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111A - 실내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111A
KR20190103111A KR1020190103827A KR20190103827A KR20190103111A KR 20190103111 A KR20190103111 A KR 20190103111A KR 1020190103827 A KR1020190103827 A KR 1020190103827A KR 20190103827 A KR20190103827 A KR 20190103827A KR 20190103111 A KR20190103111 A KR 20190103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groove
alo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451B1 (ko
Inventor
반잔텐 로버트-얀
Original Assignee
유블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블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블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4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 F24F2007/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을 열지 않고도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판의 관통부에 해당하는 공간만이 외부로 개방되므로, 유리창 없이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고, 관통부의 개방 면적이 좁아 외부 침입 및 추락사고에 대해 안전하며, 프레임의 둘레 길이가 짧아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OF INDOOR}
본 발명은 실내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을 열지 않고도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속적인 에너지절약 시책의 강화로 건축법 등에서 건물 외피의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고단열, 고기밀화 추세로 인하여 창호의 단열 및 기밀성 수준 또한,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창에 설치되는 유리를 이중 또는 삼중으로 겹치며 유리 사이를 일정길이 이격시키고, 이격된 공간을 중공층으로 형성하는 단열유리가 사용되어 단일유리보다 단열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고 있다.
한편, 현대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실내의 환경조건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환경오염이 증대되면서 건물의 거주자들은 쾌적한 환경에서 거주하고 싶은 기대감이 증가하고 있다. 주상복합건물, 오피스텔, 아파트 등에서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밀폐된 실내의 공기 질은 거주자의 건강에 심각한 저해요인이 된다.
도 1은 종래 창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창호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유리창(4)을 포함한다. 유리창(4)은 창틀(4a)과, 창틀(4a)에 장착되는 유리판(4b)을 포함한다. 그리고 환기 등을 위하여 유리창(4)을 이동시키면, 프레임(2)의 일측이 개방되며,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종래 창호는 유리판(4b)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창틀(4a)과 프레임(2)을 구비하는데, 창틀(4a)과 프레임(2)은 둘레 길이가 길수록 단열과 기밀, 수밀 성능을 떨어트리는 요인이 되고, 개방되는 공간의 크기가 안전난간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정도로 클 경우에 외부인 침입 및 거주자 추락 위험에 대한 안전을 위협한다. 또한, 창틀(4a)과 프레임(2)은 거주자의 외부 조망을 시각적으로 차단하는 요인이 된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99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창을 열지 않고도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유리판; 및 상기 유리판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통부는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상기 유리판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각각의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도록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통부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외주연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의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은 건물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은 건물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뚜껑부는,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 테두리를 따라 내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내측벽부와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되는 제 1 차단막 또는,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과 대향되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되는 제 2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에 상기 제 1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 상기 제 2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 상기 제 2 차단막을 가로지르도록 가이더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가이더는 상기 제 2 차단막보다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 하부에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배수공은 상기 건물의 외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 하부에는 상기 배수공 방향으로 배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로 유입된 빗물은 상기 배수홈을 따라 상기 배수공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수홈은, 상기 배수공과 연결되는 제 1 홈부, 상기 배수공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홈부의 일단부에 상기 제 1 홈부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홈부 및 상기 제 1 홈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홈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3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홈부의 중앙에 분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3 홈부에서 상기 제 2 홈부로 안내되는 빗물은 상기 분산돌기에 의하여 두 갈래로 분산된 후 상기 제 1 홈부를 지나 상기 배수공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 둘레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후 정회전될 때,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과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 상기 삽입부가 정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된 후 상기 삽입부가 정회전될 때 상기 프레임의 외주연에 상기 연장가압부가 지나가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장가압부는 상기 제 1 결합부를 가압한 상태로 상기 제 1 결합부를 따라 억지로 슬라이딩되다가 상기 제 1 결합부의 가압에 의하여 걸리게 되어, 상기 삽입부의 정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 테두리를 따라 링 형상의 내측벽부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벽부의 내주연은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보다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내측벽부와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일측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와 멀어지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삽입부가 정회전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상기 연장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될 때, 상기 내측벽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연장가압부가 상기 내측벽부를 관통하도록 오목하게 결합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가압부가 상기 제 1 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안내홈의 일측에 걸려 상기 삽입부의 정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어, 상기 연장가압부와 상기 제 1 결합부가 상호 직렬로 위치될 때, 상기 연장가압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는 상기 연장가압부를 안내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 테두리를 따라 내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내측벽부와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 상기 삽입부가 정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된 후 상기 삽입부가 정회전될 때,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연에 상기 연장가압부가 지나가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측부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제 1 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외측벽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통부의 내주연과 상기 프레임의 외주연 사이에 실링부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에 메시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판은 종래 유리창을 지지 및 이동시키기 위한 기존의 창틀과 프레임이 필요 없으므로, 외벽에 기밀하게 설치될 수 있어, 단열성,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리판에 형성되는 관통부의 크기가 기존 유리창이 개방되는 면적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으므로, 침입자가 관통부를 통하여 내부로 침입할 수 없고, 아이를 키우는 집의 경우, 아이가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통부에 해당하는 공간만이 외부로 개방되므로, 기존의 유리창 없이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유리창은 창틀 및 프레임에서 에너지 손실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데, 본 발명의 관통부에 형성되는 프레임은 길이가 훨씬 짧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 외부의 공기가 프레임의 공간부를 통하여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모기나 기타 이물질이 메시망에 걸려 건물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은 배수공을 통하여 용이하게 건물 외부로 빠져나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의 하부에 배수홈을 구비하되 배수홈에 분산돌기가 구비되어, 배수홈을 따라 흐르는 물은 분산돌기에 의하여 두 갈래로 갈라진 채 천천히 배수공으로 흐르게 되어, 병목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에 뚜껑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빗물은 복수 개의 제 1, 2 차단막에 차례로 걸리게 되어, 공간부로 유입되는 빗물은 배수홈 방향으로 모이게 되고, 배수홈을 따라 배수공으로 모두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부의 삽입부가 프레임의 공간부로 삽입될 때, 제 1 차단막과 제 2 차단막은 가이더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며, 이에 따라, 뚜껑부의 삽입부는 프레임의 공간부로 안정적으로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부의 제 2 결합부가 프레임의 제 1 결합부에 간단한 방법으로 결합되므로, 뚜껑부는 프레임에 간단하게 결합 또는 해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이 뚜껑부에 결합될 때, 뚜껑부의 지지부가 프레임의 내측벽부에 구비되는 오링을 압축하고, 압축된 오링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부와 내측벽부 사이는 빈틈없이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어, 지지부와 내측벽부 사이는 기밀 및 수밀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창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프레임과 메시망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배수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뚜껑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뚜껑부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뚜껑부에 구비되는 삽입부가 프레임의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공간부에 삽입된 삽입부가 정회전된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10)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유리판(100), 유리판(100)의 관통부(102)를 개폐하는 뚜껑부(300) 및 관통부(102)에 형성되는 프레임(200)을 포함하며, 메시망(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판(100)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거실의 한쪽 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존의 거실에 설치되는 종래 창호 대신에 유리판(10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리판(100)에는 관통부(102)가 관통 형성된다. 관통부(102)는 한 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리판(100)은 단열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단열유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유리는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면 제 1 유리(110: 도 5 도시)와 제 2 유리(120: 도 5 도시)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열하고, 제 1 유리(110)와 제 2 유리(120) 사이를 중공층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유리(110)와 제 2 유리(120)를 일체로 관통한 관통부(102) 주변에 간봉(130: 도 5 도시)을 개재한다.
이러한 유리판(100)은 종래 유리창을 지지 및 이동시키기 위한 창틀 및 프레임이 필요 없으므로, 외벽에 기밀하게 설치될 수 있어, 단열성,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리판(100)에 형성되는 관통부(102)의 크기가 기존 유리창이 개방되는 면적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으므로, 침입자가 관통부(102)를 통하여 내부로 침입할 수 없고, 아이를 키우는 집의 경우, 아이가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뚜껑부(300)는 유리판(100)의 관통부(102)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관통부(10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뚜껑부(300)는 관통부(102)의 개수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뚜껑부(300)를 복수 개의 관통부(102)에서 탈거시키면, 외기가 들어오는 곳과 내기가 나가는 곳이 분리되어, 실내 환기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뚜껑부(300), 프레임(200) 및 메시망(40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이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프레임과 메시망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200)은 관통부(102)의 내주연에 말착되는 외주연을 갖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200)은 내부에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공간부(210)의 내측과 외측이 개방된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내측이라 함은 건물의 실내 방향을 일컫고, 외측이라 함은 건물의 외부 방향을 일컫는다. 그리고 프레임(200)의 외주연이 관통부(102)의 내주연에 밀착될 때, 프레임(200)의 외주연과 관통부(102)의 내주연 사이에는 이 틈을 채울 수 있도록 실링부(250)가 구비된다. 실링부(250)는 프레임(200)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면서, 기밀 및 수밀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레임(200)의 개방된 내측 테두리를 따라 링형의 내측벽부(220)가 형성되고, 프레임(200)의 개방된 외측 테두리를 따라 링형의 외측벽부(230)가 형성된다. 내측벽부(220)의 내주연은 프레임(200)의 내주연보다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벽부(220)의 내주연에는 후술하는 연장가압부(316b)가 내측벽부(220)를 관통하도록 오목하게 결합안내홈(2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지지부(320)와 마주보는 내측벽부(220)의 일면에는 기밀 및 수밀 역할을 하는 오링(222)이 장착된다. 그리고 프레임(200)의 내주연에 제 1 차단막(212), 배수공(214), 배수홈(216) 및 제 1 결합부(218)가 형성된다.
제 1 차단막(212)은 프레임(200)의 내주연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제 1 차단막(212)이 프레임(200)의 내주연에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차단막(212)은 프레임(200)의 개방된 외측으로부터 공간부(210)로 유입되는 빗물, 바람 등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제 1 차단막(212) 사이의 공간은 거터(gutter)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후술하는 제 2 차단막(312: 도 6 도시)과 함께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공(214)은 프레임(200)의 개방된 외측 하부에 관통 형성된다. 배수공(214)은 건물의 외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배수공(214)은 프레임(200)의 개방된 외측을 통하여 빗물이 공간부(210)로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빗물을 다시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통공이다. 이때, 프레임(200)의 내주연 하부에는 배수공(214) 방향으로 배수홈(216)이 형성되고, 프레임(200)의 공간부(210)로 유입된 빗물은 배수홈(216)을 따라 배수공(214)으로 안내된다. 배수홈(216)은 도 5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결합부(218)는 후술하는 뚜껑부(300)가 프레임(200)의 개방된 내측을 통하여 공간부(210)로 삽입될 때, 후술하는 뚜껑부(3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프레임(200)의 내주연 둘레 방향을 따라 한 쌍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결합부(218)는 결합안내홈(220a)의 일측에 결합안내홈(220a)의 반대 방향 즉, 후술하는 삽입부(310)가 정회전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 1 결합부(218)의 기능은 후술하는 제 2 결합부(316: 도 7 도시)와 함께 도 9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메시망(400)은 프레임(200)의 개방된 외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측벽부(230)에 결합된다. 이러한 메시망(400)은 통상적인 모기장과 같이 매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는 통과하고, 모기나 기타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뚜껑부(300)가 프레임(200)에 장착되지 않아, 건물 외부의 공기가 프레임(200)의 공간부(210)를 통하여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모기나 기타 이물질은 메시망(400)에 걸려 건물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배수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수홈(216)은 프레임(200)의 내주연 하부에 배수공(214)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프레임(200)의 공간부(210)로 유입된 빗물은 배수홈(216)을 따라 배수공(214)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배수홈(216)은 배수공(214)과 연결되는 제 1 홈부(216a), 배수공(214)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1 홈부(216a)의 일단부에 제 1 홈부(216a)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 2 홈부(216b) 및 제 1 홈부(216a)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제 2 홈부(216b)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 3 홈부(216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홈부(216b)는 제 1 홈부(216a)와 일체로 연장되고, 제 3 홈부(216d)는 제 2 홈부(216b)와 일체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 2 홈부(216b)의 중앙에 분산돌기(216c)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홈부(216d)에서 제 2 홈부(216b)로 안내되는 빗물은 분산돌기(216c)에 의하여 두 갈래로 분산된 후 제 1 홈부(216a)를 지나 배수공(214)으로 안내된다.
이처럼 배수홈(216)을 일직선으로 하지 않고 제 1, 2, 3 홈부(216a, 216b, 216d)로 구성하는 이유는 물의 흐름이 배수공(214) 주변에서 병목 현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배수공(214)의 경우, 빗물, 벌레 기타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작게 형성되는 반면, 배수홈(216)의 폭은 물의 용이한 흐름을 위하여 배수공(214)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때, 물의 흐름이 너무 빠르게 되면, 배수공(214)이 배수할 수 있는 물의 양보다 많은 양의 물이 배수공(214) 주변으로 몰리게 되어 병목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물이 정체되는 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는, 배수홈(216)에 물때가 끼고 냄새가 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홈부(216b)를 넓게 형성하고, 제 2 홈부(216b)에 분산돌기(216c)를 형성하여, 물 흐름을 두 갈래로 나누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배수홈(216)을 따라 흐르는 물은 천천히 배수공(214)으로 흐르게 되어, 병목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뚜껑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뚜껑부(300)는 프레임(200)의 개방된 내측을 통하여 공간부(210)로 삽입되어 공간부(210)를 폐쇄하는 것으로, 삽입부(310), 지지부(320) 및 손잡이부(330)를 포함한다. 삽입부(310)는 프레임(200)의 개방된 내측을 통하여 공간부(210)로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지지부(320)는 삽입부(310)가 공간부(210)로 삽입될 때, 내측벽부(220)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삽입부(310)의 내측 테두리에 내측벽부(220)와 맞닿도록 일체로 절곡 형성된다. 그 결과, 내측벽부(220)와 지지부(320)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한다. 이때, 지지부(320)는 내측벽부(220)의 오링(222)과 긴밀하게 밀착된다. 오링(222)은 지지부(320)에 의해 압축되어 유격을 메꿈으로써 수밀 및 기밀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손잡이부(330)는 지지부(3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30)의 외면은 미려하게 디자인되어, 삽입부(310)가 프레임(200)에 끼워지는 경우, 뚜껑부(300)를 아름답거나 특별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310)의 외주연에는 제 2 차단막(312), 가이더(314) 및 제 2 결합부(316)가 구비된다.
제 2 차단막(312)은 프레임(200)의 내주연과 대향되는 삽입부(310)의 외주연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된다. 제 2 차단막(312)은 제 1 차단막(212)과 함께 빗물, 바람 등을 차단하는 것으로,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더(314)는 삽입부(310)의 외주연에 제 2 차단막(312)을 가로지르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제 2 차단막(312)보다 프레임(200)의 내주연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더(314)는 삽입부(310)의 외주연을 따라 복수 개, 예를 들면 3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만일, 가이더(314)가 없다면, 뚜껑의 삽입부(310)가 프레임(200)의 공간부(210)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 2 차단막(312)과 제 1 차단막(212)이 서로 부딪히면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은 삽입부(310)의 외주연에 삽입부(31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가이더(314)가 형성되되 가이더(314)의 높이는 제 2 차단막(312)보다 더 튀어나오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뚜껑의 삽입부(310)가 프레임(200)의 공간부(210)로 삽입될 때, 제 1 차단막(212)과 제 2 차단막(312)은 가이더(314)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며, 이에 따라, 뚜껑의 삽입부(310)는 프레임(200)의 공간부(210)로 안정적으로 삽입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가이더(314)는 경우에 따라 프레임(200)의 내주연에 제 1 차단막(212)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2 결합부(316)는 삽입부(310)가 프레임(200)의 공간부(210)에 삽입된 후 정회전될 때, 프레임(200)의 내주연과 마주보는 삽입부(310)의 외주연에 제 1 결합부(218)와 걸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결합부(316)는 돌출부(316a)와 연장가압부(316b)를 포함한다. 돌출부(316a)는 일측은 지지부(320)와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부(320)와 멀어지도록 삽입부(310)의 외주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 형성된다. 연장가압부(316b)는 연장가압부(316b)는 돌출부(316a)의 타측에 삽입부(310)가 정회전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연장가압부(316b)는 삽입부(310)의 외주연의 제 1 결합부(218)와 대향되는 위치에 삽입부(310)가 정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310)가 공간부(210)에 삽입된 후, 정회전되면, 연장가압부(316b)가 제 1 결합부(218)를 가압한 상태에서 제 1 결합부(218)를 따라 억지로 슬라이딩되다가 제 1 결합부(218)의 가압에 의하여 걸리게 되어, 삽입부(310)의 정회전을 제한한다. 제 1 결합부(218)와 제 2 결합부(316)의 결합구조는 도 9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뚜껑부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뚜껑부(300)의 삽입부(310)가 프레임(200)의 공간부(210)에 결합되어, 삽입부(310)는 공간부(210)를 폐쇄시킨다. 이때, 프레임(200)의 내주연과 삽입부(310)의 외주연 사이의 틈을 통하여, 건물 외부의 빗물, 바람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200)의 내주연에 복수개제 1 차단막(212)이 형성되고, 삽입부(310)의 외주연에 복수 개의 제 2 차단막(3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빗물이 프레임(200)의 개방된 외측을 통하여 공간부(210)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빗물은 복수 개의 제 1, 2 차단막에 차례로 걸리게 되어, 프레임(200)의 개방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빗물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며 결국, 공간부(210)로 유입되는 빗물은 모두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 1, 2 차단막에 걸린 빗물은 한 쌍의 제 1 차단막(212) 사이의 공간 및 한 쌍의 제 2 차단막(312) 사이의 공간을 따라 하부로 내려가면서 배수홈(216) 방향으로 모이게 되고, 배수홈(216)을 따라 배수공(214)으로 모두 배출된다.
오링(222)은 프레임(200)의 내측벽부(222)에 위치하며 뚜껑부(300)의 지지부(320)에 의해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오링(222)은 제 1 결합부(218)와 제 2 결합부(316)가 결합되면서 내측벽부(222)와 지지부(320) 사이의 유격이 헐겁지 않도록 단단히 조인다. 그 결과 내측벽부(222)와 지지부(320) 사이가 오링(222)의 복원력으로 인해 빈틈이 없어져서 수밀 및 기밀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뚜껑부에 구비되는 삽입부가 프레임의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공간부에 삽입된 삽입부가 정회전된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뚜껑부(300)의 삽입부(310)가 프레임(200)의 공간부(210)에 삽입되어, 프레임(200)이 폐쇄된다. 이때, 제 2 결합부(316)의 연장가압부(316b)는 프레임(200)의 결합안내홈(220a)을 관통하여 프레임(200)의 제 1 결합부(218)와 상호 직렬로 위치된다. 여기에 더하여, 제 1 결합부(218)에는 그 길이방향 일측에 연장가압부(316b)가 지나가는 방향을 따라 걸림가압부(218b)가 돌출 형성된다. 걸림가압부(218b)는 제 1 결합부(218)의 길이방향 일측 즉, 지지부(320)와 가까이 위치되는 제 1 결합부(218)의 일측을 따라 삽입부(3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가압부(316b)와 마주보는 제 1 결합부(218)의 일단부에는 연장가압부(316b)를 안내하도록 경사부(218a)가 형성된다. 경사부(218a)는 제 1 결합부(218)의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프레임(200)의 내주연과 가까워지도록 경사진다. 그리고 제 2 결합부(316)의 돌출부(316a)는 제 1 결합부(218)와 멀리 떨어진 결합안내홈(220a)의 일측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과 같이, 뚜껑부(300)를 반 시계 방향으로 정회전 시키면, 제 2 결합부(316)의 연장가압부(316b)가 뚜껑부(300)를 따라 정회전되면서, 가압부로 안내된 후, 이어서 제 1 결합부(218)를 따라 억지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면, 제 1 결합부(218)의 가압력에 의하여 연장가압부(316b)는 더 이상 정회전되지 못하고 제 1 결합부(218)에 밀착 결합된다. 또한, 제 2 결합부(316)의 돌출부(316a)는 제 1 결합부(218)와 가까이 위치된 결합안내홈(220a)의 타측에 걸리게 되어, 뚜껑부(300)의 정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연장가압부(316b)가 뚜껑부(300)를 따라 정회전될 때, 연장가압부(316b)는 지지부(32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걸림가압부(218b)의 측부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걸림가압부(218b)의 측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지지부(320)는 외측벽부(230)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내측벽부(220)의 오링(222)과 기밀 및 수밀하게 접촉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2 결합부(316)의 연장가압부(316b)가 제 1 결합부(218)를 가압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뚜껑부(300)를 프레임(2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환기 등을 위하여 프레임(200)의 공간부(210)를 개방시켜야 하는 경우, 뚜껑부(300)를 시계 방향으로 역회전시켜서 도 9와 같이, 제 1 결합부(218)와 연장가압부(316b)가 직렬로 배열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 1 결합부(218)와 제 2 결합부(316)는 결합이 해제되어, 뚜껑부(300)를 프레임(200)에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기 시스템의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제 2 결합부(316)의 연장가압부(316b)는 돌출부(316a)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 1 결합부(218)는 연장가압부(316b)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뚜껑부(30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이 정회전이 된다.
반면,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결합부(316')의 연장가압부(316b')는 돌출부(316a')에서 시계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 1 결합부(218') 및 경사부(218a')는 연장가압부(316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뚜껑부(3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이 정회전이 된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면, 뚜껑부(300)가 시계 방향으로 정회전되면, 제 2 결합부(316')의 연장가압부(316b')가 뚜껑부(300)를 따라 정회전되면서, 가압부로 안내된 후, 이어서 제 1 결합부(218')를 따라 억지로 슬라이딩된다. 그러면, 제 1 결합부(218')의 가압력에 의하여 연장가압부(316b')는 더 이상 정회전되지 못하고 제 1 결합부(218')에 밀착 결합된다. 이때, 제 2 결합부(316')의 돌출부(316a')는 제 1 결합부(218')와 가까이 위치된 결합안내홈(220a)의 타측에 걸리게 되어, 뚜껑부(300)의 정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연장가압부(316b')가 뚜껑부(300)를 따라 정회전될 때, 연장가압부(316b')는 걸림가압부(218b')의 측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지지부(320)는 내측벽부(220)의 오링(222)과 기밀 및 수밀하게 접촉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뚜껑부(3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뚜껑부(300)를 프레임(200)에 결합시키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뚜껑부(300)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뚜껑부(300)를 프레임(200)에 결합시키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실내 환기 시스템
100: 유리판 102: 관통부
110: 제1유리 120: 제2유리
130: 간봉
200: 프레임 210: 공간부
212: 제 1 차단막 214: 배수공
216: 배수홈 216a: 제 1 홈부
216b: 제 2 홈부 216c: 분산돌기
216d: 제 3 홈부 218: 제 1 결합부
218a: 경사부 218b: 걸림가압부
220: 내측벽부 220a: 결합안내홈
222: 오링 230: 외측벽부
250: 실링부 300: 뚜껑부
310: 삽입부 312: 제 2 차단막
314: 가이더 316: 제 2 결합부
316a: 돌출부 316b: 연장가압부
320: 지지부 330: 손잡이부
400: 메시망

Claims (7)

  1.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유리판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
    상기 관통부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외주연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며, 개방된 일측은 건물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개방된 타측은 건물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상기 관통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건물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에 삽입 또는 빼내서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내주연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되는 제 1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에 메시망이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 하부에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배수공은 상기 건물의 외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과 대향되는 상기 뚜껑부 삽입부의 외주연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되 복수 개가 병렬로 배열되는 제 2 차단막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부 삽입부의 외주연에 상기 제 2 차단막을 가로지르도록 가이더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가이더는 상기 제 2 차단막보다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 테두리를 따라 내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내측벽부와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오링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 하부에는, 상기 제1차단막에 상기 배수공 방향으로 배수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로 유입된 빗물은 상기 배수홈을 따라 상기 배수공으로 안내되되,
    상기 배수홈은, 상기 배수공과 연결되는 제 1 홈부, 상기 배수공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홈부의 일단부에 상기 제 1 홈부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홈부 및 상기 제 1 홈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홈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3 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홈부의 중앙에 분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3 홈부에서 상기 제 2 홈부로 안내되는 빗물은 상기 분산돌기에 의하여 두 갈래로 분산된 후 상기 제 1 홈부를 지나 상기 배수공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상기 유리판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각각의 상기 관통부를 개폐하도록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 둘레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프레임의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후 정회전될 때,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과 마주보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 상기 제 1 결합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 상기 삽입부가 정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된 후 상기 삽입부가 정회전될 때 상기 프레임의 외주연에 상기 연장가압부가 지나가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장가압부는 상기 제 1 결합부를 가압한 상태로 상기 제 1 결합부를 따라 억지로 슬라이딩되다가 상기 제 1 결합부의 가압에 의하여 걸리게 되어, 상기 삽입부의 정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 테두리를 따라 링 형상의 내측벽부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벽부의 내주연은 상기 프레임의 내주연보다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내측벽부와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일측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와 멀어지도록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상기 삽입부가 정회전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상기 연장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될 때, 상기 내측벽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연장가압부가 상기 내측벽부를 관통하도록 오목하게 결합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가압부가 상기 제 1 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안내홈의 일측에 걸려 상기 삽입부의 정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어, 상기 연장가압부와 상기 제 1 결합부가 상호 직렬로 위치될 때, 상기 연장가압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단부에는 상기 연장가압부를 안내하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 테두리를 따라 내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 테두리를 따라 외측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내측벽부를 향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내측벽부와 맞닿도록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 상기 삽입부가 정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공간부로 삽입된 후 상기 삽입부가 정회전될 때,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연에 상기 연장가압부가 지나가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측부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제 1 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외측벽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기 시스템.
KR1020190103827A 2019-08-23 2019-08-23 실내 환기 시스템 KR102142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27A KR102142451B1 (ko) 2019-08-23 2019-08-23 실내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827A KR102142451B1 (ko) 2019-08-23 2019-08-23 실내 환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746A Division KR102178112B1 (ko) 2017-12-05 2018-01-11 실내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111A true KR20190103111A (ko) 2019-09-04
KR102142451B1 KR102142451B1 (ko) 2020-08-10

Family

ID=6795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827A KR102142451B1 (ko) 2019-08-23 2019-08-23 실내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57A (ko) 2020-05-04 2021-11-12 주식회사 아모센스 인공지능 공기정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435U (ja) * 1981-09-13 1983-03-18 中村 好成 窓ガラスに仕込める換気調節器
KR200331996Y1 (ko) 2003-07-16 2003-11-03 문수용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0609015B1 (ko) * 2005-06-17 2006-08-03 박협우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JP2006349335A (ja) * 2005-06-16 2006-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換気グリ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435U (ja) * 1981-09-13 1983-03-18 中村 好成 窓ガラスに仕込める換気調節器
KR200331996Y1 (ko) 2003-07-16 2003-11-03 문수용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JP2006349335A (ja) * 2005-06-16 2006-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換気グリル
KR100609015B1 (ko) * 2005-06-17 2006-08-03 박협우 한지를 이용한 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57A (ko) 2020-05-04 2021-11-12 주식회사 아모센스 인공지능 공기정화 시스템
KR20230098115A (ko) 2020-05-04 2023-07-03 주식회사 아모센스 인공지능 공기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451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1420A (en) Door and threshhold weatherseal system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US3466819A (en) Drain construction for window sash and the like
US20080134584A1 (en) Sealing device for window and door openings with self-sealing pass-through opening
KR20190103111A (ko) 실내 환기 시스템
KR102178112B1 (ko) 실내 환기 시스템
EP3739272A1 (en) Indoor ventilation system
KR20190101941A (ko) 실내 환기 시스템
US3849938A (en) Window frame
CN210113493U (zh) 一种建筑门窗隔热节能自然通风器
US2791011A (en) Drain trough construction
DE202018000267U1 (de) Rollladenkasten mit Zuluftöffnung
CN210530690U (zh) 一种节能保温型铝合金平开窗
KR20230114049A (ko)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CN110500024B (zh) 一种铝塑门窗排水孔的防蚊纱网
CN209990352U (zh) 一种新型防蚊虫窗扇
KR101395037B1 (ko)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KR100508795B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JP2005097928A (ja) 建具
CN218522530U (zh) 一种纱窗内开式窗型
CN213116073U (zh) 一种门下隔虫隔热挡条
JPH0247740Y2 (ko)
CN210798779U (zh) 一种玻璃扇和纱扇一体拼接的内开窗
CN210598649U (zh) 具有通风器的平开窗
CN216157532U (zh) 一种适用于设备间的通风消音百叶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