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097A -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097A
KR20230065097A KR1020210150954A KR20210150954A KR20230065097A KR 20230065097 A KR20230065097 A KR 20230065097A KR 1020210150954 A KR1020210150954 A KR 1020210150954A KR 20210150954 A KR20210150954 A KR 20210150954A KR 20230065097 A KR20230065097 A KR 20230065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trol unit
unit
storage shelf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피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피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피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50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5097A/ko
Publication of KR20230065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checking presence/abse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통해 상품의 재고 증감(增減) 정도를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 주고,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부터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 빠르게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창고에 위치되되,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통해 상품의 재고 증감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보관선반수단(3)과; 상기 창고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원격지에 위치되되, 상품의 재고 증감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하고, 상품의 재고 감소시 소비자의 구매트렌드를 분석하여 상품을 주문하며, 상품의 파손시 주문한 상품의 반품을 요구함과 아울러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신호를 보내는 관리서버(5)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Real-time inventory management smart system}
본 발명은 재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통해 상품의 재고 증감(增減) 정도를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 주는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부터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 빠르게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품의 재고 감소시 소비자의 상품 구매트렌드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품 구매트렌드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주문할 상품갯수를 결정하도록 한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대/중/소형 할인매장이 증가하면서 고객들에게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매장의 효율적인 업무프로세스와 최적의 상품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객 관리와 상품 관리는 모든 유통 매장에서 이익과 손실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상품의 판매자인 매장에서는 고객의 편의와 상품의 재고 관리 양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판매 이익을 최대로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품에 대한 관리 즉, 상품 진열 관리와 상품 재고 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고객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품 진열대의 진열 상품에 대한 관리는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기존의 모든 오프라인 쇼핑몰과 대/중/소형 할인매장에서는 상품 진열대의 상품 보충 및 그 관리를 위하여 매장 직원이 일정 시간 단위로 결품 상태를 직접 확인하였다. 결품 상태를 확인한 경우에는 매장 직원이 상품의 정보를 확인하여 직접 보충진열하거나 창고 직원에게 구두나 유·무선망으로 결품에 대한 상세 내용을 전달하여 보충 물량을 확보하고, 해당 진열위치에 상품을 보충 진열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상품 재고 관리 방식은 상품의 보충진열을 위해 수시로 매장 직원이 결품 상태를 확인해야 하므로 매장 관리자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시간비용과 인건비용이 발생하고, 매장 직원이 매장을 돌아다니며 결품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결품 상품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하는데 어려우며, 결품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상품 판매 기회를 놓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품 진열대에 있는 상품 진열에 대한 정보는 체계적인 전산화 부재로 관리의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보충진열의 실시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여 상품의 재고 물량의 부족에 대한 추가 발주 및 대체 상품으로의 교체 등 대응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0년 12월 30일자 출원번호 제10-2010-0139611호(발명의 명칭 : 상품재고관리 가능한 진열대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재고 관리 시스템)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고, 도 1을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청구범위는 " 상품이 진열되는 선반; 상기 선반의 제1 면에 부착되고, 자신의 제1 식별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다수 개의 RF통신모듈; 상기 선반의 제1 면과 인접한 제2 면에 장착되어 상기 다수 개의 RF통신모듈의 제1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된 제1 식별정보 및 자신의 제2 식별정보를 전자 선반 레이블 서버로 송신하는 전자 선반 레이블 태그;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 개의 RF 통신모듈은 상기 제1 면에 상품이 놓이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전자 선반 레이블 태그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제1 면에 상품이 놓인 경우에는 상품에 의해 상기 전자 선반 레이블 태그와 통신이 불가능한 크기의 소출력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재고관리 가능한 진열대. " 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품 재고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상품재고관리 가능한 진열대 외에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통해 상품의 재고 증감(增減) 정도를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 주고,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부터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 빠르게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을 제안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통해 상품의 재고 증감(增減) 정도를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 주고,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부터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 빠르게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며, 상품의 재고 감소시 소비자의 상품 구매트렌드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품 구매트렌드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주문할 상품갯수를 결정하도록 한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은,
창고에 위치되되,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통해 상품의 재고 증감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보관선반수단(3)과;
상기 창고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원격지에 위치되되, 상품의 재고 증감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하고, 상품의 재고 감소시 소비자의 구매트렌드를 분석하여 상품을 주문하며, 상품의 파손시 주문한 상품의 반품을 요구함과 아울러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신호를 보내는 관리서버(5)와;
상기 관리서버(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되, 위치추적수신부를 구비하여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부터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상면에 빠르게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작업자단말기(7)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은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줌으로써, 작업자가 상품의 파손 유무를 별도로 할 필요성이 없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품의 파손시 상품을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통해 상품의 재고 증감(增減) 정도를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줌으로써, 상품의 재고 감소시 상품을 빠르게 입고하여 재고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부터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 빠르게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줌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품의 재고 감소시 소비자의 상품 구매트렌드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품 구매트렌드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주문할 상품갯수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상품의 구입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품재고관리 가능한 진열대 및 이를 이용한 상품 재고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보관선반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2의 보관선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관리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도 2의 작업자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보관선반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의 보관선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관리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2의 작업자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1)은,
창고에 위치되되,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통해 상품의 재고 증감(增減)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보관선반수단(3)과;
상기 창고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원격지에 위치되되, 상품의 재고 증감(增減)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하고, 상품의 재고 감소시 소비자의 구매트렌드(또는 구매경향)를 분석하여 상품을 주문하며, 상품의 파손시 주문한 상품의 반품을 요구함과 아울러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신호를 보내는 관리서버(5)와;
상기 관리서버(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되, 위치추적수신부를 구비하여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부터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상면에 빠르게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작업자단말기(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관선반수단(3)과 관리서버(5)와 작업자단말기(7)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관선반수단(3)은,
보관선반(9)과;
상기 보관선반(9)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관선반제어부(10)와;
상기 보관선반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관선반통신부(11)와;
상기 보관선반(9)의 상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보관선반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면에 위치된 재고 상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와;
상기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보관선반(9)의 일측에 설치되되,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품을 촬영하는 제1촬영부(15)와;
상기 촬영부(1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보관선반(9)의 일측에 설치되되, 보관선반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작업자의 부주의로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의 상면에서 상품이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의 상면에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에게 경고음을 울리는 경고음발생부(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관선반수단(3)은 디스플레이부(18)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디스플레이부(18)는 보관선반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품갯수, 무게값, 상품이름 등을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 해 준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5)는,
관리서버제어부(19)와;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관리서버통신부(21)와;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상품의 재고 증감(增減)을 수치로 계산해 내는 재고증감계산부(23)와;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비자의 상품 구매트렌드를 수집하는 구매트렌드수집부(25)와;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 및 구매트렌드수집부(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품의 재고 감소시 구매트렌드수집부(25)의 구매트렌드데이터를 불러와 소비자의 상품 구매트렌드(또는 구매경향)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품 구매트렌드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주문할 상품갯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품갯수에 맞게 상품을 주문하는 상품주문부(27)와;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상품촬영데이터와 수신된 상품촬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하는 제1상품파손확인부(29)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단말기(7)는,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작업자단말기통신부(33)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로 버튼신호를 입력하는 버튼패널(35)과;
상기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로부터 이탈한 상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수신부(37)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탈한 상품의 이탈방향 및 이탈거리를 알려주는 알림부(39)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작업자단말기(7)는 제2촬영부(41), 제2상품파손확인부(43) 및 디스플레이부(도시는 생략함)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제2촬영부(41)는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로부터 이탈한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품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상기 제2상품파손확인부(43)는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상품촬영데이터와 수신된 상품촬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한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1)의 동작(또는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관선반제어부(10)는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는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의 상면에 위치된, 즉 재고되어 있는 상품의 무게를 감지한 후, 감지된 감지무게값을 보관선반제어부(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관선반제어부(10)는 감지무게값을 보관선반통신부(11)로 보낸다.
상기 보관선반통신부(11)는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감지무게값을 관리서버통신부(21)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통신부(21)는 수신된 감지무게값을 관리서버제어부(19)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는 감지무게값을 재고증감계산부(23)로 보낸다.
상기 재고증감계산부(23)는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무게값과 감지무게값을 비교한 후, 감지무게값이 기 설정된 무게값 보다 작으면, 무게변화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상품의 재고 증감을 수치 즉, 재고량(또는 상품갯수)을 계산해 내고, 계산된 상품의 재고량을 관리서버제어부(19)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는 기 설정된 상품의 재고량과 계산된 상품의 재고량을 비교한 후, 계산된 상품의 재고량이 기 설정된 상품의 재고량보다 적을 경우 즉, 재고 감소시, 구매트렌드수집부(25)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구매트렌드수집부(25)는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재고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현재 상품 구매트렌드(또는 구매경향)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는 상품주문부(27)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상품주문부(27)는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매트렌드수집부(2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재고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현재 상품 구매트렌드데이터를 불러와 소비자의 상품 구매트렌드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품 구매트렌드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재고를 채워야 하는 주문할 상품갯수(또는 상품량)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문 상품갯수를 관리서버제어부(19)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는 주문 상품갯수를 관리서버통신부(21)로 보낸다.
상기 관리서버통신부(21)는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주문 상품갯수를 상품생산자단말기(도시는 생략함)로 보낸다.
한편, 상품생산자로부터 주문한 상품이 창고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도착된 상품의 외면에 위치추적송신부(도시는 생략함)를 부착함과 아울러 위치추적송신부가 부착된 상품을 보관선반(9)의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 상면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재고 상품이 채워지면, 보관선반제어부(10)는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 및 제1촬영부(15)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는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의 상면에 위치된, 즉 재고되어 있는 상품의 무게를 감지한 후, 감지된 감지무게값을 보관선반제어부(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관선반제어부(10)는 감지무게값을 보관선반통신부(11)로 보낸다.
상기 제1촬영부(15)는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의 상면에 위치된 상품을 촬영한 후, 촬영된 상품촬영데이터를 보관선반제어부(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관선반제어부(10)는 상품촬영데이터를 보관선반통신부(11)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관선반통신부(11)는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감지무게값 및 상품촬영데이터를 관리서버통신부(21)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통신부(21)는 수신된 감지무게값 및 상품촬영데이터를 관리서버제어부(19)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는 감지무게값을 재고증감계산부(23)로 보내고, 상품촬영데이터를 제1상품파손확인부(29)로 보낸다.
상기 재고증감계산부(23)는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무게값과 감지무게값을 비교한 후, 감지무게값이 기 설정된 무게값 보다 크면(재고 상품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간주), 재고충분신호를 관리서버제어부(19)로 보낸다.
상기 제1상품파손확인부(29)는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상품촬영데이터와 수신된 상품촬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한 후, 상품이 파손된 경우 상품파손데이터를 관리서버제어부(19)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는 상품파손데이터를 관리서버통신부(21)로 보낸다.
상기 관리서버통신부(21)는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품파손데이터를 작업자단말기통신부(33)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단말기통신부(33)는 수신된 상품파손데이터를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는 상품파손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로 보낸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품파손데이터를 작업자가 볼 수 있게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작업자는 파손된 상품을 교체한다.
다른 한편, 작업자가 창고 청소를 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단말기 통신부(33)는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창고청소신호를 보관선반통신부(11)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보관선반통신부(11)는 창고청소신호를 보관선반제어부(10)로 보낸다. 이때, 보관선반제어부(10)는 작업자가 창고 청소를 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창고 청소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보관선반(9)의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 상면에 위치된 상품이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로부터 떨어지거나 혹은 이탈할 경우,
상기 보관선반제어부(10)는 경고음발생부(17)를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경고음발생부(17)는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의 상면에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에게 경고음을 울린다.
그리고, 작업자는 버튼패널(35)을 조작하여 위치추적수신부(37)를 온 시킨다.
상기와 같이, 위치추적수신부(37)가 온 되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는 위치추적수신부(37)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위치추적수신부(37)는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로부터 이탈한 상품의 위치를 추적함과 아울러 이탈한 상품의 위치추적송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추적신호를 알림부(39)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알림부(39)는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탈한 상품의 이탈방향 및 이탈거리를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작업자가 이탈한 상품을 찾고, 찾은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로 원위치하기 전 파손 유무를 확인하고자할 경우,
작업자는 버튼패널(35)을 조작하여 제2촬영부(41)를 온 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2촬영부(39)가 온 되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는 제2촬영부(41)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2촬영부(41)는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로부터 이탈한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상품촬영데이터를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는 촬영된 상품촬영데이터를 제2상품파손확인부(43)로 보낸다.
상기 제2상품파손확인부(43)는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상품촬영데이터와 수신된 상품촬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한 후, 상품이 파손된 경우 상품파손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로 보낸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품파손데이터를 작업자가 볼 수 있게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작업자는 파손된 상품을 교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줌과 아울러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통해 상품의 재고 증감(增減) 정도를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 주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 주고,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부터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 빠르게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3 : 보관선반수단
5 : 관리서버 7 : 작업자단말기
9 : 보관선반 10 : 보관선반제어부
11 : 보관선반통신부 13 : 무게감지스마트패드
15 : 제1촬영부 17 : 경고음발생부
19 : 관리서버제어부 21 : 관리서버통신부
23 : 재고증감계산부 25 : 구매트렌드수집부
27 : 상품주문부 29 : 제1상품파손확인부
31 : 작업자단말기제어부 33 : 작업자단말기통신부
35 : 버튼패널 37 : 위치추적수신부
39 : 알림부 41 : 제2촬영부
43 : 제2상품파손확인부

Claims (5)

  1. 창고에 위치되되,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통해 상품의 재고 증감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보관선반수단(3)과;
    상기 창고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원격지에 위치되되, 상품의 재고 증감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하고, 상품의 재고 감소시 소비자의 구매트렌드를 분석하여 상품을 주문하며, 상품의 파손시 주문한 상품의 반품을 요구함과 아울러 작업자단말기로 작업신호를 보내는 관리서버(5)와;
    상기 관리서버(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되, 위치추적수신부를 구비하여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무게감지스마트패드로부터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상면에 빠르게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작업자단말기(7)를 포함하되,
    상기 보관선반수단(3)과 관리서버(5)와 작업자단말기(7)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선반수단(3)은,
    보관선반(9)과;
    상기 보관선반(9)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관선반제어부(10)와;
    상기 보관선반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관선반통신부(11)와;
    상기 보관선반(9)의 상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보관선반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면에 위치된 재고 상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와;
    상기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보관선반(9)의 일측에 설치되되,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품이 입고되어 재고되거나 재고된 상품이 반출될 때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품을 촬영하는 제1촬영부(15)와;
    상기 촬영부(1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보관선반(9)의 일측에 설치되되, 보관선반제어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보관선반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재고된 상품이 반출되기 전 작업자의 부주의로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의 상면에서 상품이 이탈한 경우, 이탈한 상품을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의 상면에 원위치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에게 경고음을 울리는 경고음발생부(17)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5)는,
    관리서버제어부(19)와;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관리서버통신부(21)와;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감지스마트패드의 무게변화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상품의 재고 증감(增減)을 수치로 계산해 내는 재고증감계산부(23)와;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비자의 상품 구매트렌드를 수집하는 구매트렌드수집부(25)와;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 및 구매트렌드수집부(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품의 재고 감소시 구매트렌드수집부(25)의 구매트렌드데이터를 불러와 소비자의 상품 구매트렌드(또는 구매경향)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품 구매트렌드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주문할 상품갯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품갯수에 맞게 상품을 주문하는 상품주문부(27)와;
    상기 관리서버제어부(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상품촬영데이터와 수신된 상품촬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하는 제1상품파손확인부(29)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단말기(7)는,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작업자단말기통신부(33)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로 버튼신호를 입력하는 버튼패널(35)과;
    상기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로부터 이탈한 상품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수신부(37)와;
    상기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탈한 상품의 이탈방향 및 이탈거리를 알려주는 알림부(39)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단말기(7)는 제2촬영부(41) 및 제2상품파손확인부(43)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제2촬영부(41)는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게감지스마트패드(13)로부터 이탈한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품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와 주고,
    상기 제2상품파손확인부(43)는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단말기제어부(31)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상품촬영데이터와 수신된 상품촬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품의 파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KR1020210150954A 2021-11-04 2021-11-04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KR20230065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954A KR20230065097A (ko) 2021-11-04 2021-11-04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954A KR20230065097A (ko) 2021-11-04 2021-11-04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097A true KR20230065097A (ko) 2023-05-11

Family

ID=8637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954A KR20230065097A (ko) 2021-11-04 2021-11-04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50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5376B2 (en) Using low-resolution images to detect products and high-resolution images to detect product ID
KR102231143B1 (ko) 광 섬유 선반 시스템
US20170147966A1 (en) Inventory monitoring sensor system
US9275361B2 (en) Out of stock sensor
US80496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merchandise planogram auditing and reporting
US20180181906A1 (en) Stock management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7954712B2 (en) Product, asset, and device tracking, identification, and pricing system
US8511555B2 (en) Tag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and tracking apparatus and system
CN107864679B (zh) 用于商品化电子显示的系统和方法
US201701165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goods to consumers
US202103124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cking carts and retail products in a shopping space
WO2017074891A1 (en) Inventory sensor
KR20110012052A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15080A (ko) Rfid를 이용한 상품 보충진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65097A (ko) 실시간 재고관리 스마트 시스템
JP7194220B2 (ja) 報知システム
US20240177583A1 (en) Crowdsourcing incentive based on shelf location
WO2022045225A1 (ja) 業務支援装置、業務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