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555B1 - 힘 제한 유닛을 갖는 안전 벨트 유닛의 안전 벨트용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힘 제한 유닛을 갖는 안전 벨트 유닛의 안전 벨트용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555B1
KR102521555B1 KR1020217009819A KR20217009819A KR102521555B1 KR 102521555 B1 KR102521555 B1 KR 102521555B1 KR 1020217009819 A KR1020217009819 A KR 1020217009819A KR 20217009819 A KR20217009819 A KR 20217009819A KR 102521555 B1 KR102521555 B1 KR 102521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ressure chamber
groove
tightening devi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912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피셔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04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022/4642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the gas directly propelling a flexible driving means, e.g. a plurality of successive masses, in a tubular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가스 발생기(17), 및 파이프(16) 내에서 안내되고 파이프(16) 내측의 압력 챔버(20)를 폐쇄하는 피스톤(21)을 포함하는, 힘 제한 유닛을 갖는 안전 벨트 유닛의 안전 벨트용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10)로서, 압력이 가스 발생기(17)에 의해 압력 챔버(20)에 가해질 수 있고, 피스톤(21)은 압력 챔버(20) 내에 존재하는 압력에 의해 구동되어, 힘 전달 유닛에 의해 안전 벨트로 전달될 수 있는 조임 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피스톤(21)은 본체(3), 및 힘 전달 유닛을 향하는 본체(3)의 측부 상에 배열되는 접촉 부분(4)으로 이루어진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접촉 부분(4)은 본체(3)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지며, 본체(3)는 힘 전달 디바이스를 향하는 단부면에서 형태-맞춤으로 접촉 부분(4)을 둘러싼다.

Description

힘 제한 유닛을 갖는 안전 벨트 유닛의 안전 벨트용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부를 갖는 힘 제한 유닛을 포함하는, 안전 벨트 유닛의 안전 벨트용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pyrotechnic tighten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원칙적으로, 일반적인 유형의 조임 디바이스는 조임 디바이스 내의 압력 조건이 조임 과정 동안 매우 크게 변경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매우 높은 압력 피크는 조임 디바이스의 일부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조임 디바이스의 이동 시퀀스를 중단시키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조임 과정에 뒤이은 힘 제한적 웨빙 풀아웃(force-limited webbing pull-out) 이동의 시작 시의 벨트 풀아웃 힘이 조임 디바이스 내에 여전히 우세한 압력의 결과로서 힘 제한 디바이스에 의해 한정된 더 높은 힘 제한 레벨로 단순하게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또한 대체적으로 힘 제한 중단으로 지칭된다. 과도한 압력으로부터 기인하는 이들 단점을 피하기 위해, 안전 벨트의 조임이 일어난 후에 가능한 한 신속하게 압력 피크를 회피하고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해결책이 이미 제공되어 왔다.
피스톤 실린더 유닛을 갖는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는 미국 특허 제6,345,504 B1호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피스톤은 막힌 구멍을 갖는 탄성 볼에 의해 형성되고, 관통 구멍은 막힌 구멍 내에 유지된 로드가 관통 돌출하는 후속 볼 내에 제공된다. 과도한 압력이 발생될 때, 로드는 탄성 볼을 파단시켜 가스가 채널을 통해 빠져나가게 한다. 막힌 구멍의 제조, 및 관통 구멍 및 로드의 제조 둘 모두는 고가이며, 조임 디바이스의 비용을 추가로 증가시키는 복잡한 조립 공정을 필요로 한다.
독일 특허 공개 DE 10 2009 051 451 A1호는 또한, 노치(notch)가 측방향 에지 표면에 배열된 피스톤이 제공되는 피스톤 구동부를 갖는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노치는 조임 이동의 시작 시에 폐쇄되거나, 대안적으로 단지 매우 작은 개구 단면을 갖고, 우세한 압력 및 유동 조건에 의해 개방되거나 확장된다. 그 결과, 조임 이동 및 우세한 압력의 시작 시에 더 큰 조임 출력(tightening power)이 전달되거나, 또는 작용하는 조임력이 노치를 개방 또는 확장시킴으로써 조임 이동의 종료를 향해 더 급속하게 감소된다.
또한, 독일 특허 공개 DE 10 2012, 214, 936 A1호로부터, 작은 개구 단면을 갖는 제1 섹션 및 폐쇄된 개구 단면을 갖는 제2 섹션을 갖는 노치를 2개의 스테이지로 설계하며, 제2 섹션과 제1 섹션 사이에 배열되고 그리고 조임 이동 동안 우세한 압력 조건 하에서 파열되도록 그리고/또는 재료 제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도록 치수설정되는 격벽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노치의 섹션들은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더 큰 유동 단면을 갖는 제2 섹션을 통한 유동이 조임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 가능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격벽은 조임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 노치의 제2 섹션을 통한 압력 감소를 방지하며, 조임 출력이 의도적으로 감소되지 않는다. 단지 격벽의 파열 또는 격벽 재료의 제거에 의해서만 제1 섹션으로부터 제2 섹션을 통한 유동이 가능하여, 이에 의해 압력 감소에 이용가능한 유동 단면을 증가시켜서, 압력 감소가 연속적으로 또는 급격하게 증가되게 하고, 조임 이동의 종료 시의 우세한 조임력이 의도적으로 감소되게 한다. 동시에, 격벽의 파열 또는 격벽의 제거 후의 압력이 훨씬 더 빨리 감소되어, 힘 제한 단계의 시작에서의 힘 제한 중단이 가능한 한 낮게 한다. 더욱이, 조임 이동의 시작에서의 전체 조임 출력은 격벽의 추후 파열 또는 제거에 의해 불리하게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WO 2011/134574 A1호로부터, 본체 및 조임 이동을 전달하기 위한 접촉 부분으로 이루어진 2개의 부분으로 피스톤을 설계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접촉 부분은 조임력을 전달하기 위해 본체보다 더 큰 강도를 의도적으로 가져야 한다. 노치 및 개방될 관통 개구가 피스톤의 밀봉 기능을 실현하는 본체 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임력의 더 개선된 전달을 갖는 힘 제한 유닛을 갖는 안전 벨트 유닛의 안전 벨트용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힘 제한 유닛을 갖는 안전 벨트 유닛의 안전 벨트용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도면 및 연관된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 개념에 따르면, 본체는 힘 전달 디바이스를 향하는 단부면에서 형태-맞춤(form-fit)으로 접촉 부분을 둘러싸는 것이 제안된다. 제안된 해결책은 본체 및 접촉 부분을 갖는 2-부분 피스톤의 접합을 강화시킨다. 따라서, 접촉 부분은 본체에 고정되며, 접촉 부분이 본체로부터 맞물림해제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복합 횡방향 힘이 파이프의 곡률로 인해 피스톤에 작용하기 때문에, 만곡된 파이프 내에서 피스톤을 안내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전에 알려진 해결책에서, 상기 복합 횡방향 힘은 최악의 경우의 시나리오에서 접촉 부분이 본체로부터 맞물림해제되고 본체와 파이프의 내벽 사이에 재밍(jammed)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조임 이동이 차례로 중단될 수 있다. 제안된 형태-맞춤 연결부는 추가적으로, 접촉 부분을 본체에 고정시킨다. 또한, 본체는 접촉 부분을 그 외측에서 둘러싸며, 이에 의해 피스톤이 본체 대신에 접촉 부분에 의해 파이프의 내벽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파이프의 내벽 상에서의 피스톤의 밀봉 및 안내 기능은 전적으로 본체에 의해 실현되는 한편, 접촉 부분은 전적으로 조임력을 힘 전달 디바이스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추가로, 본체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는 환형 돌출 칼라(collar)를 가지며, 칼라에 의해 그것이 형태-맞춤 방식으로 접촉 부분을 둘러싸는 것이 제안된다. 칼라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되는 돌출부에 의해 형태-맞춤 연결부를 형성하고, 동시에, 접촉 부분을 지나 측방향으로 돌출함으로써 파이프의 내벽으로부터 접촉 부분을 분리시킨다. 환형 칼라는 실제로, 접촉 부분이 배열되는 힘 전달 디바이스를 향하는 본체의 단부면에 시트를 형성한다.
추가로, 환형 칼라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중단되는 것이 제안된다. 환형 칼라는 리세스에 의해 의도적으로 약화되어, 리세스에 인접하는 에지 측부들을 갖는 칼라가 접촉 부분이 가압될 때 외향으로 튀어나올 수 있게 한다. 칼라는 실제로, 리세스에 의해 2개 이상의 탄성 섹션으로 의도적으로 세분되며, 이에 의해 칼라에 의해 생성된 시트 내에 접촉 부분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칼라의 탄성 설계는 파이프의 만곡된 섹션 내에서 피스톤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칼라가 이에 의해 파이프의 곡률에 더 잘 적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로, 본체는, 그의 측방향 표면에서, 피스톤의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압력 챔버 내로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는 것이 제안된다. 제안된 해결책의 이점은, 압력 챔버로부터의 압력이 압력 피크가 발생할 때 홈을 통해 소산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는 가스가 압력 챔버로부터 나와 홈을 통해 피스톤을 지나 힘 전달 디바이스 측으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면적이 단차식으로 좁아지는 협소부(constriction)가, 바람직하게는, 홈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홈의 오버플로우 단면은 협소부에 의해 좁아져서, 조임 출력이 가능한 한 적게 감소되게 한다. 가스의 오버플로우의 경우에, 협소부는, 이어서, 그것이 홈의 최대 단면 형상을 가질 때까지 협소부의 에지 영역에서 본체의 침식(erosion)에 의해 넓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협소부는, 바람직하게는, 압력 챔버에 인접한 본체의 에지 측부 상에 배열되어, 그것이 압력 챔버의 압력에 대해 최대로 노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협소부는, 바람직하게는, 홈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홈을 폐쇄하는 웨브(web)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홈을 폐쇄하는 웨브는, 초기 단계에서, 가스가 전적으로 협소부를 통해서 피스톤을 지나 유동할 수 있어, 조임 출력이 가능한 한 적게 감소되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어서, 웨브는 협소부 내의 매우 높은 압력 구배 및 결과적인 유동 속도를 고려하여 제거되는 의도적으로 생성된 희생 표면으로서 작용하여, 협소부가 그에 의해 넓어지고, 압력 감소가 증가되게 한다.
추가로, 홈은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서 원추형이고 압력 챔버의 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이 제안된다. 원추형 형상 및 그의 정렬로 인해, 홈의 단면적이 유동에 대해 증가되고 유동 속도가 감소된다는 점에서 홈 내의 가스 유동이 의도적으로 지연된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홈이 칼라 내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로 병합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본체 내의 홈 및 홈이 병합되는 칼라 내의 리세스는 압력측 상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오버플로우 가스를 위한 단일 유동 채널을 형성한다. 복수의 홈들 및 리세스들이 제공되는 경우, 홈은 그것이 리세스 내로 병합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홈 및 리세스는 항상 유동 채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파이프 내에서 안내되는 피스톤을 갖는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를 구비한 벨트 리트랙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피스톤의 단면 및 분해도이다.
도 3은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에서의 피스톤의 본체를 도시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벨트 리트랙터는 측부 림(limb)(13)을 갖는 하우징(11), 도시되지 않은 안전 벨트 웨빙에 대해 그 내에 장착된 벨트 테이크업(take-up) 샤프트(12), 및 전개 후에 벨트 테이크업 샤프트(12)에 작용하는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조임 디바이스(10)는 벨트 테이크업 샤프트(12)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동 휠(14)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외부 치형부(toothing)(15), 가스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파이로테크닉 가스 발생기(17), 및 가스 발생기(17)를 구동 휠(14)을 통해 벨트 테이크업 샤프트(12)에 연결하는 파이프(16)를 갖는다. 파이프(16)는, 하우징(11)의 일부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또한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는 파이프 벽(24)에 의해 형성된다.
일련의 금속 구형 질량체(19) 형태의 힘 전달 디바이스가 파이프(16) 내측에 제공되고, 구동 휠(14)을 통해 벨트 테이크업 샤프트(12)로 조임 이동을 전달한다. 벨트 리트랙터는, 일련의 질량체(19)와 구동 휠(14) 사이의 상호작용 영역(18) 및 구동 휠(14)과 벨트 테이크업 샤프트(12) 사이의 임의의 결합 디바이스의 설계에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저마찰력 전달을 위해, 질량체(19)의 외경은 파이프(16)의 내경보다 편의상 다소 작다.
또한, 도 1에 단지 개략적으로 나타낸 피스톤(21)은 파이프(16) 내측에 제공되고, 편의상 가스 발생기(17)와 일련의 질량체(19) 사이의 영역(23) 내에, 즉, 힘 전달 방향으로 힘 전달 디바이스의 일련의 질량체(19) 중 제1 질량체(19a)의 바로 앞에 배열된다.
피스톤(21)은 가스 발생기(17)에 의해 가해지는 가스 압력을 가질 수 있는 파이프(16) 내측의 압력 챔버(20)를 폐쇄하여, 압력이 가스 발생기(17)에 의해 압력 챔버(20)에 가해질 때 피스톤(21)이 조임 이동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한다. 피스톤(21)의 조임 이동은 질량체(19) 및 구동 휠(14)에 의해 형성된 힘 전달 디바이스에 의해 벨트 테이크업 샤프트(12)로 전달되어, 벨트 웨빙이 조여지게 한다.
도 2는 피스톤(21)을 단일 부품으로서 도시한다. 피스톤(21)은 본체(3) 및 접촉 부분(4)을 갖는 2개의 부분으로 설계되며, 여기서 본체(3)는 원칙적으로, 접촉 부분(4)보다 더 작은 강도 또는 더 큰 탄성을 갖고, 압력 챔버(20)를 파이프(16)의 내벽에서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접촉 부분(4)은 더 큰 강도로 인해, 제1 질량체(19a)와 접촉하여 그에 따라서 구동 이동을 질량체 체인(19)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질량체 체인(19)을 향하는 그의 단부면 상에서, 본체(3)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환형 칼라(1)를 갖고, 칼라는 본체(3)의 단부면과 함께, 접촉 부분(4)이 배열되는 시트(22)를 형성한다. 칼라(1)는 시트(22) 내로 돌출하는 원주방향의 비드형(bead-like) 돌출부(2)를 가지며, 돌출부는 시트(22)의 개구 폭을 약간 감소시킨다. 또한, 칼라(1)는 3개의 리세스(5)를 갖고, 리세스들은 서로 120°의 각도로 배열되고 칼라(1)를 3개의 링 세그먼트 형상의 섹션(24)으로 분할하는데, 섹션들은 마찬가지로 그들의 중심들이 서로에 대해 120°로 배열된다.
접촉 부분(4)을 본체(3)의 시트(22) 내에 장착하기 위해, 접촉 부분(4)은 단부면에 의해 가압되는데, 여기서 링 세그먼트 형상의 섹션(24)들은 본체(3)의 재료의 탄성 특성으로 인해, 리세스(5)들에 의한 칼라(1)의 분리로 인해, 그리고 최종적으로 그들의 벽 두께로 인해 약간 외향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그 결과, 시트(22)의 개구 단면이 증가되고, 접촉 부분(4)이 삽입될 수 있다. 접촉 부분(4)의 삽입 후에, 섹션(24)들은 다시 되튀어나오고(spring back), 접촉 부분(4)은 반경방향 내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에 의해 본체(3) 상에 또는 시트(22) 내에 형태-맞춤으로 유지된다. 그 결과, 본체(3)와 접촉 부분(4)의 조합이 강화되고, 접촉 부분(4)은 또한 파이프(16)의 곡률로 본체(3) 상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칼라(1)는 축방향 연장부를 따라, 그것이 접촉 부분(4)을 지나서 돌출하지 않거나, 제1 질량체(19a)가 구동 이동 동안 접촉 부분(4)에 전적으로 맞닿는 정도로만 돌출되도록 치수설정된다.
본체(3)는, 또한, 그것의 반경방향의 외부 측방향 표면 내에서 본체(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홈(6)을 가지며, 이 홈들은 그들이 칼라(1)의 리세스(5) 내로 병합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홈(6)들은 각각, 홈(6)들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단하는 원주 방향으로 배향된 웨브(9)들에 의해 폐쇄되거나 좁아지게 된다. 작은 노치 형태의 협소부(7)가 각각의 웨브(9)에 제공되며, 이를 통해 압력 챔버(20)로부터 피스톤(21)을 지나 질량체(19)의 측부로의 가스의 오버플로우가 가능해진다. 압력 챔버(20) 내의 압력 피크는 웨브(9) 내의 협소부(7)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협소부(7)는 웨브(9) 내에 의도적으로 배열되고, 웨브는 그의 얇은 벽 두께를 고려하여, 협소부(7) 내의 가스의 매우 높은 유동 속도에서 희생 지점으로서 침식되어, 웨브(9)의 완전한 침식에 의해 협소부(7)의 개구 폭이 홈(6)의 최대 개구 폭까지 증가될 수 있게 한다.
홈(6)의 개구 폭은 웨브(9) 및 그 내부에 제공된 협소부(7)에 의해 매우 작은 개구 폭으로 단차식으로 감소되어, 조임 출력이 가능한 한 적게 감소되게 한다. 협소부(7)는 매우 작은 개구를 형성하며, 이는 피스톤(21)을 지나는 가스의 작은 오버플로우를 허용하지만, 압력 피크 및 결과적인 매우 높은 유동 속도가 협소부(7) 내에서 발생할 때 가장 빠른 가능한 압력 감소를 위해 의도적으로 넓어진다. 서두에 설명된 힘 제한 중단을 피하기 위하여, 웨브(9)가 각각의 경우에 조임 이동의 종료 시에 완전히 침식되어, 홈(6)의 전체 단면이 가스의 오버플로우에 이용가능해지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체(3)의 2개의 상이한 실시예가 도 3에서 볼 수 있다. 상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협소부(7)가 그 내부에 배열된 웨브(9)는 압력 챔버(20)와 연관된 본체(3)의 에지 측부(8) 상에 직접 배열되어, 그들이 압력 챔버(20) 내의 압력에 직접 노출되게 한다. 저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협소부(7)가 그 내부에 제공된 웨브(9)는 홈(6)의 중심 섹션 내에 배열되어, 압력 챔버(20)와 웨브 사이의 홈(6) 내에 작은 대기실(antechamber)이 존재하게 하며, 여기서 압력 피크가 발생할 때 증가하는 압력이 의도적으로 축적된다. 따라서, 대기실은, 압력 챔버(20)로부터 나오는 가스가 협소부(7)를 통해 피스톤(21)을 지나 유동하기 전에 그것이 초기에 미리가속되는(pre-accelerated) 유형의 노즐을 형성한다. 더욱이, 오버플로우 가스는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대기실에 의해 구체적으로 협소부(7)들을 향해 지향되어, 그들이 의도적으로 응력을 받게 하고, 필요한 경우, 침식에 의해 의도적으로 넓어지게 한다.

Claims (9)

  1. 힘 제한 유닛을 갖는 안전 벨트 유닛의 안전 벨트용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pyrotechnic tightening device)(10)로서,
    가스 발생기(17), 및
    파이프(16) 내에서 안내되고 상기 파이프(16) 내측의 압력 챔버(20)를 폐쇄하는 피스톤(21)을 포함하고,
    압력이 상기 가스 발생기(17)에 의해 상기 압력 챔버(20)에 가해질 수 있고,
    상기 피스톤(21)은 상기 압력 챔버(20) 내에 존재하는 상기 압력에 의해 구동되어, 힘 전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안전 벨트로 전달될 수 있는 조임 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21)은 본체(3), 및 상기 힘 전달 디바이스를 향하는 상기 본체(3)의 측부 상에 배열되는 접촉 부분(4)으로 이루어진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 부분(4)은 상기 본체(3)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지며,
    상기 본체(3)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를 갖는 환형 돌출 칼라(collar)(1)를 가지고, 상기 환형 돌출 칼라(1)에 의해 상기 힘 전달 디바이스를 향하는 단부면에서 상기 본체(3)를 형태-맞춤으로 상기 접촉 부분(4)을 둘러싸며,
    상기 환형 칼라(1)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5)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중단되고,
    적어도 하나의 홈(6)이 상기 칼라(1)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5) 내로 병합되어
    상기 접촉 부분(4)을 상기 본체(3)의 시트(22) 내로 삽입하고, 상기 접촉 부분(4)을 상기 본체(3) 상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10).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본체(3)의 측방향 표면에서, 상기 피스톤(21)의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압력 챔버(20) 내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10).
  5. 제4항에 있어서,
    단면적이 단차식으로 좁아지는 협소부(constriction)(7)가 상기 홈(6)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부(7)는 상기 압력 챔버(20)에 인접한 상기 본체(3)의 에지 측부(8)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10).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부(7)는 상기 홈(6)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홈(6)을 폐쇄하는 웨브(web)(9)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10).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6)은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서 원추형으로 설계되고, 상기 압력 챔버(20)의 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10).
  9. 삭제
KR1020217009819A 2018-09-10 2019-08-26 힘 제한 유닛을 갖는 안전 벨트 유닛의 안전 벨트용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 KR102521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21999.7 2018-09-10
DE102018121999.7A DE102018121999B4 (de) 2018-09-10 2018-09-10 Pyrotechnische Straff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r Sicherheitsgurteinrichtung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PCT/EP2019/072698 WO2020052948A1 (de) 2018-09-10 2019-08-26 Pyrotechnische straff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r sicherheitsgurteinrichtung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912A KR20210049912A (ko) 2021-05-06
KR102521555B1 true KR102521555B1 (ko) 2023-04-14

Family

ID=6790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819A KR102521555B1 (ko) 2018-09-10 2019-08-26 힘 제한 유닛을 갖는 안전 벨트 유닛의 안전 벨트용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70132B2 (ko)
JP (1) JP7234350B2 (ko)
KR (1) KR102521555B1 (ko)
CN (1) CN112672929B (ko)
DE (1) DE102018121999B4 (ko)
WO (1) WO202005294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4936A1 (de) * 2012-08-22 2014-02-27 Autoliv Development Ab Pyrotechnische Straff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r Sicherheitsgurteinrichtung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WO2017001585A1 (de) * 2015-07-01 2017-01-05 Autoliv Development Ab Straffer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9360A (en) * 1971-10-27 1973-07-31 Eaton Corp Tiltable aerosol dispensing
US4811882A (en) * 1987-10-26 1989-03-14 Sencorp Restrictive trigger actuated valve arrangement for a fastener driving tool
JP3425482B2 (ja) * 1994-11-25 2003-07-14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パイプの接続具
EP0747175B1 (en) * 1995-06-09 2003-08-27 Max Co., Ltd. Exhaust mechanism of pneumatic nailing machine
JPH09161187A (ja) * 1995-12-07 1997-06-20 Hochiki Corp 防災監視制御盤の音響装置
JP2001063519A (ja) * 1999-08-25 2001-03-13 Takata Corp プリテンショナ
US6978796B2 (en) * 2002-09-25 2005-12-27 Morris Ostrowiecki Universal air valve connector
JP2005016630A (ja) * 2003-06-26 2005-01-20 Pacific Ind Co Ltd バルブ栓及びバルブ
JP4391143B2 (ja) 2003-06-27 2009-12-24 カナフ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管継手
DE102004002428B4 (de) * 2004-01-16 2015-12-17 Trw Automotive Gmbh Gurtstraffer für einen Sicherheitsgurtaufroller
JP2005256991A (ja) * 2004-03-12 2005-09-22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
GB2432399A (en) * 2005-11-18 2007-05-23 Autoliv Dev Piston and cylinder pyrotechnic actuator
DE102007028980A1 (de) * 2007-06-23 2009-01-02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mit becherförmigem Antriebskolben
DE102008018124B4 (de) * 2008-04-09 2010-06-17 Autoliv Development Ab Straffer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102009030215B4 (de) * 2009-06-23 2013-03-07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einrichtung mit einem Gurtstraffer und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US9114780B2 (en) * 2009-10-30 2015-08-25 Autoliv Development Ab Pretensioner device for a seat belt
DE102009051451B4 (de) * 2009-10-30 2018-01-11 Autoliv Development Ab Straffer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JP5317945B2 (ja) * 2009-12-15 2013-10-1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10018512A1 (de) * 2010-04-27 2011-10-27 Autoliv Development Ab Straffer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102010018513B4 (de) 2010-04-27 2014-08-28 Autoliv Development Ab Straffer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US20120006925A1 (en) * 2010-07-06 2012-01-12 Jon Burrow High Seal Retractor Pretensioner Piston
DE102013009393B4 (de) 2013-06-05 2019-03-07 Trw Automotive Gmbh Gurtstraffer
JP6219136B2 (ja) * 2013-11-13 2017-10-2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ES2703378T3 (es) 2015-02-23 2019-03-08 Autoliv Dev Dispositivo tensor para un cinturón de seguridad
DE102015112961B3 (de) * 2015-08-06 2016-09-01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Verkeilungselement im Strafferrohr
DE102018100605B3 (de) * 2018-01-12 2019-03-07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mit gestuftem Rohrinnendurchmesser
FR3109539B1 (fr) * 2020-04-28 2022-04-08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FR3122474B1 (fr) * 2021-04-29 2023-05-05 Staubli Sa Ets Elément mâle ou femelle de raccord fluidique et raccord fluidique comprenant un tel élé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4936A1 (de) * 2012-08-22 2014-02-27 Autoliv Development Ab Pyrotechnische Straff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r Sicherheitsgurteinrichtung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WO2017001585A1 (de) * 2015-07-01 2017-01-05 Autoliv Development Ab Straffer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912A (ko) 2021-05-06
JP2022500293A (ja) 2022-01-04
WO2020052948A1 (de) 2020-03-19
US20210339702A1 (en) 2021-11-04
CN112672929B (zh) 2023-06-20
DE102018121999A1 (de) 2020-03-12
US11970132B2 (en) 2024-04-30
DE102018121999B4 (de) 2023-08-31
CN112672929A (zh) 2021-04-16
JP7234350B2 (ja)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0941B2 (en) Tensioning device for a safety belt
KR101774456B1 (ko) 안전벨트용 텐셔닝 장치
US9114780B2 (en) Pretensioner device for a seat belt
JP5394539B2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
US9834174B2 (en) Tensioner for a vehicle safety device
CN101903219B (zh) 具有张紧器驱动器的带卷收器
CN113382698B (zh) 用于稳定身体关节和/或支撑运动装备的物品的装置
US5468019A (en) Belt pretensioner with a pyrotechnic gas generator
KR102521555B1 (ko) 힘 제한 유닛을 갖는 안전 벨트 유닛의 안전 벨트용 파이로테크닉 조임 디바이스
EP2786029B1 (en) Attachment ring and valve
CN114867434A (zh) 包括具有密封唇的活动主体机构的用于稳定身体区域和/或运动装置的相对彼此可移动的两个部分的移动的设备
CN106180630A (zh) 压铸模具抽空阀组件
EP1513709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pre-tensioner
CN104228758B (zh) 用于安全带装置的张紧驱动器
US10641296B2 (en) Accumulator piston, in particular for a pressure medium accumulator of a hydraulic unit of an electronically slip-controllable vehicle brake system
CN110027503B (zh) 具有分级管内径的皮带张紧器
EP2988042B1 (en) Timing valve and kick-down valve
US10953846B2 (en) Tensioner device for a motor seat vehicle seat belt with a guide element
US10647288B2 (en) Belt tightener
KR102496949B1 (ko)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안전 배기 장치
EP3538772B1 (en) Damping device for a fluid pressure actuator
JP2006509981A (ja) 液圧シリンダ
JP2023534710A (ja) ハウジング内の受入凹部に挿入するためのコネクタ
WO2009021298A1 (en) Piston for the injection of molten metal
WO2019141721A1 (en) Belt reel and belt re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