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066A - 실내 공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066A
KR20150139066A KR1020140066756A KR20140066756A KR20150139066A KR 20150139066 A KR20150139066 A KR 20150139066A KR 1020140066756 A KR1020140066756 A KR 1020140066756A KR 20140066756 A KR20140066756 A KR 20140066756A KR 20150139066 A KR20150139066 A KR 2015013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duct
outsid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욱
정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치케이블
정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치케이블, 정병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치케이블
Priority to KR1020140066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9066A/ko
Publication of KR2015013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생활공간이나 다수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주거공간 등의 벽면에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되 통풍팬을 정역 구동시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실내 천장면의 공기 유출입구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벽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른 안내가 이루어지는 공기유로; 공기유로의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통풍구; 천장면의 공기 유출입구로부터 실외로 연장 형성되어 외기 또는 내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덕트; 덕트의 외단에 설치되어 정역 회전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거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풍팬; 통풍팬 후단의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기 또는 배출되는 내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필터 후단의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발열을 통해 흡입되는 외기를 가열하여 수분의 제거와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탄소섬유 발열체; 탄소섬유 발열체 후단의 덕트 하부측에 설치되어 유출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물이 저수된 저수탱크; 및 저수탱크 상부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운데 미세먼지를 저수탱크로 낙하되도록 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실내 공기 정화장치{Indoor air purifier}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통풍팬을 정역 구동시킴으로써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창호는 채광과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닫히는 경우 창호의 열관리만 개선되었을 뿐 열리는 경우에는 실내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대기에 부유된 오염된 공기가 그대로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에 먼지가 쌓이고 먼지에 붙어 있는 곰팡이와 세균 그리고 오염물질이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어 생활 오염 물질과 함께 실내의 공기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주거공간에서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기본적 필터로 장치된 공기청정기로는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구석구석에 쌓인 먼지와 부유 중인 각종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고층 건물의 경우 중앙 공조기에서 덕트를 타고 각 거주공간으로 보급되므로 시간이 갈수록 덕트의 오염으로 인해 관리를 소홀이 하게 되면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보급되는 사례가 빈번하다.
한편, 신축건물의 경우 건자재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해물질이 우리의 건강을 더욱 위협하고 있으나 포름알데이드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사용은 증가되는 실정에 있어 성장기의 학생들이 장시간 체류하는 학교나 공부방의 경우 큰 문제이다. 신축건물의 이러한 실내 공기오염은 그 존재 기간도 길어 새집증후군이라는 새로운 질병이 발생되는 지경에 있어 현재 사용 중인 공기청정기로서는 도처에서 발생되는 미세 오염물질을 정화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청정기 주변은 오염물질과 정화된 공기가 뒤섞이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공기정화와 순환은 더욱 어려운 실정이며, 먼지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용하지 않는 실내 공간의 구석에 쌓여 실내의 열로 인하여 미립화된 먼지에는 각종 곰팡이나 세균 등 생활 오염물질이 붙어 공기 중에 떠다니게 된다.
더욱이, 일정 주거공간에 많은 사람이 실내에서 지내게 되면 실내에는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 공기의 오염이 심각해짐은 물론, 주거공간에 설치된 각종 전자제품의 작동에 의한 방열시 발생하는 냄새와 실내의 온도 변화 등으로 실내의 주거환경이 나빠져 일의 능률이나 학업 능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실내의 공기 정화방법으로는 오존에 의한 산화 분해법, 강한 발취 물질에 의한 희석 및 마취법, 활성 탄소와 같은 흡착제에 의한 흡착법 등의 방법이 있으나 대부분이 발취 물질에 의한 것이지 본질적으로 제거하는 정화 방법은 아니다. 최근 들어, 활성탄소 흡착장치 또는 활성탄소 휠터 등으로 흡착, 탈취, 환원, 치환 및 포집 등의 특성에 의해 정화하는 것이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들은 설치 비용이 비싸고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쉽게 사용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89301호(2007.08.31.자 공개)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09590호(2006.10.23.자 공개)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80108호(2004.09.18.자 공개)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27811호(2004.04.01.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생활공간이나 다수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주거공간 등의 벽면에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되 통풍팬을 정역 구동시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거나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 덕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덕트 내부에 외기의 유입시 미세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탄소섬유 발열체를 구성하여 외기의 유입에 따른 오염물이 제거된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덕트 내의 일측에 수분을 통한 미세먼지 흡착수단을 구성하여 유입되는 외기를 미세먼지 흡착수단을 경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일의 능률이나 학업 능률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오염된 실내 공기는 배출하되 오염물질이 제거된 신선한 외기를 흡입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름알데이드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한 새집증후군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한 아토피 피부염 등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는 실내 천장면의 공기 유출입구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벽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른 안내가 이루어지는 공기유로; 공기유로의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통풍구; 천장면의 공기 유출입구로부터 실외로 연장 형성되어 외기 또는 내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덕트; 덕트의 외단에 설치되어 정역 회전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거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풍팬; 통풍팬 후단의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기 또는 배출되는 내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필터 후단의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발열을 통해 흡입되는 외기를 가열하여 수분의 제거와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탄소섬유 발열체; 탄소섬유 발열체 후단의 덕트 하부측에 설치되어 유출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물이 저수된 저수탱크; 및 저수탱크 상부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운데 미세먼지를 저수탱크로 낙하되도록 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천장과 벽면은 피톤치드 방향을 발산하는 편백나무, 소나무, 잣나무 및 삼나무 중 어느 하나의 목재를 통해 시공되어지되 천장과 벽면에 시공된 목재에 공기유로를 형성하여 루바를 통해 마감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실내의 일측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가 더 구성되어 실내의 설정 온도나 설정 습도와의 비교를 통해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통풍팬은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구동되어 외기와 내기의 흡입과 배출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가운데 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 온도와 습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생활공간이나 다수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주거공간 등의 벽면에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되 통풍팬을 정역 구동시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거나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 덕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덕트 내부에 외기의 유입시 미세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탄소섬유 발열체를 구성하여 외기의 유입에 따른 오염물이 제거된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덕트 내의 일측에 수분을 통한 미세먼지 흡착수단을 구성하여 유입되는 외기를 미세먼지 흡착수단을 경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일의 능률이나 학업 능률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오염된 실내 공기는 배출하되 오염물질이 제거된 신선한 외기를 흡입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름알데이드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한 새집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의 발현을 물론, 이로 인한 아토피 피부염 등의 폐해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의 실내 구성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통한 외기의 유입과 내기의 배출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통한 외기의 유입시 미세먼지의 흡착을 보인 단면 구성도.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의 실내 구성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통한 외기의 유입과 내기의 배출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통한 외기의 유입시 미세먼지의 흡착을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100)는 실내 천장면의 공기 유출입구(110)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벽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른 안내가 이루어지는 공기유로(112), 공기유로(112)의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통풍구(120), 천장면의 공기 유출입구(110)로부터 실외로 연장 형성되어 외기 또는 내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덕트(130), 덕트(130)의 외단 내측에 설치되어 정역 회전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거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풍팬(140), 통풍팬(140) 후단의 덕트(120)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기 또는 배출되는 내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150), 필터(150) 후단의 덕트(130)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발열을 통해 흡입되는 외기를 가열하여 수분의 제거와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탄소섬유 발열체(160), 탄소섬유 발열체(160) 후단의 덕트(130) 하부측에 설치되어 유출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물이 저수된 저수탱크(170) 및 저수탱크(170) 상부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운데 미세먼지를 저수탱크(170)로 낙하되도록 하는 블레이드(18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100)의 구성에서 공기유로(112)는 천장면과 벽면을 구성하는 피톤치드 향이 발산되는 목질의 판재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루바를 통해 마감되어진다. 이에 따라, 공기유로(112)는 천장면과 벽면 전체에 걸쳐 상호 연결되어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100)는 실내의 일측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나 습도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실내 온도나 습도의 감지시 설정치 범위와 다른 경우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통풍팬(140)의 정역 구동이 이루어져 외기를 실내로 유입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실내의 공기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통풍팬(140)의 정회전에 의해 외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유입시키는 경우 필터(150)와 저수탱크(17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외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된다. 또한, 유입되는 외기는 탄소섬유 발열체(16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수분의 제거와 온도가 조절된 상태로 실내로 유입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150)와 저수탱크(170)에 의한 외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이 제거와 탄소섬유 발열체(160)에 의한 수분의 제거와 온도가 조절된 상태의 외기는 피톤치드 향이 발산되는 목질의 판재에 형성된 공기유로(11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이 있도록 한다. 물론, 피톤치드에 의한 항균 작용을 통해 실내에는 세균의 번식이 방지된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실내의 온도나 습도 등이 설정치의 범위를 벗어나거나 오염시에는 컨트롤러는 통풍팬(140)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실내의 오염된 내기를 실외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통풍팬(140)의 역회전이 이루어지면 실내의 오염된 내기는 벽면의 하단에 다수 형성된 통풍구(120)를 통해 공기유로(112)로 유입되어 공기 유출입구(112)를 통해 덕트(130)의 실내측 내단으로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덕트(130)의 실내측 내단으로 유입된 실내의 오염된 내기는 덕트(130) 내의 저수탱크(170)와 필터(15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내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새집 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오염물질이 필터링 되어 외기로 배출되어진다. 이처럼 실내의 오염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면 통풍팬(140)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다시 정회전되어 외기를 유입하여 실내를 피톤치드가 함유된 신선한 공기로 채워 실내의 공기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기유로(112)는 실외의 외기를 실내로 유입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내기를 실외로 배출시 외기 또는 내기를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기유로(112)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천장면의 공기 유출입구(110)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벽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른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유로(112)가 형성되는 천장과 벽면은 피톤치드 방향을 발산하는 편백나무, 소나무, 잣나무 및 삼나무 중 어느 하나의 목재를 통해 시공되어진다. 이때, 천장과 벽면에 시공된 목재에 일정 깊이의 공기유로(112)가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그 표면이 루바를 통해 마감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유로(112)를 피톤치드 방향을 발산하는 편백나무, 소나무, 잣나무 및 삼나무 등으로 시공된 판재에 형성하는 경우 외기의 유입에 따른 분산이 이루어지거나 내기의 배출에 따른 집합이 이루어지는 천장면 상의 공기 유출입구(110)는 실내의 천장 중심에 형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할 것이다. 즉, 실내의 천장 중심에 공기 유출입구(110)를 형성하여 방사상으로 공기유로(112)를 형성하게 되면 외기의 균등한 분산과 내기의 집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통풍구(120)는 유입되는 외기의 토출이 이루어지거나 배출되는 내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통풍구(1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의 하단에 상호 연결 형성되는 공기유로(112)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진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외기 또는 내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통풍구(120)는 벽면의 하단에 상호 연결 형성되는 공기유로(112)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벽면의 상단이나 중단 부분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덕트(130)는 신선한 외기를 실내로 유입하거나 오염된 실내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덕트(130)는 도 1, 도 3,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 천장면의 공기 유출입구(110)로부터 실외로 연장 형성되어 외기 또는 내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덕트(130)는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절곡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일측단은 건축물의 실외에 위치하게 되고, 타측단은 실내측 천장면을 이루는 목질의 판재에 형성되는 공기 유출입구(110) 상에 연결된다. 이때, 덕트(130)는 콘크리트의 천장과 천장면을 이루는 판재 사이의 공간에 은닉된 상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통풍팬(140)은 외기 또는 내기를 강제로 유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풍팬(140)은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30)의 실외측인 외단의 내측에 설치되어 정역 회전을 통해 외기를 강제 흡입하거나 내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킨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통풍팬(14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100)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정역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통풍팬(140)의 정회전시에는 외기의 실내 유입이 이루어지고, 통풍팬(140)의 역회전시에는 내기의 실외 배출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터(150)는 유입되는 외기 또는 배출되는 내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 및 세균 등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필터(150)는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팬(140) 후단의 덕트(130)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기 또는 배출되는 내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 및 세균 등을 필터링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풍팬(140) 후단의 덕트(130)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기 또는 배출되는 내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 및 세균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150)는 필요시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통풍팬(140) 후단의 덕트(130)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150)는 흡입되는 외기 또는 배출되는 내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 및 세균 등을 필터링함으로써 유입되는 외기나 배출되는 내기에 의한 실내나 실외의 2차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탄소섬유 발열체(160)는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하여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러한 탄소섬유 발열체(160)는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50) 후단의 덕트(130)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발열을 통해 흡입되는 외기를 가열하여 수분의 제거와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탄소섬유 발열체(160)는 외기를 가열함으로써 수분에 포함되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미세 세균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탄소섬유 발열체(160)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한 전원의 인가에 따라 발열하여 유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이때, 탄소섬유 발열체(160)를 통해 외기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유입되는 외기의 온·습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유입되면 외기로 인하여 실내의 온·습도는 자연스럽게 조절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탄소섬유 발열체(160)는 실내의 오염된 내기를 배출시에도 가열을 통해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실외로 배출시 외기에 포함된 세균이나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오염물질 등이 실외로 무방비 상태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저수탱크(170)와 블레이드(180)는 외기를 유입하거나 내기를 배출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저수탱크(170)에 저수된 물에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저수탱크(170)는 도 1,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섬유 발열체(160) 후단의 덕트(130) 하부측에 설치되어 유출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물이 저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블레이드(180)는 저수탱크(170) 상부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운데 미세먼지를 저수탱크로 낙하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물이 저수된 저수탱크(170) 상부측으로 설치된 블레이드(180)는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가운데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의 블레이드(180) 면에 부딪히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블레이드(180) 면에 부딪힌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은 저수탱크(170)에 저수된 물로 떨어져 흡착 제거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저수탱크(170)의 저수된 물은 상수도와 연결되어 자연 증발에 의해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자동으로 공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수세식 화장실에서의 물 공급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와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성되어 실내의 설정 온도나 설정 습도와의 비교를 통해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높은 경우 컨트롤러는 통풍팬(140)을 열회전시켜 실내의 습하고 높은 온도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한 다음, 통풍팬(140)을 정회전 시키는 가운데 유입되는 외기를 탄소섬유 발열체(160)의 가열을 통해 외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한 상태로 유입되도록 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서 통풍팬(140)은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통풍팬(140)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게 되면 외기와 내기의 흡입과 배출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가운데 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 온도와 습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새집 증후군이나 아토피에 취약한 유아나 어린이 및 청소년들의 생활공간인 방이나 거실 및 공부방 등에 설치하게 되면 심리적 안정감이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면역력 증강에 따른 아토피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천식이나 폐질환 등에도 이롭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공기 정화장치 110. 공기 유출입구
112. 공기유로 120. 통풍구
130. 덕트 140. 통풍팬
150. 필터 160. 탄소섬유 발열체
170. 저수탱크 180. 블레이드

Claims (4)

  1. 실내 천장면의 공기 유출입구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지되 벽면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른 안내가 이루어지는 공기유로;
    상기 공기유로의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통풍구;
    상기 천장면의 공기 유출입구로부터 실외로 연장 형성되어 외기 또는 내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는 덕트;
    상기 덕트의 외단에 설치되어 정역 회전을 통해 외기를 흡입하거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풍팬;
    상기 통풍팬 후단의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기 또는 배출되는 내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 후단의 상기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발열을 통해 흡입되는 외기를 가열하여 수분의 제거와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탄소섬유 발열체;
    상기 탄소섬유 발열체 후단의 상기 덕트 하부측에 설치되어 유출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물이 저수된 저수탱크; 및
    상기 저수탱크 상부에 유출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따른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운데 미세먼지를 상기 저수탱크로 낙하되도록 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내 공기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천장과 벽면은 피톤치드 방향을 발산하는 편백나무, 소나무, 잣나무 및 삼나무 중 어느 하나의 목재를 통해 시공되어지되 천장과 벽면에 시공된 상기 목재에 상기 공기유로를 형성하여 루바를 통해 마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일측에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가 더 구성되어 실내의 설정 온도나 설정 습도와의 비교를 통해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팬은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구동되어 외기와 내기의 흡입과 배출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가운데 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설정 온도와 습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20140066756A 2014-06-02 2014-06-02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150139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56A KR20150139066A (ko) 2014-06-02 2014-06-02 실내 공기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56A KR20150139066A (ko) 2014-06-02 2014-06-02 실내 공기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66A true KR20150139066A (ko) 2015-12-11

Family

ID=5502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756A KR20150139066A (ko) 2014-06-02 2014-06-02 실내 공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90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23B1 (ko) * 2017-08-07 2018-07-12 노수영 공기정화순환 기능을 갖는 금속창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순환 방법
CN112128915A (zh) * 2020-09-26 2020-12-25 桃源县第三中学 一种冬季通风保暖的室内换气装置
CN112594837A (zh) * 2020-12-16 2021-04-02 澧县红似火新型建材有限责任公司 一种钢结构厂房用的高效通风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23B1 (ko) * 2017-08-07 2018-07-12 노수영 공기정화순환 기능을 갖는 금속창호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순환 방법
CN112128915A (zh) * 2020-09-26 2020-12-25 桃源县第三中学 一种冬季通风保暖的室内换气装置
CN112594837A (zh) * 2020-12-16 2021-04-02 澧县红似火新型建材有限责任公司 一种钢结构厂房用的高效通风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05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tion of unwanted gases in indoor air
KR101860891B1 (ko) 벽체관통형 선택적 청정공기 공급장치
WO2018018989A1 (zh) 一种双循环式新风系统和新风机
KR101860904B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
KR101947018B1 (ko)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US20110197770A1 (en) Air purifier having dehumidification function
JP2005214611A (ja) 換気兼用空気清浄器
US20140238243A1 (en) Apparatus for filtering air
JP6217810B2 (ja) 空気清浄機
KR20150139066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JP6466155B6 (ja) 住宅
KR101111489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1990836B1 (ko) 분리 환기형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100858520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JP2019023520A (ja) 消臭ウェザーカバー
EP3306218A1 (en) Air purifier
KR101892873B1 (ko) 특수필터 유닛을 구비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이물질 유입이 차단된 고효율 천장설치형 환기장치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KR102129080B1 (ko)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JP4756975B2 (ja) 住宅換気システム
JP2006003058A (ja) 空気清浄機付喫煙所
JP6412084B2 (ja) 空気浄化式高層集合建屋
JP2006159086A (ja) 空気質改善方法
KR102369733B1 (ko) 열회수 환기장치 및 공기청정기의 연동 운전을 이용한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