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613B1 -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 Google Patents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613B1
KR102520613B1 KR1020210084671A KR20210084671A KR102520613B1 KR 102520613 B1 KR102520613 B1 KR 102520613B1 KR 1020210084671 A KR1020210084671 A KR 1020210084671A KR 20210084671 A KR20210084671 A KR 20210084671A KR 102520613 B1 KR102520613 B1 KR 102520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pier
weft
shaft
leve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742A (ko
Inventor
김성규
정한규
조순옥
변기석
나정흠
Original Assignee
나정흠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정흠,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나정흠
Priority to KR102021008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613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1Rapi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기본체의 위사 위입부분의 내부 좌측과 내부 우측에 각각 2개가 상하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레피어 샤프트; 각 레피어 샤프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위사를 위입하는 레피어 헤드; 직기본체의 위사 위입부분의 외부 좌측과 외부 우측에 설치되고, 레피어 샤프트 및 레피어 헤드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레피어 이송유니트;를 포함하고, 레피어 이송유니트는, 구동모터와 접속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캠; 작동캠의 회전에 따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회전하는 팔로우레버; 팔로우레버의 회전을 작동기어에 전달하는 커넥팅로드; 커넥팅로드를 통해 팔로우레버에 접속되어 팔로우레버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기어; 작동기어와 접속되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피어 샤프트 및 레피어 헤드를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구동모터의 작동과정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캠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피니언 기어의 정역회전으로 변환하여 레피어 샤프트에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레피어 샤프트 및 레피어 헤드의 좌우왕복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다층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에 안정적으로 위사를 위입할 수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WEFT INSERTING APPARATUS OF RAPIER LOOM WEAVING MULTILAYER FABRIC}
본 발명은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이 파일사로 연결된 형태의 다층직물을 직조하는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레피어 이송유니트의 작동캠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레피어 샤프트 및 레피어 헤드가 안정적으로 좌우왕복하면서 위사를 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을 제직하기 위해서는 개구 형성, 위사 삽입, 바디침, 권취 및 송출 과정을 반복하면서, 위사와 경사의 교차에 의해 직조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를 통해 직조되는 직물은 길이와 폭은 갖고 있으나 두께 또는 깊이와 같은 입체감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2D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다층직물은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이 파일사를 통해 연결된 입체형 직물을 의미하며, 이러한 다층직물은 주로 더블 헤드를 가지는 레피어 직기를 통해 직조된다.
예를 들어 레피어 직기에서 상·하단부 이중 개구를 통해 위사 위입이 이루어지되, 더블 헤드 레피어가 좌. 우에서 수평 운동을 하고, 개구 상단부와 개구 하단부 조직을 형성하면서 중간에 파일 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헬드프레임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면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이 파일사를 통해 연결된 형태의 다층직물을 15mm 이상의 두께로 제직할 수 있게 된다.
레피어 직기(rapier loom))는 리지드 레피어(rigid rapier) 위사삽입을 제어하게 되며, 이때 리지드 레피어의 한 끝은 위사를 운반하며 다른 끝은 연결부 또는 제어기구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어방법의 단점은 경사개구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레피어의 후퇴운동에 필요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레피어는 직기의 양쪽에서 1개씩 모두 2개를 사용한다 하여도 이 공간의 필요성은 남아 있으므로 직기의 폭은 직물의 폭보다 적어도 2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어느 직기나 직기의 양쪽에는 부속장치가 있어 이로 인해 직물의 폭보다 기계의 폭이 더 넓어진다는 사실을 고려해 보면 두 개의 레피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일면을 가지고 있다.
이 방식의 위사가 위사삽입공정 중에서 위사는 경사개구의 중간점에서 한 레피어에서 다른 레피어로 교환된다.
한 레피어(giver rapier)는 선정된 실을 취하여 개구의 중심으로 운반하고, 동시에 다른 레피어(taker rapier)는 역시 개구의 중심으로 향해 운동하며 양 레피어가 마주친다. 이 때 테이커 레피어(taker rapier)는 실을 받게 되고, 다음에 양 레피어는 후퇴하는데, 기버 레피어(giver rapier)는 빈채로 복귀하고 테이커 레피어(taker rapier)는 위사 위입장치의 운동을 완료한다.
한편, 레피어직기에서 레피어 샤프트 및 레피어 헤드를 위사 위입공간의 내외부로 좌우왕복시킬 때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좌우왕복운동으로 절환시키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메인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바디; 바디의 후면에 설치되고, 회전부재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가지는 구동유니트; 구동유니트의 구동모터에 접속되는 회전부재; 바디의 전방에서 중앙부가 회전부재의 하단부에 힌지 접속되는 링크부재; 바디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가 링크부재에 힌지 접속되는 위입샤프트;를 포함하는 탄소섬유 플랫얀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2350호 (2018년 06월 22일 등록)
종래에 있어서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링크방식의 회전절환수단으로 레피어 샤프트와 레피어 헤드를 직기본체의 위사 위입공간의 내외부로 왕복시키는 형태이었기 때문에 작동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 아니라 레피어 샤프트와 레피어 헤드의 좌우왕복이송과정에서 떨림 등이 발생하게 되는 등 다층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에 대한 위사 위입이 안정적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레피어 샤프트 및 레피어 헤드의 좌우왕복운동으로 안정적으로 절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다층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에 안정적으로 위사를 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는 직기본체의 위사 위입부분의 내부 좌측과 내부 우측에 각각 2개가 상하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레피어 샤프트; 각 레피어 샤프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위사를 위입하는 레피어 헤드; 직기본체의 위사 위입부분의 외부 좌측과 외부 우측에 설치되고, 레피어 샤프트 및 레피어 헤드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레피어 이송유니트;를 포함하고, 레피어 이송유니트는, 구동모터와 접속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캠; 작동캠의 회전에 따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회전하는 팔로우레버; 팔로우레버의 회전을 작동기어에 전달하는 커넥팅로드; 커넥팅로드를 통해 팔로우레버에 접속되어 팔로우레버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기어; 작동기어와 접속되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피어 샤프트 및 레피어 헤드를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의 작동캠은, 구동모터와 접속되는 작동축의 외주에 설치되고, 외주면이 팔로우레버의 상부레버에 밀착되는 제1작동캠와, 외주면이 팔로우레버의 하부레버에 밀착되는 제2작동캠로 구성되고, 팔로우레버는, 레버축의 일측 상부에 선단부가 제1작동캠에 밀착되는 상부레버가 마련되고, 레버축의 일측 하부에 선단부가 제2작동캠에 밀착되는 상부레버가 마련되고, 레버축의 타측에 커넥팅로드가 접속되는 접속레버가 마련된 형태이고, 커넥팅로드는, 일단부가 접속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부가 작동기어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작동기어는, 외주에 피니언기어의 접속베벨기어부와 접속되는 작동베벨기어부가 마련된 형태이고, 피니언기어는, 수직방향의 피니언축의 하단에 작동기어의 작동베벨기어와 접속되는 접속베벨기어부가 마련되고, 피니언축의 상단에 상부 레피어 샤프트 및 하부 레피어 샤프트에 접속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부가 마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에 의하면, 구동모터의 작동과정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캠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피니언 기어의 정역회전으로 변환하여 레피어 샤프트에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레피어 샤프트 및 레피어 헤드의 좌우왕복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다층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에 안정적으로 위사를 위입할 수 있게 되고, 고속운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직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에 의하면, 레피어 이송유니트의 소요부품수가 적고 전체 크기가 작기기 때문에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를 작은 크기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의 장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의 레피어 샤프트와 피니언 접속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의 장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의 요부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의 레피어 샤프트와 피니언 접속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100)는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이 파일사를 통해 연결된 다층직물을 직조하기 위한 것으로, 레피어 샤프트(110), 레피어 헤드(120), 레피어 이송유니트(130)를 포함한다.
레피어 샤프트(110)는 레피어 헤드(12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직기본체의 위사 위입부분의 내부 좌측과 내부 우측에 각각 2개가 상하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
각 레피어 샤프트(110)는 길이가 긴 막대의 형태를 가지며, 후면 중앙에 좌우방향으로 후술할 레피어 이송유니트(130)의 피니언(135)이 접속되는 래크(111)가 형성된다.
레피어 헤드(120)는 위사를 위입하는 부분으로, 각 레피어 샤프트(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레피어 샤프트(110)의 내측은 다른 레피어 샤프트(110)와 마주보는 쪽, 즉, 좌측 레피어 샤프트(110)의 우측, 우측 레피어 샤프트(110)의 좌측을 의미한다.
레피어 헤드(120)는 전술한 바와같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위사를 위입하는 기버 레피어 헤드와, 기버 레피어 헤드로부터 위사를 전달받아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위사를 위입하는 테이커 래리어 헤드의 2종류가 사용되며, 일측 상하부의 레피어 샤프트(110)에는 기버 레피어 헤드가 설치되고, 타측 상하부의 레피어 샤프트(110)에는 테이커 레피어 헤드가 설치된다.
레피어 이송유니트(130)는 레피어 샤프트(110) 및 그 선단의 레피어 헤드(120)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부분으로, 직기본체의 위사 위입부분의 외부 좌측과 외부 우측에 설치된다.
레피어 이송유니트(130)는 구동모터와 접속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캠(131); 작동캠(131)의 회전에 따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회전하는 팔로우레버(132); 팔로우레버(132)의 회전을 작동기어(134)에 전달하는 커넥팅로드(133); 커넥팅로드(133)를 통해 팔로우레버(132)에 접속되어 팔로우레버(132)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기어(134); 작동기어(134)와 접속되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20)를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피니언기어(135);를 포함한다.
작동캠(131)은 구동모터와 접속되는 작동축(131a)의 외주에 설치되고, 외주면이 팔로우레버(132)의 상부레버(132b)에 밀착되는 제1작동캠(131b)와, 외주면이 팔로우레버(132)의 하부레버(132c)에 밀착되는 제2작동캠(132c)로 구성된다.
팔로우레버(132)는 레버축(132a)의 일측 상부에 선단부가 제1작동캠(131b)에 밀착되는 상부레버(132b)가 마련되고, 레버축(132a)의 일측 하부에 선단부가 제2작동캠(132c)에 밀착되는 상부레버(132c)가 마련되고, 레버축(132a)의 타측에 커넥팅로드(133)가 접속되는 접속레버(132d)가 마련된 형태를 가진다.
커넥팅로드(133)는 일단부가 접속레버(132d)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부가 작동기어(134)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다.
작동기어(134)는 부채모양으로, 외주에 피니언기어(135)의 접속베벨기어부(135b)와 접속되는 작동베벨기어부(134b)가 마련된 형태를 가진다.
미설명부호 134a는 작동기어(134)의 회전중심축이다.
피니언기어(135)는 수직방향의 피니언축(135a)의 하단에 작동기어(134)의 작동베벨기어(134b)와 접속되는 접속베벨기어부(135b)가 마련되어 작동기어(134)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피니언기어(135)는 피니언축(135a)의 상단에 상부 레피어 샤프트(110) 및 하부 레피어 샤프트(110)에 접속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부(135c)가 마련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100)는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이 파일사로 연결된 다층직물을 직조하는 레피어 직기에서 상부직물 위사와 하부직물 위사를 동시 위입하기 위하여 좌측 2개, 우측 2개의 총 4개의 레피어 샤프트(110)가 사용되고, 각 레피어 샤프트(110)의 내측단에 위사를 위입하는 레피어 헤드(120)가 설치된다.
또한 레피어 직기본체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는 레피어 이송유니트(130)를 통해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20)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도 4a는 우측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20)가 좌측의 직기본체 내부로 이송되기 전의 정면도이다.
도 4a와 같이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10)가 직기본체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모터를 통해 레피어 이송유니트(130)의 작동캠(1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작동캠(131b)이 팔로우레버(132)의 상부레버(132b)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고, 그에 따라 팔로우레버(13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에서 팔로우레버(13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접속레버(132d)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커넥팅로드(133)의 일단부가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기어(134)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작동기어(134)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접속베벨기어부(135b)가 작동기어(134)의 작동베벨기어(134b)와 접속된 피니언기어(135)가 좌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도 4b와 같이 피니언기어(135)의 피니언기어부(135c)에 접속된 상부 레피어 샤프트(110) 및 하부 레피어 샤프트(110), 그리고 각 레피어 샤프트(110)의 좌측단에 설치된 레피어 헤드(12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우측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20)가 좌측으로 이송되는 동안에는 좌측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20)가 우측으로 이송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의 테이커 레피어 헤드가 타측의 기버 레피어 헤드로 부터 위사를 전달받게 된다.
한편, 양측의 레피어 헤드(120)가 만나 위사가 전달된 후에 우측 레피어 이송유니트(130)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캠(131)의 제2작동캠(131c)이 팔로우레버(132)의 하부레버(132c)를 좌측으로 밀게 되면 팔로우레버(1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에서 팔로우레버(1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접속레버(132d)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커넥팅로드(133)의 일단부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작동기어(1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작동기어(1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접속베벨기어부(135b)가 작동기어(134)의 작동베벨기어(134b)와 접속된 피니언기어(135)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기어(135)의 피니언기어부(135c)에 접속된 상부 레피어 샤프트(110) 및 하부 레피어 샤프트(110), 그리고 각 레피어 샤프트(110)의 좌측단에 설치된 레피어 헤드(12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우측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20)가 우측으로 이송되는 동안에는 좌측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20)가 좌측으로 이송되어 양측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20)는 직기본체의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100)에서 기버 레피어 헤드는 직기본체의 내부로 이동할 때에 위사를 위입하게 되고, 기버 레피어 헤드로부터 위사를 전달받은 테이커 레피어 헤드는 직기본체의 외측으로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위사를 위입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100)는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레피어 이송유니트(130)의 작동캠(131)가 회전하는 동안에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20)가 직기본체의 위사 위입공간의 내측과 외측을 왕복하면서 다층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을 직조하는 위사를 안정적으로 위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110 : 레피어 샤프트
120 : 레피어 헤드
130 : 레피어 이송유니트
131 : 작동캠
132 : 팔로우레버
133 : 커넥팅로드
134 : 작동기어
135 : 피니언기어

Claims (2)

  1. 상부직물과 하부직물이 파일사를 통해 연결된 다층직물을 직조하기 위한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로,
    직기본체의 위사 위입부분의 내부 좌측과 내부 우측에 각각 2개가 상하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레피어 샤프트(110);
    각 레피어 샤프트(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위사를 위입하는 레피어 헤드(120);
    직기본체의 위사 위입부분의 외부 좌측과 외부 우측에 설치되고,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20)를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레피어 이송유니트(130);를 포함하고,
    레피어 이송유니트(130)는,
    구동모터와 접속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캠(131);
    작동캠(131)의 회전에 따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회전하는 팔로우레버(132);
    팔로우레버(132)의 회전을 작동기어(134)에 전달하는 커넥팅로드(133);
    커넥팅로드(133)를 통해 팔로우레버(132)에 접속되어 팔로우레버(132)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기어(134);
    작동기어(134)와 접속되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피어 샤프트(110) 및 레피어 헤드(120)를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피니언기어(135)를 포함하며,
    작동캠(131)은, 구동모터와 접속되는 작동축(131a)의 외주에 설치되고, 외주면이 팔로우레버(132)의 상부레버(132b)에 밀착되는 제1작동캠(131b)와, 외주면이 팔로우레버(132)의 하부레버(132c)에 밀착되는 제2작동캠(132c)로 구성되고,
    팔로우레버(132)는, 레버축(132a)의 일측 상부에 선단부가 제1작동캠(131b)에 밀착되는 상부레버(132b)가 마련되고, 레버축(132a)의 일측 하부에 선단부가 제2작동캠(132c)에 밀착되는 상부레버(132c)가 마련되고, 레버축(132a)의 타측에 커넥팅로드(133)가 접속되는 접속레버(132d)가 마련된 형태이고,
    커넥팅로드(133)는, 일단부가 접속레버(132d)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타단부가 작동기어(134)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고,
    작동기어(134)는, 외주에 피니언기어(135)의 접속베벨기어부(135b)와 접속되는 작동베벨기어부(134b)가 마련된 형태이고,
    피니언기어(135)는, 수직방향의 피니언축(135a)의 하단에 작동기어(134)의 작동베벨기어(134b)와 접속되는 접속베벨기어부(135b)가 마련되고, 피니언축(135a)의 상단에 상부 레피어 샤프트(110) 및 하부 레피어 샤프트(110)의 래크(111)에 접속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부(135c)가 마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2. 삭제
KR1020210084671A 2021-06-29 2021-06-29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KR102520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671A KR102520613B1 (ko) 2021-06-29 2021-06-29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671A KR102520613B1 (ko) 2021-06-29 2021-06-29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42A KR20230001742A (ko) 2023-01-05
KR102520613B1 true KR102520613B1 (ko) 2023-04-11

Family

ID=8492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671A KR102520613B1 (ko) 2021-06-29 2021-06-29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6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48B2 (ja) * 1987-06-08 1995-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しや断器
KR940001737Y1 (ko) * 1992-02-07 1994-03-24 김현수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JPH09241945A (ja) * 1996-03-08 1997-09-16 Tsutomu Kikuchi 立体織物を織成するための緯糸挿入方法と装置
KR101872350B1 (ko) 2016-06-16 2018-06-28 주식회사 케이지에프 탄소섬유 플랫얀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42A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6499A (zh) 用于制造带、尤其是织入导电细丝具体为天线细丝的标签带的导纬针织带机
IT9021320A1 (it)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la formazione della cimossa in telai senza navette
JP2007107128A (ja) 織機における耳糸開口装置
CN101529002A (zh) 连续角的编织系统
EP0536735B1 (en) Tetraxial fabric and weaving machine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102520613B1 (ko)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CN105088469B (zh) 一种绞织方式的喷水织机
EP0440579B1 (en) Device for driving the reed in a loom, method for driving the reed and loom with such a device
US11453962B2 (en) Weaving method, weft selector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and weaving loom incorporating such a weft selector
US3678968A (en) Shuttleless loom
KR101872350B1 (ko) 탄소섬유 플랫얀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CN108149366B (zh) 具有行进工作头的用于织机的折边装置的控制杆机构
US4655263A (en) Apparatus for presenting weft threads to the clamps of gripper rods in shuttleless looms
US5505231A (en) Projectile guiding elements synchronously movable with a full width power loom sley
US3826289A (en) Method for inserting weft in shuttleless looms
US3951178A (en) Shuttleless loom
BE1000443A4 (nl) Inrichting voor het vormen van een zelfkant, respektievelijk zelfkanten, aan weefsels.
JPH09137338A (ja) レピア織機における緯入れ方法
RU1794116C (ru) Ткацкий станок
CN101736493B (zh) 剑杆织机的引纬方法及其装置
US4526212A (en) Actuating device for reciprocating grippers in shuttleless looms
KR840000332B1 (ko) 직기에 있어서 경사개구장치
JP3377166B2 (ja) パイル形成装置
US26919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oven fabrics
JPS60104554A (ja) ヒなし織機へ旧式織機を変換する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