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73B1 - Tpa 부재,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Tpa 부재,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73B1
KR102520973B1 KR1020210018480A KR20210018480A KR102520973B1 KR 102520973 B1 KR102520973 B1 KR 102520973B1 KR 1020210018480 A KR1020210018480 A KR 1020210018480A KR 20210018480 A KR20210018480 A KR 20210018480A KR 102520973 B1 KR102520973 B1 KR 102520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pa member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t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4893A (ko
Inventor
진장범
박종덕
홍사철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10018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973B1/ko
Priority to US18/275,222 priority patent/US20240072492A1/en
Priority to JP2023547772A priority patent/JP2024506317A/ja
Priority to PCT/IB2022/050698 priority patent/WO2022172112A1/en
Priority to CN202280014159.1A priority patent/CN116868452A/zh
Publication of KR2022011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893A/ko
Priority to KR1020230044028A priority patent/KR20230052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01R13/4368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단자 수용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의 외측에 장착되어 단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TPA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TPA 부재는 상기 TPA 부재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TPA 부재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은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과 래치 결합된다.

Description

TPA 부재,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는 wire-to-wire 전기 커넥터 또는 wire-to-board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자(터미널,terminal)가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바람직한 삽입 위치를 유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단자 위치 보증(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부재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기 커넥터는 암수 커넥터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 각각에 삽입되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단자를 포함한다. 단자(터미널)의 불완전한 삽입 또는 불완전한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 감지하고 바람직한 단자 결합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TPA 부재 (또는 단자 위치 보증 부재, 단자 보유부, 보조 잠금부라고 한다)가 알려져 있다.
TPA 부재의 사용을 통해, TPA 부재의 불완전한 결합 상태를 확인함으로써하나 이상의 단자가 완전히 장착되지 않은 것을 감지할 수 있고, 불완전하게 삽입된 단자를 정위치시키기 위해 TPA 부재 자체가 불완전하게 삽입된 단자를 바람직한 삽입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단자의 바람직한 위치 보장 및 단자 간의 결합 보장을 위해 TPA 부재의 사용이 요구되나, TPA 부재의 사용은 부품을 증가시키고 조립 공정이 증가되어, 그에 따라 비용이 상승하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2370호(2009년 3월 4일 공개)는 하나의 TPA 부재가 2개의 커넥터 하우징에 모두 결합되는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는데, TPA부재는 커넥터 하우징과 별도의 부재로 제조된 후, 추가 공정으로 커넥터 하우징에 조립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립 공정으로 인하여 여전히 시간 및 비용 면에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커넥터 하우징 및 TPA 부재의 조합으로 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제시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2370호 (2009년 3월 4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수가 적고 제조 및 조립 공정이 단순한 TPA 부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전기 커넥터는 단자 수용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의 외측에 장착되어 단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TPA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TPA 부재는 상기 TPA 부재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TPA 부재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은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과 래치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TPA 부재가 상기 하우징으로의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TPA 부재는 상기 TPA 부재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은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래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TPA 부재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지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TPA 부재는 하나의 사출금형에서 한번에 사출 성형되어 그대로 상기 예비 장착 위치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TPA 부재가 상기 예비 장착 위치에서 최종 장착 위치로 이동시 상기 TPA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TPA 부재는 상기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치형부를 더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의 각각은 그 내부에 상기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에 장착된 후 상기 단자의 수용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탈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핑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치형부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의 상기 핑거부와 협동 작용하여 상기 단자의 상기 수용 방향의 전후로의 이탈 또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와 마주하는 측에 별도의 다른 전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팅부와 동일한 형상의 커넥팅부를 갖는 상기 다른 전기 커넥터와 서로 회전 대칭인 상태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는 제1 그룹의 단자 수용 개구부와 제2 그룹의 단자 수용 개구부가 상하로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암형 래치부와 그와 마주하는 타측에 수형 래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형 래치부는 캐스캐이드 형상의 굴곡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PA 부재는 전기 커넥터의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외측에 장착되어 복수의 단자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상기 TPA 부재는 상기 TPA 부재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하우징의 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TPA 부재는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은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래치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TPA 부재는, 상기 TPA 부재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하우징의 바닥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래치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 및 상기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치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치형부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단자의 수용 방향의 전후로의 이탈 또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전기 커넥터; 상기 전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전기 전도성의 단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전기 커넥터와 동일한 형상의 다른 전기 커넥터와 서로 회전 대칭인 상태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과 TPA를 예비 장착 위치에서 하나의 공정으로 동시에 사출 성형할 수 있고, 최종 장착 위치로 TPA를 쉽게 장착 시킬 수 있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켜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과 TPA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을 때 그 예비 장착 위치로부터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TPA가 하우징과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유리한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면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로서, 하우징과 TPA 부재가 완전 분리된 상태의 전기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1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의 사시도로서, 하우징과 TPA 부재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는 상태의 전기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기 커넥터(1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기 커넥터(10)를 TPA 부재가 있는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단자(90)와 함께 도시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의 측면도로서, 하우징과 TPA 부재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는 전기 커넥터(10)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기 커넥터(10)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전기 커넥터(10)의 사시도로서, 예비 장착 위치에 있는 TPA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음을 도시한 전기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전기 커넥터(10)에서 단자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예비 장착 위치로부터 최종 장착 위치에 이를 때까지의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 사시도로서, 단자를 고정시키는 핑거부(113)을 함께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전기 커넥터(10)의 측면도 및 부분 단면도로서 전기 커넥터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을 때 단자가 하우징 내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부분 단면도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50)의 대응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전기 커넥터(10)의 측면도 및 부분 단면도로서 단자가 하우징 내로 삽입된 후 하우징과 TPA 부재가 최종 장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부분 단면도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50)의 대응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복수의 단자가 장착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가 그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다른 전기 커넥터(C10)와 서로 회전 대칭인 상태로 배치되어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한 쌍의 전기 커넥터가 서로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한 쌍의 전기 커넥터를 라인 S1-S1'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한 쌍의 전기 커넥터를 라인 S2-S2'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30)로서, 하우징과 TPA 부재가 완전 분리된 상태의 전기 커넥터(30)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30)로서, 하우징과 TPA 부재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는 상태의 전기 커넥터(30)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전기 커넥터(3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전기 커넥터(30)를 예비 장착 위치에 있을 때 라인 S3-S3'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전기 커넥터(30)가 최종 장착 위치에 있을 때 라인 S3-S3'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50)로서, 하우징과 TPA 부재가 완전 분리된 상태의 전기 커넥터(50)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50)의 사시도로서, 하우징과 TPA 부재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는 상태의 전기 커넥터(50)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전기 커넥터(50)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복수의 단자가 장착된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50)가 그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다른 전기 커넥터와 서로 회전 대칭인 상태로 배치되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XYZ 직교 좌표 상에서 실시예들의 각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각 축 방향(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 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 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기준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각 방향은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로서, 하우징(100)과 TPA 부재(200)가 완전 분리된 상태의 전기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전기 커넥터(10)의 사시도로서, 하우징(100)과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는 상태의 전기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는 전기 커넥터(10), 상기 전기 커넥터(10)에 고정되는 전기 전도성의 단자(90)(도 8) 및 상기 단자(90)로부터 연장되는 도선(96)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10)는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TPA 부재(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과 TPA 부재(200)은 하나의 사출금형에서 한번에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출 성형 공정시, 하우징(100)과 TPA 부재(200)는 사출 성형을 종료함과 동시에 그대로 서로 예비 장착 위치로 배치되는 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00)과 TPA 부재(200)는 서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 구성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00)과 TPA 부재(200)가 완전 분리된 가상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전기 커넥터(10)는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110)를 갖는 하우징(100)과,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110)의 외측에 장착되어 복수의 단자(도시되지 않음)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TPA 부재(200)를 포함한다. TPA 부재(200)는 TPA 바디(220)와 TPA 바디(220)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하우징(100)의 측벽(Y축 방향에 수직한 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250, 260)을 포함한다. TPA 부재(200) 및 하우징(100)은 사출 성형 공정 및 예비 장착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간격(gap)을 갖도록 구성된다. TPA 부재(200)는 복수의 치형부(210)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TPA 부재(200)는 TPA 부재(200)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하우징(100)의 바닥부(-Z축 방향에 수직한 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TPA 부재(200)와의 예비 장착 위치에서 TPA 부재(200)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50)는 바닥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바닥부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Y축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가이드 리브(150)가 구비될 수 있다. TPA 부재(200)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230)은 가이드 리브(15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리브(150)에 대응하는 한 쌍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230)를 구비함으로써, TPA 부재(200)가 Z축을 중심으로 일정 수준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예비 장착 위치에서 TPA 부재(200)의 TPA 바디(220),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250, 260) 및 바닥 캔틸레버 아암(230)은 하우징(100)으로부터 간격을 갖고 하우징(100)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우징(100)과 TPA 부재(200)은 하나의 사출금형에서 한번에 사출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복수의 치형부(210) 각각은 TPA 부재(200)의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110)의 외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치형부(210)의 각각은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도 5)에서 최종 장착 위치(도 11)로 상기 하우징(100)에 대해 상대 이동을 함에 따라 하우징(100)의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110)의 각각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단자 수용 개구부(110)는 각각 단자 안착부(111)를 가질 수 있다. 단자(90)가 하우징(100)의 단자 수용 개구부(110)의 통로 내로 삽입되면 단자(90)는 단자 안착부(111)에 위치된다. 단자(90)가 단자 안착부(111)에 위치된 상태에서,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에서 최종 장착 위치로 하우징(100)을 향해 상대 이동하여 하우징(100)에 체결됨으로써, TPA 부재(200)는 단자(90)가 단자 안착부(11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6 및 도 7은 단자(90)와 함께 도시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의 측면도로서, 하우징(100)과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는 전기 커넥터(10)를 도시한다. 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 개구부(110)에 의해 형성된 통로의 2개 열의 어레이(110a, 110b)를 가질 수 있다. 단자 수용 개구부의 어레이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복수의 열을 가진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90)는 별개의 다른 전기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접촉부(91), 접촉부(9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92), 단자(90)를 도선(96)에 고정시키는 도선 고정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단자(90)에 전기 전도성 도선부를 가진 도선(96)이 연결된다. 단자(90)는 후술할 하우징(100)의 핑거부(113)(도 9)와 결합되는 단자 홀더(94)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홀더(94)는 금속 재질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서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을 때, 단자 어레이(90)가 하우징(100) 내로 삽입된다.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을 때 또는 단자 어레이(90)가 하우징(100) 내로 삽입되는 동안, TPA 부재(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하우징(100)은 걸림 턱(160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의 걸림 턱(160a)은 TPA 부재(200)가 하우징(100)으로의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거나 또는 도면을 보는 방향에서 Y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상으로 회전하는 방지함으로써,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 턱(160a)은 하우징(100)의 좌우 측벽(Y축 방향에 수직한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도 6)에서 최종 장착 위치(도 11)로 하우징(100)을 향해 상대 이동을 하면, TPA 부재(200)의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250, 260) 및 바닥 캔틸레버 아암(230)은 각각 그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우징의 측벽(Y축 방향의 측벽, -Z축 방향의 측벽)과 래치(latch) 결합한다. 래치 결합을 위한 래치 수단은 하우징의 측벽에 구비되고 캔틸레버 아암은 오목부나 홀(hole) 또는 슬리브(sleeve)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래치 결합을 위한 래치 수단은 하우징에 오목부, 홀, 또는 슬리브가 형성되고, 캔틸레버 아암에 후크 형상의 래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래치 결합은 그 밖의 다양한 방식의 가요성 및 비가요성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래치(170a, 170b, 170c, 170d)가 하우징의 측벽에 구비되고 캔틸레버 아암(250, 260, 230)은 상기 래치와 결합되는 홀을 구비한다. 래치(170a, 170b, 170c, 170d)는 예비 장착 위치에서 걸림 턱(160a)과 마찬가지로 TPA 부재(200)가 도면을 보는 방향에서 Y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상으로 회전하는 방지함으로써,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TPA 부재(200)의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250, 260)는 회전 시 래치(170a, 170b)에 보다 잘 저지될 수 있도록 그 단부에 돌출된 노우즈(nose)(271, 272)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TPA 부재(200)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230)은 그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우징(100)의 바닥면(-Z축 방향에 수직한 면)과 래치 결합으로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 캔틸레버 아암(230)에 형성된 홀이 하우징(100)에 형성된 래치(170c, 170d)와 체결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래치(170a, 170b, 170c, 170d)는 +X축 방향을 바라보는 체결 면(171a, 171b, 171c, 171d)을 포함하고, TPA 부재(200)는 상기 체결 면에 대응하도록 -X축 방향을 바라보는 체결 대응 면(251a, 251b, 251c, 251d)을 포함한다. 하우징(100)과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체결 대응 면(251a, 251b, 251c, 251d)은 체결 면(171a, 171b, 171c, 171d)에 대해 -X축 방향에 위치하고, 하우징(100)과 TPA 부재(200)가 최종 장착 위치에 있을 때 TPA 부재(220)의 체결 대응 면(251a, 251b, 251c, 251d)은 래치의 체결 면(171a, 171b, 171c, 171d)에 접촉하여 걸림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래치(170a, 170b, 170c, 170d)에 체결 면(171a, 171b, 171c, 171d)이 형성되나, 상기 체결 면은 상기 하우징의 오목부 또는 단차 등 다양한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TPA 부재(200)의 체결 대응 면(251a, 251b, 251c, 251d)은 캔틸레버 아암(250, 260, 230)의 상기 홀의 +X축 방향의 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이나, 후술하는 제2 실시예(도 16 내지 도 19)와 같이 TPA 부재의 상기 체결 대응 면은 상기 캔틸레버 아암의 후크 등 다양한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로부터 최종 장착 위치로 이동할 때 TPA 부재(200)의 체결 대응 면(251a, 251b, 251c, 251d)이 체결 면(171a, 171b, 171c, 171d)으로 안내되도록, 제1 실시예와 같이 래치(170a, 170b, 170c, 170d)의 -X축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체결 안내용 경사면(173a, 173b, 173c, 173d)이 형성되거나(도 1 및 도 2), 후술하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상기 캔틸레버 암의 +X축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체결 안내용 경사면(453a, 453b)이 형성될 수 있다(도 18 및 도 19). 일 예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체결 안내용 경사면(173a, 173b, 173c, 173d)은 +X축 방향으로 갈수록 래치(170a, 170b, 170c, 170d)의 돌출 방향으로 높아지게 형성되어, TPA 부재(200)의 체결 대응 면(251a, 251b, 251c, 251d)이 래치(170a, 170b, 170c, 170d)를 +X축 방향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걸림 턱(160a)은 +X축 방향을 바라보는 제한 면(161)을 포함하고, TPA 부재(200)는 제한 면(161)에 대응하도록 -X축 방향을 바라보는 제한 대응 면(255)을 포함한다. 하우징(100)과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제한 대응 면(255)은 제한 면(161)에 대해 +X축 방향에 위치한다. 상기 예비 장착 위치에서 TPA 부재(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한 면(161)은 제한 대응 면(255)에 접촉하여 TPA 부재(200)가 하우징(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래치 결합을 위한 구조를 갖는 실시예에서는, 래치의 체결 면(171a, 171b, 171c, 171d)과 TPA 부재의 체결 대응 면(251a, 251b, 251c, 251d)의 위치 관계가 X축 상에서 변경될 수 있도록 체결 안내용 경사면(173a, 173b, 173c, 173d)이 구비된다. 반면,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하우징(100)의 걸림 턱(160a)과 TPA 부재(200)의 대응 구조를 갖는 실시예에서는, 걸림 턱의 제한 면(161)과 TPA 부재의 제한 대응 면(255)의 위치 관계가 X축 상에서 변경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상술한 안내용 경사면에 해당하는 구조가 구비되지 않는다. 일예로, 가상의 분리 상태로 도시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걸림 턱의 제한 면(161)과 TPA 부재의 제한 대응 면(255)은 모두 X축에 수직한 면으로 형성되고, 걸림 턱(160a)의 -X축 방향의 면(163)과 가상의 분리 상태에서 면(163)에 마주하는 TPA 부재의 대응 표면(257)도 X축에 수직한 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 및 TPA 부재(200)는 소성 변형이나 파손 없이 예비 장착 위치(도 3)로부터 완전 분리 상태(도 1 및 도 2)로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 및 TPA 부재(200)는 소성 변형이나 파손 없이 완전 분리 상태(도 1 및 도 2)로부터 예비 장착 위치(도 3)로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하우징(100)은 TPA 부재(200)가 도면을 보는 방향에서 Y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턱(160b)을 포함한다. 회전 방지턱(160b)은 TPA 부재(200)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230)이 하우징(100)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TPA 부재(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 방지턱(160b)은 하우징(100)의 좌우 측벽(Y축 방향에 수직한 양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6의 전기 커넥터(10)에서 예비 장착 위치로부터 최종 장착 위치에 이를 때까지 단자(90)가 하우징(100) 내로 삽입되고(도 10) TPA 부재(200)가 하우징(100)에 체결되는(도 11) 과정을 도시한다. 도 9에서 하우징(100)의 단자 수용 개구부(110) 각각은 단자 수용 개구부(110)의 통로 안으로 삽입된 단자(90)를 고정시키기 위해 단자 홀더(94)와 결합되는 핑거부(113)를 구비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90)가 하우징(100) 내로 완전히 삽입되면, 핑거부(113)는 단자 홀더(94)에 끼워 맞춤될 수 있다. 도9(c)에서 핑거부(113)가 단자 홀더(94)와 결합된 후, TPA 부재(200)가 최종 장착 위치로 이동되어 하우징(100)에 결합되면, TPA 부재(200)의 치형부(210)는 하우징(100)의 핑거부(113)와 협동 작용하여 단자(90)가 수용 방향의 전후로의 이탈 또는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도 10(b) 및 도11(b)와 같이, 치형부는 하우징(100)의 핑거부(113)에 맞닿거나 근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서, 도 10(c) 및 도 11(c)와 같이, 치형부(210)는 하우징(100)의 핑거부(113)와 직접 닿지 않고, 단자 홀더(94)에만 맞닿거나 근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b) 및 도 11(b)에서, 상기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에서 최종 장착 위치로 이동시, 하우징(100)은 TPA 부재(200)의 치형부(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190)을 포함한다. 경사면(190)은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에서 최종 장착 위치로 이동시 TPA 부재(200)가 경사면(190)을 따라 활주하여 상승하도록 안내하여, TPA 부재(200)의 아암들(250, 260, 230)이 하우징의 래치(170a, 170b, 170c, 170d)를 넘어갈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0(c) 및 도 11(c)와 같이,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에서 최종 장착 위치로 이동시, TPA 부재(200)는 하우징(100)에 대한 TPA 부재(200)의 이동을 스스로 가이드 하는 경사부(290)를 가질 수 있다. TPA 부재(200)가 예비 장착 위치에서 최종 장착 위치로 이동시 TPA 부재(200)의 경사부(290)가 하우징(100)에 슬라이딩하여 TPA 부재(200)가 상승하도록 안내하여, TPA 부재(200)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230)이 하우징의 래치(170c, 170d)를 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TPA 부재(600)(도 21)도 상기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복수의 단자가 장착된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가 그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다른 전기 커넥터(C10)와 서로 회전 대칭인 상태로 배치되어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상기 한 쌍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 C1)가 서로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1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의 2개의 전기 커넥터(10)가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서로 결합 가능한 동일한 형상의 전기 커넥터(10)를 "젠더리스(Genderless) 커넥터"라 지칭할 수 있다.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를 개별 생산할 필요 없이, 젠더리스 커넥터를 통해 한 종류의 제품만을 생산하여 제조상의 비용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암수 구분없이 전기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젠더리스 커넥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전기 커넥터(10)에 대해 다른 하나의 전기 커넥터(C10)를 마주보게 배치하고 X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상기 한 쌍의 전기 커넥터(10, C10)는 서로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커넥터(10)의 하우징(100)은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110)와 마주하는 측에 별도의 다른 전기 커넥터(C10)와 결합되는 커넥팅부(130)를 포함한다. 도 13과 같이 전기 커넥터(10)는 커넥팅부(130)와 동일한 형상의 커넥팅부(130)를 갖는 다른 전기 커넥터(C10)와 서로 회전 대칭인 상태로 결합한다.
도 12에서, 하우징(100)은 복수의 단자(90)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팅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팅부(130)는 상하로 배치된 2열의 어레이(130a, 130b)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커넥팅부(130)의 어레이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복수의 열을 가진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4에서, 제1 열의 커넥팅부(130a)와 제2 열의 커넥팅부(130b) 사이에 갭(gap)(137) 및/또는 층막이(136)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에서 하우징(100)은 복수의 커넥팅부(130a, 130b) 중 서로 인접하는 2개 사이에 배치되는 칸막이(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팅부(130a) 각각은 칸막이(135)에 의해 구분되는 단자 수용 개구부(110)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0)의 하우징(100)의 갭(137)에 다른 전기 커넥터(C10)의 하우징(100)의 층막이(136)가 삽입될 수 있다. 칸막이(135), 갭(137) 및/또는 층막이(136)를 형성함으로써, 인접한 단자들 간의 절연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열의 커넥팅부(130a)는 모두 암형 커넥팅부로 형성하고, 제2 열의 커넥팅부(130b)는 모두 수형 커넥팅부로 형성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배치할 수도 있다.
도 12에서, 하우징(100)은 일측에 암형 래치부(145)와 그와 마주하는 타측에 수형 래치부(141)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 래치부는 캐스캐이드 형상의 굴곡부(141a)를 갖는다.
도 16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5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실시예에서, TPA 부재(400)와 하우징(300)의 결합 방식은 TPA 부재(400)의 캔틸레버 암에 후크가 구비되고 그와 대응되는 하우징(300)에 오목부 또는 단차가 형성된 구조이다. 도 16은 각 구성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300)과 TPA 부재(400)가 완전 분리된 가상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은 TPA 부재(400)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430)이 후크 형상을 구비하여 후크 결합 방식으로 하우징(300)과 결합되는 구조를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9 및 도 20은 TPA 부재(400)의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450, 460)이 후크 형상을 구비하여 후크 결합 방식으로 하우징(300)과 결합되는 구조를 구비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 21 내지 도 24을 참고하여,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5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50)로서, 하우징(500)과 TPA 부재(600)가 완전 분리된 상태의 전기 커넥터(50)를 도시한다. 도 21은 각 구성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500)과 TPA 부재(600)가 완전 분리된 가상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2 및 도 23은 하우징과 TPA 부재(600)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는 상태의 전기 커넥터(50)를 도시한다. TPA 부재(600)의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650, 660)은 각각 그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우징의 측벽(Y축 방향의 측벽)과 래치 결합한다.
전기 커넥터(50)의 하우징(500)은 1열의 어레이의 단자만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1열의 어레이의 단자 수용 개구부(510)를 갖는다. 단자 수용 개구부(510)와 마주하는 측에 별도의 다른 전기 커넥터(C50)와 결합되는 1열의 어레이의 커넥팅부(530)를 갖는다. TPA 부재(600)가 예비 장착 위치에 있을 때 또는 단자 어레이가 하우징(500) 내로 삽입되는 동안, TPA 부재(600)가 하우징(5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하우징(500)은 걸림 턱(560a)을 포함한다. 하우징(500)은 TPA 부재(600)가 도면을 보는 방향에서 Y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턱(560b)을 포함한다. 회전 방지턱(560b)은 하우징(500)의 좌우 측벽(Y축 방향에 수직한 양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50)는 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별도의 다른 전기 커넥터(C50)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젠더리스 커넥터일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50)와 동일한 형상을 다른 전기 커넥터(C50)와 서로 회전 대칭인 상태로 결합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전기 커넥터(50)는 칸막이(135) 및 층막이(136)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50)의 하우징(500)의 커넥팅부(530) 각각은 측벽의 높이의 절반 내지 그 이하만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팅부(530)의 측벽은 다른 전기 커넥터의 커넥팅부(530)의 측벽과 결합하여 단자 수용 개구부(510)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 30, 50)의 제조 시, 하우징(100, 300, 500)과 TPA 부재(200, 400, 600)를 동시에 사출성형하기 위하여 하우징(100, 300, 500)과 TPA 부재(200, 400, 600) 사이의 갭(gap)에 외부의 사출금형의 파트를 삽입시킬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100, 300, 500)과 TPA 부재(200, 400, 600)를 사출성형한 후 상기 사출금형의 파트를 제거하면 별도의 조립 공정 없이도 하우징(100, 300, 500)과 TPA 부재(200, 400, 600)가 상기 예비 결합 상태로 서로 별도의 부재로 성형될 수 있다.
하우징(100, 300, 500) 및 TPA 부재(200, 400, 600)는, TPA 부재(200, 400, 600)가 상기 상대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우징(100, 300, 500)과 TPA 부재(200, 400, 600) 사이의 갭(gap)은 외부의 사출금형을 이루는 복수의 파트 중 하나('칸막이 사출금형 파트'라 지칭될 수 있음)가 외부로부터 직선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공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 커넥터(10)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칸막이 사출금형 파트가 하우징(100, 300, 500) 및 TPA 부재(200, 400, 60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00, 300, 500) 및 TPA 부재(200, 400, 600)가 사출성형되어 경화된 후, 상기 칸막이 사출금형 파트를 외부로 직선 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상기 예비 장착 위치의 하우징(100, 300, 500) 및 TPA 부재(200, 400, 600)를 제조할 수 있다. 하우징(100, 300, 500) 및 TPA 부재(200, 400, 600) 사이의 상기 갭을 구성하는 모든 공간들은 각각 직선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칸막이 사출금형 파트(미도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갭을 구성하는 공간들 중 공간(g1)(도 19 참조)은 외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칸막이 사출금형 파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갭을 구성하는 공간들 중 공간(g2)(도 19 참조)은 외부로부터 +X축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칸막이 사출금형 파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PA 부재(200, 400, 600)는 예비 장착 위치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걸림 턱에 걸림되어 하우징(100, 300, 500)으로부터 이탈을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TPA 부재(200, 400, 600) 및 하우징(100, 300, 500)은 탄성 한계 범위 내의 변형을 통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TPA 부재(200, 400, 600) 및 하우징(100, 300, 500)이 예비 장착 위치가 아닌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별도로 성형된다면, 상기 걸림 턱에 의해서 TPA 부재(200, 400, 600) 및 하우징(100, 300, 500)의 결합이 불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TPA 부재(200, 400, 600)가 하우징(100, 300, 500)에 임시 결합한 상태(즉, 예비 장착 위치인 상태)가 되도록 하면서도 하우징(100, 300, 50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징에 단자를 배치시키는 작업이 편리하면서도 TPA 부재가 하우징과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0, 30, 50: 전기 커넥터, 90: 단자, 91: 접촉부, 92: 연장부, 93: 도선 고정부, 94: 단자 홀더, 96: 도선, 100, 300, 500: 하우징, 110: 단자 수용 개구부, 111: 단자 안착부, 113: 핑거부, 130, 530: 커넥팅부, 130a: 제1 열의 커넥팅부, 130b: 제2 열의 커넥팅부, 135: 칸막이, 141: 수형 래치부, 141a: 굴곡부, 145: 암형 래치부, 150: 가이드 리브, 160a: 걸림 턱, 160b: 회전 방지턱, 161: 제한 면, 170a, 170b, 170c, 170d: 래치, 171a, 171b, 171c, 171d: 체결 면, 173a, 173b, 173c, 173d, 453a, 453b: 체결 안내용 경사면, 190: 경사면, 200, 400, 600: TPA 부재, 210: 치형부, 220: TPA 바디, 230, 430: 바닥 캔틸레버 아암, 250, 450: 제1 측부 캔틸레버 아암, 260, 460: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 251a, 251b, 251c, 251d: 체결 대응 면, 255: 제한 대응 면, 271, 272: 노우즈, 290: 경사면

Claims (15)

  1. 단자 수용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의 외측에 장착되어 단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TPA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이며,
    상기 TPA 부재는 상기 TPA 부재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TPA 부재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은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과 래치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TPA 부재가 상기 하우징으로의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턱을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2. 단자 수용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의 외측에 장착되어 단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TPA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이며,
    상기 TPA 부재는 상기 TPA 부재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TPA 부재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은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과 래치 결합되고,
    상기 TPA 부재는 상기 TPA 부재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래치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TPA 부재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TPA 부재는 하나의 사출금형에서 한번에 사출 성형되어 그대로 상기 예비 장착 위치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4. 단자 수용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의 외측에 장착되어 단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TPA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이며,
    상기 TPA 부재는 상기 TPA 부재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TPA 부재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은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과 래치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TPA 부재가 상기 예비 장착 위치에서 최종 장착 위치로 이동시 상기 TPA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 단자 수용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의 외측에 장착되어 단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TPA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이며,
    상기 TPA 부재는 상기 TPA 부재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TPA 부재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은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과 래치 결합되고,
    상기 TPA 부재는 상기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치형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의 각각은 그 내부에 상기 단자가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에 장착된 후 상기 단자의 수용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탈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핑거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치형부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의 상기 핑거부와 협동 작용하여 상기 단자의 상기 수용 방향의 전후로의 이탈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와 마주하는 측에 별도의 다른 전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부와 동일한 형상의 커넥팅부를 갖는 상기 다른 전기 커넥터와 서로 회전 대칭인 상태로 결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는 제1 그룹의 단자 수용 개구부와 제2 그룹의 단자 수용 개구부가 상하로 2열로 배치된,
    전기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암형 래치부와 그와 마주하는 타측에 수형 래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형 래치부는 캐스캐이드 형상의 굴곡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11.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 외측에 장착되어 복수의 단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TPA 부재이며,
    상기 TPA 부재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하우징의 측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을 포함하고,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캔틸레버 아암은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래치 결합되고,
    상기 TPA 부재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하우징의 바닥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래치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캔틸레버 아암; 및
    상기 예비 장착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복수의 단자 수용 개구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치형부를 더 포함하고,
    최종 장착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치형부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단자 수용 개구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단자의 수용 방향의 전후로의 이탈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는,
    TPA 부재.
  12. 제6항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전기 커넥터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 삽입 후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핑거부와 결합되는 단자 홀더를 가지는 전기 전도성의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전기 커넥터와 동일한 형상의 다른 전기 커넥터와 서로 회전 대칭인 상태로 결합 가능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018480A 2021-02-09 2021-02-09 Tpa 부재,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2520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480A KR102520973B1 (ko) 2021-02-09 2021-02-09 Tpa 부재,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US18/275,222 US20240072492A1 (en) 2021-02-09 2022-01-27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JP2023547772A JP2024506317A (ja) 2021-02-09 2022-01-27 端子位置保証部材、それ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PCT/IB2022/050698 WO2022172112A1 (en) 2021-02-09 2022-01-27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N202280014159.1A CN116868452A (zh) 2021-02-09 2022-01-27 端子位置保证件、包括其的电连接器以及包括其的电连接器组件
KR1020230044028A KR20230052856A (ko) 2021-02-09 2023-04-04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480A KR102520973B1 (ko) 2021-02-09 2021-02-09 Tpa 부재,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028A Division KR20230052856A (ko) 2021-02-09 2023-04-04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893A KR20220114893A (ko) 2022-08-17
KR102520973B1 true KR102520973B1 (ko) 2023-04-13

Family

ID=828381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480A KR102520973B1 (ko) 2021-02-09 2021-02-09 Tpa 부재,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30044028A KR20230052856A (ko) 2021-02-09 2023-04-04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028A KR20230052856A (ko) 2021-02-09 2023-04-04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72492A1 (ko)
JP (1) JP2024506317A (ko)
KR (2) KR102520973B1 (ko)
CN (1) CN116868452A (ko)
WO (1) WO20221721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4083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雄共用の端子金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771Y2 (ja) * 1992-10-07 199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5486118A (en) * 1994-10-03 1996-01-2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guide means for a mating connector
KR100866084B1 (ko) * 2007-03-08 2008-10-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단자 결합을 확인가능한 커넥터
KR100868950B1 (ko) * 2007-03-30 2008-1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하우징
KR100896202B1 (ko) 2007-08-30 2009-05-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US7867042B2 (en) * 2008-03-26 2011-0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a low profil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20100055954A1 (en) * 2008-08-29 2010-03-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KR200466410Y1 (ko) * 2008-12-18 2013-04-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US7976326B2 (en) * 2008-12-31 2011-07-12 Fci Americas Technology Llc Gender-neutral electrical connector
KR20100008467U (ko) * 2009-02-17 2010-08-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4083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雄共用の端子金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2112A1 (en) 2022-08-18
US20240072492A1 (en) 2024-02-29
JP2024506317A (ja) 2024-02-13
CN116868452A (zh) 2023-10-10
KR20220114893A (ko) 2022-08-17
KR20230052856A (ko)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261B1 (ko)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접속 방법
JP5118765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該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
EP1524730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1052798A (ja) コネクタの連結構造
JP6501339B2 (ja)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007526606A (ja) 改良型接点止部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前記ハウジング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US1193613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7946860B2 (en) Electric junction box for a vehicle
JP6280080B2 (ja) アライニングプレート付きコネクタ
US612648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olded latch stop
KR102520973B1 (ko) Tpa 부재,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WO2016059947A1 (ja) コネクタ
US8337255B2 (en) Connector and series of connectors
EP1626462A2 (en) Electrical connector
JP6898220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4987624B2 (ja) 分割式コネクタ
JP3313229B2 (ja) コネクタ
JP7384611B2 (ja) 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JP3955172B2 (ja) コネクタの端子係止構造
JP2019175728A (ja) コネクタ
JP7374564B2 (ja) コネクタ
US2023020806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20230170642A1 (en) Connector
JP4224236B2 (ja) コネクタ
JP3823246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