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508B1 -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508B1
KR102520508B1 KR1020220185949A KR20220185949A KR102520508B1 KR 102520508 B1 KR102520508 B1 KR 102520508B1 KR 1020220185949 A KR1020220185949 A KR 1020220185949A KR 20220185949 A KR20220185949 A KR 20220185949A KR 102520508 B1 KR102520508 B1 KR 102520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cks
vacuum pad
bag
transfer
sucti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현
Original Assignee
양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현 filed Critical 양기현
Priority to KR1020220185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넓고 굵은 실로 직조한 마대를 이송하여 자동으로 마대 입구를 벌린 다음 내용물을 투입하고 포장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진행하여 작업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A gunny bag packing device}
본 발명은 넓고 굵은 실로 직조한 마대를 이송하여 자동으로 마대 입구를 벌린 다음 내용물을 투입하고 포장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진행하여 작업공정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대는 농산물이나 각종 물건들을 담아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특히 감자나 고구마 또는 양파와 같은 농산물을 수확하여 벌크 상태로 운반 및 보관할 때 사용되는 마대(일명, '컨테이너 백' 또는 '톤 백')는 운반 및 보관 과정에서 통기성이 확보되어야 농산물의 변질을 막을 수 있으므로 넓고 굵은 거친실로 직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농산물용 외에도 고속도로나 일반국도 또는 스키장, 초지공원, 골프장 등을 건설하거나 하천의 제방을 정비하고 나면 흙이 그대로 드러나는 경사면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그대로 두게 되면 비 등으로 인해 흙이 유실되어 버릴 염려가 있기 때문에, 마대에 흙을 담아 적층시켜 쌓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용도 외에 금속 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기계공업 제품들이 발달함에 따라 이에 필요한 각종 포장제품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철 또는 비철금속류의 제품들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제품들 중에서 폴리에틸렌 재질의 섬유사로 통기성을 갖도록 직조된 마대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마대에 내용물을 담아서 포장할 때에는 1명 또는 2명 이상의 작업자가 마대의 양측 상부를 잡아 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가 마대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담은 다음 다음 포장합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마대 내부에 내용물을 담고자 할 경우에 마대를 들고 있는 작업자와 상기 마대에 내용물을 담는 작업자 등이 2인 1조로 이루어져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인력과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마대의 내부에 물건을 포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용물을 마대의 내부에 수납하는 작업자와 마대의 개방된 입구인 상단을 잡는 작업자와 내용물을 담은 다음 마대를 이동하기 위한 여러 작업자 등 인력이 다수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시간 내에 많은 물량을 포장하거나 부피가 있는 물건을 포장해야 하는 긴급한 경우에는 더 많은 인력이 일시에 투입되어야 함으로써 작업시간과 경비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대에 내용물을 담을때 자동화 공정으로 진행을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마대를 제조할때 굵고 넓은 섬유사를 통해 직조함으로 인해 위사와 경사 사이에 일정 크기의 통풍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비닐봉지 자동화 공정에 의해 벌려 내부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마대 양면을 흡입하여 개방된 입구를 강제로 벌릴려하면 양쪽에 위치한 통풍공이 서로 통공되어있어 흡입 압력이 반대면도 강제로 흡입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마대 입구를 벌리기가 쉽지않다.
그러나 비닐봉지는 양면에서 흡입 압력에 의해 당기면 입구가 쉽게 벌려지는데 그 이유는 비닐봉지의 양측면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여 비닐봉지와 같이 자동화 방식에 의해 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10-095370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기성이 우수한 마대에 내용물을 담아서 담기 포장하기 위해서 적재된 마대를 한장씩 이송하여 강제로 입구를 벌리고, 입구가 벌어진 상태에서 내부에 내용물을 투입한 다음 마대를 이송하여 포장하는 공정을 자동화 공정으로 진행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로봇 핸드가 작동하여 마대 적재부에 적재된 마대를 이송 진공패드에 의해 한장씩 흡착하여 들어올린 다음 마대 벌림 고정부로 위치하면 마대 벌림 고정부의 고정 진공패드는 마대의 타측면만 흡입 압력에 의해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마대의 일측면만 이송 진공패드에 의해 밀착 고정한 상태에서 로봇 핸드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이송 진공패드에 의해 마대의 일측면만 당겨져 마대의 입구가 벌려지면 상부에 위치한 4개의 간격 유지봉이 하강하여 입구로 삽입되면 각 모서리를 지지하여 벌린 상태를 유지하면 이송 진공패드와 고정 진공패드는 마대 표면에서 분리되고, 간격 유지봉은 이송 컨베어 벨트에 마대를 안착한 다음 마대 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공급한 다음 이송 컨베어 벨트에 의해 이송하는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기성이 우수한 마대를 이송한 다음 자동으로 입구를 벌리고, 벌려진 상태를 유지한 다음 내용물을 투입한 다음 이송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공정으로 진행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통기성이 우수한 마대를 양쪽에서 흡입하는 압력에 의해 벌릴때 서로 영향을 받지않고 자동으로 마대 입구를 벌리는 것은 물론 내용물을 투입할때까지 벌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인력의 투입 없이도 마대의 이송부터 포장까지 하나의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완료할 수 있어, 시간 및 인력 소모가 절감됨으로써 최종 포장 단가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 마대 벌림 고정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흡입력의 진행상황을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흡입력의 진행상황을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이송 벌림부와 마대 벌림 고정부의 흡입공을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를 벌린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이송 벌림부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이송 벌림부에 마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이송 벌림부에 마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벌림 고정부에 마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벌림 고정부에 마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진공조절유닛을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진공조절유닛을 도시해 보인 평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 마대 벌림 고정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며, 도 5a,b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흡입력의 진행상황을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는 크게 적재 컨베어 벨트(13), 로봇(5), 진공조절유닛(8), 마대 벌림 고정부(7), 간격 유지봉으로 구성된다.
상기 적재 컨베어 벨트(13)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바닥면에는 링브로워(3)와 연결되도록 적재 진공패드(6)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 진공패드(6)의 표면에는 흡입공(9)이 형성되어 적층된 마대(2)중 상부에 위치한 마대(2)만 한장씩 들어올려지도록 적층된 마대(2) 하부에서 흡입 압력을 제공하고 , 상면에는 마대(2)를 한장씩 들어올릴 수 있도록 다수개의 마대(2)를 적층하여 지정된 장소로 이송한다.
상기 로봇(5)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고, 상하부방향으로 회동하는 로봇 핸드(12)와, 상기 로봇 핸드(12)의 전방에는 마대 이송 벌림부(17)가 위치하여 링브로워(3)와 연결되고,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의 전면에는 흡입공(9)이 형성된 이송 진공패드(4)가 결합되어 로봇 핸드(12)의 작동으로 지정된 장소에 위치한 마대(2) 상부에 이송 진공패드(4)가 위치하고,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 압력에 의해 한장씩 마대(2)를 들어 올린 다음 로봇 핸드(12)의 회전으로 마대 이송 벌림부(17)는 마대 벌림 고정부(7)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에 설치된 진공조절유닛(8)은 개폐도어(10)에 의해 조절공(15)을 개폐하여 이송 진공패드(4)의 전면에 위치한 복수개의 흡입공(9)을 통해 한장 이상의 마대(2)가 들어올려지지않도록 흡입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 회전시 마주하는 마대 벌림 고정부(7)는 마대 이송 벌림부(17)와 동일하게 일면에 흡입공(9)이 형성된 고정 진공패드(14)가 부착된 상태에서 링브로워(3)와 연결되어 이송 진공패드(4)가 밀착되지않은 마대(2)의 타측면을 고정 진공패드(14)가 밀착되어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 압력보다 더 세게 흡입하여 마대(2)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하였으나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에 의해 마대(2) 양면을 각각 흡착 고정하여 마대(2) 입구를 벌린 상태에서 마대(2)의 상부에서 하강하여 마대(2) 입구로 삽입하여 사각형상으로 벌린 상태를 유지하는 4개의 간격 유지봉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마대(2)를 양측으로 벌리고 4개의 간격 유지봉이 마대(2) 모서리로 삽입되어 간격을 벌린상태에서 마대(2) 상부에서 마대(2) 내부로 내용물을 투입한다.
도 6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이송 벌림부(17)와 마대 벌림 고정부의 흡입공을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1)는 마대 이송 벌림부(17)에 형성된 이송 진공패드(4)와 마대 벌림 고정부(7)에 형성된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는 흡입공(9)의 배열 또는 개수를 달리한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이송 진공패드(4)에는 1열에 3개의 흡입공(9)과 2열에는 2개의 흡입공(9)이 배열되고, 고정 진공패드(14)는 1열에 2개의 흡입공(9)과 2열에는 3개의 흡입공(9)이 배열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의 흡입공(9)의 개수를 달리하거나 흡입 압력을 달리하는 이유는 마대(2)를 양측에서 벌려 상부를 개방하기 위함이다.
한편, 마대(2)는 굵고 넓은 섬유사를 통해 직조함으로 인해 위사와 경사 사이에 일정 크기의 통풍공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마대(2)의 양면중 일측면에 이송 진공패드(4)를 밀착한 다음 흡입공(9)을 통해 발생하는 흡입 압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 타측면도 마대에 형성된 통풍공을 통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 진공패드방향으로 회전하면 고정 진공패드의 흡입공에서는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 압력보다는 더 세게 흡입하면 이송 진공패드에는 일측면이 흡입 압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 진공패드에 의해 마대의 타측면은 이송 진공패드의 흡입 압력에서 해지되어 이송 진공패드와 고정 진공패드의 흡입 압력에 의해 마대의 양측을 당겨서 벌린 상태를 유지하다.
도 7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를 벌린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1)는 로봇(5)의 로봇 핸드(12)에 부착된 마대 이송 벌림부(17)는 링브로워(3)에서 공급되는 흡입 압력에 의해 마대(2)의 일측면을 흡입 압력에 밀착한 상태에서 로봇 핸드(12)가 회전하여 마대 벌림 고정부(7)와 마주 보게 위치한 다음 마대 벌림 고정부(7)가 마대(2)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진공패드(14)를 마대(2)의 타측면에 밀착한 다음 흡입 압력에 의해 타측면만 고정한 상태에서 마대 벌림 고정부(7)가 원상 복귀하면 마대(2) 양측에서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가 각각 흡착하여 고정하여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를 유지한다.
도 9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이송 벌림부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이송 벌림부에 마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이송 벌림부에 마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1)에서 로봇 핸드(12)에 부착된 마대 이송 벌림부(17)의 이송 진공패드(4)에 마대(2) 일측면이 흡입 압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공(9)으로 흡입된 흡입 압력은 마대 이송 벌림부(17)의 측면으로 흡입되고, 마대 이송 벌림부(17)의 내부는 흡입 압력에 의해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링브로워(3)로 연결된다.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에는 진공조절유닛(8)이 부착되고, 마대 이송 벌림부와 진공조절유닛은 통공되도록 조절공이 형성된다.
상기 진공조절유닛(8)의 하우징에는 개폐도어(10)가 위치하며, 하우징 내부에는 실린더(18)가 설치되어 실린더(18)의 실린더 로드에 개폐도어(10)가 결합되어 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해 개폐도어(10)를 개폐하여 마대 이송 벌림부(17)와 통공된 조절공(15)으로 마대 이송 벌림부(7)의 흡입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개폐도어(10)는 1초에 한번씩 개폐하여 흡입 압력을 조절하는게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벌림 고정부에 마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마대 벌림 고정부에 마대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1)는 마대 벌림 고정부(7)에 고정 진공패드(14)가 부착된 상태에서 고정 진공패드(14)에 형성된 흡입공(9)의 흡입 압력에 의해 마대(2)를 일측면을 밀착하여 고정하고, 흡입공(9)으로 흡입된 흡입 압력은 정면에서 배면으로 배출된다.
상기 마대 벌림 고정부(7)는 흡입공(9)을 통해 흡입 압력이 발생하도록 링브로워(3)와 연결되어 흡입 압력을 배출하면 마대 벌림 고정부(7)의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에 형성된 흡입공(9)의 개수를 달리하는 것은 마대(2) 양측에서 발생하는 흡입 압력에 의해 당기는 과정에서 타측면은 흡입되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송 진공패드(4)는 1열에 3개, 2열에 2개의 흡입공(9)을 배열하고, 고정 진공패드(14)는 1열 2개, 2열 3개의 흡입공(9)을 배열하는데, 상기와 같이 흡입공(9)의 배열을 달리하는 이유는 마대(2)를 벌릴때 개방된 입구를 최대한 벌리기 위함이다.
도 14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진공조절유닛을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에서 진공조절유닛을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에 진공조절유닛(8)이 부착되고, 상기 진공조절유닛(8)의 하우징에는 개폐도어(10)가 위치하며, 하우징과 마대 이송 벌림부(17)가 일부가 통공되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조절공(15)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실린더(18)가 설치되어 실린더(18)의 실린더 로드에 개폐도어(10)가 결합되어 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해 개폐도어(10)가 작동하여 조절공(15)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마대 이송 고정부(17)의 흡입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개폐도어(10)가 1초마다 개폐작동하여 진공조절유닛(8)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여 흡입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2장의 마대(2)가 흡입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 마대 자동 포장장치(1)를 통해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은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상면에는 적재 컨베어 벨트(13)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 컨베어 벨트(13) 상면에는 복수개의 마대(2)를 적층하여 지정된 장소로 이송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바닥면에는 링브로워(3)와 연결된 적재 진공패드(6)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 진공패드(6)의 표면에는 흡입공(9)이 형성되어 적층된 마대(2)중 한장씩 들어올려지도록 바닥면에서 흡입 압력을 제공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일측 상면에 설치된 로봇(5)은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고, 상하부방향으로 회동하는 로봇 핸드(12)와, 상기 로봇 핸드(12)의 전방에는 마대 이송 벌림부(17)가 위치하여 링브로워(3)와 연결되고,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의 전면에는 흡입공(9)이 형성된 이송 진공패드(4)가 결합되어 로봇 핸드(12)의 작동으로 지정된 장소에 위치한 마대(2) 상부에 이송 진공패드(4)가 위치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지정된 장소에 위치한 마대 표면에 마대 이송 벌림부(17)가 하강하여 이송 진공패드(4)가 밀착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에 설치된 진공조절유닛(8)은 함체 일측에 형성된 조절공(15)을 개폐도어(10)에 의해 개폐하여 이송 진공패드(4)의 전면에 위치한 다수개의 흡입공(9)을 통해 한장 이상의 마대가 들어올려지지않도록 흡입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가 상승하여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 압력에 의해 한장씩 마대(2)를 들어 올린 다음 로봇 핸드(12)의 회전으로 마대 이송 벌림부(17)는 마대 벌림 고정부(7) 방향으로 회전하여 마주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마대 벌림 고정부(7)는 일면에 흡입공(9)이 형성된 고정 진공패드(14)가 부착된 상태에서 링브로워(3)와 연결되어 이송 진공패드(4)가 밀착되지 않은 마대 타측면을 고정 진공패드(14)가 밀착되어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 압력보다 더 세게 흡입 압력을 제공하여 마대(2)가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에 마대(2) 양면이 흡입 압력에 의해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 압력은 고정 진공패드(14)의 흡입 압력보다 더 작게 제공하여 로봇 핸드(12)를 후방으로 이동하면 고정 진공패드(14)에 의해 마대(2) 타측면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마대(2) 일면은 이송 진공패드(4)에 흡착되어 당겨지면 마대(2) 입구가 벌려지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는 마대(2)의 양면을 흡착 고정하여 마대(2) 입구를 벌린 상태에서 마대(2) 상부에 위치한 4개의 간격 유지봉이 하강하여 마대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각 모서리에 위치하여 사각형상으로 벌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마대(2) 내부에 간격 유지봉이 삽입되어 입구가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면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로 제공된 흡입 압력이 중단되면 로봇 핸드(12)는 적층된 마대로 복귀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간격 유지봉에 의해 마대(2) 입구를 사각으로 벌린상태에서 하부방향으로 하강하여 이송 컨베어 벨트에 위치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입구가 벌려진 마대(2) 내부로 내용물을 투입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마대에서 간격 유지봉을 인출하고 이송 컨베어 벨트에 의해 마대를 이송하는 단계로 완료된다.
1: 마대 자동 포장장치 2: 마대
3: 링브로워 4: 이송 진공패드
5: 로봇 6: 적재 진공패드
7: 마대 벌림 고정부 8: 진공조절유닛
9: 흡입공 10: 개폐도어
11: 베이스 플레이트 12: 로봇 핸드
13: 적재 컨베이어 벨트 14: 고정 진공패드
15: 조절공 16: 마대 적재부
17: 마대 이송 벌림부 18: 실린더

Claims (4)

  1.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상면에는 적재 컨베어 벨트(13)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 컨베어 벨트(13) 상면에는 복수개의 마대(2)를 적층하여 지정된 장소로 이송하는 단계; 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바닥면에는 링브로워(3)와 연결된 적재 진공패드(6)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 진공패드(6)의 표면에는 흡입공(9)이 형성되어 적층된 마대(2)중 한장씩 들어올려지도록 바닥면에서 흡입 압력을 제공하는 단계; 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일측 상면에 설치된 로봇(5)은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고, 상하부방향으로 회동하는 로봇 핸드(12)와, 상기 로봇 핸드(12)의 전방에는 마대 이송 벌림부(17)가 위치하여 링브로워(3)와 연결되고,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의 전면에는 흡입공(9)이 형성된 이송 진공패드(4)가 결합되어 로봇 핸드(12)의 작동으로 지정된 장소에 위치한 마대(2) 상부에 이송 진공패드(4)가 위치하는 단계; 와
    상기 지정된 장소에 위치한 마대 표면에 마대 이송 벌림부(17)가 하강하여 이송 진공패드(4)가 밀착하는 단계; 와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에 설치된 진공조절유닛(8)은 함체 일측에 형성된 조절공(15)을 개폐도어(10)에 의해 개폐하여 이송 진공패드(4)의 전면에 위치한 다수개의 흡입공(9)을 통해 한장 이상의 마대가 들어올려지지않도록 흡입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 와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가 상승하여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 압력에 의해 한장씩 마대(2)를 들어 올린 다음 로봇 핸드(12)의 회전으로 마대 이송 벌림부(17)는 마대 벌림 고정부(7) 방향으로 회전하여 마주하는 단계; 와
    상기 마대 벌림 고정부(7)는 일면에 흡입공(9)이 형성된 고정 진공패드(14)가 부착된 상태에서 링브로워(3)와 연결되어 이송 진공패드(4)가 밀착되지 않은 마대 타측면을 고정 진공패드(14)가 밀착되어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 압력보다 더 세게 흡입 압력을 제공하여 마대(2)가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와
    상기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에 마대(2) 양면이 흡입 압력에 의해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 압력은 고정 진공패드(14)의 흡입 압력보다 더 작게 제공하여 로봇 핸드(12)를 후방으로 이동하면 고정 진공패드(14)에 의해 마대(2) 타측면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마대(2) 일면은 이송 진공패드(4)에 흡착되어 당겨지면 마대(2) 입구가 벌려지는 단계; 와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는 마대(2)의 양면을 흡착 고정하여 마대(2) 입구를 벌린 상태에서 마대(2) 상부에 위치한 4개의 간격 유지봉이 하강하여 마대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각 모서리에 위치하여 사각형상으로 벌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와
    상기 마대(2) 내부에 간격 유지봉이 삽입되어 입구가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면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로 제공된 흡입 압력이 중단되면 로봇 핸드(12)는 적층된 마대로 복귀하는 단계; 와
    간격 유지봉에 의해 마대(2) 입구를 사각으로 벌린상태에서 하부방향으로 하강하여 이송 컨베어 벨트에 위치하는 단계; 와
    입구가 벌려진 마대(2) 내부로 내용물을 투입하는 단계; 와
    마대에서 간격 유지봉을 인출하고 이송 컨베어 벨트에 의해 마대를 이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는 흡입공(9)의 배열 또는 개수를 달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3.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바닥면에는 링브로워(3)와 연결되도록 적재 진공패드(6)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 진공패드(6)의 표면에는 흡입공(9)이 형성되어 적층된 마대(2)중 상부에 위치한 마대(2)만 한장씩 들어올려지도록 적층된 마대(2) 하부에서 흡입 압력을 제공하고, 상면에는 마대(2)를 한장씩 들어올릴 수 있도록 다수개의 마대(2)를 적층하여 지정된 장소로 이송하는 적재 컨베어 벨트(13); 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고, 상하부방향으로 회동하는 로봇 핸드(12)와, 상기 로봇 핸드(12)의 전방에는 마대 이송 벌림부(17)가 위치하여 링브로워(3)와 연결되고,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의 전면에는 흡입공(9)이 형성된 이송 진공패드(4)가 결합되어 로봇 핸드(12)의 작동으로 지정된 장소에 위치한 마대(2) 상부에 이송 진공패드(4)가 위치하고,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 압력에 의해 한장씩 마대(2)를 들어 올린 다음 로봇 핸드(12)의 회전으로 마대 이송 벌림부(17)는 마대 벌림 고정부(7)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봇(5); 과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에 설치되어 개폐도어(10)에 의해 조절공(15)을 개폐하여 이송 진공패드(4)의 전면에 위치한 복수개의 흡입공(9)을 통해 한장 이상의 마대(2)가 들어올려지지않도록 흡입 압력을 조절하는 진공조절유닛(8); 과
    상기 마대 벌림 고정부(7)는 일면에 흡입공(9)이 형성된 고정 진공패드(14)가 부착된 상태에서 링브로워(3)와 연결되어 이송 진공패드(4)가 밀착되지않은 마대(2)의 타측면을 고정 진공패드(14)가 밀착되어 이송 진공패드(4)의 흡입 압력보다 더 세게 흡입하여 마대(2)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마대 벌림 고정부(7); 와
    이송 진공패드(4)와 고정 진공패드(14)에 의해 마대(2) 양면을 각각 흡착 고정하여 마대(2) 입구를 벌린 상태에서 마대(2)의 상부에서 하강하여 마대(2) 입구로 삽입하여 사각형상으로 벌린 상태를 유지하는 4개의 간격 유지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대 이송 벌림부(17)와 마대 벌림 고정부(7)에는 진공조절유닛(8)이 부착되고, 상기 진공조절유닛(8)의 하우징에는 개폐도어(10)가 위치하며, 하우징 내부에는 실린더(18)가 설치되어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개폐도어(10)가 결합되어 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해 개폐도어가 작동하여 조절공(15)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마대 벌림 고정부(7)의 흡입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KR1020220185949A 2022-12-27 2022-12-27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 KR102520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949A KR102520508B1 (ko) 2022-12-27 2022-12-27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949A KR102520508B1 (ko) 2022-12-27 2022-12-27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508B1 true KR102520508B1 (ko) 2023-04-10

Family

ID=8598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949A KR102520508B1 (ko) 2022-12-27 2022-12-27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50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331B2 (ja) * 1986-09-18 1994-02-23 麒麟麦酒株式会社 袋挿入装置
JPH11105827A (ja) * 1997-10-02 1999-04-20 Tiger Kawashima Co Ltd 穀粒等の自動袋詰め装置
JP2001213516A (ja) * 2000-02-02 2001-08-07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パネルの搬送装置及びその搬送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0953709B1 (ko) 2010-01-25 2010-04-19 이장순 마대 포장장치
JP2018172148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エヌテック 積層容器群の搬送装置及び積層容器群の搬送方法
KR20190004023A (ko) * 2017-07-03 2019-01-11 다우산업주식회사 자동 포대 공급장치
CN213677421U (zh) * 2020-09-25 2021-07-13 重庆瑞传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吸盘结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331B2 (ja) * 1986-09-18 1994-02-23 麒麟麦酒株式会社 袋挿入装置
JPH11105827A (ja) * 1997-10-02 1999-04-20 Tiger Kawashima Co Ltd 穀粒等の自動袋詰め装置
JP2001213516A (ja) * 2000-02-02 2001-08-07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パネルの搬送装置及びその搬送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0953709B1 (ko) 2010-01-25 2010-04-19 이장순 마대 포장장치
JP2018172148A (ja) * 2017-03-31 2018-11-08 株式会社エヌテック 積層容器群の搬送装置及び積層容器群の搬送方法
KR20190004023A (ko) * 2017-07-03 2019-01-11 다우산업주식회사 자동 포대 공급장치
CN213677421U (zh) * 2020-09-25 2021-07-13 重庆瑞传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吸盘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1737A (en) Packaging machine for bags to be filled with liquids, powders or granular products
JP2020073396A (ja) 袋詰培地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185804B1 (ko) 자동포장기의 포대공급장치
CN208915976U (zh) 将可托盘化运输的层运送到存放面和/或堆垛面上的设备
KR102520508B1 (ko)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방법 및 마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마대 자동 포장장치
KR102265963B1 (ko) 마스크포장기용 마스크공급장치
MXPA00010528A (es) Aparato para manejar bolsas.
KR101008348B1 (ko) 패키지 포장장치
CN112373743A (zh) 交叉带自动装包系统及其装包方法
CN206375423U (zh) 用于水平地移动物品组的设备
JP3672620B2 (ja) 長尺物箱詰め装置
CN112960215B (zh) 一种双层输送物料自动配重打包系统
CN215205649U (zh) 一种有机肥料自动装袋封口运输装置
JP3706402B2 (ja) 長物野菜の箱詰装置
JP2592873Y2 (ja) 長尺物集出荷施設
CN219339871U (zh) 一种钒氮合金自动包装系统
JPS6333221A (ja) 果実の箱詰め装置
CN216735122U (zh) 一种轴装焊带生产、输送、称重、分拣及包装系统
JP3057815B2 (ja) 振分け用コンベア
JPH02127206A (ja) 自動箱詰装置
JPH08301222A (ja) 果菜物箱詰め装置
JP3672624B2 (ja) 果菜物集出荷施設
JP3538216B2 (ja) 長尺物箱詰め装置
FI122024B (fi) Nestepussien pakkauslaitteisto
CN206885398U (zh) 一种兽药包装有计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