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843B1 - 유아식 준비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유아식 준비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843B1
KR102520843B1 KR1020187022961A KR20187022961A KR102520843B1 KR 102520843 B1 KR102520843 B1 KR 102520843B1 KR 1020187022961 A KR1020187022961 A KR 1020187022961A KR 20187022961 A KR20187022961 A KR 20187022961A KR 102520843 B1 KR102520843 B1 KR 102520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liquid
tube
baby food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128A (ko
Inventor
스테판 슐락
Original Assignee
스마익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익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스마익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02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47J31/605Wate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Dairy Product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식, 특히 유아용 유동식 또는 유아용 퓌레를 준비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유아식을 준비하기 위한 대응 디바이스의 사용 방법, 및 계량 및 멸균 파우치 및 대응 디바이스에 대한 준비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식 준비 디바이스
본 발명은 유아식, 특히 유아용 유동식, 유아용 퓌레 등을 준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아식 농축물로부터 유아식을 준비할 때, 물이 가열되고 해당량의 농축물이 측정되고 음식을 먹이기 전에 가열된 물과 함께 준비 또는 혼합된다.
이 점에서의 준비는, 개별 성분들이 서로 혼합되거나 용해되거나, 가열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먹을 준비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종종 야간에 발생하며, 음식을 준비하는 사람은 유아를 돌보는 것과 관련된 피로로 인해 종종 집중력이 떨어진다. 여기서 특히 불리한 점은 음식 준비 활동이 힘든 것으로 고려되고, 가열된 액체로 작업할 때 준비하는 사람이 화상이나 상해를 입을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식, 특히 유아용 유동식의 준비가 단순화되고 상당히 더 안전해지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유아식을 준비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따라서, 유아식 농축물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원에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원, 특히 물 공급원에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커넥터, 액체 및/또는 이유식을 가열하기 위한 특히 적어도 하나의 가열 디바이스, 액체 및 유아식 농축물을 준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준비 디바이스, 및 유아식 농축물과 액체를 유아용 병에 채우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갖는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올바르게 준비되고 대응 온도에서 유아에게 줄 준비가 된 유아식을 유아용 병에 채우는 것이 장치에 의해 가능하다. 특정 환경에서 수고스러운 유아식의 준비는 자동화 또는 장치에 의한 준비 절차의 단순화로 인해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공급원은 또한 2개의 분리된 액체 용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차가운 액체로 채워질 수 있고, 하나는 따뜻하거나 뜨거운 액체로 채워질 수 있다. 액체 용기는 여기에서 단열될 수 있다. 유아식을 준비하기 위해, 유아식 농축물 또는 농축물은 우선 수동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유아용 병에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용 병 자체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이 될 수 있다. 2개의 액체 용기에 저장된 물은 특정 비율로, 선택적으로 장래 시간에 유아용 병으로 도입될 수 있으며, 유아용 병에서 혼합된 물이 원하는 온도를 갖는 것을 보장하는 혼합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액체 용기의 차가운 물 따뜻하거나 뜨거운 물이 이를 위해 대응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온도계가 여기서 액체 용기 및/또는 유아용 병 내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혼합 장치는 뜨거운 물 및 차가운 물 자체를 원하는 양으로 혼합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음용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 물이 혼합되어야 하는 비율을 표시할 수 있다. 유아식은 그 후 준비 디바이스에 의해 대응하여 준비 또는 혼합될 수 있다.
액체 및 유아식 농축물에 대한 출구 또는 또한 2개의 분리된 출구는, 유아식 농축물과 액체가 전혀 혼합되지 않거나 장치내에서 유아식 농축물과 액체의 완전한 혼합이 일어나도록 여기에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구가 준비 디바이스에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어, 유아식 농축물 및 액체는 서로 분리되어 유아용 병으로 도입된다. 이를 위해, 출구는 유아용 병을 향하는 준비 디바이스의 측 또는 유아용 병의 개구가 접속될 수 있는 측에서 서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분리된 출구가 튜브 또는 복수의 튜브 내에 제공되고, 튜브 또는 튜브들은 액체 및/또는 유아식 농축물을 유아용 병에 넣기 위한 공통 입구 또는 입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출구가 장치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용기 또는 유아용 병으로 분리되어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혼합 및/또는 펌핑 장치 또는 용기의 상류에 위치된 다른 수용기로 개방된다.
가열 디바이스는 여기서, 액체 및/또는 유아식이 예를 들어 50℃ 미만, 특히 20℃와 45℃ 사이, 특히 바람직하게는 37℃±5℃의 먹이기(feeding)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예를 들어 용기 내에서만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과 물의 혼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준비 디바이스가 용기에 커플링 가능한 점에서 달성될 수 있으며, 농축물과 물은 아직 서로 분리되어 있는 용기로 채워지고, 유아용 유동식의 준비 또는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과 물의 혼합은, 개별 컴포넌트가 용기로 채워진 후에만 용기 내에서 수행된다. 또한, 사용자가 이 장치로 임의의 원하는 상업용 유아용 분유 또는 농축물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가열 디바이스가 액체 및/또는 유아식을 끓이거나 약 100℃까지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디바이스는 각 물질을 멸균하기 위한 계량 및 멸균 백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교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튜브 또는 튜브 섹션(section)이 유아식 농축물 및/또는 유아식 및/또는 물 및/또는 유아식 농축물을 용해하는 다른 액체를 운반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라 준비가 이루어진다. 또한,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 및/또는 액체의 공급원 및/또는 용기가 장치의 교체 가능한 컴포넌트이고/이거나 결합된 백 및 튜브 키트로 이루어지거나 이러한 것들에 접속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단편으로 제조되는 이러한 백 및 튜브 키트는 여기서 예를 들어, 비교시 더 체적이 큰 튜브 섹션 및 백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명명된 교체 가능한 튜브 섹션은 결합된 백과 튜브 키트에 속하는 이러한 튜브 섹션에 관련될 수 있다. 백 섹션은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튜브 섹션보다 더 큰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백 및 튜브 키트는 더 작은 수납 공간을 필요로 하며, 또한 접속되는 더 적은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장치에 커플링될 수 있다. 별도의 튜브가 특히 필요없을 수 있다.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튜브는 재사용 가능한 튜브 또는 일회용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요구되는 위생 기준의 관찰은 튜브와 농축물의 공급원 및 물의 공급원의 대응하는 교체 또는 세정에 의해 편리하게 될 수 있다.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 및/또는 액체 공급원 및/또는 유아용 병은 백, 튜브 키트 및/또는 백/튜브 키트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이에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컴포넌트는 가요성이 있으므로, 작은 수납 공간을 유리하게 필요로 한다. 실시예는 또한, 계량 및 멸균 백이 추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 및/또는 유아식 농축물에 대한 대응하는 튜브 또는 튜브 섹션을 갖는 하나의 단편으로 형성되거나 튜브 섹션과 동일하고, 튜브는 백의 내용물을 계량하기 위해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클램프에 둘러싸이거나 이로부터 가압되거나, 클램프와 유사한 디바이스에 둘러싸이거나 이로부터 가압될 수 있는 것에 의해 의미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액체, 특히 물을 세정 및/또는 멸균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필터는 여기서 액체 공급원과 장치의 출구 사이에 제공될 수 있어, 액체가 장치를 통해 흐를 때 대응하여 여과 또는 멸균될 수 있다. 필터는, 액체가 농축물과 접촉하기 전에 여과 또는 멸균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는 또한 준비 디바이스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준비 디바이스는 추가로 용기(유아용 병)에 직접 접속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어댑터의 도움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로써 용기와 준비 디바이스의 폐쇄 시스템이 결과로서 형성된다. 양쪽 부분의 멸균/압열 멸균 직후에 접속이 일어날 수 있다. 병과 함께 준비 디바이스는 충진을 위해 물 튜브 및 농축물 튜브에 접속될 수 있다. 멸균을 위한 물의 끓임은 대응하는 멸균 필터를 사용하여 생략될 수 있다.
준비 디바이스가 장치의 컴포넌트를 나타내고, 유아용 병 부착부를 통해 용기에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을 대안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준비 디바이스는 또한 이 경우에 교체 컴포넌트로서 고려될 것이며, 또는 그 부분은 교체 컴포넌트 또는 일회용 컴포넌트로서 설계될 수 있다. 필터 자체는 여기서 튜브와 용기와 액체 공급원과 유아식 농축물 공급원과 같이 일회용 부품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준비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교반기(agitator)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 노즐을 포함하고/하거나 준비 디바이스는 교체 가능한 마모 부품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준비는 유아식 농축물과 액체의 혼합과, 유아식 농축물을 액체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농축물은, 고형, 특히 분말이거나 농축된 액체일 수 있다.
교반기(agitator)는 여기서, 장치의 출구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는 용기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교반기는 또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교반기의 회전은 유체 흐름에 의해 실시되거나, 교반기의 모터와 같은 그 자체의 구동에 의해 실시된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가 유아식 농축물 공급원으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 바늘을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주입 바늘은 장치의 라인 및 다른 부품과 같이, 또한 위생 기준을 더욱 잘 보장하기 위해 일회용 물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바늘은 또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위생 기준을 보장하기 위해, 성분들의 개별 공급원(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 액체 공급원) 및 유아식으로 채워지는 용기로 도입될 수 있는 전체 3개의 바늘 또는 또한 더 많거나 더 적은 바늘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펌프가 유아식 농축물 및/또는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고/되거나 유아식 농축물 및/또는 액체가 중력에 의한 준비를 위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농축물 및/또는 액체의 계량을 위해 구성되고 특히 튜브 또는 튜브 섹션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계량 장치가 제공되는 준비가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램프는 제어/조정 디바이스를 통해 전자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클램프라는 용어는 여기서 넓은 해석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제공된 내용물을 계량하기 위해 특히 가요성이 있는 튜브의 섹션 및/또는 튜브 섹션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계량 디바이스의 임의의 및 모든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계량 디바이스는 진동 롤러, 진동 웨지(wedge), 진동 스푼 또는 가요성 섹션과 상호 작용에서 분말의 계량을 가능하게 하는 유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계량은 물, 분말 또는 농축물에 대해 예를 들어, 백, 튜브 또는 튜브/백 조합 등에서 클램핑 오프될 수 있는 가요성 재료로 가능하다. 물이 계량되는 경우, 이와 관련하여 클램핑 오프된 재료 내에서 물의 계량 및 멸균의 조합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량 또는 계량 및 멸균의 조합은 예를 들어, 교체 가능한 클램프뿐만 아니라, 또한 회전 휠 또는 휠들, 또는 웨지 또는 웨지들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부 클램프 또는 밸브 위에 배치된 클램프의 클램핑 오프 및 액체 또는 농축물의 배출시 밸브의 대응 작동의 조합이 또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계량 디바이스는 상기 클램프에 의해 규정된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폐쇄된 튜브 및/또는 튜브 섹션을 압착하고, 이에 의해, 특히 폐쇄된 압착된 포인트 사이에서 그 내부에 포함된 내용물의 원하는 양을 계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량 디바이스는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대응 작동 섹션을 작동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유아용 병으로 고정된 계량량을 배출하는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계량은 또한 스트로크(stroke) 원리에 따라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원하는 계량량은 여기서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작동 섹션의 대응하는 빈번한 작동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아식 농축물이 수동으로 또는 작동 섹션에 의해 유아용 병으로 채워지는 한편, 액체 첨가는 추후에, 미리 규정된 시점에, 특히 자동으로 수행되고, 유아식의 준비는 마찬가지로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장치가 동작될 수 있는, 특히 원격으로 동작될 수 있는 제어/조정 디바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제어/조정 유닛은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특별한 보상 모듈에 의해 모듈 방식으로 보상될 수 있다. 무선 LAN 모듈에 의한 제어/조정 디바이스의 보상은 전체 장치의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제어/조정 디바이스는 컴포넌트의 계량, 액체의 가열 및 컴포넌트의 교반 또는 준비 또는 혼합과 같은 준비에 필요한 모든 단계를 제어/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동으로, 즉 제어/조정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설정할 수 있는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다. 분말의 양 또는 유아식 농축물의 양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클램프를 서로 이격시키도록 및/또는 클램프를 개방 및/또는 폐쇄하도록 회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노브(knob)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액체의 양을 설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별도의 회전 노브가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거나,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을 설정하기 위한 컴포넌트와 액체 양을 설정하기 위한 컴포넌트 사이에 전달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전달 장치는, 예를 들어, 농축물을 계량하기 위해 제공된 클램프에 액체를 계량하기 위해 제공된 클램프를 자동으로 적응시키거나 커플링시키는, 병진 디바이스 또는 병진 휠을 포함한다. 따라서 비싸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전자 컴포넌트를 유리하게 생략할 수 있다.
장치의 스위칭 온(on)은 또한, 예를 들어, 장치가 수동으로 설정된 계량량을 준비할 수 있는 상태에서, 수동으로, 또는 앱을 통해 부분 수동 제어/조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수돗물을 준비하여 이를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물 준비 모듈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 모듈과 추가 모듈은 여기서 특히 래칭에 의해 중앙 유닛에 또는 제어/조정 디바이스에 또는 전체 장치에 간단하게 접속 가능하다. 제어/조정 디바이스는 전체 장치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한 외부 디바이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장치 또는 장치의 개별 컴포넌트와 무선으로 또는 대응 회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장치가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 특히 스캐너를 갖고 및/또는 용기를 준비 디바이스 또는 장치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유아용 병 부착부가 제공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판독된 데이터는 그 후 제어/조정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어 준비 절차를 대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에는 바코드 또는 판독 가능한 정보, 예를 들어, 음용량 및 계량 테이블을 포함하는 다른 정보 수단이 제공된다. 제어 유닛으로의 레시피의 수동 입력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유아식의 준비가 용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유아용 병 또는 용기는 유아용 병 부착부에 의해, 또는 준비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또한 추가적인 어댑터를 사용하여 장치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용기는 예를 들어, 준비 디바이스에 나사 결합 또는 클리핑될 수 있거나, 유아용 병 부착부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유아용 병 부착부는 여기서 준비 디바이스와 하나의 단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아용 병에 대한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thread)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용기와 준비 디바이스의 폐쇄 시스템이 결과로서 형성된다. 어댑터가 시판되고 있는 유아용 병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준비 디바이스에 커플링시키는 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병과 함께 준비 디바이스는 충진을 위해 물 튜브 및 농축물 튜브에 접속된다. 결합된 계량 및 멸균 백을 갖는 실시예에서, 준비 디바이스는 이러한 계량 및 멸균 백의 개구에 대응하여 접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아용 병 부착부와 함께 유아용 병이 장치에 존재하는 준비 디바이스에 접속된다. 유아용 유동식의 준비 후에, 준비 디바이스 및/또는 부착부는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용기에는 니플(nipple) 부착부 또는 용기 내용물의 소비 또는 안전한 저장을 위한 다른 부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서,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 및/또는 액체의 공급원이 장치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즉, 본 발명이 이러한 양태는 장치 자체와는 관련이 없지만,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 및/또는 액체의 공급원이 그 위에 또는 그 내부에 있는 장치와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식을 준비하고, 혼합물 또는 일반적으로 용액 또는 현탁액을 준비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장치의 사용 방법 및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장치에서 또는 그 장치로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탁액 및/또는 에멀젼, 특히 유아용 유동식과 같은 유아식을 준비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에 대한 계량 및 멸균 백에 관한 것이며, 계량 및 멸균 백은 액체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커텍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에 대한 준비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준비 디바이스는 용기에 커플링 가능하고, 준비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용기의 내용물을 교반하도록 구성된 교반기를 포함한다. 계량 및 멸균 백 및 준비 디바이스는 설명에서 설명되는 추가적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이점 및 상세 사항이 도면에서 예시의 방식으로 설명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설계도이다.
도 2는 가압 펌프로 작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설계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준비 디바이스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의 설계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진공 펌프로 작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설계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의 설계의 상세도이다. 복수의 농축물 공급원의 사용.
도 7은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 및/또는 계량 라인이 있는 액체 공급원의 용기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용기를 클램프와 커플링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를 가진 용기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컴팩트 설계도이다.
도 14는 어댑터를 갖는 준비 디바이스이다.
도 15는 스프레이 볼(spray ball)을 갖는 준비 디바이스의 교반기이다.
도 16은 계량 및 살균 백을 갖는 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1은 유아용 유동식을 준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설계도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임의의 바람직한 유아식 또는 음료의 준비에 관한 것이다.
장치를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원(11)에 접속하기 위한 제1 커넥터(1)가 여기에 나타내어진다.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은 예를 들어, 유아용 유동식 분말의 백(bag)일 수 있다. 액체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원(12)에 접속하기 위한 제2 커넥터(2)가 예를 들어, 장치를 물 공급원에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터(1, 2)의 용어는 본 경우에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이들은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과 액체 공급원(12)을 장치에 접속시킬 수 있게 하는 임의의 피쳐(feature)를 지정할 수 있다. 커넥터(1, 2)는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준비 디바이스(4)의 일부 또는 장치의 다른 섹션의 일부일 수 있다. 커넥터(1, 2)는 출구 또는 출구들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커넥터(1, 2)는 튜브 또는 튜브 섹션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준비 디바이스(4)는 액체 및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준비, 특히 기계적인 준비를 위해 구성된 도 1의 하부 영역에 나타내어진다. 준비 디바이스(4)는 도 1에 나타내지 않은 용기(10)로 액체 및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을 채우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출구를 가질 수 있다. 준비 디바이스(4) 및 용기(10)는 여기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 또는 분말을 용기(10)로 전달하기 위해 주입 바늘(61)이 관통될 수 있는 격막(42)이 준비 디바이스(4)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바늘(61)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멸균 장치, 특히 UV 광 멸균 장치는 예를 들어, 주입 바늘(61) 및/또는 격막(42)이 멸균될 수 있는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 내에 채워진 물을 여과 또는 정제될 수 있는 멸균 필터(41)가 준비 디바이스(4)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물질이 서로 분리되어 운반될 수 있는 튜브(62, 63)가 준비 디바이스(4)와, 액체의 공급원(12) 또는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말은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상술한 공급원에 접속된 튜브(62)를 통해, 예를 들어 백(bag)일 수 있는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으로부터 흡입될 수 있다. 이는 원하는 준비에 필요한 양으로 각각 일어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중력에 의한 대응량의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운반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어,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4)이 용기(10) 위에 배치되어, 두 용기의 대응 접속으로, 용기(10)로의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4)의 내용물의 중력 흐름이 실시되거나 촉진된다.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은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상이한 계량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나선형 컨베이어 또는 스크류 및/또는 적응 가능한 챔버를 갖는 다른 공급 수단을 통해 용기(10)로 운반될 수 있다. 또한, 흡입부와 챔버 등을 결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액체 또는 물의 운반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되며, 여기서 물은 펌프 및/또는 중량 측정 프로세스에 의해 대응 튜브(63)를 통해 준비를 위해 운반될 수 있다. 액체의 공급원(12)에 접속하기 위한 대응 튜브(63)의 단부 단편은 예를 들어, 테트라 팩(Tetra Pak)의 폐쇄 캡 상에 끼워지거나 이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여기에서 구성될 수 있다. 액체 공급원에 대한 커넥터는 또한 물병 또는 수돗물용 수도 꼭지가 커넥터에 의해 장치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튜브(63)의 단부 섹션에 대응하는 부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액체 공급원으로서 튜브(63)를 액체 공급원(12) 또는 테트라 팩, 물병 또는 수도 꼭지와 같은 커넥터에 매칭되는 커넥터를 갖는 모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용기는 또한 백과 같은 가요성 용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용기는 용기에 고정적으로 접속되고 용기 교체시 용기와 함께 교체될 수 있는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41)에 접속될 수 있고 특히 클리핑(clipping)에 의해 래치(latch)되거나 접속될 수 있도록 액체의 공급원(12)에 튜브(63)를 특히 구성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액체 또는 물은 대응 튜브(63)를 통해 장치로 도입되고, 여기에서 가열되며, 용기(10) 또는 유동식 용기(10)로 채워지는 가열된 물의 필요한 양은 제어/조절 디바이스에 저장된 레시피에 따른다. 레시피 또는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의 특성 또는 그 준비에 대한 더욱 상세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바코드 또는 다른 데이터 캐리어를 통해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의 패키징으로부터 제어/조절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대응 준비 옵션이 이로부터 도출된다.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수명, 그 조성 및/또는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다른 특성에 관한 정보는 또한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조절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레시피를 수동으로 제어 유닛에 입력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장치의 제어는 앱(app),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 및/또는 원격 제어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스위칭 온(on) 및 오프(off)는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앱은 튜브(62, 63), 필터(41) 또는 장치의 다른 재료와 같은 아마도 필요로 하는 소비 재료의 교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조절 디바이스는 무선 LAN 커넥터 또는 다른 무선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어떠한 계량량의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 어떠한 액체의 온도, 어떠한 교반기(15)의 교반 작용 및 선택적으로 어떠한 다른 파라미터가 유아용 유동식을 준비하기 위해 장치에 의해 관찰되거나 설정되어야 하는지를 또한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의 패키징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파라미터를 제어 유닛으로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주입 바늘(61)이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으로 주입될 수 있는 접합점(65)이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장치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 또는 그 패키징 및 액체의 공급원(12)이 대응하는 지지체(20)에 제공될 수 있다. 액체 공급원 및 농축물 공급원은 지지체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양쪽 공급원을 수납하기 위해 수납실을 지지체에 클리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액체 공급원(12)은 여기서 액체를 보충하기 위한 스크류 접속부(13)를 가질 수 있다. 지지체(20)는 장치의 추가적인 컴포넌트에 접힘(folding) 방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작은 점유 공간 또는 가능한 한 작은 장치의 공간 요건이, 지지체(20)의 내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예를 들어 판매 시점에서, 수납에 대해 보장된다.
또한, 예를 들어, 장치의 외측 상에서 외측으로 접힌 지지체(20)의 영역에서 당겨질 수 있고, 필름 등으로 설계될 수 있고 장치를 적어도 일부 폐쇄하거나 덮을 수 있는 커버(21)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완전히 폐쇄된 시스템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액체의 공급원(12)은 예를 들어, 대응 튜브(63)를 통해 장치에 접속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물을 위한 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백은 일회용 물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주 동안의 대응 사용 기간 후에 폐기될 수 있고, 새로운 것(선택적으로, 물용 튜브 키트(6)를 포함함)으로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생물막 또는 화학적 오염으로부터 (물용 튜브 키트(6)를 더하여) 액체 공급원(12)을 세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장치는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미도시한 물 가열기 또는 가열 디바이스(3),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을 계량하기 위한 장치, 유아용 유동식의 준비를 수행하기 위한 시작 버튼, 및 추가적인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기능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조절 디바이스는 여기에서 상기 기능 유닛의 일부일 수 있다. 기능 유닛 및/또는 제어/조절 유닛은 예를 들어,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 및/또는 유체의 잔류량을 결정하기 위한 로드 셀(load cell) 또는 다른 센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은 또한 충진 또는 준비 절차의 횟수를 고려하여 변위 가능한 클램프(16, 17)(도 2 및 도 5)의 위치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을 얻기 위해 자동 충진이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선택을 위한 적절한 제안이 음식을 먹는 아이의 연령을 고려하여 제어/조절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순서는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자연스럽게 수정될 수도 있다. 기능 유닛(30)은 여기에서 장치의 추가적인 컴포넌트에 영구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거나, 이에 해제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한 원리가 물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도 2: 클램프(18) 또는 도 5: 클램프(18 및 19)). 시스템은 이러한 방식으로 얼마나 많은 물이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리필을 알릴 수 있다. 그러나 유량 센서를 통한, 펌프 프로세스의 시구간 측정 또는 압력 펌프를 통한 결정이 또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멸균 필터(41), 격막(42) 및 교반기(43)를 갖는 준비 디바이스(4)의 보다 상세한 도면을 나타낸다. 준비 디바이스(4)는 대응하는 유아용 병(10) 또는 대응 용기(10)로 적어도 일부 도입될 수 있어,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 및 액체가 용기(10) 내로 도입될 수 있고, 여기에서 교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유아용 유동식을 준비하는데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분무 노즐을 갖는 준비 디바이스(4)의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준비 디바이스(4)는 특정 사용 주기 후에 교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응 멸균기에서 멸균될 수 있다.
또한, 준비 디바이스(4)는 용기(10)의 상이한 병 크기에 적응 가능하도록 전체 장치에 신축식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상이한 병의 기하 형태의 용기(10)가 준비 디바이스(4)에 커플링될 수 있는 어댑터를 준비 디바이스(4)에 제공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 및/또는 pH 센서를 교반기(43) 또는 준비 디바이스(4)에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및/또는 pH 센서는 제어/조절 디바이스에 커플링될 수 있고, 모니터링 및/또는 유아용 유동식의 최적화된 준비를 위해 측정값을 제어/조절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준비 디바이스(4) 또는 교반기 유닛(4),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 및/또는 물을 위한 튜브 세트(6), 물 백 또는 용기(12) 및/또는 물 준비 모듈이 여기에서 재사용가능한 물품 또는 일회용 물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예를 들어, 클램프(16, 17 및 18)로서 구성될 수 있고 물 및/또는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을 통해 제어 또는 조절될 수 있는 밸브를 갖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설계를 나타낸다. 클램프(16, 17, 18)는 예를 들어, 공압적 또는 전자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추가 컴포넌트 또는 참조 번호는 추가 도면에 나타낸 것들에 대응한다.
특히 분말 계량은 큰 도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를 매우 저렴하게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일회용 제품으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램프(17)는 우선 클램프(16)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 또는 농축물의 공급시에 폐쇄될 수 있다. 농축물은 클램프(17)까지 운반될 수 있거나 자동적으로 또는 그 자체적으로 유동하거나 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농축물 운반을 용이하게 하거나 가능하게 하는 진동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클램프(16 및/또는 17)는 원하는 계량량에 따라 화살표 방향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조정되거나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제어 유닛을 통해 전자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원하는 조리법을 선택하거나 스캐너를 통해 이를 읽을 수 있다. 원하는 계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16, 17)의 위치에 일단 도달하면, 충진될 용기(10)에 더 가까운 클램프(16, 17)가 대응하여 폐쇄될 수 있고, 클램프(16, 17) 사이의 영역이 원하는 양의 농축물로 채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램프(16, 17)는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이들에 의해 클램핑된 각각의 튜브의 영역을 클램핑한다. 채워질 용기(10)에 더 가까운 클램프(16, 17)는 그 후 2개의 클램프(16, 17) 중 다른 하나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될 수 있고, 대응하여 계량된 양의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이 용기(10) 내로 운반될 수 있다. 클램프(16, 17)에 의해 규정된 영역으로부터 농축물(및 이에 대응하여 액체 계량의 경우 액체)의 유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공기가 이를 위해 대응 공기 공급기를 통해 이 영역으로 도입될 수 있다. 농축물 및/또는 액체를 계량 영역으로부터 운반하기 위한 기계적 수단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교체 컴포넌트로서 대응하는 교체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튜브(62) 내에서 체적 설정이 완전하게 일어날 수 있다. 물의 계량은 대응하는 물 튜브(63)에서, 대응 클램프(18)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상술한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계량과 유사하게,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클램프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다.
용기(10)에 접속된 준비 디바이스(4)는 트레이(tray) 상에서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튜브(62 및 63)에 접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호스가 하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용기(10) 내로의 분말의 공급을 위한 주입 바늘(61)은 여기에서 준비 디바이스(4)의 격막(42)을 통해 주입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개구 플랩(opening flap)을 통해 가압될 수 있다. 튜브 키트(6)의 일부인 물 튜브(63)는 또한 필터(41)에 접속될 수 있다. 그 후, 클램프(17)가 개방될 수 있고, 농축물이 용기(10) 내로 도입될 수 있다. 클램프(17)는 폐쇄될 수 있고 클램프(16)는 용기(10)의 충진 후에 개방될 수 있다. 도 2는 압력 펌프를 통한 급수/여과를 나타낸다. 클램프(18)는 용기로 물을 배출하도록 개방될 수 있으며, (레시피에 따라) 필요한 양이 배출되자마자 폐쇄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서, 물은 여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압력 펌프를 통해 운반될 수 있다. 유량은 압력 펌프 및/또는 유량 센서를 통해 시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절차는 예를 들어, 다음 용기(10)를 채우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클램프(16, 17 및 18)는 여기에서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완전한 클램프 제어는 제어 유닛을 통해 전자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분말 튜브(62)는 유아용 병 또는 용기(10)의 준비를 위한 분말의 최대량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양은 유아식 및 유아용 유동식에 대응하는 준비 테이블에 기인할 수 있다. 튜브는 예를 들어, 직경 3cm와 길이 10cm를 가질 수 있다.
공기 필터는, 공기가 도입될 수 있는 장치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장치가 임의의 분말 잔류물로부터 유리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분말 잔류물이 튜브(62)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장치의 송풍 또는 불어내기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물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물 튜브(63) 또는 물 튜브 키트(6)에 대해 이를 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은 분말 내용물을 갖는 백 또는 분말 파우치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유아용 유동식 제조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은, 예를 들어, 스크류 캡에 의해 폐쇄될 수 있고, 원추형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고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으로부터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을 제거하기 위한 주입 바늘(61)이 제공될 수 있는 부착부(64) 내로 배치될 수 있다. 대응 부착부(64)는 또한 액체의 공급원(12)을 장치에 커플링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유아용 유동식 농축물의 공급원(11)으로부터 용기(10)로의 농축물의 인피드(infeed)에 대한 접속은 여기서 주입 바늘(61)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박테리아 노출 또는 바이오버든(bioburden)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자동으로, 특정 시간 간격 또는 빈도로 액체 공급원(12), 튜브(63) 및/또는 장치의 다른 영역의 물을 끓이는 비등 사이클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물/튜브 키트(6) 및/또는 액체 공급원(12)의 바이오버든이 이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멸균 필터 또는 바이러스 필터로서의 필터(41)가 끓이지 않고 대응하는 멸균을 가능하게 하므로, 유아용 유동식의 준비에서 끓이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반대로 필요한 유아용 유동식 온도 또는 유아용 유동식의 섭취 온도까지만 액체 또는 물을 가열하도록 준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용기(10) 내로의 액체 공급원(12)의 급수는 또한 진공을 통해 일어나거나 가속될 수 있다(도 5). 접속된 용기(10)를 갖는 준비 디바이스(4)는 튜브(62, 63 및 66)에 접속될 수 있다. 대응하는 진공 커넥터가 여기서 준비 디바이스(4)에 제공될 수 있다. 액체 공급기에 의한 계량은 또한 클램프(18, 19)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며, 액체가 중력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클램프(18)가 폐쇄되고; 물은 이 클램프까지 운반될 수 있거나 (중력의 영향으로) 자동으로 거기까지 흐를 수 있다. 클램프(19)는 원하는 양의 도달시에 폐쇄된다. 클램프(18)가 개방된다. 진공은 소수성 공기 필터(44)에 의해 용기(10)에 적용될 수 있다. 여과는 이로써 필터(41)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체적은 튜브 길이 및 튜브 직경, 그리고 클램프(18 및 19)의 간격에 기인한다. 출력량 후, 클램프(18)가 폐쇄되고 클램프(19)가 개방된다. 레시피와 유사한 원하는 물의 체적이 용기(10)에 추가될 때까지 절차는 반복될 수 있다. 클램프(19)는 원하는 투여량에 따라 화살표 방향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에 조정되거나 위치될 수 있다. 이는 물 튜브(63)에서 체적 설정이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준비 테이블에 따라 최대 물의 양을 차지할 수 있는 충분히 큰 튜브를 사용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클램프(18)를 옮기는 것이 또한 가능할 것이다. 교체 컴포넌트로서의 튜브(63) 또는 물/튜브 키트(6) 및 물의 공급원(12)이 대응하는 교체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그 오염을 피할 수 있다. 완전한 클램프 제어는 제어 유닛을 통해 전자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커버 또는 재킷이 용기(10, 12)에 제공됨으로써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물 또는 이와 상이한 유아용 유동식의 가열에 대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접근법이 동등하게 고려될 수 있다. 이들은 기능 유닛(30)에서 제공되지 않고, 용기(10, 12)에서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영역에서 물과 농축물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단지 컴포넌트의 결합이 유아용 병 또는 용기(10)에서 일어날 수 있다. 특히 백 조립체 또는 용기(11, 12 및 6)가 정기적으로 교체될 때, 오염된 컴포넌트의 세정은 이로써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테트라 팩(Tetra Pak) 등에 접속된 경우, 물 튜브(63)를 압열 멸균(autoclave)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멸균 필터(41)의 사용 및 대응 컴포넌트의 정기적인 교체에 의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설계를 나타낸다. 농축물의 복수의 상이한 공급원(11)이 장치 내로 도입되어 여기에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은 유아용 차, 사과 쥬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액체 공급원을 통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프 세트 예를 들어, 클램프(18 및 19)가 계량 유닛(3)에서 제외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삽입체(5)가 필요에 따라 농축물의 공급원(11)을 계량 시스템(3)에 접촉시킬 수 있다. 계량 시스템(3)은 튜브(62, 63)로 이동될 수 있고, 계량이 일어난 후에 튜브(62, 63)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어, 삽입체(5)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가열 디바이스는 농축물에 따라 스위칭 온되거나 오프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열 시간에 대한 정보는 농축물 패키징(스캐닝)에 대한 데이터에서 가져오거나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 여과 또는 물 처리 모듈에 의한 준비를 포함하여, 이에 의해 물만의 준비도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따라 설계된 머신에서, 유아용 유동식의 혼합 또는 준비는 시스템 자체에서 일어나므로, 유아용 유동식(우유와 함께 분말 또는 농축물)이 세균을 위한 최적의 번식지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은 화학품 등을 사용하여 수고스럽게 세정되어야 한다. 유아와 관련된 화학물은 특히 세정 시스템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우려스러운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세정 작업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유리하게도,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체로 요구되는 탈석회(decalcification)도 마찬가지로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시판되고 있는 임의의 및 모든 유아용 유동식 분말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를 사용할 때 유리한 시간 절약을 제공한다.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시스템은 사용된 물을 끓여야 하며, 세균이 사멸되어야 하기 때문에 석회(lime) 함유량에 따라 2 내지 3분에서 5분까지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비타민이나 단백질이 파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물은 추후 냉각되어야 한다. 이들은 열에 민감하다. 물은 정기적으로 압열 멸균(autoclave)되는 멸균 필터(41)의 사용으로 인해 끓일 필요가 없으며 대응하는 냉각도 필요하지 않다. 요구되는 온도 또는 섭취 온도로만 가열하면 충분하다. 필터(41)는 레지오넬라 균 등과 같은 모든 세균을 보유한다. 바이러스 필터의 사용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과 달리, 장치의 즉각적인 이용 가능성이 멸균 또는 냉각을 기다릴 필요없이 끓인 물의 멸균 저장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계량 및 멸균 백(14)의 사용에 이점이 있다.
준비 디바이스(4)는 유아용 병(10)을 갖는 폐쇄 시스템을 생성하고; 유아용 병은 이로써 디스펜서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곰팡이와 같은 공기로 운반되는 세균으로 인한 오염이 차단된다. 멸균은 여기서 필요가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 충진인 원격 제어가 이러한 방식으로 위험 없이 구현될 수 있다. 필터(41)의 멸균 측상의 예를 들어, 접촉 등에 의한 오염이 또한 대응 준비 디바이스(4)를 갖는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 회피된다. 준비 디바이스(4) 및 유아용 병(10)은 압열 멸균/멸균 직후에 서로 접속된다. 또한, 준비 디바이스(4)를 통해 장치에 대한 용기(10) 또는 유아용 병(10)의 커플링에 의해 용기(10) 내에서 유아식의 준비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시스템은 크고, 판매시에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본 시스템의 공간 범위는 백, 튜브 조립체, 및 당겨질 수 있는 필름(21)의 사용에 의해 최소화될 수 있다. 필름(21)은 여기서 백이 자리잡고 장치의 기구 또는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일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반기를 사용하는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유아용 유동식을 이상적으로 신속하게 혼합 또는 준비할 수 있게 한다. 원하지 않는 기포 형성은 유리한 실시예에서 교반기에 의해 방지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분말 계량은 일회용 개념을 가능하게 하는 저렴한 계량 유닛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탭 또는 챔버를 통한 고전적인 계량 절차가 여전히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또는 컴포넌트의 자동 재주문의 기능이 또한 대응 상호 접속부로 고려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드 셀(load cell)이 사용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튜브(6)의 충진 프로세스의 단순 카운팅에 의해 재주문이 감지 가능한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적용 가능한 계량 설정이 자연스럽게 여기에서 고려될 것이다.
상이한 농축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지지 않고, 특히 상이한 농축물의 원하지 않는 혼합을 방지하는 시스템이 알려지지 않았다. 이것은 본 발명의 개별 튜브 시스템으로 인해 가능하다.
도 7은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11) 및/또는 액체 공급원(12)으로서 사용 가능한 용기를 나타낸다. 용기는 상이한 단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영역을 갖는다.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는 깔때기 형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함유된 물질의 외부로의 흐름/외부로의 살수(trickling) 또는 아래로의 흐름/아래로의 살수를 단순화할 수 있다. 상부 영역은 하부 영역보다 클 수 있으며, 용기를 비우기 위한 개구가 더 작은 하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영역은, 그 내부에서 유아식 또는 다른 제품의 준비에 필요한 내용물의 계량이 클램프(16, 17, 18, 19)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용기 내에 통합된 계량 라인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계량 라인으로 칭해지는 이러한 섹션은 각각의 내용물을 운반하기 위해 추가로 상술한 튜브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계량 라인은 생성될 수 있고 및/또는 용기의 단순한 개구에 대한 폐쇄부를 포함할 수 있는 부분의 최대 체적에 따라 치수가 결정될 수 있다.
용기는 그 자체로 용접된 필름 또는 서로에 대해 또는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용접된 복수의 필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워진 후에 장치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용기로 교체되는 소비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자기 또는 금속 컴포넌트가 클램프(16, 17, 18, 19)에 제공된 자석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용기에 또는 용기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호 작용에 의해 클램프(16, 17, 18, 19)의 자석이 용기의 금속 컴포넌트에 달라붙는 영역에 클램프(16, 17, 18, 19)에 의해 용기를 당겨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금속 컴포넌트는 여기서 서로 및/또는 용기의 대향 측면에서 오프셋되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16, 17, 18, 19)의 자석은 마찬가지로 서로 오프셋될 수 있으며, 즉 하나의 클램프(16, 17, 18, 19)의 자석이 폐쇄된 상태에서, 클램프(16, 17, 18, 19)가 서로 영향을 주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즉 서로 당기거나 밀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클램프(16, 17, 18, 19)와 용기 사이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 컴포넌트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16, 17, 18, 19)가 결합할 수 있는 도 8에 따른 포켓 및/또는 탭을 갖는 용기의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그 내부에 배치되거나 결합하는 클램프(16, 17, 18, 19)는 클램프(16, 17, 18, 19)의 개방 상태에서 용기를 당겨서 개방할 수 있고, 클램프(16, 17, 18, 19)의 폐쇄 상태에서 용기를 폐쇄할 수 있다.
도 9는 폴딩 클립으로서 설계된 적어도 2개의 클램프(16, 17, 18, 19)에 의해 용기가 폐쇄 및 개방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2개 초과의 폴딩 클립이 제공되는 경우, 선택된 폴딩 클립만이 개방되어야 하고, 다른 폴딩 클립은 구획을 위해 폐쇄되어야 하므로, 수직 조절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예를 들어, 용기에 제공된 작은 구멍(eyelet)에서 안내되는 금속 막대에 의해 클램프(16, 17, 18, 19)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클램프(16, 17, 18, 19)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필름 힌지 및 접착성 표면을 포함할 수 있는 플라스틱 클램프로서 설계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클램프(16, 17, 18, 19)는 접착제 표면을 통해 그 개방 및/또는 폐쇄를 위해 용기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클램프(16, 17, 18, 19)는 대응 액추에이터에 의해 여기서 선형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클램프(16, 17, 18, 19) 및/또는 용기를 예를 들어 90°만큼 회전 이동시켜 클램프(16, 17, 18, 19)에 의해 폐쇄된 용기를 가압하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 12는 클램프(16, 17, 18, 19)가 선형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로서 설계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슬라이더의 선형 위치에 따라, 자유 튜브 단면 또는 용기 단면을 변경할 수 있다. 가능한 백 형상 또는 용기 형상과 대응하는 백 가압 컷이 또한 도 12에 나타내어지며, 이는 오프컷(offcut)이 없거나 약간의 오프컷만을 갖는 용기 제조를 허용한다. 여기서 백 가압 컷은 전체 용기 길이에 대해 연장되고 제1 영역과 평행한 2개의 더 짧은 선형 영역을 갖고, 접속 영역을 통해, 특히 경사진 접속 영역에서 서로 접속되고, 제1 영역과 상이하게 이격되어 있는 선형 영역을 갖는다.
도 13은 간단히 분해 및 조립될 수 있고 특히 컴팩트한 방식으로 함께 놓이거나 수납될 수 있는 장치의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장치는 여기서 장치를 안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안쪽으로 접힐 수 있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의 액체 공급원(12)일 수 있는 탱크는 수납을 위해 장치의 다른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내부에 수납된 장치의 추가 부분을 갖는 탱크는 커버 또는 커버링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 14는, 유아용 병(10)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특히 간단하게 커플링될 수 있는 어댑터를 갖는 준비 디바이스(4)를 나타낸다. 특히, 수직으로 조정 가능한 도킹 섹션(docking section)이 이를 위해 장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어댑터는 예를 들어 후크(hook) 섹션에서 장치에 매달릴 수 있다. 또한, 어댑터와 도킹 섹션 사이의 접속을 분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도킹 섹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교반기(43)가 하나 이상의 스프레이 볼 또는 스프레이 헤드를 포함할 수 있는 준비 디바이스(4)의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액체가 유아용 병(10) 내로 또는 교반기(43)를 통해 그리고 특히 교반기에 제공된 스프레이 볼을 통해 다른 용기 내로 도입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준비 디바이스(4)는 또한, 특히 유아용 병의 내부 공간을 세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에 제공된 유아용 병을 갖는 준비 디바이스(4)가 대응 세정 장치에 커플링될 수 있다. 세정액이 세정 장치에 의해 스프레이 헤드로 운반되면, 이는 준비 디바이스(4)에 제공된 유아용 병의 세정을 실시한다.
교반기(43)가 기계적으로 및/또는 스프레이 볼 또는 스프레이 볼들을 통한 유체 흐름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되기 위하여, 교반기(43)를 준비 디바이스(4)의 다른 구조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은, 액체의 공급원(12)이 테트라 팩, 물병 또는 다른 용기로서 설계되는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기는 장치와 함께 및/또는 별도로 구입될 수 있다. 액체 공급원(12)은 설치된 상태의 액체 공급원(12) 아래의 장치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계량 및 멸균 백(14)에 커플링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는 중력을 따라 액체 공급원(12)으로부터 계량 및 멸균 백(14)으로 펌프의 필요성 또는 존재 없이 특히 간단하게 흐를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램프(18, 19)는 계량 및 멸균 백(14)에서 대응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계량 및 멸균 백(14)은 그 내용물을 계량하기 위해 계량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청구항 1에 따른 튜브 또는 튜브 섹션에 대응할 수 있다. 대응 계량 및 멸균 백(14)은 또한 그에 따라 유아식 농축물을 계량 및/또는 멸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백(14)은 원추형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백을 통한 농축물 또는 액체의 흐름이 최적화되거나 촉진된다.
계량 및 멸균 백(14)은 백(14)을 액체 공급원(12)에 커플링하기 위한 나사산(141) 또는 다른 제1 커넥터(14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백(14)은 예를 들어, 액체 공급원(1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41)는 백(14)의 상부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백(14)의 하부 영역에서, 액체의 고갈을 방지하는 개구 플랩(flap) 또는 클로저(closure) 또는 추가 커넥터(142)가 제공될 수 있으며, 테트라 팩 용기 및 이에 접속된 계량 및 멸균 백(14)은 예를 들어, 장치 내에 배치 또는 위치된다.
유아식 농축물의 백(14) 및/또는 공급원(11)은 준비 디바이스(4)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추가로 하부 커넥터(142)를 통해 유아용 병(10)에 커플링될 수 있다. 입구 플랩(45)이 이를 위해 준비 디바이스(4)에 제공될 수 있다. 준비 디바이스(4)는 특히 장치 또는 준비 디바이스(4) 및 세정 디바이스 내의 장치의 다른 컴포넌트의 세정을 제공할 수 있는 상기 명명된 스프레이 볼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교반기(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체 공급원(12)과 유아용 병(10) 사이의 영역에 UV 광원(46)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입구 및/또는 출구, 라인 또는 장치 내에 포함된 물질의 멸균을 위해 적응된다.
조정 가능한 클램프(18, 19)에 의해 백(14) 내의 액체 공급원(12)으로부터의 액체를 계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램프는 이를 위해 형성될 수 있어, 백(14)의 멸균 또는 부분 멸균 또는 일시적 멸균 클램핑 오프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클램프(18, 19)는, 예를 들어, 클램프(18, 19)에 의해 클램핑 오프된 영역을 통한 유체 흐름이 방지되어, 세균의 침투 또한 더욱 어렵게 되거나 불가능해지도록, 백(14) 또는 백(14)의 일부를 제한할 수 있다. 가열 및/또는 냉각 판 또는 대응 요소(22)가 계량 및 멸균 백(14)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고, 계량 및 멸균 백(14) 내에 위치되거나 계량된 액체를 가열하여 살균하고, 선택적으로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백(14)은 이를 위해 대응하는 내열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유아식의 준비가 이루어진 후, 또는 유아용 병(10) 내로의 살균 및/또는 가열된 액체의 운반 후, 백(14)은 다시 액체로 채워질 수 있고, 그 내부에 포함된 액체의 추가 멸균은 가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멸균은 하나 초과의 비등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18, 19)는 멸균 중에 멸균 방식으로 백(14) 또는 백(14)의 일부 또는 백에 접속된 튜브(14)를 닫아 차단하고, 이에 의해 멸균된 액체의 멸균 저장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멸균된 액체는 후속적인 준비에서 음용 온도로 가열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멸균을 위한 반복 가열 및 음용 온도로의 냉각이 생략될 수 있으며, 이는 음식 준비에서 상당한 시간 절약을 가져온다.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1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아식 농축물을 계량하기 위해 클램프(16, 17)를 통해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11) 내에 이를 위해 추가적인 유아용 분말 패키징(11')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함량을 계량하기 위한 도 7 내지 도 12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11)의 용기 및/또는 계량 및 멸균 백(14)에 제공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어, 자석 요소 또는 금속 요소가 각각의 용기 내에 또는 각각의 용기에 제공될 수 있고, 각각의 자기 클램프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자석 또는 자석들은 또한 자기 스트립(47)으로 설계될 수 있다.
액체 공급원(12) 및 선택적으로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11)의 클램프 또는 계량 클램프(16, 17, 18, 19)는 멸균 방식으로 계량 및 멸균 백을 닫도록 구성될 수 있다.

Claims (25)

  1. 유아식 준비 장치로서,
    유아식 농축물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원에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커넥터;
    적어도 하나의 액체 공급원에 접속하기 위한 제2 커넥터;
    적어도 하나의 가열 디바이스;
    상기 액체 및 상기 유아식 농축물로부터 상기 유아식을 준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준비 디바이스; 및
    상기 유아식 농축물 및/또는 상기 액체를 유아용 병에 채우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일회용 백(bag) 또는 제1 백/튜브 키트가 상기 유아식 농축물을 저장 및/또는 운반하기 위해 제공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1 일회용 튜브 키트 또는 제1 튜브 또는 제1 튜브 섹션이 상기 유아식 농축물을 운반하기 위해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일회용 백 또는 제2 백/튜브 키트가 상기 액체를 저장 및/또는 운반하기 위해 제공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2 일회용 튜브 키트 또는 제2 튜브 또는 제2 튜브 섹션이 상기 액체를 운반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농축물 및/또는 상기 액체를 계량하기 위해 구성되는 계량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계량 디바이스는,
    상기 유아식 농축물의 상이한 계량량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 튜브 또는 상기 제1 튜브 섹션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된 운반 스크류 및/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제1 클램프; 및
    상기 제2 튜브 또는 상기 제2 튜브 섹션에 배치된 두 개의 제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는 중력에 의해서 상기 제2 클램프를 향해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디바이스는 상기 액체 및/또는 상기 유아식을 가열 및/또는 멸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 상기 액체의 공급원, 상기 유아용 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장치의 교체 가능한 컴포넌트이고,
    상기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 및/또는 상기 액체의 공급원은 작은 적재 공간을 필요로 하는 백 및/또는 결합된 백/튜브 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세정 및/또는 멸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상기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 상기 장치에 상기 유아용 병을 커플링 하기 위한 유아용 병 부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공급원은 물의 공급원이고, 상기 액체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식 농축물의 공급원의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스캐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교반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 노즐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준비 디바이스는 교체 가능한 마모 부분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하나 이상의 스프레이 볼들 또는 스프레이 헤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분유 농축물 및 물이 아직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기 유아용 병에 채워지도록 상기 준비 디바이스가 상기 장치의 상기 유아용 병 또는 상기 제1 일회용 백, 상기 제1 백/튜브키트, 상기 제1 일회용 튜브 키트, 상기 제1 튜브, 상기 제1 튜브 섹션, 상기 제2 일회용 백, 상기 제2 백/튜브키트, 상기 제2 일회용 튜브 키트, 상기 제2 튜브, 상기 제2 튜브 섹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커플링 가능하고, 상기 분유의 준비 또는 상기 분유 농축물 및 물의 혼합은 개별 컴포넌트들이 상기 유아용 병 내부로 채워진 후에만 상기 유아용 병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이한 농축물들의 혼합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유아식 농축물의 상이한 공급원들이 서로 분리되어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작동할 수 있는 제어/조정 디바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조정 디바이스는 원격 제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유아식 준비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식 농축물을 공급원으로 하여 상기 백 및/또는 백/튜브 키트를 상기 유아식 농축물로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자석 또는 금속 컴포넌트들이 상기 백 및/또는 백/튜브 키트에 또는 그 안에 제공되고,
    상기 자석 또는 상기 금속 컴포넌트들은 상기 클램프들에 의해 그 영역에서 상기 백 및/또는 백/튜브 키트를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클램프들에 제공된 자석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식은 분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에서의 교체 가능한 또는 일회용 백 및/또는 백/튜브 키트로서의 사용을 위한 계량 및/또는 멸균 백으로서,
    상기 계량 및/또는 멸균 백은 상기 액체 또는 농축물을 유입 및 유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커넥터들을 포함하고,
    제1 커넥터가 상기 백 및/또는 백/튜브 키트의 상부 영역에 제공되고 제2 커넥터가 상기 백 및/또는 백/튜브 키트의 하부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액체 또는 상기 유아식 농축물은 중력에 의해 운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및/또는 멸균 백.
  18. 제17항에 있어서,
    자석 또는 금속 컴포넌트들이 상기 백 및/또는 백/튜브 키트에 또는 그 안에 제공되고,
    상기 자석 또는 상기 금속 컴포넌트들은 상기 클램프들에 의해 그 영역에서 상기 백 및/또는 백/튜브 키트를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클램프들에 제공된 자석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계량 및/또는 멸균 백.
  19.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위한 준비 디바이스로서,
    상기 준비 디바이스는 용기에 커플링 가능하고, 상기 준비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상기 용기의 내용물을 교반하도록 구성된 교반기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는 하나 이상의 스프레이 볼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비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디바이스는 대체 가능한 마모 부분으로 설계되고, 및/또는
    상기 준비 디바이스는 상기 유아식 농축물과 상기 액체의 혼합 및 상기 액체에 상기 유아식 농축물의 용해를 포함하는 준비 디바이스.
  21. 제17항에 따른 계량 및/또는 멸균 백과 상기 액체의 공급원의 조합 어셈블리.
  22. 유아식 준비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유아식 농축물로 채워진 백 및/또는 백/튜브 키트의 사용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식은 분유 또는 유아용 우유인 사용 방법.
  24. 유아식 준비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에 사용되는 액체로 채워진 백 및/또는 백/튜브 키트의 사용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식은 분유 또는 유아용 우유인 사용 방법.
KR1020187022961A 2016-01-14 2017-01-11 유아식 준비 디바이스 KR102520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000406.1A DE102016000406B4 (de) 2016-01-14 2016-01-14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Babynahrung
DE102016000406.1 2016-01-14
PCT/EP2017/000030 WO2017121638A1 (de) 2016-01-14 2017-01-11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babynah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128A KR20180102128A (ko) 2018-09-14
KR102520843B1 true KR102520843B1 (ko) 2023-04-12

Family

ID=5789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961A KR102520843B1 (ko) 2016-01-14 2017-01-11 유아식 준비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033141B2 (ko)
EP (1) EP3383237B1 (ko)
JP (2) JP2019511341A (ko)
KR (1) KR102520843B1 (ko)
CN (1) CN108778068B (ko)
CA (1) CA3011371C (ko)
DE (1) DE102016000406B4 (ko)
ES (1) ES2959732T3 (ko)
PL (1) PL3383237T3 (ko)
WO (1) WO2017121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009551A1 (de) 2018-12-05 2020-06-10 Stefan Schlack Vorrichtung zur Zubereitung von Babynahrung, Behälter zur Aufnahme und Dosierung von Babynahrungskonzentrat und/oder eines Fluids und entsprechendes System
WO2019098749A1 (ko) * 2017-11-20 2019-05-23 정윤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EP3891332A2 (de) * 2018-12-05 2021-10-13 SMIICS GmbH Vorrichtung zur dosierung von waschmittel, behälter zur aufnahme und dosierung von pulverwaschmittel und/oder flüssigwaschmittel und entsprechendes system
DE102019003274A1 (de) 2019-05-08 2020-11-12 Stefan Schlack Temperiermodul zum Temperieren von Babynahrung, Beutel zur Aufbewahrung von Babynahrung und Verfahren zum Temperieren einer Babynahrung
DE102019003263A1 (de) 2019-05-08 2020-11-12 Stefan Schlack Beutel zur Herstellung von Babynahrung, Vorrichtung zum Temperieren der Babynah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bynahrung
DE202019004089U1 (de) * 2019-10-04 2021-01-11 Stefan Schlack Hubsystem zur Dosierung von einem Fluid aus einem Behälter und Behälter für ein Fluid
US20230363575A1 (en) * 2022-05-13 2023-11-16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Process
US11745996B1 (en) 2022-11-17 2023-09-05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US11738988B1 (en) 2022-11-17 2023-08-29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US11634314B1 (en) 2022-11-17 2023-04-25 Sharkninja Operating Llc Dosing accuracy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US11925287B1 (en) 2023-03-22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US11931704B1 (en) 2023-06-16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chamb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8093A1 (en) 2004-01-13 2006-12-14 Eytan Biderman Feeding formula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35094B (en) * 1978-11-02 1982-11-10 Vickers Lt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GB2060401B (en) * 1978-11-02 1982-12-22 Vickers Ltd Tube assembly for use i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4319568A (en) * 1979-10-29 1982-03-16 Vickers Limite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4576603A (en) * 1984-06-18 1986-03-18 Gerald Moss Feeding device for enterally administering liquids into a human body
US4620794A (en) * 1984-11-20 1986-11-04 Jule Inc. Gradient formers
GB2176280B (en) 1985-06-03 1989-07-05 Chiaphua Ind Ltd Liquid hea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4993593A (en) * 1989-07-21 1991-02-19 Ralph Fabiano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 flowable medium
GB9203546D0 (en) * 1992-02-20 1992-04-08 Kodak Ltd A fluid dispenser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fluid
US5241898B1 (en) * 1992-09-25 1999-02-09 Grindmaster Corp Coffee dispenser and brewer apparatus
AT400508B (de) * 1994-07-27 1996-01-25 Mayer Erwin Vorrichtung zum zubereiten von babynahrung
US5570816A (en) * 1994-12-08 1996-11-05 Labarbera, Jr.; George Dry baby formula maker
US5797313A (en) * 1998-02-11 1998-08-25 Rothley; Tamara Electronic baby formula preparation and storage device
US6173117B1 (en) * 1999-09-14 2001-01-09 Bobbye L. Clubb Heated beverage machine
NL1016866C1 (nl) 2000-01-07 2001-07-10 Itsac Nv Systeem voor het afgeven van een vloeibare of pasteuze substantie uit een zak.
CA2445976A1 (en) 2001-04-30 2002-11-07 Bunn-O-Matic Corporation Variable flow spray system
CN2497679Y (zh) * 2001-06-18 2002-07-03 王锦林 净水机输水灌桶自动控制水位装置
US6837397B2 (en) * 2001-08-31 2005-01-04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Beverage ingredient powder mixing drink dispenser and method
SG117408A1 (en) 2002-03-20 2005-12-29 How Onn Cheong Infant formula preparation apparatus
CN100437373C (zh) * 2002-09-20 2008-11-26 株式会社理光 成像装置,墨粉供给部件,调色剂容器,墨粉容器及回收方法
US7104184B2 (en) * 2004-01-13 2006-09-12 Eytan Biderman Feeding formula appliance
US8601938B2 (en) * 2004-04-20 2013-12-10 John D. Huber Baby formula preparation device
US20060157463A1 (en) * 2005-01-14 2006-07-20 Wiele Melissa A Food preparation device
CN101115509A (zh) * 2005-02-04 2008-01-30 宝洁公司 具有改进的吸水材料的吸收结构
GB0504090D0 (en) * 2005-02-28 2005-04-06 Coffee Nation Ltd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EP1852044A1 (en) * 2006-05-04 2007-11-07 Impress Group B.V. Apparatus for preparing milk-based baby food
US8261656B2 (en) 2006-05-19 2012-09-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water-cooled sterilized water and an instant product
US20100139361A1 (en) * 2006-11-14 2010-06-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libration arrangement for an apparatus that prepares a beverage from water and an instant product
DE202007001767U1 (de) 2007-02-07 2007-04-26 Pawlak, Thomas Automat zur Zubereitung von Babynahrung
US20100133222A1 (en) 2007-02-27 2010-06-03 Ideaz, Llc Baby Bottle Preparation
DK2134222T4 (en) * 2007-04-16 2016-07-11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AND USING THE APPLIANCE
US20110163127A1 (en) * 2007-08-22 2011-07-07 Dibella-Lenaway Danielle Beverage apparatus for preparing, storing, and dispensing infant formula
US8230774B1 (en) * 2008-01-11 2012-07-31 Hunte Karen A Multi-unit bottle preparation device
US8359969B2 (en) * 2008-03-31 2013-01-29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kit for retrofitting an indoor water dispenser of an existing refrigerator
KR102171931B1 (ko) 2009-06-17 2020-11-02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캡슐
JP2012530494A (ja) 2009-06-17 2012-12-06 リンキア エクスプレス エルエルシー 調製乳用装置
KR101086869B1 (ko) * 2009-10-20 2011-11-24 주식회사 이담테크 자동 분유혼합장치
DE102010003974B4 (de) 2010-01-02 2013-05-16 Timo Funken Babyflaschenzubereitungsautomat
CA2790679C (en) * 2010-03-01 2018-06-05 Concordia Coffee Company, Inc. Accelerated low pressure brewer
WO2011157759A1 (en) * 2010-06-16 2011-12-22 Nestec S.A. Beverage dispenser with improved powder dosing system
GB201110848D0 (en) * 2011-06-24 2011-08-10 Mars Inc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beverage capsules for use therein
WO2013019227A1 (en) * 2011-08-03 2013-02-07 Product Spring, Llc Powder dispensing apparatus
CN202355218U (zh) 2011-10-09 2012-08-01 张顺 一种自动冲奶装置
JP2013214199A (ja) * 2012-04-02 2013-10-17 Fuji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原料供給装置
RU2635121C2 (ru) * 2012-04-05 2017-11-09 Нестек С.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дозированных количеств ингредиент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пециально приготавливаемой пищи для младенцев
GB2502091A (en) * 2012-05-15 2013-11-20 Milko Yorkshire Ltd A powder an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N202778391U (zh) * 2012-08-23 2013-03-13 南通艾德旺化工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洗功能的搅拌器
CN104869972A (zh) * 2012-12-21 2015-08-26 费森尤斯卡比德国有限公司 奶瓶适配器
US9717366B2 (en) 2013-03-12 2017-08-01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forming station door for beverage machine
CN104665591A (zh) 2013-11-27 2015-06-03 吴程 一种奶粉自动冲调设备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8093A1 (en) 2004-01-13 2006-12-14 Eytan Biderman Feeding formula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3237A1 (de) 2018-10-10
DE102016000406A1 (de) 2017-07-20
JP7316307B2 (ja) 2023-07-27
EP3383237B1 (de) 2023-08-09
WO2017121638A1 (de) 2017-07-20
CA3011371A1 (en) 2017-07-20
JP2019511341A (ja) 2019-04-25
CN108778068A (zh) 2018-11-09
US20190029461A1 (en) 2019-01-31
JP2021072971A (ja) 2021-05-13
PL3383237T3 (pl) 2024-01-29
ES2959732T3 (es) 2024-02-28
CN108778068B (zh) 2021-09-10
DE102016000406B4 (de) 2023-06-01
EP3383237C0 (de) 2023-08-09
CA3011371C (en) 2023-07-25
US11033141B2 (en) 2021-06-15
KR20180102128A (ko)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843B1 (ko) 유아식 준비 디바이스
US9648977B2 (en) Infant formula device
US20100018606A1 (en) Formula dispensing unit
EP1843685B1 (en) Method of preparing a nutritional composition
US20150368033A1 (en) A capsule for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JP2006527016A (ja) 食品調合の改良および食品調合に関連する改良
US20220364897A1 (en) Lifting system for metering a fluid from a container and container for a fluid
CN108135392A (zh) 婴儿食物制备模块化装置
JP2022520147A (ja) 調製されるべき媒体を投薬および/または調製するための装置、成分を受け入れて投薬するための容器、流体を受け入れて投薬するための容器、および対応するシステム
DE102010003974B4 (de) Babyflaschenzubereitungsautomat
US20220338667A1 (en) Baby Formula Making Device, Baby Formula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Baby Formula
AU2005318860A1 (en) Formula dispensing unit
EP2953511A2 (en) A capsule for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