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737Y1 -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737Y1
KR940001737Y1 KR9201789U KR920001789U KR940001737Y1 KR 940001737 Y1 KR940001737 Y1 KR 940001737Y1 KR 9201789 U KR9201789 U KR 9201789U KR 920001789 U KR920001789 U KR 920001789U KR 940001737 Y1 KR940001737 Y1 KR 940001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rive
lever
shaf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813U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주식회사 한일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주식회사 한일기계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9201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737Y1/ko
Publication of KR930019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813U/ko
Priority to BR9400284A priority patent/BR9400284A/pt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7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5Drive mechanisms
    • D03D47/276Details or arrangement of sprocket whee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1Rapi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참고 분해사시도.
제2도는 a 내지 제2도 e는 본 고안의 작동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3 : 링크 24 : 회동축
35 : 캠볼레버 35a, 35b : 레버
39 : 구동축 40 : 구동캠
본 고안은 레피어직기에 있어서, 레피어밴드와 리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캠과 복귀구동캠의 구동 동작에 의해 캠볼레버의 동작 및 동작 후 복귀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여 레피어의 동작이 위치와 속도가 일정하고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레피어 직기의 레피어와 리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피어직기에 있어서, 위사를 경사내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레피어밴드의 구동에 의한 레피어가 위사를 물고 리드에 안내된 경사사이에 삽입되어 이동된후, 이와같이 이동된 반대편의 레피어에 위사를 전달한 다음, 동시에 위사를 전달 받은 레피어와 함께 복귀하는 것에 의해 경사에 위사를 삽입시켜 주게된다.
이와같은 양 레피어의 작동후에 리드가 상기한 위사를 제직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에 의하여 원단을 제직 하였다.
이와같은 제직공정후에 다시 리드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다시 레피어는 상기한 바와같은 재 작동을 하게되는 등의 반복 공정에 의하여 결국 원단을 제직하게 된다.
이와같은 레피어의 구동을 위한 레피어밴드와 리드의 구동은 항상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레피어는 위사를 물고 진행하였다가 반대편에서 작동하는 레피어와의 도킹수단에 의해 위사를 전달해야 하므로 그 속도 및 도킹 위치등이 정확해야 한다.
이와같은 레피어밴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과 리드를 구동시키기위한 구동장치가 필요하게 되는바, 종래에는 상기한 구동장치는 동력방향을 전환하는 구동기어에 의해 레피어밴드를 일정한 행정거리로 흔들어 여러개의 레버를 통해 구동기어로 전달하여 레피어를 동작시켰는데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레버를 설치하는데에 매우 정밀한 치수의 고정이 요구되었고, 특히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공차가 점차누적되어 레피어의 정확한 구동에 장애요인이 되었고, 접촉부위의 마모율이 증대되어 기기의 수명을 단축하게 되는 등 고장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해소하고자 개량된 구동장치가 제안된 바도 있으나, 이 역시 브라켓트에 일단이 고정된 레버 타측 단부에 스프링 장력을 갖는 로우프를 연결한 후 이를 구동기어와 일체로 구성된 풀리에 연결하여 캠의 회전운동을 레피어의 직선 완복운동으로 전환케 하는 것으로, 이 경우 연결지점의 수가 다소 줄어 들어 동작에 따르는 공차를 일부 감소 시킬 수 있다 하더라고 근본적인 문제해결에는 적합하지 못한 것이며 이로인해 로우프의 장력 유지등 또 다른 문제점이 지적 되는 것이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또한 제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공고 번호 제91-5302호에서 구동축상에 편심을 갖는 편심캠이 연결되고, 레피어를 좌, 우 왕복직선운동하게 하는 구동기어와 편심캠 사이에는 캠가이드와 부채꼴형의 전달기어를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축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축을 구동시키면 편심캠의 회전운동을 결국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가이드를 통해 부채꼴형의 전달기어로 전달되고, 부채꼴형의 전달기어의 왕복 회전에 따라 구동되어 일정한 회전을 하게 되어 이와 연결된 레피어를 구동케 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편심캠자체의 운동만에 의해 캠가이드를 밀어주어 전달기어를 왕복 운동케 했으나, 편심캠의 상사점에서 캠가이드를 밀어준후에 이를 복귀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말해 편심캠의 상사점에서 일측의 캠가이드를 밀어준 후에는 캠가이드가 최고치로 멀리 이동한후가 되므로 이의 캠가이드가 편심캠의 하사점에서 상사점이 캠가이드를 밀어줄때 그 동작이 순간적으로 구동하고, 폄심캠이 360도로 운동해야 하므로 폄심캠과 캠가이드의 접촉면이 쉬이 마모가 되고, 특히 누적공차를 해소 했다고 하나 이역시 단일의 편심캠이 캠가이드를 밀어준후에 타측의 캠 가이드를 밀어 줄때까지에 캠가이드에 운동변화가 없어 누적공차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고, 이에의해 전달기어가 일시에 구동했다가 다시 또 일시에 구동하기 때문에 레피어의 속도가 일정하지 아니하거나 그 작동거리가 너무커서 상대편 레피어와 도킹하는 위치가 일정하지 아니하여 위사의 전달을 실패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단점을 일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캠볼레버를 밀어주는 운동과 복귀시키기 위한 운동을 본 고안에 의한 구동캠과 복귀구동캠에 의해 극히 부드럽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레피어의 왕복운동속도가 등속도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대편 레피어와 도킹위치가 정확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축(31)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섹터기어(sector gear)(32)의 일끝단에 링크바(32')를 축설하고, 상기 링크바(32')의 일끝단에는 링크(33)를 축설하여 이루어진 레피어직기의 구동장치(30)에 있어서, 상기 링크(33)를 회동축(34)상에 고정하되 상기 회동축(34)에는 수직상으로 일정한 단차를 두고 고정된 레버(35a), (35b)로 이루어진 캠볼레버(35)로 고정하고, 상기 레버(35a), (35b)의 일끝단에는 공지의 로울러(38a), (38b)가 회동가능한 상태로 착설되어서 구동축(39)에 착설된 구동캠(40)의 평활면에 상기 로울러(38a)가 접촉되고, 상기 구동챔(40)의 하부에는 복귀구동캠(41)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평활면에 로울러(38a)가 접촉되며, 상기 구동캠(40)의 평활면과 복귀구동캠(41)에는 수직상으로 일정한 단차를 두고 형성된 캠볼레버(44)를 구성하는 레버(45a)(45b)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공지의 로울러(46a), (46b)가 각각 접촉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본 고안에 의한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구동장치(60)를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동장치(60)에 의하면 첨부한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케이싱(61)내에 내장되어 레피어직기에 장착되어 사용되어 지는바, 상기한 회동축(43), 구동축(39) 및 회동축(34)는 케이싱(61)에 장착된 베어링(43')(39'), (34')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한 회동축(43), 구동축(39) 및 회동축(34)을 원활하게 회전 구동 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먼저, 첨부한 도면 제2도 a 내지 제2도e도와 제3도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동창치(60)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한 도면 제2도a는 레피어직기 자체의 구동을 중지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같은 상태에서 첨부한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모터(M)를 구동시키면 풀리벨트(B)에 의해 그 회전구동력을 풀리(P)를 통하여 구동축(39)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첨부한 도면 제2도b에서와 같이 구동캠(40)이 구동축(39)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한 구동캠(40)의 평활면에 접촉하고 있는 캠블레버(44)의 레버(45a)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로울러(46a)를 밀어 주게된다.
이는 곧 상기한 구동캠(40)과 구동축(39)사이에서 최대거리를 이루는 구동캠(40)의 끝단이 상기한 로울러(46)을 밀어주는 것이 되므로 결국 상기한 레버(45a)가 상기 구동캠(40)이 밀어주는 만큼 회전하는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 되므로 결국 이를 고정하는 회동축(43)이 상기한 레버(45a)의 이동거리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축(43)의 회전은 상기 첨부한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회동축(43)의 회전에 따른 전달에 따라 회전이동하는 회동축(43)의 일 지점에 고정된 슬레이스워드(S)를 또한 이동시켜 주는 것이되고, 또한 슬레이스워드(S)에 고정된 리드(R)는 그 회전이동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와같이 이동된 리드(R)를 다음의 공정을 위하여 원위치시켜야 하는바, 이는 첨부한 도면 제2도b의 상태에는 제2도c의 상태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능해진다.
즉, 상기한 구동캠(40)의 최대상사위치의 평활면에 레버(45a)의 로울러(46a)가 접촉하고 있을때 레버(45b)의 로울러(46b)는 복귀 구동캠(41)의 평활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구동축(39)의 회동에 따라 상기 구동캠(41)과 복귀 구동캠(41)이 동시에 회전구동하게 되므로 상기한 구동챔(40)이 로울러(46a)를 최대한으로 밀어주고난 다음에는 레버(45b)가 밀어지는 상태가 되어야만이 상기한 구동캠(40)의 평활면에 계속하여 로울러(46a)가 접촉되어 질것이다.
이때 상기한 회전구동에 의해 복귀구동캠(41)의 평활면에 접촉하고 있던 로울러(46b)가 상기 복귀구동캠(41)의 회전에 의해 그 평활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캠(40)의 최대위치점에서 벗어난 로울러(46a)의 레버(45a)는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레버(45b)가 로울러(45a)에 접촉하고 있는 복귀구동캠(41)에 따라 서서히 최대거리로 밀려날때에는 상기한 레버(45b) 즉 로울러(45a)는 원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로울러(45a)의 원위치는 결국 회동축(43)을 반대로 회전시키는 것이 되므로 리드(R)은 다음번의 고정을 위해 원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동축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구동캠(40)과 복귀구동캠(41)은 계속 회전하면서 첨부한 도면 제3도d의 상태 즉 구동캠(40)의 최대점이 캠볼레버(35-를 구성하는 레버(35a)의 로울러(36a)와 접촉하면서 이를 밀어주는 형태를 유지하여 주게 된다.
이러한 레버(35a)는 결국 그 밀어지는 회전구동력이 회동축(34)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러한 회동축(34)의 회동은 이에 고정된 링크(33)를 그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또한 링크(33)의 끝단에 축설된 링크바(32')는 상기 링크(33)를 그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또한 링크(33)의 끝단에 축설된 링크바(32')는 상기 링크(33)의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섹터기어(32)의 일끝단을 고정축(31)에서 당겨 주는 것이 되므로 타 끝단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섹터기어(32)의 이동에 의해서 첨부된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섹터기어(32)에 치합된 퍼니언기어(P, G)를 회전시켜주게 되고 또한 피니언기어(P, G)에 고정된 회전축(M, S)의 회전에 따라 이의 끝단에 고정된 주동베벨기어(B, G2)를 회전시키게 되고, 또한 피니언기어(P, G)에 고정된 회전축(M, S)의 회전에 따라 이의 끝단에 공정된 주동벨기어(B, G)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주동베벨기어(B, G1)에 치합된 종동베벨기어(B, G2)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러한 종동베벨기어(B, G2)의 회전은 회전축(S, M)을 통하여 휠(H)을 회전시켜주어 상기 휠(H)에 감합된 레피어벨트(R, B)를 이동시켜 주는 것에 의해 상기한 레피어벨트(R, B)의 일끝단에 고정된 레피어(R, P)가 위사를 물고 상기한 리드(R)에 가이드된 경사사이에 삽입되면서 적정한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는 반면 상대편의 레피어(미도시)역시 상기와 동일한 작동에 의해 위사를 물고 있는 레피어(R, P)와 도킹하여 위사를 전달받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레피어(R, P)와 위사를 전달받은 반대편의 레피어(미도시)를 원위치시켜 위사를 완전히 경사내에 삽입시켜야 할것이다.
이러한 것은 첨부한 도면 제2도e에 도사되어 있는바와같이, 상기한 첨부한 도면 제2도d의 상태에서 구동축(39)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구동캠(40)의 최대거리만큼 이동된 상태의 로울러(38a)를 벗어나는 순간부터는 복귀구동캠(41)에 접촉하는 로울러(38b)가 복귀구동캠(41)의 평활면을 따라 서서히 바깥방향으로 회동이동하는 만큼 최대거리만큼 이동된 상기 로울러(38a)는 안쪽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는 곧 상기한 바와같이 로울러(38b)의 이동에 따른 레버(35b)가 이동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레버(35a)는 안쪽으로 복귀하는 것이된다.
이러한 레버(35a)의 복귀 즉 로울러(38b)의 위치이동은 회동축(34)을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것이므로 이에 고정된 링크(33)은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되고, 또한 링크바(32')의 반대방향이동은 결국 섹터기어(32)의 일끝단을 고정축(31)을 중심으로 밀어주는 것이 되므로 섹터기어(32)의 타끝단은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은 섹터기어(32)의 반대방향이동에 의해 피니언(P, G)는 상기와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결국 휠(H)은 레피얼벨트(R, B)를 반대방향으로 당겨주는 회전력을 연출하게되어 결국 상기 경사내에 삽입되었던 레피어(R, P)가 다음의 공정을 위해 본래의 위치에 복귀되어 지는 것이다.
이와같은 일련의 작동에 의해 경사내에 삽입된 위사를 전방으로 밀어 제직되어야 하는데 물론 이는 상기한 구동축(39)의 회전에 의해 구동캠(40)과 복귀구동캠(41)이 상기한 바와같은 첨부한 도면 제2도a의 상태를 거쳐 제2도b에서와 같이 구동캠(40)이 레버(45a)에 착설된 로울러(46a)를 최대거리만큼 밀어주는 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같이 리드(R)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위사를 제직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 다시 첨부한 도면 제2도 c에서와 같이 위치하는 동안 서서히 복귀구동캠(41)에 의해서 로울러(46b)를 멀어주는 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레버(45a)를 복귀시켜주는 것에 의해서 회동축(43)의 회전방향변경에 따라 리드(R)를 다음의 공정을 위한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일련의 계속되는 작업에 의해 원단이 제직되는 것이며, 특히 본 고안에서는 리드(R)와 레피어(R, P)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킬때 구동캠(40)과 복귀구동캠(41)에 의해 그 평활면을 따라 로울러의 위치변경을 극히 부드럽고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유지할 수 있어 정확하게 위사를 전달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울러 역시 구동캠과 복귀구동캠의 평활면만을 따라서 계속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그 마모가 제거되는 등의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고정축(31)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축설된 섹터기어(sector gear)(32)의 일끝단에 링크바(32')를 축설하고, 상기 링크바(32')의 일끝단에는 링크(33)를 축설하여 이루어진 레피어직기의 구동장치(30)에 있어서, 상기 링크(33)를 회동축(34)상에 고정하되 상기 회동축(34)에는 수직상으로 일정한 단차를 두고 고정된 레버(35a)(35b)로 이루어진 캠볼레버(35)를 고정하고, 상기 레버(35a)(35b)의 일끝단에는 공지의 로울러(38a)(38b)가 회동가능한 상태로 착설되어서 구동축(39)에 착설된 구동캠(40)의 평활면에 상기 로울러(38a)가 접촉되고, 상기 구동캠(40)의 하부에는 복귀구동캠(41)이 일체로 형성되어 그 평활면에 로울러(38a)가 접촉되며, 상기 구동캠(40)의 평활면과 복귀구동캠(41)에는 회동축(43)상에 수직상으로 일정한 단차를 두고 형성된 캠볼레버(44)를 구성하는 레버(45a)(45b)에 회동하게 장착된 공지의 로울러(46a) (46b)가 각각 접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구동장치.
KR9201789U 1992-02-07 1992-02-07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KR940001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89U KR940001737Y1 (ko) 1992-02-07 1992-02-07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BR9400284A BR9400284A (pt) 1992-02-07 1994-02-17 Uma espécie de estreptomyces lavendofoliae DKRS e método para produzir aclacionomicinas A, B, Y e aglico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89U KR940001737Y1 (ko) 1992-02-07 1992-02-07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813U KR930019813U (ko) 1993-09-23
KR940001737Y1 true KR940001737Y1 (ko) 1994-03-24

Family

ID=1932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789U KR940001737Y1 (ko) 1992-02-07 1992-02-07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40001737Y1 (ko)
BR (1) BR94002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382A (ko) * 2000-08-17 2002-02-25 방광배 레피어 직기용 구동장치
KR20230001742A (ko) * 2021-06-29 2023-01-05 나정흠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382A (ko) * 2000-08-17 2002-02-25 방광배 레피어 직기용 구동장치
KR20230001742A (ko) * 2021-06-29 2023-01-05 나정흠 다층직물 직조용 레피어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400284A (pt) 1995-05-02
KR930019813U (ko) 199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4132A (en) Gripper tape drive device for shuttleless loom
KR940001737Y1 (ko)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US5320143A (en) Variable pitch cylindrical cam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weft insertion members in shuttleless weaving looms
EP0391770A2 (en) Picking apparatus for a loom
US4901768A (en) Picking apparatus for a loom
US4071056A (en) Lance driving mechanism for shuttleless looms
KR920009210B1 (ko) 북 없는 직기의 위사 삽입 부재 이동 제어 장치
US4111240A (en) Loom drive mechanism
US4580605A (en) Leno selvedge forming device
US3951178A (en) Shuttleless loom
US4176692A (en) Rotating driving mechanism for imparting reciprocatory motion to a driven element
KR800000841Y1 (ko) 레피아식 직기의 레피아 구동장치
US3972355A (en) Weft inserting driving means for a shuttleless loom
US3378041A (en) Shuttle drive
KR940003425Y1 (ko) 레피어직기의 구동장치
US4243076A (en) Loom rapier drive mechanism
JPS5830429B2 (ja) レノイトヨウカイテンカラミオリソウチ
GB2073789A (en) Tape drives
US4526212A (en) Actuating device for reciprocating grippers in shuttleless looms
EP0036897B1 (en) Control device for reciprocating grippers in shuttleless looms
EP0077866B1 (en) Mechanical assembly for reciprocately driving the pliers bearing tape in a textile loom
EP1132509B1 (en) Control and adjustment device to form terry loops in terry looms and method thereof
JP3377166B2 (ja) パイル形成装置
US5526851A (en) Variable pitch cyclindrical cam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motion of a weft insertion member
KR960001866Y1 (ko) 자동직기의 래피어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