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015B1 -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015B1
KR100609015B1 KR1020050052138A KR20050052138A KR100609015B1 KR 100609015 B1 KR100609015 B1 KR 100609015B1 KR 1020050052138 A KR1020050052138 A KR 1020050052138A KR 20050052138 A KR20050052138 A KR 20050052138A KR 100609015 B1 KR100609015 B1 KR 100609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ap
circumferential surface
sha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협우
Original Assignee
박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협우 filed Critical 박협우
Priority to KR102005005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여과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쾌적한 주거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한의 효과가 있으며 스스로 신축하는 성질을 지닌 한지를 환기장치의 여과부재로 구비하여 공기를 여과시켜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벽을 관통하도록 벽의 외측에서 설치되며, 몸체와, 고무패킹과, 거름망과, 방지판 및 외부캡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과; 몸체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고무패킹과 벽의 내측에서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중간연결캡과; 상단에 한지로 형성된 여과부재가 구비되어 벽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연결캡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내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환기장치, 고무패킹, 한지, 거름망, 내부캡

Description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Device for a Change of Air using Korea Pap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하우징 11 : 몸체
12 : 고무패킹 13 : 거름망
14 : 방지판 15 : 받침부
16 : 통기공 17 : 차단막
18, 21b : 돌기 19 : 외부캡
20a, 20b : 중간연결캡 21a : 돌출부
30a, 30b : 내부캡 31a, 31b : 여과부재
32 : 접착제
본 발명은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공기를 여과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쾌적한 주거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방한의 효과가 있으며 스스로 신축하는 성질을 지닌 한지를 환기장치의 여과부재로 구비하여 공기를 여과시켜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주택은 인간의 삶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다양한 기능을 적용하면서 개량되고 있으며, 특히 아파트와 같은 밀집형 건물에는 도시 환경의 악화로 인해, 공기의 질이 매우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고, 근래에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편과 소음 등의 문제로 점차 인간의 주거공간은 기밀화 및 단열화 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또한, 근래에 와서 건축물에 설치하는 각종 건축설비의 눈부신 발달과 설비제어계통의 비약적인 진보로 우리들 주위의 거주공간은 날로 쾌적하게 변화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반면, 이러한 제반 건축설비 중 건물의 관계자나 설비의 운전자가 소홀히 생각하고 등한히 여기기 쉬운 것 중의 하나가 거실내에 지속적으로 청정공기를 공급해야 한다는 점이다.
폐쇄 공간에서의 공기는 사람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이산화탄소로 변함과 동시에 오염되어 주변의 공기가 탁해지고, 생명체의 호흡을 저해하게 되므로, 사무실 뿐만 아니라 차량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 많은 사람이 머물게 되는 경우에는, 실내의 탁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 대체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일예로, 도시가스나 기타 연료의 연소성분 중에 일산화탄소가 약간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때문에 화기사용시설이나 기구가 적절하지 않던가 밀폐된 실내에서 연소가 지속되면 일산화탄소에 의한 중독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최근 신축된 건물에서는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이 많이 나와 입주자가 피부염 등 각종 질환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는 새로지어진 건축이나 재건축 또는 건축의 내장을 변경하는 인테리어공사를 하고 난 후 벽지, 바닥재, 페인트 등 각종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오염물질과 기타 건축의 시공 보수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신속하게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실내의 신선한 공기의 공급문제는 거실의 난방, 냉방, 급수 등 어떤 편의시설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환기란 실내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바뀌는 것이며 여름철에는 창과 기타의 개구부를 통해 자연스럽게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나 비가 오는 장마철에는 창을 개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겨울철에는 창과 개구부가 거의 밀폐된 상태이므로 실내에 필요한 공기를 의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환기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배기팬 및 급기팬에 의해서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함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방식이나, 사용자가 환기를 순방향으로 진행할 것인지 역방향으로 진행시킬 것인지를 판단하여 스위치 등의 조작키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동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팬들이 구동되지 않을 경우, 외부의 공기가 여과없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의 배기팬 및 급기팬을 작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위치에 있어서 제한이 따르고 별도의 전기배선 공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벽을 관통하도록 벽의 외측에서 설치되며, 몸체와, 고무패킹과, 거름망과, 방지판 및 외부캡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과; 고무패킹과 벽의 내측에서 결합되는 중간연결캡과; 한지로 형성된 여과부재가 구비되어 벽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연결캡에 결합되는 내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수동조작이나 전기배선의 공사 없이 외부의 공기를 여과하여 통과시켜 방한의 효과를 얻는 동시에 환기시키는 것이 가능한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 또는 외창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하단이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되 통기공이 구비된 받침부를 가지며,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된 관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벽면과 부착되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고무패킹과, 상기 통기공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통기공을 덮도록 받침부에 부착되는 거름망과, 일정한 길이로 절개되어 밴딩된 다수개의 차단막이 이격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개구된 하단을 덮도록 상기 받침부에 부착되는 방지판과, 상기 받침부 전체를 둘러싸도록 몸체의 하단에 반구형상으로 가공되어 일체로 형성된 외부캡으로 구성되어 벽을 관통하도록 벽의 외측에서 설치되는 하우징과; 관형상으로 되어 하단이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벽면과 부착되도록 돌출된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외주면에 상기 돌기가 끼워지도록 일정한 코일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벽의 내측에서 상기 돌기가 돌출부에 압입되도록 몸체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중간연결캡과; 상기 중간연결캡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찬기를 막으면서도 바람을 여과해서 통과시켜 방안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상단에 한지로 형성된 여과부재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미세한 크기의 돌기가 상호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벽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연결캡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내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 또는 내창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관형상으로 되어 하단이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벽면과 부착되도록 돌출된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내벽을 관통하도록 벽의 외측에서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하단의 돌출된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내벽의 내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중간연결캡과; 상기 중간연결캡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찬기를 막으면서도 바람을 여과해서 통과시켜 방안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상단에 한지로 형성된 여과부재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상호 일정 간격으로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어 벽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연결캡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내부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는 크게 하우징(10a)과, 중간연결캡(20a)과, 내부캡(30a)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a)은 벽을 관통하도록 벽의 외측에서 설치되며, 몸체(11)와, 고무패킹(12)과, 거름망(13)과, 방지판(14) 및 외부캡(19)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1)는 설치될 벽면에 끼워지며,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 하단이 개구되고,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쪽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하며, 하단이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부(15)가 구비되되, 상기 받침부(15)에는 하우징(10a)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통기공(16)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16)의 개수와 위치 및 형상은 유입되도록 하려는 공기량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내주면에 상호 일정간격으로 돌기(18)가 다수개 형성 되도록 하되, 상기 돌기(18)가 형성된 위치와 수직선 상에 형성될 줄의 수는 몸체(11)와 중간연결캡(20a)의 결합되는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상기 고무패킹(12)은 몸체(11)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벽면과 밀착되는 일면에 접착제(32)가 도포되어 상기 몸체(11)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설치될 벽면의 두께에 따라 결합될 몸체(11)의 길이를 제한하고, 상기 접착제(32)는 양면테이프로 구비되되록 하여 부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13)은 상기 통기공(1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통기공(16)이 형성된 수만큼 구비되며, 상기 통기공(16)을 덮도록 상기 받침부(15)에 부착되고, 통기공(16)을 통해 각종 해충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거름망(13)은 받침부(15)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받침부(15)의 돌출된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진 일체의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15)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방지판(14)은 상기 몸체(11)의 개구된 하단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일의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통기공(16)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눈이나 비를 막기위해 일정한 길이로 절개되어 외측으로 밴딩된 다수개의 차단막(17)이 상호 이격 형성되어 상기 몸체(11)의 상단을 덮도록 받침부(15)에 부착된다.
상기 외부캡(19)은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15) 전체를 둘러싸도록 반구형상으로 가공되어 몸체(1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눈이나 비가 올 경우 일차적으로 상기 눈이나 비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소음이 그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되, 구형상을 통해 바람에 대한 저항력을 줄 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연결캡(20a)은 상기 하우징(10a)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고, 후술될 내부캡(30a)이 내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관형상으로 되어 상, 하단이 개구되며, 하단이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내측 벽면과 부착되도록 돌출된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캡(20a)은 상기 몸체(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18)가 끼워지도록 외주면에 일정한 코일 형상의 돌출부(21a)가 형성되며, 벽의 내측에서 상기 돌기(18)가 돌출부(21a)에 압입되도록 몸체(11)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내주면에 결합될 내부캡(30a)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캡(30a)은 상기 중간연결캡(20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찬기를 막으면서도 바람을 여과해서 통과시켜 방안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상단에 한지로 형성된 여과부재(31a)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미세한 돌기(21b)가 상호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벽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연결캡(20a)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돌기(21b)는 상기 내부캡(30a)을 중간연결캡(20a)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되,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미세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여과부재(31a)로 쓰이는 한지는 다른 종이에 비해 먼지나 냄새를 잘 빨아들이고, 공기를 맑게하는 효과가 있으며, 입자가 작은 무수한 구멍이 있어 환기와 습도 조절을 자연적으로 해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한지는 첫째, 습기를 잘 빨아들이는 성질이 있어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습기, 내부에서 뿜어내는 습기를 빨아들여 방안 공기에 습기를 제거하는 동시에 공기가 건조할 때는 습기를 내뿜어 스스로 신축할 수 있다.
둘째, 더운 기운과 찬 기운을 차단하는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어 새어드는 바람이나 찬기를 막으면서도 바람을 일단 여과해서 통과시켜서 방안의 공기를 환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0a)은 금속 및 합성소재로 형성하되, 상기 중간연결캡(20a) 및 내부캡(30a)은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일차적으로 외부캡(19)을 통해 눈이나 비가 차단되며 외부로부터 소음이 그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통기공(16)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되며, 거름망(13)을 통해 각종 해충이나 곤충의 유입이 차단되고, 상기 외부캡(19)에 의해 차단되지 못하고 유입되는 눈이나 비가 몸체(11)의 하단에 부착된 방지판(14)의 차단막(17)에 의해 이차적으로 차단되는 동시에 유입된 공기가 실내측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 하단이 개구된 관상의 중간연결캡(20a)을 통과하고, 중간연결캡(20a)에 결합된 내부캡(30a)의 하단에 구비된 여과부재(31a)를 통해 찬기가 차단되는 동시에 공기를 일단 여과해서 통과되므로 건물 내의 공기를 환기시킨다.
또한, 한지로 형성된 여과부재(31a)는 외부캡(19)을 통해 저감된 소음을 이 차적으로 차단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아울러,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환기장치는 상기의 예와는 달리 건물의 내벽이나 이중창에 있어서의 내창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하우징(10b)과, 중간연결캡(20b)과, 내부캡(30b)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b)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환기장치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켜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 하단이 개구되며, 하단이 외측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벽면과 부착될 수 있도록 돌출된 일면에 접착제(32)가 도포되고, 내벽을 관통하도록 내벽의 외측에서 설치된다.
상기 중간연결캡(20b)은 상기 하우징(10b)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하단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일면에 접착제(32)가 도포되며, 내벽의 내측에서 상기 하우징(10b)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연결캡(20b)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내부캡(30b)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캡(30b)은 상기 중간연결캡(20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찬기를 막으면서도 바람을 여과해서 통과시켜 방안의 공기를 환기시키기위해 상단에 한지로 형성된 여과부재(31b)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미세한 돌기(21b)가 형성되어 벽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연결캡(20b)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상기의 구조를 가진 환기장치는 건물의 내벽이나 내창에 설치되어 일차적으 로 여과되어 들어온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환기를 시키기위한 구조가 단조롭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자연 바람이 중간연결캡 및 내부캡을 통과하도록 하여 별도의 구동 전력없이 환기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한지로 형성된 여과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찬기를 막으면서도 바람을 여과해서 통과시켜 방안의 공기를 환기시키며 외부캡을 통해 저감된 소음을 이차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우징과 내부캡의 사이에 중간연결캡을 두어 한지가 부착된 내부캡의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건물의 외벽 또는 외창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하단이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되 통기공(16)이 구비된 받침부(15)를 가지며,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18)가 형성된 관상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벽면과 부착되는 일면에 접착제(32)가 도포된 고무패킹(12)과, 상기 통기공(16)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통기공(16)을 덮도록 받침부(15)에 부착되는 거름망(13)과, 일정한 길이로 절개되어 밴딩된 다수개의 차단막(17)이 이격 형성되어 상기 몸체(11)의 개구된 하단을 덮도록 상기 받침부(15)에 부착되는 방지판(14)과, 상기 받침부(15) 전체를 둘러싸도록 몸체(11)의 하단에 반구형상으로 가공되어 일체로 형성된 외부캡(19)으로 구성되어 벽을 관통하도록 벽의 외측에서 설치되는 하우징(10a)과;
    관형상으로 되어 하단이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벽면과 부착되도록 돌출된 일면에 접착제(32)가 도포되고, 외주면에 상기 돌기(18)가 끼워지도록 일정한 코일 형상의 돌출부(21a)가 형성되어 벽의 내측에서 상기 돌기(18)가 돌출부(21a)에 압입되도록 몸체(1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중간연결캡(20a)과;
    상기 중간연결캡(20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찬기를 막으면서도 바람을 여과해서 통과시켜 방안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상단에 한지로 형성된 여과부재(31a)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미세한 크기의 돌기(21b)가 상호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벽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연결캡(20a)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내부캡(30a)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13)은 외부로부터 각종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받침부(15)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받침부(15)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진 일체의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1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3. 건물의 내벽 또는 내창에 설치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관형상으로 되어 하단이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돌출되어 벽면과 부착되도록 돌출된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내벽을 관통하도록 벽의 외측에서 설치되는 하우징(10b)과;
    상기 하우징(10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하단의 돌출된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내벽의 내측에서 상기 하우징(10b)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중간연결캡(20b)과;
    상기 중간연결캡(20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찬기를 막으면서도 바람을 여과해서 통과시켜 방안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상단에 한지로 형성된 여과부재(31b)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상호 일정 간격으로 미세한 돌기(21b)가 형성되어 벽의 내측에서 상기 중간연결캡(20b)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내부캡(30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KR1020050052138A 2005-06-17 2005-06-17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KR100609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138A KR100609015B1 (ko) 2005-06-17 2005-06-17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138A KR100609015B1 (ko) 2005-06-17 2005-06-17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015B1 true KR100609015B1 (ko) 2006-08-03

Family

ID=37185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138A KR100609015B1 (ko) 2005-06-17 2005-06-17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01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3930A (zh) * 2017-04-28 2017-08-0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应用于数据中心的排风系统
KR20190066517A (ko) * 2017-12-05 2019-06-13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WO2019139379A1 (ko) * 2018-01-11 2019-07-18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KR20190101941A (ko) * 2019-08-23 2019-09-02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KR20190103111A (ko) * 2019-08-23 2019-09-04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KR20220089456A (ko) * 2020-12-21 2022-06-28 성경선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090021A (ko) * 2020-12-22 2022-06-29 성경선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3930A (zh) * 2017-04-28 2017-08-0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应用于数据中心的排风系统
KR20190066517A (ko) * 2017-12-05 2019-06-13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KR102178112B1 (ko) * 2017-12-05 2020-11-13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WO2019139379A1 (ko) * 2018-01-11 2019-07-18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US11725452B2 (en) 2018-01-11 2023-08-15 Ublo Inc. Indoor ventilation system
KR102142452B1 (ko) * 2019-08-23 2020-08-10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KR102142451B1 (ko) * 2019-08-23 2020-08-10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KR20190103111A (ko) * 2019-08-23 2019-09-04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KR20190101941A (ko) * 2019-08-23 2019-09-02 유블로 주식회사 실내 환기 시스템
KR20220089456A (ko) * 2020-12-21 2022-06-28 성경선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16602B1 (ko) * 2020-12-21 2023-04-04 성경선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090021A (ko) * 2020-12-22 2022-06-29 성경선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22996B1 (ko) * 2020-12-22 2023-04-18 성경선 환기용 후드캡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015B1 (ko)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US6468054B1 (en) Crawl space ventilator fan
KR101947018B1 (ko)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KR200436719Y1 (ko) 창틀용 통풍장치
JP2005003321A (ja) 換気システム
KR20190027160A (ko)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스마트 환풍기
KR101863346B1 (ko) 건축용 실내 환기 개선장치
PL69310Y1 (pl) Urządzenie wentylacyjne
US7635401B2 (en) Adjustable air flow ventilation device and system
KR101526136B1 (ko) 에너지 회수형 가역팬 환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
KR100904491B1 (ko) 슬라이딩 시스템-창호용 자연환기 장치
KR200385554Y1 (ko) 통풍장치
JP2016099071A (ja) 通気装置
US20060085898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100665624B1 (ko) 공기의 순환 및 배출기능을 갖는 막 구조물용 송풍장치
RU136541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70004692A (ko) 외기유입관이 구비된 환풍기
PL177631B1 (pl) Zawór wentylacyjny
KR100598130B1 (ko) 여과환기시스템
KR20150139066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050111145A (ko) 환기용 창틀
KR20180087016A (ko) 자연 급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문형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KR200384769Y1 (ko) 통풍장치
JP5743220B2 (ja) 空気浄化式高層集合建屋
JP4853801B2 (ja) 給排気が同時に作動する自然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