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996B1 -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2996B1 KR102522996B1 KR1020200180784A KR20200180784A KR102522996B1 KR 102522996 B1 KR102522996 B1 KR 102522996B1 KR 1020200180784 A KR1020200180784 A KR 1020200180784A KR 20200180784 A KR20200180784 A KR 20200180784A KR 102522996 B1 KR102522996 B1 KR 1025229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 cap
- hole
- blocking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용 후드캡(100)에 관한 것으로, 건물 내부에서 건물 외벽(W)에 형성되는 통공(1)에 후드캡(100)을 설치함으로써, 건물 외부에서 로프를 타고 후드캡(100)을 설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후드캡(100)의 설치작업이 쉽고 간단히 이루어지고, 작업시간 및 비용이 현저히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후드캡(100)이 건물 외벽(W)의 통공(1)에 설치된 후에는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차단캡(30)이 하우징(10) 외측의 통공(1)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의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통공(1)을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환기용 후드캡(10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고, 건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건물 외부의 공기를 건물 내부로 공급하는 환기용 후드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용 후드캡은 건물 외벽의 통공에 설치되고, 통기창이 형성된 하우징이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급배기 덕트와 연결되어 실내의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반대로 신선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상기 환기용 후트캡을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기 위해서, 건물 외벽에 통공을 형성하거나 외벽의 콘그리트 타설 전, 관 형태의 슬리브를 매설하여 통공을 형성하고, 이후 상기 통공에 후드캡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 후드캡은, 건물의 외부에서 로프를 타고 각층에 형성된 통공에 설치되는 바, 작업방법이 간단하지 않고, 작업자가 로프를 타고 작업함으로써,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 외벽의 통공 내부에 설치된 후, 상기 통공의 내부에서, 후드캡 의 외측에 유로 또는 틈새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후드캡 외측의 유로 또는 틈새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는 상기 유로 또는 틈새로 바람이 유입되어 심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환기용 후드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는 것으로, 상기 후드캡을 건물 내부에서 건물 외벽에 설치함으로써, 건물 외부에서 로프를 타고 후드캡을 설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후드캡이 건물 외벽의 통공에 설치된 후에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차단캡이 하우징 외측의 통공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의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통공을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환기용 후드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 형태의 연결구가 건물 외벽에 형성되는 통공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구의 전방에 형성되는 하우징이 통공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환기용 후드캡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상기 통공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내주연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드캡은, 상기 하우징과 연결구가 상기 통공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고, 건물 내부에서 상기 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과 차단캡이 상기 통공을 통과하여 건물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차단캡이 건물 외벽의 외측면에 밀착하여 상기 하우징 외측의 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에 결합하고, 회전에 의해 하우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단캡이 건물 외벽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하는 마감캡;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용 후드캡을 건물 외벽에 시공하는 방법은, 건물 외벽에 형성된 통공에 후드캡을 건물 내부에서 삽입하는 단계;
상기 후드캡의 하우징과 차단캡이 통공을 통과하여 건물 외부로 돌출되는 단계; 및
상기 차단캡을 건물 외벽에 밀착시켜 상기 통공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환기용 후드캡을 건물 실내에서 건물 외벽에 설치할 수 있어, 후드캡을 건물 외부에서 로프를 타고 건물 외벽에 설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캡을 건물의 내부에서 건물 외벽에 설치함으로써, 후드캡의 설치작업이 쉽고 간단히 이루어지며, 후드캡의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 및 비용이 현저히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드캡의 하우징이 통공을 통해 건물 외부로 돌출된 후, 하우징에 형성되는 차단캡이 건물 외벽에 밀착되어 통공과 하우징 사이의 유로 또는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유로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빗물 또는 이물질이 통공을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건물 외벽의 미감이 저해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의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의 시공 모습과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공정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의 시공 모습과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공정도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이하, 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100)의 개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100)의 시공 모습과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에의 "A"부분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용 후드캡(100)의 시공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관 형태의 연결구(20)가 건물 외벽(W)에 형성되는 통공(1)에 삽입되고, 통기창(11)이 형성되는 하우징(10)이 상기 연결구(20)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통공(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환기용 후드캡(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통공(1)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통공(1)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에 형성되는 유로(1')를 차단하는 차단캡(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후드캡(100)은, 상기 차단캡(30)이 탄성복원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하우징(10)과 연결구(20)가 상기 통공(1)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며, 건물 내부에서 통공(1)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과 차단캡(30)이 상기 통공(1)을 통과하여 건물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차단캡(30)이 건물 외벽(W)의 외측면에 밀착하여 상기 하우징(10)과 통공(1) 사이의 유로(1')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20)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21); 및 상기 체결부(21)에 결합하고, 회전에 의해 하우징(10) 방향으로 이동하며, 건물 외벽(W)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차단캡(30)이 건물 외벽(W)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하는 마감캡(4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용 후드캡(100)은, 통기창(11)이 형성되는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관 형태의 연결구(20);를 포함하고, 건물 외벽(W)에 형성된 통공(1)에 상기 연결구(20)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이 건물 외벽(W)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하우징(10)의 통기창(11)을 통해 건물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거나 실내 공기가 건물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소정 부피로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되며,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창(11)이 형성되고, 특히 건물 외벽(W)에 형성되는 통공(1)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 또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통공(1)에 쉽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외주연에 상기 통공(1)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차단캡(30)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캡(30)은, 탄성복원력을 갖거나,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 또는 실리콘(C) 재질로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부로 갈수록 후드캡(100)의 연결구(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본 발명의 후드캡(100)이 건물 외벽(W)의 통공(1)에 설치될 때, 하우징(10) 외측의 통공(1), 즉 통공(1)의 내주연과 하우징(10) 사이의 틈새 또는 유로(1')를 차단하며, 상기 통공(1)의 내부로 빗물, 이물질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차단캡(30)은,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3)에 억지끼움되거나 볼트 등의 수단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차단캡(30)의 전방에 형성되고, 차단캡(30)의 전면을 지지하며, 상기 차단캡(30)이 하우징(10)의 선단부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편(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편(12)은 오링 형태 또는 외측 테두리부가 연결구(20)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드캡(10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 실내에서 건물 외벽(W)에 형성되는 통공(1)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과 차단캡(30)이 상기 통공(1)을 통과하여 건물 외벽(W)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반경이 상기 통공(1)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통공(1)을 쉽게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차단캡(30)은 탄성복원력을 갖거나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1)의 통과 시, 하우징(10)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휘어져 상기 통공(1)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통공(1)을 통과한 후에는 원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후드캡(100)이 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과 차단캡(30)이 통공(1)을 통해 건물 외부로 돌출된 후에는, 상기 통공(1)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10) 및 연결구(20)의 외측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1') 또는 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상기 차단캡(30)이 건물 외벽(W)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유로(1')를 차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드캡(100)을 건물 내부에서 건물 외벽(W)에 설치할 수 있고, 후드캡(100)을 시공하기 위해 건물 외부에서 로프를 타고 작업하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드캡(100)은, 하우징(10)이 통공(1)을 통해 건물 외부로 돌출된 후, 상기 차단캡(30)이 하우징(10) 외측의 통공(1), 즉 상기 통공(1)의 내주연과 하우징(10) 사이의 유로(1') 또는 틈새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유로(1')를 통해 통공(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빗물 또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부에는 관 형태의 연결구(2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20)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부에 통공(1)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 및 차단캡(30)이 건물 외벽(W)으 통공(1)을 통과하여 건물 외부로 돌출될 때, 상기 통공(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기창(11)을 통해 하우징(10)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후단부에 연결되는 덕트(D)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0)에는 제2 차단캡(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차단캡(31)은, 탄성복원력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실리콘 등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고, 후드캡(100)이 건물 외벽(W)의 통공(1)에 설치될 때, 상기 통공(1)의 내부에서 연결구(20)와 통공(1)의 내주연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1') 또는 틈새를 차단하며,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차단캡(30)을 통과하여 통공(1)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 이물질 또는 외기를 차단한다.
즉, 상기 제2 차단캡(31)은, 하우징(10)에 형성되는 차단캡(30)이 파손되거나 외벽(W)에서 분리되어 통공(1)이 입구가 개방될 경우, 개방된 통공(1)을 통해 외부의 빗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통공(1)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20)의 후단부 외주연에는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1)에는 링 형태의 마감캡(40)이 체결된다.
상기 마감캡(40)은, 통공(1)의 반경과 같거나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고, 건물 실내에서 상기 체결부(21)에 체결되며, 건물 외벽(W)의 통공(1) 내주연과 연결부 사이의 유로(1') 또는 틈새를 차단하고, 건물 외벽(W)의 내측면에서, 상기 통공(1)이 형성된 부분을 차단하거나 가려 외벽(W)의 내측면을 깔끔하게 정리 및 마감할 수 있고, 상기 체결부(21)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하우징(10)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체결부(21)의 말단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덕트(D)가 상기 체결부(21)에 연결된다.
상기 마감캡(40)은, 후드캡(100)이 건물 내부에서 통공(1)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과 차단캡(30)이 건물 외부로 돌출되고 연결구(20)가 통공(1) 내부에 배치된 때, 상기 체결부(2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10) 방향으로 전진하여 건물 외벽(W)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차단캡(30)과의 거리가 가까워져 상기 차단캡(30)이 건물 외벽(W)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하며, 이로 인해 통공(1) 내부에서 하우징(10)의 외측이 차단캡(30)에 의해 차단될 뿐만 아니라 상기 차단캡(30)과 마감캡(40)이 외벽(W)에 지지되어서 상기 후드캡(100)이 건물 외벽(W)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후드캡(100)은, 건물의 실내에서 건물 외벽(W)의 통공(1)에 쉽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하우징(10) 외측의 통공(1)을 차단하는 차단캡(30)에 의해 통공(1)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차단캡(30)과 마감캡(40)을 이용하여 건물 외벽(W)에 고정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통공(1)은 건물 외벽(W)에 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건물 외벽(W)의 콘크리트 타설 전, 관통슬리브(S)를 매립하여 형성되며, 상기 관통슬리브(S)의 내부가 상기 통공(1)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건물 외벽(W)에 관통슬리브(S)가 매립되고, 관통슬리브(S)의 내측에 통공(1)이 형성되며, 본 발명의 후드캡(100)이 상기 통공(1)에 설치된다.
상기 관통슬리브(S)는, 관 형태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고, 건물 외벽(W)에 매설 시, 건물 외벽(W)의 외측면에 밀착하는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소정 길이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드캡(100)은, 도 2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통공(1)에 삽입되기 전, 상기 차단캡(30)의 후면에 실리콘(C)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 또는 실리콘(C)이 도포된 상태로 통공(1)에 삽입된다.
즉, 상기 하우징(10)과 차단캡(30)이 건물 외벽(W)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 후드캡(100)을 건물 내부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상기 마감캡(40)을 회전시켜 상기 차단캡(30)을 건물 외벽(W)에 밀착시키면, 상기 차단캡(30)의 후면에 도포된 실리콘(C) 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차단캡(30)이 관통슬리브(S) 또는 건물 외벽(W)에 부착되거나 관통슬리브(S)에 부착되어 쉽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실리콘(C)이 통공(1)의 내주연과 하우징(10) 외측 사이의 유로(1') 또는 틈새에 채워져 상기 유로(1')를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캡(30) 및 하우징(10)이 상기 실리콘(C)에 의해 건물 외벽(W)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드캡(100)은,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연결구(20)의 내부에 방충망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드캡(100)은, 상기 연결구(20)가 통공(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연결구(20)에 소정 길이의 연결관체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체의 후단부가 실내로 돌출되며, 상기 연결관체의 후단부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후드캡(100)을 건물 외벽(W)에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건물 외벽(W)에 소정 반경으로 타공되거나, 관통슬리브(S)를 건물 외벽(W)의 콘크리트 타설 전, 매설하여 관통슬리브(S)에 의해 건물 외벽(W)에 통공(1)이 형성된다(S1).
그리고 상기 후드캡(100)을 건물 내부에서 상기 통공(1)에 삽입한다(S2).
상기 후드캡(100)을 건물 내부에서 상기 통공(1)에 삽입하기 전, 상기 후드캡(100)의 차단캡(30) 후면에 실리콘(C) 또는 접착제를 도포한다.
상기 후드캡(100)을 건물의 내부에서 상기 통공(1)에 삽입하고, 상기 하우징(10)과 차단캡(30)이 상기 통공(1)을 통과하여 건물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통공(1)을 통과할 때 찌그러지거나 하우징(10) 방향으로 밀착된 차단캡(30)은 통공(1)을 통과한 후 원상태로 복원된다(S3).
그리고 상기 후드캡(100)을 건물 내부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체결부(21)에 체결된 마감캡(40)을 회전시켜 상기 차단캡(30)이 건물 외벽(W)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하고, 이로 인해 하우징(10)과 통공(1)의 내주연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1') 또는 틈새가 상기 차단캡(3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다(S4).
또한, 상기 마감캡(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차단캡(30)과 마감캡(40)이 건물 외벽(W)에 밀착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후드캡(100)이 건물 외벽(W)에 고정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통공 10 : 하우징
11 : 통기창 12 : 지지편
20 : 연결구 21 : 체결부
30 : 차단캡 31 : 제2 차단캡
40 : 마감캡 100 : 후드캡
W : 건물 외벽 S : 관통슬리브
D : 덕트
11 : 통기창 12 : 지지편
20 : 연결구 21 : 체결부
30 : 차단캡 31 : 제2 차단캡
40 : 마감캡 100 : 후드캡
W : 건물 외벽 S : 관통슬리브
D : 덕트
Claims (8)
- 관 형태의 연결구(20)가 관통슬리브(S)에 의해 건물 외벽(W)에 형성되는 통공(1)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구(20)의 전방에 형성되는 하우징(10)이 통공(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환기용 후드캡(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에 상기 통공(1)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고, 후면이 건물 외벽(W)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실리콘(C) 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관통슬리브(S)에 부착되며, 상기 통공(1)의 내주연과 상기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1')를 차단하는 차단캡(30); 및
상기 연결구(20)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통공(1)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구(20)의 외측을 차단하는 제2 차단캡(3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의 말단부에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차단캡(30)의 전면을 지지하며, 상기 차단캡(30)이 하우징(10)의 선단부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게 하는 지지편(12);
상기 통공(1)에서 건물 실내로 돌출되는 연결구(20)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덕트(D)가 연결되는 체결부(21); 및
상기 체결부(21)에 결합하고, 회전에 의해 하우징(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차단캡(30)이 건물 외벽(W)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하는 마감캡(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후드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캡(100)은,
상기 하우징(10)과 연결구(20)가 상기 통공(1)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고, 건물 내부에서 상기 통공(1)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10)과 차단캡(30)이 상기 통공(1)을 통과하여 건물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차단캡(30)이 건물 외벽(W)의 외측면에 밀착하며, 상기 제2 차단캡(31)의 일단부가 통공(1)의 내주연에 밀착하고, 상기 차단캡(30)과 제2 차단캡(31)에 의해 유로(1')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후드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2)은 오링 형태 또는 외측 테두리부가 연결구(20) 방향으로 절곡되어 차단캡(30)의 전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후드캡.
- 환기용 후드캡(100)을 건물 외벽(W)에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물 외벽(W)에 형성된 통공(1)에 제1항의 후드캡(100)을 건물 내부에서 삽입하는 단계;
상기 후드캡(100)의 하우징(10)과 차단캡(30)이 통공(1)을 통과하여 건물 외부로 돌출되는 단계; 및
상기 차단캡(30)을 건물 외벽(W)에 밀착시켜 상기 통공(1)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캡(100)을 건물 내부에서 상기 통공(1)으로 삽입하기 전, 상기 차단캡(30)의 후면에 실리콘(C)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캡(30)을 건물 외벽(W)에 밀착시켜 상기 통공(1)을 차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단캡(30)의 후면이 건물 외벽(W)에 밀착되면서 실리콘(C) 또는 접착제에 의해 관통슬리브(S)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후드캡의 시공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캡(30)을 건물 외벽(W)에 밀착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후드캡(100)의 체결부(21)를 건물 내부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체결부(21)에 체결된 마감캡(40)을 회전시켜 상기 차단캡(30)이 건물 외벽(W)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관통슬리브(S)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용 후드캡의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0784A KR102522996B1 (ko) | 2020-12-22 | 2020-12-22 |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0784A KR102522996B1 (ko) | 2020-12-22 | 2020-12-22 |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0021A KR20220090021A (ko) | 2022-06-29 |
KR102522996B1 true KR102522996B1 (ko) | 2023-04-18 |
Family
ID=8227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0784A KR102522996B1 (ko) | 2020-12-22 | 2020-12-22 |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299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7210B1 (ko) | 2023-08-31 | 2024-09-19 | 하리산업주식회사 | 개구율 조절이 가능한 후드캡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9015B1 (ko) * | 2005-06-17 | 2006-08-03 | 박협우 |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
KR101383028B1 (ko) * | 2013-12-18 | 2014-04-08 | 주식회사 구펜 | 원가절감 및 시공 작업성이 개선된 원터치 조립식 후드캡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97021A (ja) * | 1997-01-10 | 1998-07-31 | Shinko Denki:Kk | 通気装置の室内側からの取付け法と、これに用いる通気装置 |
KR200437822Y1 (ko) | 2006-12-19 | 2008-01-02 | (주)아이에어 | 공동주택 환기용 그릴 캡 |
KR101580946B1 (ko) * | 2012-06-11 | 2015-12-30 | 김경동 | 실내 설치용 후드 캡 |
-
2020
- 2020-12-22 KR KR1020200180784A patent/KR1025229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9015B1 (ko) * | 2005-06-17 | 2006-08-03 | 박협우 |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
KR101383028B1 (ko) * | 2013-12-18 | 2014-04-08 | 주식회사 구펜 | 원가절감 및 시공 작업성이 개선된 원터치 조립식 후드캡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07210B1 (ko) | 2023-08-31 | 2024-09-19 | 하리산업주식회사 | 개구율 조절이 가능한 후드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0021A (ko) | 2022-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68947A (en) | Clothes dryer air exhaust duct wall connector | |
KR102522996B1 (ko) |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516602B1 (ko) |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243611B1 (ko) | 창문형 에어컨 조립체 및 창문형 에어컨 조립체용 유입수 차단부재 | |
KR200490649Y1 (ko) | 환기구 조립구조를 갖는 에어필터 | |
US20080256693A1 (en) | Systems and Apparatus for Toilet Odour Removal | |
GB2467109A (en) | Method of installing a duct from inside a room | |
US20200306668A1 (en) | Pipe cap for drain pipe outlet | |
JP3960673B2 (ja) | ダクトの外壁開口構造 | |
JP4841482B2 (ja) | 配管カバー装置 | |
JP6865964B2 (ja) | ウェザーカバー | |
JP2604935B2 (ja) | 換気装置 | |
WO2022219812A1 (ja) | 換気扇 | |
JP4833688B2 (ja) | 配管支持具及びその配管支持具を備えた建物 | |
CN211951722U (zh) | 墙体防渗透套管 | |
JP2566866B2 (ja) | フイルタ内蔵吹出口の取付け施工方法 | |
KR100525297B1 (ko) | 후드캡 | |
KR102564278B1 (ko) |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맨홀용 안전커버 | |
JP3403139B2 (ja) | 屋外グリル | |
FI61565B (fi) | Ventilanordning foer installering vid oeppningen av en inloppsluftkanal | |
CN218786964U (zh) | 内打胶通风雨帽 | |
JP3195249U (ja) | ドレンキャップ | |
JP2528435Y2 (ja) | 換気装置 | |
JP6649829B2 (ja) | 逆流防止弁 | |
KR101685831B1 (ko) | 공기조화용 디퓨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