상품을 신속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되며, 자동으로 전산화가 이루어져 진열상품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고, 폐기상품의 적시에 폐기할 수 있어 임의 폐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대/중/소형 할인매장이 증가하면서 고객들에게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매장의 효율적인 업무프로세스와 최적의 상품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객 관리와 상품 관리는 모든 유통 매장에서 이익과 손실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상품의 판매자인 매장에서는 고객의 편의와 상품의 재고 관리 양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판매 이익을 최대로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품에 대한 관리 즉, 상품 진열 관리와 상품 재고 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고객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품 진열대의 진열상품에 대한 관리는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기존의 모든 오프라인 쇼핑몰과 대/중/소형 할인매장에서는 상품 진열대의 상품 보충 및 그 관리를 위하여 매장직원이 일정 시간 단위로 결품 및 폐기할 상품을 상태를 직접 확인하였다. 결품 및 폐기할 상품을 확인한 경우에는 매장 직원이 상품의 정보를 확인하여 직접 보충진열하거나 폐기처리하고 창고 직원에게 구두나 유·무선망으로 결품에 대한 상세 내용을 전달하여왔다. 그리고 매장 직원 또는 창고 직원은 창고에 있는 해당 상품의 재고를 확인하여 보충 물량을 확보하고, 해당 진열위치에 상품을 보충진열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해당 상품의 재고량이 없는 경우에는 대체 상품을 결정하는 과정을 거쳐 진열하는 방식을 취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상품 진열대 상품 관리 방식은 상품의 신선도 확인 및 보충진열을 위해 수시로 매장 직원이 폐기상품이나 결품 상태를 확인해야 하므로 매장 관리자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시간비용과 인건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매장 직원이 매장을 돌아다니며 폐기상품이나 결품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상품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는데 어려우며, 폐기상품 및 결품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폐기상품이 판매되거나 결품으로 인한 상품 판매 기회를 놓치는 문제가 있으며, 상품 진열대에 있는 상품 진열에 대한 정보는 체계적인 전산화 부재로 관리의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이상에서 밝힌 바와 같이, 종래의 상품 진열대의 상품 관리 방식은 상품 판매를 위한 매장의 관리에 있어서, 불필요한 시간적 금전적 비용이 발생하는 비경제적인 문제를 갖는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039006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진열상품에 대한 일련의 상품 및 상태정보를 자동전산화하여, 적시에 폐기상품을 분리 폐기할 수 있게 되고 결품된 진열상품을 신속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되며, 자동으로 전산화가 이루어져 진열상품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고, 폐기상품의 적시에 폐기할 수 있어 임의 폐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들을 관리하도록 된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유통매장의 진열상품을 계근하도록 된 전자저울과, 상기 전자저울에 배치되는 상기 진열상품을 촬영하도록 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정보 및 상기 전자저울의 무게정보를 전달받아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에서 송신되는 상기 진열상품의 촬영정보 및 무게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에는 상기 진열상품의 바코드를 식별하여 인식하도록 리더기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진열상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면서 얻은 상품정보를 상기 송,수신부에 전달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에는 상기 진열상품의 부가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진열상품의 촬영정보, 무게정보 및 상품정보와 함께 저장관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열상품은 판매할 상품과 진열되는 상품 및 폐기처리할 상품이 모두 포함되어, 측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저울에는 알람유닛이 더 마련되고, 상기 관리서버에는 상기 알람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분석부가 더 마련되어, 저정된 폐기상품이 재차 전자저울, 카메라로 및 리더기로 측정되면 상기 관리서버의 분석부가 상기 알람유닛에 신호를 전달하여 알람이 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부에는 상기 진열상품의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판매상품과 폐기상품을 분리하도록 상품분석모듈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자저울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샤프트는 일단이 상기 전자저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카메라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각도가 변경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저울에는 상면에 상기 카메라로 선명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품가이드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상품가이드수단은 상기 전자저울에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패널과, 상기 가이드패널의 상면에 형성되는 마찰돌기들로 구성된 마찰지지부와, 상기 가이드패널의 상면에 형성되는 램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은 진열상품에 대한 일련의 상품 및 상태정보를 자동전산화하여, 적시에 폐기상품을 분리 폐기할 수 있게 되고 결품된 진열상품을 신속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되며, 자동으로 전산화가 이루어져 진열상품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고, 폐기상품의 적시에 폐기할 수 있어 임의 폐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전자저울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전자저울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리더기와 알람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전자저울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전자저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전자저울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전자저울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리더기와 알람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전자저울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의 전자저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진열상품 관리시스템'으로 약칭함)는 전자저울(20)을 이용하여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들을 관리하도록 된 관리시스템(10)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관리시스템(10)은 전자저울(20)과 카메라(30)와 송,수신부(40)와 관리서버(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저울(20)은 상기 유통매장의 진열상품을 계근하도록 된다.
상기 전자저울(20)은 상부에 짐판(23)이 마련되고 계근된 무게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통상의 전자저울이다.
상기 전자저울(20)은 작업자가 서서 진열상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테이블의 상부에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 카메라(30)는 상기 전자저울(20)에 배치되는 상기 진열상품을 촬영하도록 된다.
상기 카메라(30)에는 위치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전자저울(20)에 진열상품이 배치시 상기 위치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한 후 상기 카메라(30)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진열상품을 촬영하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전자저울(20)에 진열상품이 배치시 상기 전자저울(20)이 상기 카메라(30)에 신호를 전달하여 촬영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30)는 상기 전자저울(20)에 일단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22)의 타단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다르게는, 상기 가이드샤프트(22)의 일단을 상기 전자저울(20)에 힌지(221)결합하고, 타단을 상기 카메라(30)에 힌지(221)결합하여, 상기 카메라(30)의 위치 및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힌지(221)결합은 볼트와 너트결합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너트를 조여 일정각도로 회전된 상기 카메라(3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송,수신부(40)는 상기 카메라(30)의 촬영정보 및 상기 전자저울(20)의 무게정보를 전달받아 송신하게 된다.
상기 송,수신부(40)는 상기 전자저울(20)을 내부 또는 외면에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송,수신부(40)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전자저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정보와 무게정보를 전달받게 되며, 후술될 리더기(60) 및 알람유닛(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관리서버(50)는 상기 송,수신부(40)에서 송신되는 상기 진열상품의 촬영정보 및 무게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즉, 상기 전자저울(20)에 진열상품의 무게를 측정시 촬영정보와 무게정보가 상기 관리서버(50)에 수신된 후 저장되어, 별도로 진열상품을 촬영한 후 저장하거나 측정된 무게를 기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간편하게 진열상품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30)에는 상기 진열상품의 바코드를 식별하여 인식하도록 리더기(60)가 더 나사체결되거나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리더기(60)는 상기 진열상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면서 얻은 진열상품의 원산지, 성분 및 유통기한 등과 같은 상품정보를 상기 송,수신부(40)에 전달하여, 상기 관리서버(50)로 송신하도록 된다.
위에서 리더기(60)가 진열상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리더기(60)를 별도로 구비함에 없이 카메라(30)가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30) 내부의 처리장치 혹은 별도의 처리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판독 프로그램에 의하여 바코드 또는 QR코드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50)에는 상기 진열상품의 폐기사유 및 육안으로 확인된 상품상태와 같은 부가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진열상품의 촬영정보, 무게정보 및 상품정보와 함께 저장관리되도록 한다.
상기 진열상품의 부가정보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게 된다.
상기 진열상품은 판매할 상품과 진열되는 상품 및 폐기처리할 상품이 모두 포함되어, 상기 전자저울(20), 상기 카메라(30) 및 상기 리더기(60)를 통해 측정되도록 함으로써, 진열상품과 폐기상품의 분할관리가 용이하게 되고, 재고관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자저울(20)에는 알람유닛(21)이 더 마련되고, 상기 관리서버(50)에는 상기 알람유닛(21)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프로그램 모듈구조의 분석부(51)가 더 마련되어, 저정된 폐기상품이 재차 전자저울(20), 카메라(30)로 및 리더기(60)로 측정되면 상기 관리서버(50)의 분석부(51)가 상기 송,수신부(40)에 폐기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송,수신부(40)가 상기 알람유닛(21)에 신호를 전달하여 알람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폐기할 상품이 판매되거나 재차 폐기상품이 진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분석부(51)에는 상기 진열상품의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판매상품과 폐기상품을 분리하도록 상품분석모듈(511)이 더 마련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관리서버(50)의 폐기상품을 확인한 후 신속하게 진열상품을 폐기처리할 수 있어, 폐기될 상품이 판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품분석모듈(511)은 저장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AI) 방식에 의해 빅테이터와 수신된 촬영정보를 비교,분석하여 폐기할 상품을 선별하여 상기 관리서버(50)를 통해 작업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폐기신호를 상기 송,수신부(40)에 전달하여, 상기 알람유닛(21)에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자저울(20)에는 상면에 상기 카메라(30)로 선명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전자저울(20)의 짐판(23)에 올려진 진열상품이 자중에 의해 미끄럼 이동되거나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품가이드수단(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상품가이드수단(70)은 상기 전자저울(20)에 상부에 형성되는 짐판(2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패널(71)과, 상기 가이드패널(71)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패널(71)에 배치되는 진열상품을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돌기(721)들로 구성된 마찰지지부(72)와, 상기 가이드패널(71)의 상면에 형성되는 램프(73)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찰돌기(721)들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가이드패널(71)에 부착하거나 융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램프(73)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가이드패널(71)에 올려진 진열상품에 그늘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명한 촬영이 가능하게 되며, 선명하게 촬영된 촬영정보로 인해 상품상태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패널(71)에는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램프(73)가 끼움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홈은 환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패널(71)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관리시스템
20 : 전자저울
21 : 알람유닛
22 : 가이드샤프트
221 : 힌지
23 : 짐판
30 : 카메라
40 : 송,수신부
50 : 관리서버
51 : 분석부
511 : 상품분석모듈
60 : 리더기
70 : 상품가이드수단
71 : 가이드패널
72 : 마찰지지부
721 : 마찰돌기
73 : 램프

Claims (10)

  1.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들을 관리하도록 된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유통매장의 진열상품을 계근하도록 된 전자저울;
    상기 전자저울에 배치되는 상기 진열상품을 촬영하도록 된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정보 및 상기 전자저울의 무게정보를 전달받아 송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에서 송신되는 상기 진열상품의 촬영정보 및 무게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자저울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샤프트는 일단이 상기 전자저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카메라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카메라의 위치 및 각도가 변경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는 상기 진열상품의 바코드를 식별하여 인식하도록 리더기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진열상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면서 얻은 상품정보를 상기 송,수신부에 전달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에는 상기 진열상품의 부가정보가 입력되어, 상기 진열상품의 촬영정보, 무게정보 및 상품정보와 함께 저장관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상품은 판매할 상품과 진열되는 상품 및 폐기처리할 상품이 모두 포함되어, 측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울에는 알람유닛이 더 마련되고, 상기 관리서버에는 상기 알람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분석부가 더 마련되어, 저정된 폐기상품이 재차 전자저울, 카메라로 및 리더기로 측정되면 상기 관리서버의 분석부가 상기 알람유닛에 신호를 전달하여 알람이 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에는 상기 진열상품의 촬영정보를 분석하여 판매상품과 폐기상품을 분리하도록 상품분석모듈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울에는 상면에 상기 카메라로 선명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품가이드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상품가이드수단은,
    상기 전자저울에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패널과,
    상기 가이드패널의 상면에 형성되는 마찰돌기들로 구성된 마찰지지부와,
    상기 가이드패널의 상면에 형성되는 램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KR1020220136890A 2022-10-21 2022-10-21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KR102523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890A KR102523727B1 (ko) 2022-10-21 2022-10-21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890A KR102523727B1 (ko) 2022-10-21 2022-10-21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727B1 true KR102523727B1 (ko) 2023-04-20

Family

ID=8614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890A KR102523727B1 (ko) 2022-10-21 2022-10-21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7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065B1 (ko) 2000-09-29 2003-07-0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티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진열상품 가격정보표시 시스템
KR20040044193A (ko) * 2001-08-24 2004-05-27 가부시키가이샤 훼미리마트 판매 상품의 유통 기한 관리 기능을 갖는 pos 시스템
KR20100089933A (ko) * 2009-02-05 2010-08-13 제관석 전자저울을 이용한 이동식 재고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0153839A (ja) * 2019-03-20 2020-09-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計量装置
KR20210079965A (ko) * 2019-12-20 2021-06-30 김승연 재고관리 및 상품판매를 위한 스마트 진열대 및 스마트 진열대를 이용한 재고관리 및 상품 판매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065B1 (ko) 2000-09-29 2003-07-0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티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진열상품 가격정보표시 시스템
KR20040044193A (ko) * 2001-08-24 2004-05-27 가부시키가이샤 훼미리마트 판매 상품의 유통 기한 관리 기능을 갖는 pos 시스템
KR20100089933A (ko) * 2009-02-05 2010-08-13 제관석 전자저울을 이용한 이동식 재고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0153839A (ja) * 2019-03-20 2020-09-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計量装置
KR20210079965A (ko) * 2019-12-20 2021-06-30 김승연 재고관리 및 상품판매를 위한 스마트 진열대 및 스마트 진열대를 이용한 재고관리 및 상품 판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9789C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ая стеллажная система
US105589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ocking shelves
US8091782B2 (en) Using cameras to monitor actual inventory
US104101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ventory management
US7434730B2 (en) part availability business process
US20100161356A1 (en) Prescription Order Posi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102134290B1 (ko) Erp 재고관리 시스템
US201701934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featured product inventory
US9922257B2 (en) Image auditing method and system
US11681984B2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110012052A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3938B1 (ko) 의약품 납품 및 재고관리 시스템
KR102523727B1 (ko) 전자저울을 이용한 유통매장 내 진열상품 관리시스템
US20240062157A1 (en)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105350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tocking locations of products having more than one stocking location on a sales floor
KR20090000720A (ko) 지능형 관리 점검 서비스 메카니즘 및 방법
US200802702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ventory of products and assets in real time
KR20110007284A (ko) 휴대용 정보단말기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매장 관리 방법
KR101778949B1 (ko) 부품 관리 장치
CN114372752A (zh) 一种基于多传感器的无人仓库管理系统及方法
US11068843B2 (en) Augmented reality inventory management system
CN212230083U (zh) 一种管理医用耗材的rfid平台
CN114596661B (zh) 一种多功能智能售货柜
TW201918943A (zh) 庫存收貨管理系統
JP7414418B2 (ja) 医薬品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