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287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1287B1 KR102521287B1 KR1020200182851A KR20200182851A KR102521287B1 KR 102521287 B1 KR102521287 B1 KR 102521287B1 KR 1020200182851 A KR1020200182851 A KR 1020200182851A KR 20200182851 A KR20200182851 A KR 20200182851A KR 102521287 B1 KR102521287 B1 KR 1025212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oving
- coupler
- contact
-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내부에 상기 동력을 드럼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에 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를 동시에 배치할 수 있고, 상기 클러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상기 엑츄에이터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드럼과 교반부를 별도로 또는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클러치 부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를 포괄하는 장치를 이르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front load type)과, 장치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장치에 투입하는 탑 로딩 방식(top load type)으로 구분되었다.
이때, 종래 탑로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여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과 별도로 회전하는 교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는 상기 드럼의 바닥면을 형성하거나,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과 별도로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과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에 클러치를 배치하여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202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68263호 및 제10-0274986호, 일본등록특허공보 제5940423호, 미국등록특허공보 제4291556호 등 참조]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물을 저장하는 터브(5)의 하부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7)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부(7)는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71)와, 상기 스테이터(71)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로터(72)와, 상기 로터(7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축(73)을 포함한다.
상기 로터(72)는 상기 스테이터(71)의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73)은 상기 터브(5)에 수용된 드럼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축(73)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드럼과 드럼의 바닥면에서 별도로 회전하는 교반부에 전달할 수 있는 클러치부를 더 포함하였다.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구동축(73)에서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기어박스(74)와 상기 기어박스(74)에서 연장되어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75)을 포함할 수 있었다.
이로써, 상기 구동축(73)이 회전하면 상기 기어박스(74)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75)이 회전하여 상기 교반부가 회전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기어박스(74)를 수용하는 하우징(5)을 더 포함할 수 있었다. 상기 하우징(5)은 상기 기어박스(74)와 상기 회전축(75) 및 상기 구동축(73)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였고, 상기 드럼과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하우징(5)은 상기 구동축(73)과 무관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드럼은 상기 교반부와 무관하게 회전할 수 있었다.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하우징(5)을 상기 구동부(7)와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커플러(4)를 더 포함하였다. 상기 커플러(4)는 상기 하우징(5)과 상기 로터(72)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상기 로터(72)의 회전력을 상기 하우징(5)에 전달할 수 있었다.
상기 커플러(4)는 상기 하우징(5)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72)를 향하여 하강하거나, 상기 로터(72)에서 이격되도록 상승할 수 있었다.
상기 커플러(4)가 하강하여 상기 하우징(5)과 상기 로터(72)를 결합하면 상기 로터(72)로 인해 상기 하우징(5)과 상기 드럼이 상기 로터(72)와 함께 회전할 수 있었고, 상기 커플러(4)가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5)과 상기 로터(72)를 분리시키면 상기 교반부만 회전하거나, 기어박스(74) 구조에 따라 상기 드럼이 상기 교반부와 반대로 회전할 수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커플러(4)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4)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2)와, 상기 엑츄에이터(2)의 동력으로 상기 커플러(4)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를 포함할 수 있었다.
상기 이동부(3)는 상기 커플러(4)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었고, 상기 엑츄에이터(2)는 상기 이동부(3)를 직접 이동시킬 수 있는 매개부(21,22)를 더 포함하였다. 이로써,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엑츄에이터(2)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부(3)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커플러(4)를 승강시킬 수 있었다.
상기 엑츄에이터(2)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매개부(21,22)는 상기 엑츄에이터(2)가 발생하는 회전에너지를 상기 이동부(3)를 승강시킬 수 있는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었다.
예를들어, 상기 매개부는 상기 엑츄에이터(2)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수평이동부(21)와, 상기 수평이동부(21)의 왕복이동을 수직 또는 연직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연직이동부(22)로 구비될 수 있었다.
상기 매개부는 상기 엑츄에이터(2)가 발생하는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매개부는 상기 엑츄에이터가 발생하는 회전운동을 충분한 길이의 연직이동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일정길이 이상으로 확보될 필요가 있다. 상기 매개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매개부의 말단의 위치변화 폭이 더 길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매개부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엑츄에이터(2)가 상기 구동부(7) 보다 더 외부에 배치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다시말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엑츄에이터(2)가 상기 구동부(7)의 전체직경(D1)의 범위보다 더 외부영역(D2)에 별도로 배치되어 상기 매개부(21,22)가 상기 커플러(4)을 충분히 이동시킬 수 있는 변위를 확보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2)가 상기 커플러(4)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엑츄에이터(2)가 상기 커플러(4)와 더 멀어지게 배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구동부(4)가 차지하는 부피 외에, 상기 엑츄에이터(2) 및 매개부(21,22)가 차지하는 부피가 별도로 필요하여 세탁용적과 무관하게 부품 설치 부피가 더 확장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매개부(21,22)와 상기 엑츄에이터(2)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 및 클러치부를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고, 그 만큼 세탁용적을 확보하지 못하는 불리함이 있었다.
상기 엑츄에이터(2)가 상기 구동부의 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와 상기 엑츄에이터(2)를 따로 설치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 커플러(4)와 엑츄에이터(2) 및 상기 매개부(21,22)를 설치하는 작업이 복잡하여 상기 클러치의 설치 공정이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매개부(21,22)과 구동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구조가 필요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를 터브에 조립한 후, 상기 엑츄에이터(2) 및 매개부(21,22)를 구동부에 조립하거나 설치하는 추가공정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구동부의 외부에 엑츄에이터(2)가 별도로 배치되어 상기 엑츄에이터(2)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선을 상기 구동부 외부에 따로 배치하거나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커플러(4)와 상기 엑츄에이터(2)가 분리 및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플러(4)와 상기 엑츄에이터(2)를 연결하는 매개부(21,22)를 생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2)가 상기 커플러(4)를 직접 이동시키지 못하므로 상기 커플러(4)를 제어하는 데 신뢰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상기 엑츄에이터(2)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커플러(4)에 그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엑츄에이터(2)가 상기 매개부(21,22)를 일정각도 수준에서 회전시킬 수 밖에 없어, 상기 엑츄에이터(2)의 출력을 전부 활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엑츄에이터(2)가 일정각도 범위로 회전하기 때문에 센서부가 상기 엑츄에이터(2) 또는 매개부(21,22)의 각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커플러(4)의 위치를 상기 엑츄에이터(2)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하여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 등이 상기 커플러(4)와 상기 매개부(3)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상기 엑츄에이터(2)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이런 센서부를 엑츄에이터(2) 또는 상기 매개부(21,22)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엑츄에이터(2) 및 매개부(21,22)의 전체 부피가 더 확장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엑츄에이터(2)를 상기 구동부 내부에 설치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클러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s)를 상기 엑츄에이터(2)에 연결된 회로에 연결하였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2)가 강시 구동부 외부에 배치된 이상, 상기 센서부(s)를 상기 구동부 내부에 설치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s)는 상기 엑츄에이터(2)의 내부 구성에 접촉하여, 상기 엑츄에이터(2)의 회전위치를 파악할 수 밖에 없었다.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s)의 신호를 통해 상기 엑츄에이터(2)가 상기 커플러(4)를 상승시켰는지 하강시켰는지 여부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센서부(s)가 상기 커플러(4) 등의 구성에 직접 접촉하여 위치를 감지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어, 커플러(4)가 하우징과 구동부를 결합/분리했는지 여부를 직접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센서부가 커플러의 위치 또는 높이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센서부가 커플러의 위치와 높이를 상기 커플러 또는 이를 지지하는 이동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센서부가 구동부와 별도로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센서부가 엑츄에이터에 이격되거나 무관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커플러 또는 이동부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센서부가 구동부와 별도로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클러치 구성에 직접 접촉하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센서부는 스테이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되지 않고, 상기 클러치를 구동하는 엑츄에이터 등에 인가되는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는 엑츄에이터에 전력을 인가하는 회로에서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엑츄에이터에 전기회로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어, 상기 엑츄에이터에 가해지는 동력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도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구동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도 상기 구동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구동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와 드럼을 연결하는 커플러에 직접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구동부 내부에 배치되어 커플러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엑츄에이터에 연결된 회로에서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가 별도의 이동부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커플러의 위치 또는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엑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전기 회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가 상기 커플러가 목표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커플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엑츄에이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센서부는 상기 커플러의 고점 또는 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상기 커플러가 고점 또는 저점인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커플러의 고점 또는 저점에 모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커플러의 고점 또는 저점 중 하나에만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엑츄에이터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가 독자적으로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시켜 상기 센서부를 구동부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커플러의 고점과 상기 커플러의 저점을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센서부로 커플러의 고점과 저점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커플러의 고점에서는 상기 센서부가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커플러의 저점에서는 상기 센서부가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ON/OFF 또는 이진법을 통해 상기 커플러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커플러의 고점 및 저점 뿐만 아니라, 상기 커플러가 구동부에 결합되었는지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일방향 회전 멀티 기어의 상사점, 하사점을 감지하여 상기 엑츄에이터의 정지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가 왕복 회전이 아니므로 별도로 상기 엑츄에이터의 구동 방향을 제어할 필요가 없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에 접촉되면 마찰력을 가할 수 있어, 상기 이동부가 고점 또는 저점 등의 특정 위치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서부로 커플러의 위치 또는 높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센서부로 커플러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센서부에 진동이 전달되거나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커플러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플러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정확히 감지하여, 드럼 또는 교반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센서부와 클러치를 구동하는 엑츄에이터를 분리하여 상기 센서부와 엑츄에이터의 설치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센서부를 구동부 내부에 배치하여 커플러 또는 이동부에 선택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와 클러치부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부(C)와 구동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부(C)가 상기 구동부(100) 내부에 설치되어도 작동할 수 있는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상기 클러치부(c)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가 로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가 로터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에서 이동부가 승강할 때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이동부가 승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이동부를 승강시키는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이동부가 승강하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센서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 내지 도16은 센서부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센서부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센서부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9은 도18 클러치 구조에서 이동부와 센서부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 구조에서 엑츄에이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는 상기 엑츄에이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와 클러치부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부(C)와 구동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부(C)가 상기 구동부(100) 내부에 설치되어도 작동할 수 있는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상기 클러치부(c)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가 로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가 로터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에서 이동부가 승강할 때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이동부가 승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이동부를 승강시키는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이동부가 승강하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센서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4 내지 도16은 센서부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센서부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센서부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8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9은 도18 클러치 구조에서 이동부와 센서부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 구조에서 엑츄에이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는 상기 엑츄에이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수용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20)와, 상기 터브(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30)과, 상기 터브(2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급수부(50)와, 상기 터브(20)의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부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12)와, 상기 투입구(12)를 개패하는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에는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후술하는 구동부(100)와 클러치(c)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거나, 상기 컨트롤패널과 상기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50)는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어 외부 급수원에서 물을 공급받는 급수밸브(51)와, 상기 급수밸브(51)에서 연장되어 물을 공급받은 급수관(52)과, 상기 급수관(52)과 연통되어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박스(53)와, 상기 세제박스(53)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브(2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53)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수부(60)는 상기 터브(20)의 하부에 연통되어 상기 터브(20)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61)과, 상기 배출관(61)에 연통되어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62)와, 상기 배수펌프(62)에서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6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0)를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고정시키는 서스펜션(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70)은 상기 터브(20)의 일측과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을 결합시키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어 진동을 감쇠하는 댐퍼 또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의류를 교반하거나 수류를 형성시키는 교반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부(40)는 상기 드럼(30)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구(12)를 향하여 일정 높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0)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40)와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00)와,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교반부(40)와 상기 드럼(30) 중 하나 이상에 상기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클러치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부(c)는 상기 구동부(100)와 상기 교반부(4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00)의 동력을 상기 교반부(40)와 상기 드럼(30) 중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부(c)는 상기 구동부(10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드럼(30)과 상기 교반부(40)에 모두 전달하거나, 상기 드럼(30)과 상기 교반부(40) 중 어느 하나에만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클러치부(c)를 제어함을 통해, 상기 드럼(30)과 상기 교반부(40) 중 어느 하나만 회전시키거나, 상기 드럼(30)과 상기 교반부(40)를 모두 회전시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클러치부(c)를 통해, 세탁과정에서는 상기 드럼(30)과 상기 교반부(40)를 반대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교반부(40)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클러치부(c)를 통해, 탈수과정에서는 상기 드럼(30)과 상기 교반부(40)를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와 클러치부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3(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동부(100)는 상기 터브(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110, 도4 참조)와, 상기 스테이터(110)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120)와, 상기 로터(12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120)는 상기 스테이터(110)에서 발생하는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자력부와, 상기 자력부가 결합되거나 상기 자력부에서 연장되는 로터바디(122)와, 상기 로터바디(12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130)이 고정되거나 결합되는 안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1)는 상기 로터(120)와 상기 구동축(130)을 연결하는 부싱부(16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력부는 영구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부(c)는 상기 구동부(100)에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구동부(10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커플러(400)와,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와 상기 하우징(300)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상기 커플러(4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C)는 상기 터브(20)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이동부(500), 상기 매개부(60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커버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130)은 상기 하우징(30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축바디(131)와, 상기 축바디(131)의 상단에 구비되어 기어부(340)와 결합될 수 있는 제1말단부(132)와, 상기 축바디(132)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120)에 결합될 수 있는 제2말단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바디(131)는 상기 하우징(300)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말단부(133)는 상기 하우징(300)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구동축(130)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안내하우징(310)과, 상기 안내하우징(310)에 연장되어 상기 기어부(340)를 수용하는 기어하우징(320)과, 상기 기어하우징(320)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200)을 수용하는 회전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하우징(310)은 상기 구동축(130)이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1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하우징(330)도 상기 회전축(200)이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00)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안내하우징(310)은 상기 구동축(13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구동축(130)과 함께 회전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회전하우징(330)도 상기 회전축(20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회전축(200)과 함께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회전축(200)과 상기 구동축(130)과 무관하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30)이 상기 하우징(300)에 결합되면, 상기 드럼(30)은 상기 회전축(200)과 상기 구동축(13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하우징(320)은 상기 기어부(340)를 수용하기 위해, 너비가 상기 회전하우징(330)고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하우징(320)이 상기 터브(20)의 바닥면(22)이나 베어링 하우징(26)에 지지되면, 상기 하우징(300) 전체가 안정적으로 상기 터브(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하우징(310)은 상기 구동축(130)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기어하우징(320) 보다 하부에 구비되므로, 상기 드럼(30)은 상기 회전하우징(3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의 바닥면은 상기 회전하우징(33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회전하우징(330)이 회전하면 상기 드럼(30)은 상기 회전하우징(3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하우징(330)은 상기 드럼(30)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드럼세레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구동부(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필요성이 있다. 즉, 상기 하우징(300)이 상기 구동부(100)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200)의 회전과는 별도로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30)은 상기 교반부(40)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340)는 상기 기어하우징(320) 내부에서 상기 제1말단부(132)에 결합되거나 맞물려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340)는 상기 제1말단부(13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태양기어(341)과, 상기 태양기어(341)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어 상기 태양기어(341)와 맞물려 회전하는 유성기어(342)와, 상기 유성기어(342)들을 수용하며 링형상으로 구비되고 내주면에 상기 유성기어(342)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링기어(343)와, 상기 기어하우징(3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342) 들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케리어(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기어(341)는 상기 제1말단부(132)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태양기어(341)는 상기 제1말단부(132)를 수용하며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기어(341)는 상기 제1말단부(132)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말단부(132)의 외주면에 세레이션이 구비되어 상기 태양기어(341)가 구비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상기 태양기어(341)는 외주면에 세레이션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130)과 동일한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태양기어(341)는 단면이 원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성기어(342)도 단면이 원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링기어(342)는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기어(343)는 상기 태양기어(341) 보다 직경이 훨씬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성기어(342)는 상기 태양기어(341)와 상기 링기어(343) 사이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기어(343)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300)과 별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성기어(342)는 외주면에 상기 태양기어(341)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세레이션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링기어(343)는 내주면에 상기 유성기어(342)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세레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케리어(344) 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케리어(344)와 결합되어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구동축(130)과 분리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구동축(130)이 회전하더라도 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태양기어(341)가 회전하면, 상기 유성기어(342)는 상기 태양기어(341)와 맞물려 상기 태양기어(341)와 반대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유성기어(342)는 상기 링기어(343)에도 맞물릴 수 있다. 이때, 상기 링기어(343)가 상기 기어하우징(320)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유성기어(342)는 작용반작용에 의해, 상기 태양기어(341)의 둘레를 따라 상기 태양기어(34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상기 케리어(344)는 상기 유성기어(342)가 상기 태양기어(341)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태양기어(34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교반부(40)는 상기 태양기어(341)와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케리어(344) 또는 상기 하우징(300)의 구속여부에 따라, 상기 드럼(30)은 상기 교반부(40)와 반대로 회전할 수도 있고, 상기 드럼(30)은 교반부(40)가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이 상기 구동부(100)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130)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경우, 상기 링기어(343)와 상기 태양기어(341)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유성기어(342)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므로, 상기 유성기어(342)의 회전축과 연결된 상기 케리어(344)도 상기 구동축(130)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40)은 상기 회전하우징(330)에 의해 상기 구동축(130)과 동일한 rpm으로 회전하게되고, 상기 교반부(40)도 상기 구동축(130)과 동일한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안내하우징(310)은 상기 기어하우징(32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하우징(310)은 상기 기어하우징(3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하우징(320)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클러치부(c)는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구동부(100)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커플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와 상기 하우징(300)을 결합시킨다는 것은 상기 구동부(100)의 동력을 상기 하우징(300)에 전달할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하우징(300)을 상기 로터(120) 또는 상기 구동축(130)의 rpm과 동일하게 회전시키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로터(120)의 상부에서 상기 로터(120)와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130)을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안내하우징(310)과 상기 로터(120)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가 상승하여 상기 안내하우징(310)과 상기 안착부(121)를 서로 연결하면, 상기 구동부(100)의 출력이 상기 안내하우징(310)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로터(120)과 동일한 RPM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300)에 결합된 드럼(30)도 상기 로터(120)과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리어(344)도 상기 구동축(130)과 일체로 회전하므로, 상기 교반부(40)도 상기 로터(120)과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30)과 상기 교반부(40)가 일체로 회전하여 탈수행정을 포함한 세탁행정, 헹굼행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커플러(400)가 하강하면,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구동부(100)과 상기 안내하우징(310)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안착부(121)에 완전히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구동축(13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구동축(130)에 의해서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기어부(340)만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200)과 상기 교반부(40)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부(40)는 상기 드럼(30)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탈수행정을 제외한 세탁행정, 헹굼행정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구동축(130)과 상기 안내하우징(310)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안내하우징(310)과 상기 로터(12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안착되어 상기 안내하우징(310)과 상기 로터(120) 사이를 왕복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엑츄에이터(8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커플러(400)를 상승하여 상기 안내하우징(310)과 상기 로터(120)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커플러(400)를 하강하여 상기 안내하우징(310)과 상기 로터(120)를 서로 분리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130)과 상기 회전축(200)은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부베어링(1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커버부(900) 또는 상기 터브(2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외부베어링(1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클러치부(C)를 상기 구동부(4)와 중첩되도록 배치하여 상기 클러치부(C)가 상기 구동부(4)와 별도로 차지하는 공간을 대폭 축소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클러치부(C)를 상기 구동부(4)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구동부(4)와 상기 클러치부(C)를 중첩하여 배치하여 상기 구동부(4)와 상기 클러치부(C) 전체의 부피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C)를 상기 구동부(4)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구동부(4)와 상기 클러치부(C)를 하나의 모듈로 제작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부(C)와 구동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부(c)는 상기 이동부(500)에 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부(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부(100)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구동부(100)와 별도로 차지하는 공간이 없으므로, 상기 클러치부(c)와 상기 구동부(100)를 매우 조밀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클러치부(c)가 상기 구동부(100)와 별도로 차지하는 공간을 대폭 축소하여, 상기 터브(20)의 높이를 더 길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용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800)를 포함한 상기 클러치부(c)를 모듈화하여 상기 구동부(100)에 조립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100) 및 상기 클러치부(c)를 모듈화하여 상기 터브(2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치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110)는 상기 터브(20)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130)이 관통하는 코어(111)와, 상기 코어(111)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코일이 권선되는 고정리브(112)와, 상기 고정리브(112)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120)와 마주할 수 있는 폴슈(113)와, 상기 코어(111)에 고정되어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터미널(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111)에는 상기 터브(20)의 바닥면 또는 베어링 하우징(23)에 결합될 수 있는 설치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15)는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코어(111)에서 상기 터브(20)의 바닥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14)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에 제어되어 상기 코일에 3상 전류 등을 공급하여 상기 로터(12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폴슈(113)의 단면적은 상기 고정리브(112)의 단면적 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코일은 상기 폴슈(113)에 의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어(1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스테이터(110)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110)가 차지하는 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부(c)는 상기 이동부(500) 승강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900)도 상기 구동부(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센서부(900)도 상기 코어(11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엑츄에이터(800)에 연결된 회로에서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구동부(100) 내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구동부(100)의 직경(D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900)를 연결하는 회로 및 배선의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900)는 모두 상기 코어(1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900)도 상기 스테이터(110)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110)가 차지하는 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구동부(100) 내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의 상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900)는 서로 이격 및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부(500)와 함께 승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부(c)는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500)가 승강되도록 상기 이동부(500)를 수용하는 케이스(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플러(400)도 상기 케이스(600)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부(500)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코어(11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스테이터(110)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110)가 차지하는 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클러치부(c)가 구성이 상기 스테이터(110)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110)가 차지하는 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부(c)가 상기 구동부(100)와 별도로 차지하는 공간이 생략되거나 축소되어 상기 터브(20)와 상기 구동부(100) 사이의 공간이 대폭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20)의 높이를 더 연장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100)와 상기 터브(20)의 간격을 더 축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클러치부(C)는 상기 구동부 직경(D1) 내부에 전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부(C)는 상기 코어(111)의 내주면 직경(D3)에 전부 설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클러치부(C) 전체 직경은 상기 코어직경(D3) 보다 작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C)는 상기 구동부(100)의 높이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러치부(C)는 상기 스테이터(100)가 차지하는 높이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클러치부(C)는 상기 스테이터(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클러치부(C)가 상기 구동부(100)와 독자적으로 차지하는 부피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C)를 상기 스테이터(110)에 결합하거나 설치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부(C)와 상기 구동부(100)를 하나의 모듈로 제작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클러치부(C)와 상기 구동부(100)의 설치공정이 매우 단순화 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클러치부(C)가 상기 구동부(100) 내부에 설치되어도 작동할 수 있는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이동부(500)와 상기 커플러(4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수용바디(610)와, 상기 수용바디(610)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테이터(11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결합부(630)와, 상기 수용바디(61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500)를 지지할 수 있는 승강리브(64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케이스(600)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500)를 지지할 수 있다면 어디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수용바디(610)은 원통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610)는 상기 이동부(500)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50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수용바디(6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용바디(6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이동부(5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커플러(400)를 지지하며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회전되는 이동바디(510)와, 상기 승강리브(620)에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디(510)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도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디(510)는 상기 수용바디(610)를 수용하는 원통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일면에서 상기 승강리브(64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일면이 돌출되거나 삽입되어 상기 승강리브(64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내주면에서 배치된 높이가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승강리브(64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바디(5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기어이(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이(53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일면에서 상기 엑츄에이터(80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이(53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이동바디(5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이(530)는 표면에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직접 맞물리도록 세리이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이동부(500)를 연결하는 별도의 매개부가 생략될 수 있고,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직접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이동부(500)를 1회전 이상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엑츄에이터(800)의 모든 출력을 그대로 상기 이동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이(530)는 상기 이동부(500)의 강성을 보강하거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바디(510)에서 외부로 더 두껍게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이(53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센서부(90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바디(510)의 표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접촉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이동부(5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500)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이동바디(510)에 안착되는 커플러바디(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바디(410)는 상기 이동바디(5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원통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면에 안착되는 확장지지부(41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하부에는 상기 로터(120) 에 고정될 수 있는 로터결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지지부(411)는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로터결합부(412)는 상기 로터(120)와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톱니 또는 기어이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로터(120)의 부싱부(160)는 상기 로터결합부(412)와 치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바디(410)는 상기 이동바디(510)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로터결합부(412)가 상기 부싱부(160)에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터결합부(412)는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하부면 뿐만 아니라,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하부의 외주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로터(120)의 부싱부(160)의 상단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축결합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420)는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내부에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420)는 원통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420)는 상기 로터결합부(412)에서 상기 확장지지부(411)를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4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외주면에 치합될 수 있는 결합나사선(42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나사선(421)과 치합될 수 있는 세레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420)는 상기 로터(120)의 안착부(121)의 내주면에도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로터(120)의 부싱부(160)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나사선(421)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세레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가 상승하면 상기 축결합부(420)가 상기 로터(120)와 상기 착탈하우징(330)을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착탈하우징(330)은 상기 로터(1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가 하강하면 상기 축결합부(420)가 상기 착탈하우징(330)에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착탈하우징(330)은 상기 로터(120)에 구속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내주면과 상기 축결합부(4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수용홈(4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430)에는 상기 커플러(400)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복원부(7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700)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300)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커플러(400)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700)는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플러(400)가 상승하면, 상기 복원부(700)는 압축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이동부(500)가 하강하면, 상기 복원부(700)는 상기 커플러(400)를 상기 이동부(500)를 향하여 밀어내어 상기 커플러(4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높이는 상기 축결합부(420)의 높이 보다 더 높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복원부(700)가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640)는 상기 케이스(600)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케이스(600)에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640) 및 상기 커플러(400) 및 이동부(500)가 전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600)가 하나의 클러치부(c)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케이스(600)를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클러치부(c)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600)가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 내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클러치부(c)의 구성들이 모두 상기 코어(1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부(c)가 상기 구동부(100)와 별도로 차지하는 부피 또는 높이가 생략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터브(20)의 높이를 더 확대할 수 있고, 상기 터브(20)와 상기 구동부(100)의 간격을 더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생성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생성부(810)는 상기 이동부(500)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동력생성부(810)의 출력을 상기 이동부(500)로 전달하는 전달부(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820)는 상기 동력생성부(810) 보다 상기 이동부(500)와의 접촉면적을 더 확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820)는 상기 이동부(500)의 외주면에 접선방향으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웜기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수용바디(6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엑츄에이터(800), 상기 센서부(900), 상기 이동부(500), 상기 커플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부바디(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바디(620)는 상기 수용바디(610)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용바디(610)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바디(620)와 상기 수용바디(610) 사이에는 상기 엑츄에이터(800), 상기 센서부(900), 상기 이동부(500) 중 적어도 어느하나가 안착되거나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바디(620)는 상기 수용바디(610)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지만, 상기 코어(111)의 내주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바디(620)와 상기 코어(110)의 내주면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구동부(1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바디(62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900)가 설치된 공간을 제외하면, 상기 코어(110)의 내주면에서 더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630)는 상기 외부바디(620)에서 복수개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630)는 상기 외부바디(620)에서 상기 코어(111)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111)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600)를 상기 스테이터(110) 내부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630)는 상기 수용바디(610)를 기준으로 360도를 개수로 나눈 각도로 일정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결합부(630)가 상기 케이스(600)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이동부(500), 상기 엑츄에이터(800), 상기 센서부(640)가 이탈하거나 설치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이동부(500), 상기 엑츄에이터(800), 상기 센서부(9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용하는 상부커버(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660)는 상기 케이스(600)의 상단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바디(662)와 상기 커버바디(662)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6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후크(6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662)는 내부에 상기 이동부(500) 및 상기 커플러(400)가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600)의 상단을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661)는 상기 커버바디(662)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고정후크(66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후크(6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662)는 원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660)는 상기 커버바디(662)를 상기 코어(111) 내부에 결합시키는 상부고정부(6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663)는 상기 커버바디(662)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663)는 상기 결합부(630)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630)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630)와 상기 구동부(100)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관통 구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100)의 방열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이때, 특정 결합부(630)와 이와 인접한 결합부(630) 사이에는 엑츄에이터(800) 및 센서부(900)가 설치되는 것이 배제될 수 있다. 이로써, 관통구간을 더 많이 확보하여 상기 구동부(100)의 방열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결합부(630)가 3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고정부(663)도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663)는 상기 커버바디(662)에서 상기 코어(111)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상부고정부(663a)와, 상기 제1상부고정부(663a)에서 이격되되 상기 커버바디(662)에서 상기 코어(111)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상부고정부(663b)와, 상기 제1상부고정부(663a)와 상기 제2상부고정부(663b)에서 이격되어 상기 커버바디(662)에서 상기 코어(111)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3상부고정부(66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제1상부고정부(663a)와 상기 제2상부고정부(663b)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제2상부고정부(663b)와 상기 제3상부고정부(663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상부고정부(663a)와 상기 제3상부고정부(663b) 사이는 상기 케이스(60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부(10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제1상부고정부(663a)와 상기 제2상부고정부(663b) 사이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케이스(600)와 상기 구동부(100) 사이를 관통하는 면적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00)의 방열효과를 더 극대화할 수 있다.
도6은 상기 클러치부(c)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이다.(단면)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300)의 하부인 착탈하우징의 외주면에 상기 커플러(4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외주면은 상기 커플러(40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플러(400)의 축결합부(42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결합나사(421)와 맞물릴 수 있는 착탈 세레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내하우징(310)과 상기 커플러(400)는 항상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가 회전하면, 상기 안내하우징(310)은 착탈 세레이션으로부터 상기 결합나사(421)에서 힘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터브(20)에 결합되거나,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600)도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의 하단은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하단과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하단보다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케이스(600)에 안착되어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외주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동력생성부(810)와 전달부(820)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동력생성부(810) 및 상기 전달부(820)가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일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이동부(500)에 맞물려, 상기 이동부(500)를 승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플러(40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하단은 상기 부싱부(160)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160)는 외측은 상기 로터(120)에 결합되고 내측은 상기 구동축(1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50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커플러(400)를 상기 부싱부(160)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1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로터(120)의 회전력이 상기 하우징(30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로터(120)가 회전하면, 상기 부싱부(160)와 상기 구동축(130)은 회전하여 상기 태양기어(341)와, 상기 유성기어(342) 등의 기어박스(340)는 회전하지만, 상기 하우징(300)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교반부는 회전하지만 상기 드럼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구동하여, 상기 이동부(5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플러(400)는 하강하여 상기 부싱부(16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러(400)는 하단이 상기 부싱부(160)에 결합되면서,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부싱부(16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120)가 회전하면, 상기 부싱부(16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커플러(400)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러(400)와 상기 하우징(300)은 서로 세레이션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하우징(300)을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드럼(30)이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로터(120)가 회전하면 항상 상기 구동축(130)은 회전하므로, 상기 드럼(30)과 상기 교반부(40)는 같은 rpm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하우징(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싱부(160) 또는 상기 로터(120)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하우징(30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킨다고 볼 수 있다.
도7은 상기 커플러가 상기 로터와 이격 및 분리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수용되는 커플러바디(410)와, 상기 커플러바디(41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우징(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축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420)는 전술한 것처럼 내부에 결합나사(421)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300)에서 헛도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나사(421)와 상기 하우징(3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착탈세레이션은 상기 구동축(130)의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하단에는 상기 부싱부(160)에 결합될 수 있는 로터결합부(4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결합부(412)와 상기 부싱부(160)는 서로 요철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로터결합부(412)와 상기 부싱부(160)가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맞물릴 수 있다면 상기 로터결합부(412)와 상기 부싱부(160)는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상기 로터결합부(412)는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내측 또는 상기 복원부(700)가 수용되는 수용홈(430)을 향하여 일정깊이 함몰되는 결합홈(4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4122)의 깊이 또는 길이는 상기 수용홈(430)의 너비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4122)는 상기 로터결합부(41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홈(4122) 사이 마다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4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121)는 상기 복수의 결합홈(4122)을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싱부(160)는 상기 로터(12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부싱바디(161)와 상기 부싱바디(1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결합부(412)와 결합되는 커플결합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결합부(162)는 상기 부싱바디(161)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130)이 관통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축관통홀(16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플결합부(162)는 상기 커플러바디(41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결합홈(4122)에 삽입될 수 있는 안착돌기(1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1621)는 상기 결합홈(4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422)의 위치 및 개수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돌기(1621) 사이에는 상기 결합돌기(4121)가 수용될 수 있는 안착홈(16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622)의 너비는 상기 결합돌기(4121)의 너비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돌기(1621)의 너비는 상기 결함홈(4122)의 너비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커플러(400)는 승강하면서 상기 부싱부(160)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부싱부(160)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부싱부(160)에 회전력은 상기 커플러(400)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로터결합부(412)에 의해 상기 로터(120)에서 헛도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160)는 상기 커플러(400)와 상기 커플결합부(162)가 더 신속히 결합되고, 상기 커플결합부(162)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커플결합부(162)를 돌출시키는 커플지지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지지부(163)는 상기 부싱바디(161)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지지부(163)의 내측에 상기 커플결합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160)는 외주면에서 상기 구동축(130)과 나란하게 돌출되는 보강리브(16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611)는 상기 부싱부(160)의 강성을 보강하고, 상기 로터(120)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부싱부(160)는 상기 로터(120)에 결합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로터고정부(1612)와, 상기 로터(120)와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체결홈(165)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8은 상기 커플러가 상기 로터와 이격 및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8(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500)가 상승하면 상기 커플러(400)가 상승하며 상기 복원부(700)를 가압한다. 상기 복원부(700)는 상기 커플러(400)와 상기 하우징(300)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되면 상기 커플러(400)를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가 상승하면, 상기 커플러(400)의 로터결합부(421)는 상기 부싱부(160)의 커플결합부(162)에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120)가 회전하면 상기 부싱부(160)만 회전하고 상기 커플러(40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도8(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500)를 상승시키는 힘이 사라지거나, 상기 이동부(500)가 하강하면,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부싱부(16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부싱부(160)에 접촉할 때, 상기 복원부(700)로 인해 상기 로터결합부(421)가 상기 커플결합부(162)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421)가 회전하면서, 상기 로터결합부(421)가 상기 커플결합부(162)가 일시적이라도 맞물리게 되면, 상기 복원부(700)는 상기 로터결합부(421)를 상기 커플결합부(162)에 끼워지도록 더 밀어낼 수 있다.
상기 로터결합부(421)와 상기 커플결합부(162)가 맞물리면, 상기 로터(120)가 회전할 때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부싱부(16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안내하우징(3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9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부 및 커플러가 승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a)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600) 내부에는 상기 이동부(500)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500)에는 상기 커플러(40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의 수용바디(610)와 외부바디(620)는 상기 상부커버(66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상기 이동부(500)와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상부커버(660)에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와 상기 상부커버(60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상부커버(600)는 상기 고정후크(661)로 상기 케이스(600) 외주면에 구비된 홈 또는 결합후크(60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후크(601)와 상기 고정후크(661)는 상기 결합부(630) 사이 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 내부에서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이동부(500)를 상승시키면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상부커버(660)의 상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로터(120)에서 이격된 상태이므로, 상기 교반부(40)가 회전하는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9(b)를 참조하면,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이동부(5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케이스(600)의 하부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로터(120)에 결합되므로, 상기 교반부(40)와 상기 드럼(30)이 함께 회전하는 탈수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서도, 상기 교반부(40)와 상기 드럼(30)이 함께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플러(400)와 상기 이동부(500)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가 하강하면, 상기 케이스(600)에는 상기 수용바디(610)의 내주면이 노출될 수 있다.
도10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이동부가 승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0(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케이스(600)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600)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이동부(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기어이(530)에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동력생성부(810)가 상기 기어이(530)에 맞물린 상태일 수도 있다.
상기 전달부(820)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동력생성부(810)가 상기 전달부(820)에 맞물리고, 상기 전달부(820)가 상기 기어이(530)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전달부(820)는 상기 동력생성부(810)의 rpm을 낮추면서도 토크는 증가시킬 수 있는 기어비 또는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상기 케이스(600)에서 하강된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와 상기 센서부(900)는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와 접촉/분리를 반복하면서 상기 이동부(5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와 분리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센서부(900)를 제어하거나 상기 센서부에서 신호를 받는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500)가 상기 케이스(600)에 하강한 상태이며,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와 결합된 상태라는 것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의 승강이동부(520)는 상기 이동부(500)의 일면에서 높이가 가변하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승강이동부(520)는 상기 이동부(500)의 내주면에서 상단과 하단을 이동하며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600)에 고정된 승강리브(640)가 상기 이동부(500)의 상단에 위치한 승강이동부(520)를 지지하면,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케이스(600)에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구동하면 상기 이동부(5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10(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500)가 회전하면,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승강리브(640)의 상단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유도부(520)가 높이가 가변되도록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500)에서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승상유도부(520)가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동부(500)는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되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500)가 특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이동부(500)에서 돌출된 접촉부(540)가 상기 센서부(90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특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했다는 사실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플러(500)가 상기 구동부(100)와 분리되었다는 것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다시 구동되면, 상기 이동부(500)는 다시 하강되어 도10(a)와 같은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의 기어이(530)는 상기 이동부(50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이동부(500)를 1바퀴 이상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500)를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500)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고,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구동부(100)와 분리와 결합을 반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이동부(500)를 직접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발생하는 회전에너지를 직선운동/ 일정각도 왕복회전 운동으로 전환하지 않고 그대로 상기 이동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철기장치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에서 발생하는 회전에너지를 회전 에너지 외에 다른 에너지로 전환하는 별도의 매개부를 생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이동부(500)의 간격이 그만큼 더 가까워지거나 서로 접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구동부(100) 내부에 온전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11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이동부가 승강될 수 있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a)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이동부(5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수용바디(610)와, 상기 수용바디(610) 보다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500)를 차폐하는 외부바디(620)와, 상기 외부바디(620)에서 외주면으로 연장되는 결합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바디(620)는 상기 수용바디(610)에서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부(5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안착바디(624)와, 상기 안착바디(624)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동부(500)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차폐바디(621)와, 상기 차폐바디(621)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엑츄에이터(800) 또는 센서부(9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설치바디(625)와, 상기 설치바디(625)의 외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엑츄에이터(800) 또는 상기 센서부(900)를 차폐하는 차단바디(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설치바디(625)에 상기 엑츄에이터가 안착될 수 있는 모터설치부(650)와, 상기 센서부(900)가 설치될 수 있는 센서설치부(6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설치부(650)는 동력생성부(810)가 안착되는 구동안착부(651)를 포함할 수 있고, 전달부(820)의 일단이 지지되는 제1지지부(652)와, 전달부의 타단이 지지되는 제2지지부(6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820)는 상기 제1지지부(652)와 상기 제2지지부(653)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이동부(500)에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설치부(670)는 센서부(900)의 형상에 따라 각 센서부 구성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복수의 도체판들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되어, 서로 접촉되면 전류가 통할 수 있는 스위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센서부(900)가 3개의 도체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설치부(670)는 제1단자를 고정하는 제1설치부(671)와, 제2단자을 고정하는 제2설치부(672)와, 제3단자을 고정하는 제3설치부(6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600)는 상기 외부바디(62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합부(600)는 상기 외부바디(620)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코어(111)에 고정되는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1결합부(631)에서 이격되어 상기 코어(111)에 고정되는 제2결합부(632)와, 상기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2결합부(632)에서 이격되어 상기 코어(111)에 고정되는 제3결합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631), 상기 제2결합부(632), 상기 제3결합부(633)는 상기 수용바디(610)를 기준으로 같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제2결합부(632)와 상기 제3결합부(633)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3결합부(6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2결합부(632) 사이에는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2결합부(632) 사이에는 상기 차단바디(622)와, 상기 설치바디(625)가 생략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2결합부(632) 사이에는 연통공간(627)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00)를 방열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차단바디(622)와 상기 코어(111) 사이에는 연통공간(627)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2결합부(632) 사이에는 상기 차폐바디(621)가 외주면에 해당되므로 상기 연통공간(627)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제1결합부(631)와 상기 제2결합부(632) 사이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900)는 특정 결합부(630)와 상기 특정결합부(630)와 인접한 다른 결합부(630) 사이에만 집중적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결합부(630)를 사이는 설치바디(625), 차단바디(622)가 생략된 연통공간(627)이 더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상기 결합후크(601)는 상기 케이스(600)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드렁, 상기 결합후크(601)는 상기 차단바디(622)의 외주면에 구비되거나, 상기 차폐바디(621)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이동부(500)를 지지하여 상기 이동부(5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리브(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이동부(500)를 지지할 수 있다면 상기 수용바디(610), 상기 안착바디(624), 상기 차폐바디(621) 중 어느 곳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11(b)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리브(640)가 상기 수용바디(61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바디(6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수용바디(610)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비되거나 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수용바디(61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승강리브(640)가 n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리브(640)는 360도/n 각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부(5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1(c)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내주면에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이동바디(510)에 구비되는 저점지지부(521)와, 상기 저점지지부(521) 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고점지지부(5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점지지부(523)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하단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점지지부(521)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단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점지지부(521)는 상기 이동바디(510)가 저점에 있을 때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점지지부(523)는 상기 이동바디(510)가 고점에 있을 때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점지지부(523)와 상기 저점지지부(521)는 구동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부(500)가 회전하면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고점지지부(532)에서 상기 저점지지부(521)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저점지지부(521)에서 상기 고점지지부(532)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저점지지부와 상기 고점지지부(532)는 서로를 연결하는 상승지지부(522)와 하강지지부(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승지지부(522)는 상기 이동바디(510)가 저점에서 고점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강지지부(524)는
상기 고점지지부(523)의 양측에 상기 저점지지부(521)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승강유도부(520)은 상기 고점지지부(523)의 일단에서 상기 저점지지부(521)의 일단으로 연결되는 상승지지부(522)와, 상기 고점지지부(523)의 타단에서 상기 저점지지부(521)의 타단으로 연결되는 하강지지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지지부(524)의 일단에서 상기 고점지지부(523)의 타단에 상기 저점지지부(521)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5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저점지지부(521)에서 상기 고점지지부(523)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승지지부(522)와, 상기 고점지지부(523)에서 상기 저점지지부(521)를 향하여 연장되는 하강지지부(524)를 더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저점지지부(521)와 상기 상승지지부(522), 상기 고점지지부(523), 상기 하강지지부(524)가 상기 승강리브(640)에 순차적으로 안착되면서 상기 이동바디(510)은 상승하고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이동바디(510) 내부에 상기 커플러(400)를 지지하는 커플러 지지부(5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지지부(550)는 상기 승강지지부(520)에서 복수개로 이격되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단 높이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커플러지지부(550)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바디(510)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도12은 상기 이동부가 승강하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근접한 승강리브(640)만 일례로 표시하였으나, 상기 승강리브(64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외주면에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이(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이(530)는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 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맞물릴 수 있는 저점기어이 (531)와,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에 있을 때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맞물릴 수 있는 고점 기어이 (5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점기어이(531)는 상기 고점접촉부(533)보다 하부에 있거나, 상기 고점기어이(533)의 축방향 길이 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이(530)는 상기 이동부(500)가 상기 저점에서 고점으로 이동할 때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맞물릴 수 있는 상승기어이(532)와, 상기 이동부(500)가 상기 고점에서 저점으로 이동할 때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맞물릴 수 있는 하강기어이(5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12(a)를 참조하면, 상기 저점지지부(521)는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저점지지부(521)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저점지지부(521)는 상기 승강리브(640)에 모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저점기어이(53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하강한 상태에 위치하여 제2높이(II)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기어이(530) 중 상기 저점기어이(531)에 맞물린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저점지지부(521)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구동하면,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이동부(5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이동부(500)를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저점기어이(531)에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저점지지부(521)의 하면이 상기 승강리브(640)의 상단을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이동부(500)를 더 회전시켜 상기 저점기어(531)의 타단까지 맞물려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상승지지부(522)의 하면이 상기 승강리브(64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상승지지부(522)가 상기 저점지지부(521)에 연결된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이동부(500)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상승기어이(532)에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상승지지부(522)의 일단 하면에서 상기 상승지지부(522)가 상기 고점지지부(523)와 연결된 상기 상승지지부의 타단 하면까지 슬라이드 이동하며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점지지부(523)와 상기 저점지지부(521)의 높이 차이는 상기 제1높이(I)와 상기 제2높이(II) 차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승지지부(522)는 상기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승강리브(640)의 상부에 지지되고, 상기 상승지지부(522)의 경사에 따라 상기 이동부는 제1높이(I)까지 상승할 수 있다.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리브(640)의 상단은 상기 저점지지부(521)에서 상기 상승지지부(522) 및 상기 고점지지부(523)의 하단을 순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저점기어이(531)에서 상승기어이(532) 및 상기 고점 기어이(533)에 순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승강리브(640)의 상부에 상기 고점지지부(523)가 안착되면 상기 이동부(500)는 가장 높게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접촉부(540)에 접촉되어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에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이동부(500)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리브(640)의 상단은 상기 고점지지부(523에서 상기 하강지지부(524) 및 상기 저점지지부(521)의 하단을 순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11(a)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상기 승강리브(640)의 상부에 상기 저점지지부(521)가 안착되면 상기 이동부(500)는 가장 낮게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고점기어이(533)에서 상기 하강기어이(534) 및 상기 저점기어이(531)에 순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하강하면 상기 접촉부(540)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이동부(5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점지지부(523)은 상기 이동부(500)의 상승 높이가 일정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제1길이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길이는 상기 이동부(500)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더라도 제1시간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저점지지부(521)는 0.5초 이상 머무를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점지지부(521)도 상기 이동부(500)의 하강 높이가 일정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제2길이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길이는 상기 이동부(500)가 연속적으로 회전하더라도 제2시간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2시간은 0.5초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승지지부(522)의 경사는 상기 하강지지부(524)의 경사보다 더 완만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가 균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승지지부(522)의 길이는 상기 하강지지부(524)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부(500)가 천천히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플러(400)가 안정적으로 상기 로터(120)에서 분리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상기 커플러(400)와 상기 이동부(500)의 하중을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복원부(700)의 탄성력을 안정적으로 극복하여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이(530)도 상기 승강유도부(520)의 형상과 길이와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어이(530)의 배치는 상기 승강유도부(520)의 배치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접점을 고려하여 상기 승강유도부(520)와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저점기어이(531), 상기 상승기어이(532), 상기 고점기어이(533), 상기 하강기어이(534) 등의 길이 및 경사는 상기 저점지지부(521), 상기 상승지지부(522), 상기 고점지지부(523), 상기 하강지지부(524) 등의 길이 및 경사와 대응될 수 있다.
도12(b)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이동부(500)를 더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고점기이어(523)에 맞물리게 되고, 상기 고점지지부(523)의 하면은 상기 승강리브(64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의 회전이 정지하면,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제1높이(I)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더 회전하더라도 상기 고점지지부(523)의 상기 상승지지부(522)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하강지지부(524)에 연결된 타단이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될 때까지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제1높이(I)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상기 제1높이(I)에 도달하면,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구동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다시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켜 상기 하강기어이(534)에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하강지지부(524)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하강기이어(534)에 맞물려 회전하면,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하강지지부(524)의 상기 고점지지부(523)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저점지지부(521)에 연결된 타단까지 슬라이드 이동하며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제1높이(I)에서 상기 제2높이(II)까지 하강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저점기어이(531)에 맞물리면, 상기 도12(a)의 상태로 상기 이동부(500)가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의 회전이 정지하면,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제2높이(II)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더 회전하여 상기 저점기어이(531)에 맞물려 회전하면, 상기 저점지지부(521)의 일단에서 타단이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될 때까지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제2높이(II)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상기 제2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구동하는 것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이동부(500)를 같은 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시키면서 상기 이동부(500)를 상승과 하강을 반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이동부(500)를 같은방향으로 1회전 이상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지지부(520)가 N개 구비되면, 상기 이동부(500)는 1회전 하면서 N번 상승과 하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이동부(500)의 고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높이는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로터(120)에서 분리되는 높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높이는 고점이 아닐 수 있다.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이동부(500)의 저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로터(120)와 결합되는 높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높이는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높이는 저점이 아닐 수도 있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센서부(900)는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의 높이 또는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본원발명의 센서부(90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접촉하거나, 상기 엑츄에이터(8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커플러(40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감지하거나 연산하지 않는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센서부(900)는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커플러 또는 상기 이동부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센서부(900)가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의 위치 또는 높이를 감지하는 정확성과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센서부(900)는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하우징(300)을 상기 로터(120)에 결합시켰는지 또는 분리하였는지 여부를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센서부(900)는 엑츄에이터(800)가 구속되거나 손상되더라도, 상기 커플러(400)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센서부(90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무관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이격되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센서부(90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이격되어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의 승강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900)와 상기 엑츄에이터(800)를 이격시켜도 무방하므로, 상기 센서부(900)와 상기 엑츄에이터(800)를 상기 코어 내부(111) 또는 상기 케이스(600) 내부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아도 무리없이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센서부(900)와 상기 엑츄에이터(800)를 이격시켜 배치하여도 무방하므로, 상기 구동부(100)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13은 상기 센서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제1높이 또는 고점과, 제2높이 또는 저점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와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이동부(500)에 접촉되고 분리되는 on/off 신호 또는 이진법 신호를 통해 명확하게 상기 커플러(400)의 고점 및 저점을 파악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센서부(900)가 한개로 구비되어도 ON/OFF 신호를 통해 상기 커플러(400)의 고점 및 저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의 상단 및 하단과는 이격되고, 상기 이동부의 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과 저점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과 저점 중 나머지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와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3(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500)는 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승강지지부(520) 중 상기 저점지지부(521)가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되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 위치할 때는 상기 이동부(500)에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서 벗어나 고점에 위치할 때는 상기 이동부(500)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복수의 도체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제2단자(920)와, 상기 제2단자(920) 보다 상기 이동부(500)와 더 멀리 이격되어 상기 제2단자(920)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단자(9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910)와 상기 제2단자(920)는 서로 같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910)와 상기 제2단자(920)은 서로 접촉하면 전류가 흐르며, 서로 이격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스위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에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는 전기 신호의 on/off를 통해 이동부(500)의 상태를 감지 및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 위치하면 상기 제2단자(920)는 상기 이동부(500)에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단자(920)는 상기 이동부(500)의 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단자(920)는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 위치할때, 상기 이동부(500)의 상면보다 더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13(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500)가 상승하면 상기 접촉부(540)가 상기 센서부(900)를 가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에 위치할 때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센서부(900)를 가압시키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40)가 상기 이동부(500)에서 돌출되는 위치는 상기 센서부(900)의 설치 위치가 결정되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이동부(500)가 제1높이(I)에 위치할 때, 상기 센서부(900)를 가압시키도록 상기 이동바디(510)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서 벗어날 때상기 센서부(900)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센서부(900)의 설치위치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가 제1높이(I)까지 상승하면, 상기 제2단자(920)는 상기 접촉부(540)에 가압되어 상기 제1단자(910)를 향하여 휘어질 수 있고, 상기 제2단자(920)는 상기 제1단자(910)에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는 전류가 통하여 ON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540)는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거나, 내부를 관통하는 투과홀(54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촉부(540)가 상기 이동바디(510)에서 돌출되도록 사출성형되어도, 냉각시 상기 접촉부(540)의 형상이 가변되거나 두께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920)은 상기 접촉부(540)에 더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바디(510)를 향하여 절곡되는 절곡부(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부(500)가 제1높이(I)에 도달할때 상기 제2단자(920)가 접촉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어 센서부(900)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전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에 분리된 상태에서 접촉되거나, 상기 이동부(500)에 접촉된 상태에서 분리되면 상기 엑츄에이터(800)의 전류공급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부(500)는 회전되는 것이 차단되어 목표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다. 상기 목표위치는 고점(상사점) 또는 저점(하사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구동부(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14는 상기 센서부(900)가 적용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에 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500)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의 상승과 하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가 특정위치에 도달했다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가 상기 특정위치를 벗어나면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에 분리됨으로써,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가 특정위치에 벗어났다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가 하나로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14(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500)는 저점 또는 상기 제2높이(II)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 또는 제2높이(II)에 위치하면 상기 이동부(500)에 완전히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저점기어이(531)에 맞물리거나 상기 상승기어이(532)에 맞물려 회전할때까지는,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리브(640)가 상기 저점지지부(521)와 상기 상승지지부(522)를 지지할때까지는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로터(1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접촉하지 않았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플러(400)와 상기 로터(120)가 결합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도14(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 또는 상기 제2높이(II) 보다 높은 제1높이(I)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 또는 제1높이(I)에 위치하면 상기 이동부(500)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상기 고점기어이(533)에 맞물릴때는,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로터(120)에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접촉하였다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플러(400)와 상기 로터(120)가 결합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도15는 상기 센서부(900)의 구체적인 작동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5(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500)의 상기 저점기어이(531)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맞물려 구비되고,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이동부(500)와 함께 저점 또는 제2높이(II)에 배치된다.
이때,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완전히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와 상기 하우징(300)을 서로 결합시킨 상태라고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이동부(500)에 안착되거나 상기 이동부(50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이동부(500)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가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회전하면,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고점기어이(533)에 맞물리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이동부(500)와 함께 고점 또는 상기 제2높이보다 높은 제1높이(I)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접촉부(540)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500)와, 상기 커플러(400)가 고점이며 상기 로터(120)에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이동바디(510)에서 돌출되는 제1접촉부(5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541)는 상기 이동바디(510)가 고점에 있을 때 상기 센서부(900)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접촉부(541)를 고점접촉부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부는 상기 커플러(400)를 지지하며, 상기 이동바디(510)의 하부는 상기 케이스(600)와의 이격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접촉부(541)도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접촉부(541)는 상기 이동바디(510)가 고점 또는 제1높이에 위치할 때 상기 센서부(900)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관점으로,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바디(510)가 고점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접촉부(541)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바디(510)가 고점에 위치할 때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6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제1접촉부(541)에서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단으로 연장되는 제2접촉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42)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하강지지부(524)의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42)는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제1접촉부(541)에 접촉되기 시작하면 일정 높이 또는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로 하강할 때까지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이동부(50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에 위치했을 때부터 저점직전 또는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되기 시작하는 직전까지 센서부(900)의 신호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 위치했을 때 또는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300)을 회전시킬 수 있을 시점을 정확히 감지하기 위함이다.
다시말해,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900)에서 신호가 on되면 고점이라 감지하여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에서 분리되어 상기 교반부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라고 감지할 수 있다. 이때부터, 상기 이동부(500)가 하강하더라도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되끼 까지 상기 교반부만 회전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제2접촉부에 의해 신호가 on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이동바디(510)가 더욱 하강하여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접촉부(542)를 이탈하여 상기 센서부의 신호가 off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플러(400)가 하강하여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되었다고 연산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2접촉부(542)는 상기 커플러가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 또는 안착되기 시작할 때까지 상기 센서부(900)의 신호를 유지하는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제2높이에서 상기 제1높이로 상승할 때 까지는 상기 이동부(500)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500)가 상기 제1높이로 상승하여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제1접촉부(541)에 접촉하기 전까지는,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접촉부(540)에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제1높이 또는 고점에 위치할때만, on 신호를 발생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커플러(400)가 구동부(100)에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300)이 상기 구동부(100)에 분리된 것을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5(b)의 상태에서부터,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접촉부(540)에 접촉하여 상기 센서부(900)는 on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15(a) 상태 직전까지,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제2접촉부(542)에 접촉하며, 상기 이동부(500)가 더 하강하면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제2접촉부(542)와 분리되거나, 상기 제2접촉부(542)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off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센서부(900)의 on/off 신호를 통해 제어부는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에 온전히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제2접촉부(542)에서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단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3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단이 상기 센서부(900) 보다 낮아지기 직전까지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접촉부(54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단이 상기 센서부(900) 보다 낮아질 때까지 하강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3접촉부는 생략될 수 있다.
도16는 상기 접촉부(5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제1접촉부(541)와, 상기 제1접촉부(541) 보다 상단에 배치되는 저점접촉부(5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상승하고 하강할 때 상기 제1접촉부(541)와 상기 저점접촉부(545)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 또는 제1높이(I)일 때와 저점 또는 제2높이(II)일 때, 상기 제1접촉부(541)와 상기 저점접촉부(545)에 각각 접촉하면서 가압되어 on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500)와 고점과 저점 사이 일때는 상기 제1접촉부(541)와 상기 저점접촉부(545)에 모두 이격되어 off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저점접촉부(545)는 상기 이동부(500)가 하부에 배치될 때 상기 센서부(900)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점접촉부(545)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외주면 상단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점접촉부(545)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단에 링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접촉부(541)도 상기 이동바디(510)의 중단 또는 하단에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는 단수(1개)로 구비되어도 상기 저점접촉부(545)와 상기 제1접촉부(541)에 모두 접촉하면서, 상기 이동부(500)의 위치 또는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도16(a)와 같이,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 위치하면, 상기 저점접촉부(545)는 상기 센서부(900)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900)는 가압되어 on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500)가 상승하면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저점접촉부(545)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1접촉부(541)에서도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제어부에 off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승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16(b)와 같이,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에 위치하면,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제1접촉부(541)에 접촉될 수 있다. 센서부(900)는 가압되어 on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다시, 상기 이동부(500)가 하강하면,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저점접촉부(545)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1접촉부(541)에서도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제어부에 off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가 하강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 관점에서는 on/off 신호가 반복적으로 수신되고, on 신호가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에 있다는 고점신호인지, 저점에 있다는 저점신호인지를 분간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상태를 고점과 저점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어부의 최초 off에서 on을 저점 또는 고점으로 연산하도록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는 추후 on 신호가 이동부(500)가 고점 또는 저점 중 어느 것에 있다는 신호인지를 분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상기 센서부(900)가 접촉하여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보다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도17는 센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구동부(100)의 직경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커플러(400) 또는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 또는 저점에 위치하는 것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센서부(9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의 상단과 하단에 모두 접촉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로터(120)는 상기 구동부(100) 내측에 위치하므로, 상기 센서부(900)가 충분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하우징(300)에 결합되어 있는 제1센서부(940)와,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되어 있는 제2센서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940)는 상기 안내하우징(310)의 하면 또는 상기 기어하우징(32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부(950)는 상기 로터(120) 또는 상기 부싱부(160)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센서부(940)에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가 접촉하면,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에 위치하고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에서 이격되었다는 것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센서부(950)에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가 접촉하면,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 위치하고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300)이 상기 구동부(100)에 연결되었다는 것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940)와 상기 제2센서부(950)는 접촉센서 또는 스위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18는 센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의 상단과 하단에 모두 접촉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케이스(600) 내부에 수용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케이스(600) 내부에 배치되면 상기 이동부(500)와 상기 커플러(400)에 더 접촉하기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에는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배치되는 것이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900)를 연결하는 배선을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상부커버(660)에 결합되어 있는 제1센서부(940)와, 상기 케이스(600)에 결합되어 있는 제2센서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940)는 상부바디(661)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661)는 상기 제1센서부(940)가 고정될 수 있는 센서 설치부(6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부(950)는 상기 안착바디(624)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센서부(940)에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가 접촉하면,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에 위치하고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에서 이격되었다는 것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센서부(950)에 상기 이동부(500) 또는 상기 커플러(400)가 접촉하면, 상기 이동부(500)가 저점에 위치하고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300)이 상기 구동부(100)에 연결되었다는 것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부(940)와 상기 제2센서부(950)는 접촉센서 또는 스위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 클러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수용바디(610)의 하단에서 확장되어 상기 이동바디(51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안착바디(624)과, 상기 안착바디(624)에서 상기 수용바디(610)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외부바디(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바디(510)는 상기 외부바디(620)와, 상기 수용바디(610) 사이에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수용바디(610) 외부에서 상기 결합부(630)와 이격되어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900)가 안착되는 설치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는 상기 결합부(630)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엑츄에이터(800)가 안착되는 모터설치부(650)와, 상기 모터설치부(650)에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900)가 안착되는 센서설치부(6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케이스(600)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이동부(500)의 위치를 직접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이동부(500)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부(500)를 승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의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가 높이가 가변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이동바디(510)에서 돌출되거나 또는 함몰되어 하부에 단차를 발생시켜 상기 승강리브(620)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리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52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일면 또는 내주면에서 상기 이동바디(5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되는 상승지지부(522)와, 상기 이동바디(510)의 일면 또는 내주면에서 상기 이동바디의 회전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승강리브(640)에 지지되는 하강지지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리브(640)는 상기 수용바디(610)의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상승지지부(522)와 상기 하강지지부(524)도 상기 승강리브(640)의 개수 및 배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승강리브(640)는 높이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승강리브(640)는 상기 수용바디(610)를 기준으로 동일각도 이격되어 상기 이동부(50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상승지지부(522)와 상기 하강지지부(524)도 상기 승강리브(64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50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상승지지부(522)가 상기 수용리브(640)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이동바디(510)는 상승할 수 있고, 상기 하강지지부(524)가 상기 수용리브(640)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면 상기 이동바디(510)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도부(620)는 상기 상승지지부(522)의 하부과 상기 하강지지부(52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디의 높이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저점지지부(521)와, 상기 상승지지부(522)의 상부와 상기 하강지지부(524)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디(510)의 높이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고점지지부(5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점지지부(521)에 상기 수용리브(620)가 지지되면 상기 이동바디(510)는 하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점지지부(523)에 상기 수용리브(620)가 지지되면 상기 이동바디(510)는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저점지지부(521)는 지면과 나란하게 일정거리 이상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디(510)가 상승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400)는 상기 이동바디(510)와 함께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구동부(1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점지지부(523)는 상기 저점지지부(521)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부(500)가 안정적으로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저점지지부(521)와 상기 상승지지부(522), 상기 고점지지부(523)과, 상기 하강지지부(524)는 리브 형태로 상기 이동바디(5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커플러(400)를 지지하는 커플러지지부(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지지부(55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부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승강유도부(52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리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지지부(55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상단 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커플러(4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지지부(55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커플러(40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일면에서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디(510)를 회전시키는 기어이(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모터설치부(650)에 안착되어 설치높이가 고정되므로, 상기 기어이(530)는 상기 이동바디(510)가 승강하더라도 상기 엑츄에이터(800)에 지속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이동바디(510)의 둘레를 따라 폭 또는 높이가 가변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이(530)는 상기 상승지지부(522)와, 저점지지부(521)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폭 또는 높이가 커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강지지부(524)와 상기 고점지지부(523)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폭 또는 높이가 작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기어이(530)가 상기 이동부(500)의 승강과 무관하게 상기 엑츄에이터(800)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어이(530)는 상기 접촉부(530)의 외면 또는 표면에 세레이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이동바디(510)가 상기 케이스(600)에서 상승할 때 상기 센서부(900)와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디(510)가 상기 케이스(600)에서 하강하면 상기 센서부(900)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센서부(900)와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커플러(400)를 승강시키는 동력전달부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센서부에 접촉하는 캠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20는 상기 센서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0(a)를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바디(510)가 고점에 있을 때 접촉하기 시작하는 제1접촉부(541)와, 상기 제1접촉부(541)에서 상기 이동바디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동바디(510)가 특정 높이 이하로 하강할 때 상기 센서부(900)와 이격되는 제3접촉부(5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기어이(53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제1접촉부(531)에서 상기 제3접촉부(533)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접촉부(532)와, 상기 제3접촉부(533)에서 상기 기어이(530)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하강접촉부(5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32)는 상기 제1접촉부(531)에서 상기 제3접촉부(533)를 향하여 연장될수록 폭 또는 너비가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532)의 상단이 형성하는 경사는 상기 하강지지부(524)와 대응되는 경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강접촉부(546)는 상기 제3접촉부(533)에서 상기 기어이(53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강접촉부(546)는 상기 센서부(900)와 접촉 자체를 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제1접촉부(541)에 접촉하면, 상기 이동부(500)가 하강할 때 상기 제2접촉부(542)는 상기 센서부(900)가 상기 접촉부(540)에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촉부(544)는 상기 이동바디(510)가 특정높이에 하강할 때까지 상기 센서부(900)가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접촉부(544)는 상기 이동바디(510)가 특정 높이 이하로 하강하면 상기 센서부(900)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높이는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로터(120)에 결합되기 시작하는 높이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접촉부(540)에 접촉되면,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하우징(300)와 상기 구동부(100)를 서로 분리시켰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탈수행정을 제외한 세탁, 헹굼행정에서 드럼(30)과 교반부(40)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접촉부(540)와 이격되면,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하우징(30)과 상기 구동부(1000를 서로 연결하였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세탁, 헹굼행정에서 드럼(30)과 교반부(4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540)는 상기 제3접촉부(544)와 상기 하강접촉부(546)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강접촉부(546) 보다 더 급한 경사로 연장되는 단차접촉부(5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접촉부(545)는 상기 접촉부(540)와 상기 센서부(900)를 급격하게 분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off 신호로 신속히 전환되어, 상기 커플러(400)가 상기 로터(120)와 상기 하우징(300)을 결합시켰다는 사실을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단자설치부(670)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부(500)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접촉단자(910,920, 9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910,920, 930)는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전기신호가 전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910,920,930)는 상기 센서설치부(670)에서 상기 이동바디(510)의 외주면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910,920,930)는 상기 접촉부(540)에는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지만, 상기 이동바디(510)의 외주면에는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910,920,930)는 상기 단자설치부(65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단자결합부(b)에서 상기 접촉부(530)를 향하여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910,920,930)는 상기 일면에서 상기 접촉부(540)를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접촉부(540)와의 접촉을 더 유도하는 접촉유도부(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910,920,930)는 상기 센서설치부(670)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부(540)에 의해 접촉되면 상기 케이스(600)의 외부를 향하여 휘어지도록 구비되는 제1단자(910)와, 상기 제1단자(910)에서 상기 케이스(600)의 외부를 향하여 이격되어 상기 제1단자(910)가 상기 케이스(600)의 외부를 향하여 휘어지면 상기 제1단자(910)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제2단자(9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자(910)는 상기 제2단자(920)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단자(910)는 상기 제2단자(920) 보다 휘어지는 길이가 더 클 수 있다.
도20(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자(910)가 상기 접촉부(540)에 접촉되면, 상기 제1단자(910)는 상기 제2단자(920)를 향하여 휘어지게 되고, 상기 제1단자(910)와 상기 제2단자(920)는 서로 접촉된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제1단자(910)와 상기 제2단자(920)가 전기적으로 연통되거나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부(530)가 상기 제1단자(910)에 접촉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910)의 접촉유도부(a)가 상기 접촉부(530)에 접촉되면, 상기 제2단자(920)의 접촉유도부(a)가 상기 제1단자(641)에 접촉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920)의 접촉유도부(a)의 위치는 상기 제1단자(910)의 접촉유도부(a)와 마주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20(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자(910)는 상기 제1접촉부(541), 상기 제2접촉부(542)의 일부와 상기 제3접촉부(544)에는 접촉되지만, 상기 하강접촉부(546)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기어이(530)에는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는 저점에 배치되면 상기 센서부(900)는 아직 상기 제1단자(641)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0)가 회전하여 상기 제1접촉부(541)는 점점 상기 제1단자(910)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단자(910)는 상기 제1접촉부(541)에 접촉되고 상기 제2단자(920)를 향하여 휘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단자(910)의 접촉유도부(a)는 상기 제1접촉부(541)에 접촉되고 상기 제1접촉부(541)를 따라 이동하다가 점점 가압되어 상기 제2단자(920)를 향하여 휘어져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까지 상승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19(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500) 하강하여 상기 제3접촉부(544)에 상기 제1단자(910)의 접촉유도부(a)가 도달하면, 상기 제1단자(910)가 상기 제2단자(920)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단자(920)는 상기 제1단자(910)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까지, 상기 제2단자(920)의 접촉유도부(a)는 상기 제1단자(91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단자(910)와 상기 제2단자(920)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가 고점에 도달한 뒤 커플러(400)가 상기 구동부(100)에 결합되기 직전까지 하강하고 있는 것까지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제2단자(920)에서 케이스(600) 외부를 향하여 이격되는 제3단자(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단자(930)는 상기 제1단자(910)와 상기 제2단자(910)에 각각 전기를 전달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3단자(930)에 전달되는 전기신호는 상기 제1단자(910)와 상기 제2단자(920)가 접촉하면 센서부(900) 전체로 전달 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900)는 상기 이동부(500)의 상승 여부를 물리적인 방식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20(c)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자(910)는 상기 제2단자(920) 보다 길게 구비되므로, 자유단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600)는 상기 제1단자(910)의 자유단 하부를 지지하는 단자지지부(5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지지부(547)는 상기 이동부(500)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센서부(900)는 전술한 실시예 들의 센서부 구조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도2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엑츄에이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a)를 참조하면, 상기 엑츄에이터(800)는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는 동력생성부(810)와, 상기 동력생성부(810)와 상기 이동부(500)에 맞물려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키는 전달부(8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생성부(810)는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811)와, 상기 구동모터(811)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축(8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820)는 상기 모터설치부(650)에 안착되어 상기 전달기어(822)가 상기 이동부(500)의 기어이(530)에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동력생성부(810)은 상기 케이스(600) 또는 상기 상부커버(6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전달부(820)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축(812)는 상기 이동부(500)의 기어이(540)에 맞물려 직접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동력생성부(810)의 출력이 충분하더라도 동력축(812)이 상기 이동부(500)의 기어이(540) 보다 직경이 작아 상기 이동부(500)를 상승시키도록 회전하는 토크가 부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달부(820)는 상기 동력축(812) 보다 느린 rpm으로 회전하지만 토크를 더 향상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820)는 상기 동력축(812)과 상기 이동부(500)에 맞물려 회전하되 상기 동력축(812)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축(812)는 상기 전달부(820)에 맞물려 회전하는 축기어(8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기어(813)는 상기 동력축(8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선 형태로 구비되는 웜기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축(812)에서 발생하는 출력을 강한 토크로 상기 전달부(8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820)는 상기 구동모터에 맞물려 회전하는 전달바디(8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바디(821)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주면에 상기 동력축(812)과 맞물려 회전하는 축결합부(8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8211)는 상기 축기어(813)에 맞물려 회전하는 세레이션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바디(821)는 상기 이동부(500)에 직접 맞물려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부(500)에 더 큰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전달부(820)는 상기 전달바디(821)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전달기어(8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기어(822)는 상기 이동부(500)의 일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웜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생성부(810)에서 발생한 동력은 토크가 더욱 증폭되어 상기 이동부(500)의 기어이(53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이동부(500)와 상기 커플러(400)의 하중을 극복하여 상기 이동부(500)를 승강시키며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상기 동력생성부(810)가 직접 상기 이동부(500)의 기어이(530)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부(500)를 회전시키며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82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접선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동바디(510)의 하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생성부(810)는 상기 이동바디(510)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생성부(810)와 상기 전달부(820)를 다른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어, 상기 엑츄에이터(800)의 설치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21(b)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생성부(810)와 상기 전달부(82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차지하는 전체 부피를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500)가 구속되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엑츄에이터(800)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동력생성부(810)는 상기 동력축(812)을 회전시키려고 하지만,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하우징(300) 등에 구속되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력축(812)도 구속되는 경우, 상기 동력생성부(810)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달기어(822)는 상기 전달바디(8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20 터브 30 드럼
40 교반부 50 급수부
60 배수부 C 클러치부
200 회전축 300 하우징
400 커플러 500 이동부
600 케이스 700 복원부
800 엑츄에이터
20 터브 30 드럼
40 교반부 50 급수부
60 배수부 C 클러치부
200 회전축 300 하우징
400 커플러 500 이동부
600 케이스 700 복원부
800 엑츄에이터
Claims (25)
- 물을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교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구동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드럼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부와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가 안착되어 상기 커플러를 승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커플러 또는 상기 이동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커플러 또는 상기 이동부의 높이 또는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이동부를 승강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 내부에 위치하는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구동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플러 또는 상기 이동부의 승강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가 고점과 저점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와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가 고점과 저점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가 고점과 저점 중 나머지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가 제1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1높이 보다 낮은 제2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높이에서 제2높이로 하강할 때까지 상기 이동부와 접촉이 유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높이에서 상기 제1높이로 상승할 때 까지는 상기 이동부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이동부를 승강시키도록 구비되는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엑츄에이터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 또는 상기 커플러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가 제1높이에 도달하거나, 상기 제1높이 보다 낮은 제2높이 중 적어도어느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가 제1높이에 도달하거나, 상기 제1높이 보다 낮은 제2높이에 도달할 때 모두 상기 이동부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이동부를 승강시키도록 구비되는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커플러를 지지하며 상기 엑츄에이터에 승강하는 이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바디의 일측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바디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바디는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바디가 승강할 때 상기 접촉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이동부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이동바디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바디가 고점에 도달할 때 상기 제1접촉부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접촉부에서 상기 이동바디의 상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바디가 하강할 때 상기 제2접촉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접촉부에서 상기 이동바디의 상단을 따라 연장되는 제3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바디가 하강할 때 상기 제3접촉부에 접촉되다가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3접촉부에서 상기 제2접촉부 보다 더 급한 경사로 상기 이동바디의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차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바디가 하강하면 상기 단차접촉부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돌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승강하도록 안착되되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케이스에 상기 이동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이동부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부를 승강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부가 특정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물을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교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구동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드럼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부와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가 안착되어 상기 커플러를 승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 또는 이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기어부에 결합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서 상기 이동부의 측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물을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교반부;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교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하나 이상에 상기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구동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드럼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부와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서 승강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가 안착되어 상기 커플러를 승강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단수(1개)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가 고점과 저점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와 접촉되고,
상기 이동부가 고점과 저점 중 나머지 하나에 도달하면 상기 이동부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2851A KR102521287B1 (ko) | 2020-12-24 | 2020-12-24 | 의류처리장치 |
CN202111598628.2A CN114672957A (zh) | 2020-12-24 | 2021-12-24 | 衣物处理装置 |
AU2021290395A AU2021290395B2 (en) | 2020-12-24 | 2021-12-24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US17/562,591 US20220205160A1 (en) | 2020-12-24 | 2021-12-27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2851A KR102521287B1 (ko) | 2020-12-24 | 2020-12-24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1792A KR20220091792A (ko) | 2022-07-01 |
KR102521287B1 true KR102521287B1 (ko) | 2023-04-13 |
Family
ID=8207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2851A KR102521287B1 (ko) | 2020-12-24 | 2020-12-24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05160A1 (ko) |
KR (1) | KR102521287B1 (ko) |
CN (1) | CN114672957A (ko) |
AU (1) | AU2021290395B2 (ko) |
Family Cites Families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91556A (en) * | 1979-05-04 | 1981-09-29 | Whirlpool Corporation | Automatic washer transmission shift mechanism |
US4387580A (en) * | 1980-12-19 | 1983-06-14 | Whirlpool Corporation | Automatic washer energy absorbing spin delay mechanism |
US4566295A (en) * | 1982-12-22 | 1986-01-28 | Whirlpool Corporation | Neutral pump-out for automatic washer |
US4430871A (en) * | 1982-12-22 | 1984-02-14 | Whirlpool Corporation | Neutral pump-out for automatic washer |
KR100229135B1 (ko) * | 1997-02-18 | 1999-11-01 | 윤종용 |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
JPH1133278A (ja) * | 1997-07-18 | 1999-02-09 | Toshiba Corp | 洗濯機 |
KR100268263B1 (ko) * | 1998-01-31 | 2000-10-16 | 윤종용 | 직결식 세탁기의 모터-클러치 조립체 |
TW503288B (en) * | 1999-03-26 | 2002-09-21 | Toshiba Corp | Washing machine serving also for dehydration |
KR20020058548A (ko) * | 2000-12-30 | 2002-07-12 | 구자홍 |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
JP3907159B2 (ja) * | 2001-05-25 | 2007-04-1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洗濯機 |
JP4511169B2 (ja) * | 2001-06-12 | 2010-07-28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全自動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
KR100393802B1 (ko) * | 2001-06-27 | 2003-08-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의 반발식 클러치장치 |
KR100463545B1 (ko) * | 2002-12-23 | 2004-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세탁기 |
AU2004210281B2 (en) * | 2003-02-06 | 2009-09-10 | Lg Electronics Inc. | Waching machine |
KR20050037692A (ko) * | 2003-10-20 | 2005-04-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MX2007002852A (es) * | 2007-03-08 | 2008-09-17 | Mabe Mexico S De R L De C V | Sistema de embrague para lavadora. |
KR20100083507A (ko) * | 2009-01-14 | 2010-07-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용 커플링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
KR101422570B1 (ko) * | 2009-07-31 | 2014-07-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WO2012074269A2 (en) * | 2010-12-02 | 2012-06-07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achine |
CN102619070B (zh) * | 2011-01-30 | 2016-02-03 | 常州至精精机有限公司 | 一种搅拌式洗衣机传动总成 |
KR101907163B1 (ko) * | 2012-02-03 | 2018-1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클러치 어셈블리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
US8857227B2 (en) * | 2012-02-13 | 2014-10-14 | General Electric Company | Status sensor for a clutch o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
WO2015009104A1 (ko) * | 2013-07-19 | 2015-01-22 | 주식회사 아모텍 | 세탁기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
JP6210854B2 (ja) * | 2013-11-14 | 2017-10-11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
JP6454568B2 (ja) * | 2015-02-25 | 2019-01-16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クラッチ機構および洗濯機用モータユニット |
JP6777379B2 (ja) * | 2015-04-10 | 2020-10-28 |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 洗濯機 |
US10662569B2 (en) * | 2015-10-06 | 2020-05-26 | New Motech Co., Ltd. | Driving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
JP6750161B2 (ja) * | 2015-12-01 | 2020-09-02 |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 ドラム式洗濯機 |
DE102017202889B4 (de) * | 2016-02-22 | 2018-09-27 | Borgwarner Inc. | Verriegelungsverteilergetriebe |
KR102507670B1 (ko) * | 2016-02-23 | 2023-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
US10087566B2 (en) * | 2016-03-09 | 2018-10-02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indexing tang clutch |
KR102411119B1 (ko) * | 2017-11-29 | 2022-06-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JP2019127984A (ja) * | 2018-01-24 | 2019-08-01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
JP2019127983A (ja) * | 2018-01-24 | 2019-08-01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
KR102045004B1 (ko) * | 2018-02-23 | 2019-1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의 제어방법 |
KR102410219B1 (ko) * | 2018-04-27 | 2022-06-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217539B1 (ko) * | 2018-12-28 | 2021-0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
US20200332454A1 (en) * | 2019-04-18 | 2020-10-22 | Nidec Sankyo Corporation | Clutch actuator unit and washing machine |
-
2020
- 2020-12-24 KR KR1020200182851A patent/KR10252128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2-24 AU AU2021290395A patent/AU2021290395B2/en active Active
- 2021-12-24 CN CN202111598628.2A patent/CN114672957A/zh active Pending
- 2021-12-27 US US17/562,591 patent/US20220205160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1792A (ko) | 2022-07-01 |
AU2021290395A1 (en) | 2022-07-14 |
CN114672957A (zh) | 2022-06-28 |
AU2021290395B2 (en) | 2023-10-05 |
US20220205160A1 (en) | 2022-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91115B1 (en) | Washing machine | |
CN101142355B (zh) | 用于洗衣或干衣机的蒸汽发生装置的水位传感器及具有该水位传感器的蒸汽发生装置 | |
KR102480296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2128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480298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48029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0897402B1 (ko) | 전자동 세탁기 및 그 모터 | |
US20210372023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0486603Y1 (ko) | 세탁물 상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 |
CN116888320A (zh) | 衣物处理设备 | |
KR100898164B1 (ko) | 전자동 세탁기 및 그 모터 | |
US20240084496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0745715B1 (ko) | 세탁기의 제어방법 | |
KR100917910B1 (ko) | 전자동 세탁기 및 그 모터 | |
KR20190050221A (ko) | 세탁기 | |
CN112105774A (zh) | 洗涤物处理设备用部件驱动装置及包括该装置的洗涤物处理设备 | |
KR20190050220A (ko) | 세탁기 | |
KR20190056949A (ko) | 세탁기 | |
KR20180112964A (ko) |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