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037B1 -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 Google Patents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037B1
KR101395037B1 KR1020120066879A KR20120066879A KR101395037B1 KR 101395037 B1 KR101395037 B1 KR 101395037B1 KR 1020120066879 A KR1020120066879 A KR 1020120066879A KR 20120066879 A KR20120066879 A KR 20120066879A KR 101395037 B1 KR101395037 B1 KR 101395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ing
moving plate
outer plat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621A (ko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김용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욱 filed Critical 김용욱
Publication of KR2013011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는 가운데가 뚫린 사각틀 형태를 가지는 외부 판으로서, 상기 외부 판이 둘러싸는 안쪽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판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틀 형태의 패드가 결합되는 외부 판과, 상기 외부 판의 앞쪽에 상기 외부 판과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내부 판과,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사이 공간의 좌우측면을 밀폐하는 측면 판과, 상기 외부 판과 내부 판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외부 판과 상기 하부 판 및 상기 측면 판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위쪽에서 롤 형태로 감길 수 있고, 롤에서 풀린 부분은 하방으로 길게 늘어뜨려져서 상기 외부 판의 패드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이동판을 최대로 후진시키면 상기 스크린이 상기 패드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단열효과를 높이고 상기 이동판을 전진시키면 압착이 해소되어 상기 스크린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이동판을 앞뒤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이동판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DOORS AND WINDOWS WITH SCREENS}
본 발명은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커튼이나 롤 스크린 또는 버티칼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서 공기를 밀폐차단하여 단열 기능을 항상 하는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커튼과 롤 스크린과 버티칼은 외부와 내부의 차광막 또는 단열을 위하여 사용되는 기구이다.
기존 커튼의 문제점은 단열 효과가 미비하다는 것이다. 건축물의 열손실은 개구부, 즉 창호나 문을 통해서 가장 많이 손실된다. 그래서 문을 통한 열손실을 막는 문풍지나 커튼을 사용하지만 이와 같은 수단은 창호와 문틈 사이로 이동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또한, 혹한기와 폭염에는 내부와 외부 온도차가 극심하며, 밤과 낮의 기온차와 한파경보와 같은 특수상황도 있다. 개구부를 모두 밀폐시키게 되면 특정한 상황에서는 유용하지만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어렵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5635호(2003.09.03.)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의 찬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작용을 함으로써 개구부의 내부면과 실내의 온도차이를 현격하게 유지하며, 여름철에도 창호를 통해 유입되는 복사열을 차단하여 실내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모든 상황에 대응하는 단열스크린이 장착된 창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는 가운데가 뚫린 사각 틀 형태를 가지는 외부 판으로서, 상기 외부 판이 둘러싸는 안쪽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판의 안쪽가장자리를 따라 사각 틀 형태의 패드가 결합되는 외부 판과, 상기 외부 판의 앞쪽에 상기 외부 판과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내부 판과,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사이 공간의 좌우 측면을 밀폐하는 측면 판과, 상기 외부 판과 내부 판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및 상기 측면 판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위쪽에서 롤 형태로 감길 수 있고, 롤에서 풀린 부분은 하방으로 길게 늘어뜨려져서 상기 외부 판의 패드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이동판을 최대로 후진시키면 상기 스크린이 상기 패드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단열 효과를 높이고 상기 이동판을 전진시키면 압착이 해소되어 상기 스크린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이동판을 앞뒤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이동판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판의 하단부에는 앞뒤로 구르는 바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 판에는 다수 개의 레버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판과 상기 내부 판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와,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으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회전핀과, 후면의 연결핀이 구비된 다수 개의 장착 대가 부착되며 상기 내부 판의 앞에 설치되는 가운데가 뚫린 사각 틀 형태의 외부 틀과, 상기 레버 구멍을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핀에 힌지 결합하고 후단부는 상기 회전핀과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외부 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레버 구멍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레버 구멍 둘레의 상기 내부 판에 걸리면 상기 연결핀을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회전핀과 결합하고 상기 이동판의 전면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 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핀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동판의 전면과 맞닿은 부분이 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이동판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요철부와, 상기 이동판과 상기 외부 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판 중 상기 요철부와 맞닿는 부분은 상기 이동판의 전면에 구비되는 가운데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도록 상하 볼록한 부분들을 가지는 경사부의 가운데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판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판의 전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걸림 턱과, 아래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 형태의 부재인 추형핀으로서, 상기 외부 판과 상기 걸림 턱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추형핀의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측면부가 상기 걸림 턱의 경사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추형핀이 상기 걸림 턱을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추형핀과, 상기 이동 핀과 상기 외부 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과, 상기 내부 판의 가운데 뚫린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추형핀과 연결되고 위아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추형핀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내부 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는 가운데가 뚫린 사각틀 형태를 가지는 외부 판으로서 상기 외부 판이 둘러싸는 안쪽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판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틀 형태의 패드가 결합되는 외부 판과, 상기 외부 판의 앞쪽에 상기 외부 판과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내부 판과,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사이 공간의 좌우 측면을 밀폐하는 측면 판과, 가운데가 뚫린 사각틀 형태를 가지는 중간 판으로서, 상기 외부 판이 둘러싸는 안쪽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판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틀 형태의 패드가 결합되며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 판과,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및 상기 측면 판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위쪽에서 롤 형태로 감길 수 있고 롤에서 풀린 부분을 하방으로 길게 늘어뜨려져서 상기 중간 판의 패드와 상기 제1 이동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제1 이동판을 최대로 후진시키면 상기 제1 스크린이 상기 중간 판의 패드와 상기 제1 이동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단열 효과를 높이고 상기 제1 이동판을 전진시키면 압착이 해소되어 상기 제1 스크린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동판을 앞뒤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제1 이동판 이동수단과, 상기 중간 판과 상기 외부 판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이동판과,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및 상기 측면 판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위쪽에서 롤 형태로 감겨서 상기 제1 스크린이 감겨서 형성된 롤과 앞뒤로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고 롤에서 풀린 부분은 사방으로 길게 늘어뜨려져서 상기 외부 판의 패드와 상기 제2 이동판을 최대로 후진시키면 상기 제2 스크린이 상기 외부 판의 패드와 상기 제2 이동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단열 효과를 높이고 상기 제2 이동 판을 전진시키면 압착이 해소되어 상기 제2 스크린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제2 이동판을 앞뒤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제2 이동판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판에는 다수 개의 레버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동판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이동판과 상기 중간 판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와, 좌우방향으로 길게 뻗으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회전핀과, 후면에 연결핀이 구비된 다수 개의 장착대가 부착되며 상기 내부 판의 앞에 설치되는 가운데가 뚫린 사각 틀 형태의 외부 틀과, 상기 레버 구멍을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핀에 힌지 결합하고 후단부는 상기 회전핀과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외부 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레버 구멍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레버 구멍 둘레의 상기 내부 판에 걸리면 상기 연결핀을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회전핀과 결합하고 상기 제1 이동판의 전면과 맞닿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핀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이동판의 전면과 맞닿은 부분이 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제1 이동판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요철부 및 상기 제1 이동판과 상기 외부 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이동판과 상기 외부 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이동판 이동수단은, 상기 제2 이동판의 전면에 구비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걸림 턱과, 아래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태의 부재인 추형핀으로서 상기 제2 외부 판과 상기 걸림 턱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추형핀의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측면부가 상기 걸림 턱의 경사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추형핀이 상기 걸림 턱을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추형핀과, 상기 제2 이동판과 상기 외부 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과, 상기 중간 판의 가운데 뚫린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추형핀과 연결되고 위아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추형핀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내부 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판의 상부와 하부에는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에 의하면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내리고 밀착 장치를 작동하면, 스크린의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공기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단열효과의 증가를 위해서 이중 또는 다중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주택이나 아파트, 상가, 사무실 등 냉난방이 필요한 모든 곳에서 단열 효과를 극대화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단틀형 창문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단틀형 창문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다중틀형 창문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다중틀형 창문의 이동 판 및 내부 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다중틀형 창문을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다중틀형 창문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문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문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 항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크린(900)은 방풍 소재로 이루어지고 공기와 연기 및 열 이동을 막아주는 단열재로 구성되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롤(100)로 구성되거나,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셔터(11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롤(100)은 원형 막대 형태의 봉인 중심축(20a)에 감겨있으며, 한쪽 말단부는 박스(10)의 끼움 홈(10b)에 끼워지고, 다른쪽 말단부는 개구부(10a)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끝단에 회전축(20b)이 부착되며, 회전축에 로프의 한쪽 끝부분이 감겨서 장치된다. 로프(21)의 앞쪽 또는 뒤쪽 부분을 아래로 당김에 따라 중심축(20a)에 감겨있는 스크린(900)이 올라가거나 내려오며, 중심축(20a)을 지지하는 끼움 홈(10b) 및 개구부(10a)의 내주면에 부싱을 장착하여 작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스(10)는 직육면체 형태로 상면은 개구되어 통기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개구부(10a)와 끼움 홈(10b)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하부 개구부(10c)가 형성된다. 하부 개구부(10c)는 스크린(900)의 이동 통로와 통기구 역할을 담당한다.
도 11은 셔터(1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중심축(22)은 박스(10)의 끼움 홈(10b)에 고정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관통 구멍이 형성된 실린더 축(24)이 중심축(22)에 의해 관통되어 중심축(22)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23)의 한쪽 말단은 실린더 축(24)에 결합되고, 스프링(23)의 다른 한쪽 말단은 중심축(22)에 결합되어 스크린(900)의 하단에 결합된 좌우 방향으로 기다란 사각막대 형태의 손잡이(92)를 잡아당기면 실린더 축(24)이 회전하면서 스크린(900)이 내려오고 손잡이(92)를 놓으면 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 상태로 열림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롤(100)은 창문이 높이 위치하는 곳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며, 셔터(110)방식은 높이가 낮은 출입구와 벽면에 꽉 차게 문틀을 장치하여 측면 공간이 부족할 때 유용하다. 도 9는 하부에 틀이 없는 출입문에 셔터(110) 방식의 스크린(900)을 적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출입구에 로프(21)가 노출되면 장애물과 고장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셔터(110)방식이 유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와 도 3은 단틀로 된 창호와 롤(100)을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단틀은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외부 틀(51), 내부 판(31), 이동판(40) 및 외부 판(32)이 배치되고 측면부를 감싸기 위한 측면 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 판(31)에는 레버 구멍(31a)과 댐퍼레버 구멍(31b)이 형성되며, 외부 판(32)에는 사각 틀 안쪽모서리를 따라 패드(32a)가 부착되고, 상부와 하부에 통기구(32b)가 형성된다.
측면 판(33)은 상부가 없는 'ㄷ'자 형태로 구성되며, 바로 위에 박스(10)가 위치하도록 박스(10)와 결합되며, 하부에 통기구(33a)가 형성된다.
외부 틀(51)의 뒷면에는 장착대(52)가 결합되고, 장착대(52)에는 연결 핀(53)이 결합되고 연결핀(53)에는 레버(72)가 결합되어 레버(72)가 장착대(52)에 대하여 연결핀(53)을 축으로 하여 위아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레버(72)의 후단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는 회전핀(72a)과 결합되며 회전핀(72a)은 요철부(72b)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레버(72)와 요철부(72b)가 회전핀(72a)을 매개로 하여 측면에서 바라볼 때 서로 직각보다 약간 벌어진 둔각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요철부(72b)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착대(41)의 전면에 구비된 위아래가 각각 돌출되어 위아래의 돌출 부분들 사이의 부분에 걸림턱(41a)이 형성되는 경사부(41b)의 홈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레버 구멍(31a)에는 돌출된 레버가 관통하고 있어서 외부 틀(51)을 아래로 잡아당기면 레버(72)가 하향하다가 내부 판(31)이 형성하는 턱에 걸리면 레버(7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핀(72a)도 회전하여 요철부(72b)가 회전핀(72a)을 축으로 하여 회전함에 따라 이동판(40)의 경사부(41b)를 밀어서 이동판(40)이 패드(32a)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댐퍼레버 구멍(31b)에는 댐퍼 레버(81)가 장치되어 댐퍼 레버(81)를 좌우로 이동하면 댐퍼 레버(81)와 연결된 연결대(81)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댐퍼(80)가 통기구(32b)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판(31)과 이동판(40) 및 측면 판(33)으로 둘러싸이는 안쪽공간에는 고정대(60)가 설치된다. 고정대(60)에는 회전핀(72a)이 장치되며, 고정대(60)의 내부에는 레버(72)가 장치되고 고정대(6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창틀의 안쪽 영역에는 요철부(72b)가 장착된다. 측면 판(33)의 하부에는 외부 대기와 통하는 외부 판(32)의 통기구(32b)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와 통할 수 있도록 하는 통기구(33a)가 구비되며, 측면 판(33)에 하부에는 댐퍼 레버(81)가 설치되어 댐퍼 레버(81)를 좌우로 이동하면 댐퍼(80)가 하부 통기구(32b)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동판(40)은 하부에 바퀴(40a)가 장치되고, 이동판(40)의 앞면에는 다수 개의 경사부(41b)가 구비된 장착대(41)가 결합되며, 이동판(40)의 뒷면에는 복원 스프링(42)의 한쪽 말단이 결합된다. 이동판(40)은 레버(72) 및 요철부(72b)에 의해 미는 힘이 가해지면 뒤쪽으로 이동하여 스크린(900)과 밀착되고, 레버(72) 및 요철부(72b)에 의한 미는 힘이 해소되면 복원 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앞쪽으로 원위치하려는 힘을 받아 앞쪽으로 이동한다.
외부 판(32)에는 사각틀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스크린(900)과 밀착되기 위한 패드(32a)가 결합되고, 상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통기구(32b)가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7은 다중틀형 창호에 롤(100)을 앞뒤로 나란하게 쌍으로 배치한 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외부 틀(51), 내부 판(31),이동판(40), 중간 판(34), 내부 틀(51a), 이동판(43), 외부 판(32)이 배치되고 측면을 감싸기 위한 측면 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다중틀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900)과 이동판(40)이 하나 이상 추가되는 구조이며, 내부 틀(51a)에 연결된 추형 핀(55)의 이동으로 경사부(41c)를 압착하며, 이동판(40)이 스크린(900)을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열손실 방지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틀(51)을 사용자가 잡아 아래로 당기면 외부 틀(51)에 장착된 장착대(52)의 연결핀(53)과 결합된 레버(72)가 아래로 이동하며, 이때 회전핀(72a)에 부착된 요철부(72b)가 회전핀(72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부착대(41)를 압박하여 이동판(40)을 밀고, 이동판(40)이 이동하여 스크린(900)을 압박하며, 스크린(900)과 패드(32a)의 외측면 사이에 기밀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의 위쪽 그림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틀(51)이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는 회전핀(53)이 경사부(41b)의 홈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한다.
레버(72)는 레버 구멍(31a)을 관통하고 있어서 외부 틀(51)을 아래로 당겨 이동시키면 연결핀(53)과 결합된 레버(72)가 아래로 내려가며, 레버(72)가 내려가다가 레버 구멍(31a)의 둘레 하단을 형성하는 내부 판(31)에 걸리게 되면 도 7의 아래쪽 그림처럼 레버(72)가 회전핀(72a)을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요철부(72b)가 회전하여 요철부(72b)가 경사부(41b)를 뒤쪽으로 밀도록 구성된다.
고정대(60)는 회전 핀(72a)의 지지대로서 회전 핀(72a)을 장치하기 위한 핀 홈(60a)이 구비되고, 외부 판(32)과 측면 판(33)의 가장자리에 다수개가 부착되며, 'ㄷ'자 형태을 가지고, 회전 핀(72a)이 고정대(60)의 측면에 형성된 핀 홈(60a)에 삽입되며, 회전 핀(72a)에 연결된 레버(72)의 움직임에 따라 요철부(72b)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동판(40)은 레버(72)의 작동시 요철부(72b)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앞뒤로 수평 이동하며, 복원 스프링(42)은 이동판(40)의 후면에 장치되어 이동판(40)과 외부 판(32) 또는 중간 판(34) 사이의 협착을 방지하고 압착을 해지할 때 복원토록 하며, 바퀴(40a)는 이동 판의 하부에 부착하여 이동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착대(41)의 걸림턱(41a)은 요철부(72b)와 추형핀(55)이 압착 상태에 있는 동안 이동판(40)이 외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외부 틀(51)에는 연결 핀(53)이 부착된 다수개의 장착대(52)가 결합되며, 외부 틀(51)을 아래로 당기면 연결된 레버(72)가 작동하여 이동판(40)을 밀착시킨다.
중간 판(34)은 사각틀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스크린(900)과 밀착되기 위한 패드(32a)가 결합되고, 댐퍼레버 구멍(31b)이 구비되어 있다.
내부 틀(51a)의 지지대(51b)에 추형핀(55)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내부 틀(51a)이 내려가면 추형핀(55)의 원추형태의 부재 측면이 걸림턱(41a)의 상면에 형성된 경사부(41c)를 타고 내려오면서 이동판(40)이 패드(32a)와 압착될 때까지 이동판(40)의 걸림턱(41a)을 뒤쪽으로 밀어서 이동판(40)이 움직이게 한다. 내부 틀(51a)은 앞쪽 스크린(900)과 뒤쪽 스크린(900)사이에 장치되므로 앞쪽 스크린(900)이 열린 상태에서 개폐가 가능하다.
외부 판(32)은 사각틀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스크린(900)과 밀착되기 위한 패드(32a)가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 중심부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통기구(32b)가 형성되며, 측면판(33)의 후단부와 결합된다.
댐퍼(80)는 통기구(32b)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사각 차단막으로 구성되며, 차단막은 한쪽 부분이 댐퍼 레버(81)와 연결하는 연결대(81a)와 연결되어 댐퍼 레버(81)의 작동에 따라 차단막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900)은 커튼으로서 재질이 단열 기능 및 외부와의 공기 차단 기능을 가지는 밀폐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의 댐퍼(80)는 건물의 구조적인 환기가 필요한 경우의 조절을 위한 장치인것이다. 상부 댐퍼(80)는 난방시 단열면 내부의 더운 공기 유입에 유용하며, 하부 댐퍼(80)는 냉방 시 찬 공기 유입에 유용하도록 구성된다.
통기구(32b)는 밀폐형 구조물의 외부와의 공기 순환을 목적으로 하는 것 외에도, 열교환기를 응용한 것이다. 도 8의 왼쪽 그림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름철에 외부창의 상부에 통기구를 설치하고 열린 상태에서 외부측 스크린(900)의 하부의 일부를 개방하고, 내부측 스크린(900)과 상하 댐퍼(80)를 닫으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태양열이 클수록 화살표 방향을 따라 공기이동이 커짐으로 실내상부의 더운 공기의 배출을 최대로 유도하며, 진입한 외부열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기순환을 활성화 하여 실내온도상승을 방지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스크린을 닫은 상태에서 하부 통기구(32b)를 개방하면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창문을 통해 내부로 진압한 외부열에 의한 실내온도상승을 방지하며, 실내의 공기 흐름을 빠르게 유도하여 건물의 과열의 원인을 제거한다.
오른쪽 그림은 겨울철 스크린을 닫은 상태에서 상부 통기구(32b)를 개방하고 하부 통기구(32b)는 닫으면 문과 스크린 사이의 공기 중 상부의 더운 공기가 유입이 유도되고, 배출될 때는 찬 공기가 배출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박스 10a: 개구부 10b: 끼움 홈 10c: 하부개구부
20: 경계판 20a: 중심축 20b: 회전 축 21:로프 22:중심 축
23: 스프링 24: 실린더 축
31: 내부 판 31a: 레버 구멍 31b: 댐퍼레버 구멍 32: 외부 판
32a: 패드 32b: 통기구 33: 측면 판 33a: 통기구 34: 중간 판
40: 이동판 40a: 바퀴 41; 부착대 41a: 걸림턱 41b,41c: 경사부
42: 복원스프링
51: 외부 틀 51a: 내부 틀 51b: 연결대 52: 장착대 53: 연결핀
55: 추형 핀
60: 고정대 60a:핀 홈
72: 레버 72a: 회전 핀 72b: 요철부
80: 댐퍼 80a: 연결대 81: 덤퍼레버
91: 지지대 92: 손잡이
100: 롤 110: 셔터 900: 스크린

Claims (8)

  1. 가운데가 뚫린 사각틀 형태를 가지는 외부 판으로써, 상기 외부 판이 둘러싸는 안쪽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판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틀 형태의 패드가 결합되는 외부 판;
    상기 외부 판이 앞쪽에 상기 외부 판과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며, 다수개의 레버 구멍이 형성되는 내부 판;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사이 공간의 좌우 측면을 밀폐하는 측면 판;
    상기 외부 판과 내부 판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판;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및 상기 측면 판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위쪽에서 롤 형태로 감길 수 있고, 롤에서 풀린 부분은 하방으로 길게 늘어뜨려져서 상기 외부 판의 패드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이동판을 최대로 후진시키면 상기 스크린이 상기 패드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단열효과를 높이고 상기 이동판을 전진시키면 압착이 해소되어 상기 스크린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이동판을 앞뒤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이동판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판과 상기 내부 판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와,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으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회전 핀과;
    후면에 연결핀이 구비된 다수 개의 장착대가 부착되며 상기 내부 판의 앞에 설치되는 가운데가 뚫린 사각틀 형태의 외부 틀과;
    상기 레버 구멍을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핀에 힌지 결합하고 후단부는 상기 회전핀과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외부 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레버 구멍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레버 구멍 둘레의 상기 내부 판에 걸리면 상기 연결핀을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회전핀과 결합하고 상기 이동판의 전면과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핀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이동판의 전면과 맞닿은 부분이 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이동판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요철부와;
    상기 이동판과 상기 외부 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하단부에는 앞뒤로 구르는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중 상기 요철부와 맞닿는 부분은 상기 이동판의 전면에 구비되는 가운데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도록 상하 볼록한 부분을 가지는 경사부의 가운데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4. 가운데가 뚫린 사각틀 형태를 가지는 외부 판으로써, 상기 외부 판이 둘러싸는 안쪽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판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틀 형태의 패드가 결합되는 외부 판;
    상기 외부 판이 앞쪽에 상기 외부 판과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며, 다수개의 레버 구멍이 형성되는 내부 판;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사이 공간의 좌우 측면을 밀폐하는 측면 판;
    상기 외부 판과 내부 판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판;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및 상기 측면 판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위쪽에서 롤 형태로 감길 수 있고, 롤에서 풀린 부분은 하방으로 길게 늘어뜨려져서 상기 외부 판의 패드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크린; 및
    상기 이동판을 최대로 후진시키면 상기 스크린이 상기 패드와 상기 이동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단열효과를 높이고 상기 이동판을 전진시키면 압착이 해소되어 상기 스크린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이동판을 앞뒤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이동판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판의 전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걸림턱과;
    아래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 형태의 부재인 추형핀으로서, 상기 외부 판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추형핀의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측면부가 상기 걸림턱의 경사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추형핀이 상기 걸림턱을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추형핀과;
    상기 이동판과 상기 외부 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과;
    상기 내부 판의 가운데 뚫린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추형핀과 연결되고, 위아래도 움직임으로써 상기 추형핀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내부 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판의 상부와 하부에는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6. 가운데가 뚫린 사각틀 형태를 가지는 외부 판으로서, 상기 외부 판이 둘러싸는 안쪽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판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틀 형태의 패드가 결합되는 외부 판;
    상기 외부 판의 앞쪽에 상기 외부 판과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내부 판;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사이 공간의 좌우 측면을 밀폐하는 측면 판;
    가운데가 뚫린 사각틀 형태를 가지는 중간 판으로서, 상기 외부 판이 둘러싸는안쪽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 판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틀 형태의 패드가 결합되며,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중간 판;
    상기 내부 판과 상기 중간 판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이동판;
    상기 외판과 상기 내부 판 및 상기 측면 판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위쪽에서 롤 형태로 감길 수 있고, 롤에서 풀린 부분은 하방으로 길게 늘어뜨려져서 상기 중간 판의 패드와 상기 제1 이동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스크린;
    상기 제1 이동판을 최대로 후진시키면 상기 제1 스크린이 상기 중간 판의 패드와 상기 제1 이동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단열 효과를 높이고 상기 제1 이동판을 전진시키면 압착이 해소되어 상기 제1 스크린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이동판을 앞뒤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제1 이동수단;
    상기 중간 판과 상기 외부 판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이동판;
    상기 외부 판과 상기 내부 판 및 상기 측면 판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위쪽에서 롤 형태로 감겨서 상기 제1 스크린이 감겨서 형성된 롤과 앞뒤로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고, 롤에서 풀린 부분은 하방으로 길게 늘어뜨려져서 상기 외부 판의 패드와 상기 제2 이동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 스크린; 및
    상기 제2 이동판을 최대로 후진시키면 상기 제2 스크린이 상기 외부 판의 패드와 상기 제2 이동판 사이에서 압착되어 단열 효과를 높이고 상기 제2 이동판을 전진시키면 압착이 해소되어 상기 제2 스크린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제2 이동판을 앞뒤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제2 이동판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판에는 다수 개의 레버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동판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이동판과 상기 중간 판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대;
    좌우방향으로 길게 뻗으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는 회전핀;
    후면에 연결핀이 구비된 다수 개의 장착대가 부착되며 상기 내부 판의 앞에 설치되는 가운데가 뚫린 사각틀 형태의 외부 틀;
    상기 레버구멍을 관통하여 전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핀에 힌지 결합하고 후단부는 상기 회전핀과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외부 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레버구멍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레버구멍 둘레의 상기 내부 판에 걸리면 상기 연결핀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레버;
    상기 회전핀과 결합하고 상기 제1 이동판의 전면과 맞닿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 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핀을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이동판의 전면과 맞닿은 부분이 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제1 이동판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요철부; 및
    상기 제1 이동판과 상기 외부 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이동한 이동수단은,
    상기 제2 이동판의 전면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걸림턱과;
    아래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 형태의 부재인 추형핀으로서, 상기 제2 외부 판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추형핀의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측면부가 상기 걸림턱의 경사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추형핀이 상기 걸림턱을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추형핀과;
    상기 제2 이동판과 상기 외부 판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과;
    상기 중간 판의 가운데 뚫린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추형핀과 연결되고, 위아래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추형핀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내부 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판의 상부와 하부에는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KR1020120066879A 2012-04-18 2012-06-21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KR101395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073 2012-04-18
KR20120040073 2012-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621A KR20130117621A (ko) 2013-10-28
KR101395037B1 true KR101395037B1 (ko) 2014-05-16

Family

ID=4963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879A KR101395037B1 (ko) 2012-04-18 2012-06-21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79B1 (ko) 2015-03-26 2017-02-27 윤병재 단열 창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635Y1 (ko) * 2003-06-12 2003-09-03 권오훈 복층유리 장착 블라인드
KR100721979B1 (ko) * 2006-04-21 2007-05-25 문광호 롤스크린 조립체
KR100905803B1 (ko) 2007-11-23 2009-07-02 송두삼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635Y1 (ko) * 2003-06-12 2003-09-03 권오훈 복층유리 장착 블라인드
KR100721979B1 (ko) * 2006-04-21 2007-05-25 문광호 롤스크린 조립체
KR100905803B1 (ko) 2007-11-23 2009-07-02 송두삼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621A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91B1 (ko) 친환경 기능성 창호
KR101581312B1 (ko) 윗, 아랫열기 및 여닫이 기능을 갖는 복합시스템창호
KR101303504B1 (ko) 이탈방지장치를 구비한 수평 밀착 창호
EP3101196A1 (en) Window sunlight-shielding device
KR101395037B1 (ko) 단열 스크린이 장착된 창호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CN204851011U (zh) 一种抗风外遮阳一体化窗
KR100938698B1 (ko) 환기창
KR101138151B1 (ko) 방충 및 방범 일체형 창틀 구조
CN110656720A (zh) 一种可调节玻璃内外温差的双层联动启闭幕墙
JP3876398B2 (ja) 二重窓
KR101597518B1 (ko) 안전창의 상하 승강식 풍지판 장치
KR20180134240A (ko) 캠핑카용 창문
KR20170062008A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1811984B1 (ko) 방충 및 단열을 위한 루버셔터
CN207218909U (zh) 一种智能监控装置的散热结构
KR200454814Y1 (ko) 회전접이식 현관방충망
KR100682770B1 (ko) 건축용 안전 창문틀 설치구조
KR200481687Y1 (ko) 환기창용 셔터 개폐장치의 결로 방지 장치
KR101763385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JP6785479B2 (ja) 窓開口部の省エネルギー方法
CN104632059B (zh) 一种翻片式电动百叶窗
KR100874612B1 (ko) 방화 차양장치
CN209990352U (zh) 一种新型防蚊虫窗扇
CN204418983U (zh) 一种翻片式电动百叶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