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504B1 - 반전튜브 공급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 Google Patents

반전튜브 공급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504B1
KR102520504B1 KR1020220004581A KR20220004581A KR102520504B1 KR 102520504 B1 KR102520504 B1 KR 102520504B1 KR 1020220004581 A KR1020220004581 A KR 1020220004581A KR 20220004581 A KR20220004581 A KR 20220004581A KR 102520504 B1 KR102520504 B1 KR 10252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ube
longitudinal direction
packer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환
김우진
Original Assignee
김철환
리니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환, 리니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철환
Priority to KR102022000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1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the flexible liner being eve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공급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상에 설치되되, 반전튜브의 함침부가 길이방향 일측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었다가 길이방향 타측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지하 매립관으로 공급되며, 외력에 의해 길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제1 패커;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측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패커;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의 길이를 증감시키는 가압실린더;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를 이용하면, 반전튜브의 함침부가 뻣뻣하거나 비함침부가수평으로 뉘어지도록 설치되더라도 함침부를 비함침부 내측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고, 반전튜브 공급량에 맞춰 압축공기 주입량이 자동 제어되므로 관로보수 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반전튜브 공급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Tube reversing apparatus with tube feeding function}
본 발명은 매립관 내부로 반전튜브를 반전시켜 매립관을 보강하는 반전튜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반전튜브 수평방향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상하수도 관로의 개보수공사에 있어 지면을 굴착하고 난후 신관으로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지면굴착에 의한 관로개보수공법은 종합적인 하수관로가 시급한 상황에서 적절하지 못하다. 즉, 상기 공법은 주변환경을 손상시키고, 또 공사 후 토양의 침식으로 인해 지면의 침하 등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폐기물 처리의 곤란성이 따르며, 혼잡지역의 경우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시민에게 불편을 주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로를 해체하지 않고도 하수관로의 보수를 수행하는 비굴착 공법이 국내 현실에 맞게 다수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비굴착 공법은 관로의 준설 및 세정, CCTV 탐사, 관로내의 돌출물 커팅을 한 후, 반전튜브 반전장치를 이용하여 반전튜브를 관로 내벽에 밀착시키고, 반전튜브를 경화시킴으로써 관로를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반전튜브 반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반전튜브 반전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반전튜브 반전장치는, 반전튜브(1)의 길이방향 일측이 지하 매립관(3)을 향하도록 상기 반전튜브(1)를 지지하는 가대(10)와, 상기 반전튜브(1) 중 지상으로 인출된 어느 한 지점의 내부유로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수단(30)과, 상기 반전튜브(1) 중 상기 제1 개폐수단(30)에 의해 개폐되는 지점보다 상기 매립관(3)과 가까운 어느 한 지점의 내부유로를 개폐시키는 제2 개폐수단(40)과, 반전튜브(1)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공급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개폐수단(30)은, 상기 반전튜브(1)의 외측면 중 일측에 위치되는 제1 고정블록(31)과, 상기 반전튜브(1)의 외측면 중 타측에 위치되는 제1 이송블록(32)과, 상기 제1 이송블록(32)을 상기 제1 고정블록(31)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킴으로서 상기 반전튜브(1) 내부유로를 개폐시키는 제1 왕복이송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2 개폐수단(40) 역시 제1 개폐수단(30)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2 개폐수단(40)은, 상기 반전튜브(1)의 외측면 중 일측에 위치되는 제2 고정블록(41)과, 상기 반전튜브(1)의 외측면 중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이송블록(42)과, 상기 제2 이송블록(42)을 상기 제2 고정블록(41)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왕복 이송시킴으로서 상기 반전튜브(1) 내부유로를 개폐시키는 제2 왕복이송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반전튜브(1)의 함침부(1b)를 비함침부(1a) 내측으로 일정량 공급한 상태에서, 제1 이송블록(32)을 제1 고정블록(31)에 압착시켜 비함침부(1a)의 상부를 밀폐시킨 후, 압축공기공급수단(50)을 통해 비함침부(1a) 내측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함침부(1b)를 지하 매립관(3)의 내벽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종래의 반전튜브 반전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함침부(1b)를 비함침부(1a) 내측으로 공급할 때, 상기 함침부(1b)가 자중에 의해 하향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함침부(1b)가 뻣뻣한 경우 비함침부(1b) 내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지상에 설치된 가대(1) 및 이에 결합된 비함침부(1b)가 수평으로 뉘어지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비함침부(1a) 내측으로 함침부(1b)가 자중에 의해 인입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반전튜브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9518호)가 제안된바 있으나, 종래의 반전튜브 공급수단은 다수 개의 가압실린더와 이송실린더가 구비되어야 하는바 내부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각각의 가압실린더 및 이송실린더가 개별적으로 작동되어야 하므로 반전튜브 공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26951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반전튜브의 함침부가 뻣뻣하거나 비함침부가수평으로 뉘어지도록 설치되더라도 함침부를 비함침부 내측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반전튜브 반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공급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상에 설치되되, 반전튜브의 함침부가 길이방향 일측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었다가 길이방향 타측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지하 매립관으로 공급되며, 외력에 의해 길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제1 패커;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측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패커;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의 길이를 증감시키는 가압실린더;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주름관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패커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도록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패커가 장착되는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실린더는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를 증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제2 패커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패커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측에 이중관 구조로 결합되는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실린더는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겹침 구간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전체 길이를 증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반전튜브 중 상기 제1 패커와 상기 제2 패커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의 처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반전튜브의 처짐 높이가 사전에 설정된 높이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다량의 반전튜브가 권취되는 아이들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반전튜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권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를 이용하면, 반전튜브의 함침부가 뻣뻣하거나 비함침부가수평으로 뉘어지도록 설치되더라도 함침부를 비함침부 내측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고, 반전튜브 공급량에 맞춰 압축공기 주입량이 자동 제어되므로 관로보수 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전튜브 반전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 제2 실시예의 개략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1) 공급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는 반전튜브(1)가 자중에 의해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반전튜브(1)의 공급방향이 수평인 경우에도 반전튜브(1)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상에 설치되되 외력에 의해 길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측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제1 패커(210)와,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타측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패커(220)와,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를 증감시키는 가압실린더(300)와, 상기 하우징(100) 내부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수단(400)과, 다량의 반전튜브(1)가 권취되는 아이들롤러(510)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반전튜브(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권취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반전튜브(1)의 함침부(1b)가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었다가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우측)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지하 매립관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반전튜브(1)는 수지의 함침 여부에 따라 비함침부(1a)와 함침부(1b)로 구분되는데, 상기 비함침부(1a)의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비함침부(1a)의 길이방향 타단은 매립관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함침부(1b)는 지상에 설치된 권취부(500)에 권취되되 끝단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와 비함침부(1a) 내부를 통과한 후 상기 비함침부(1a)의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에 포함되는 하우징(100)은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길이가 짧아졌다가 다시 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0)은, 주름관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패커(210)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110)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도록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패커(220)가 장착되는 제2 하우징(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실린더(300)는 피스톤로드(320) 끝단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결합되므로,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가압실린더(300)의 피스톤로드(320)가 튜브(310)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제1 하우징(110)은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한편, 제1 패커(210) 및 제2 패커(220)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을 격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부공간을 격리시키도록 작동되었을 때 하우징(100) 내부를 지나는 반전튜브(1)를 물어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공간을 격리시킬 때 반전튜브(1)의 중단을 물어 고정시키는 제1 패커(210) 및 제2 패커(220)는 종래의 반전튜브 반전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9518호) 등에 제안되어 있는바, 상기 제1 패커(210) 및 제2 패커(220)의 상세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는 제1 패커(210) 및 제2 패커(220)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이 개폐되면서 하우징(100)의 길이가 증감되는 동안 반전튜브(1)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반전튜브(1) 공급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커(210)와 제2 패커(220)가 닫힌 상태에서 압축공기 공급수단(400)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반전튜브(1) 중 함침부(1b)는 매립관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상기 매립관의 내벽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함침부(1b)가 매립관의 내벽에 밀착되는 방식은 종래의 반전튜브 반전장치에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되고 있는바, 상기 함침부(1b)가 매립관(3)의 내벽에 밀착되는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가압실린더(300)의 피스톤로드(320)가 튜브(310)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피스톤로드(320)의 끝단과 연결된 제1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피스톤로드(320)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제1 패커(210) 및 제2 패커(220)는 모두 반전튜브(1)를 물어 고정시킨 상태이므로, 제1 패커(210)가 제2 패커(220)를 향해 이동하였을 때 제1 패커(210)와 제2 패커(220) 사이의 반전튜브(1)는 아래로 처지게 된다. 또한 제1 패커(210)가 제2 패커(220)를 향해 이동하는 거리만큼 권취부(500)의 아이들롤러(510)에 감겨져 있던 반전튜브(1)가 풀어져 당겨진다.
한편, 압축공기 공급수단(400)를 통해 반전튜브(1) 내측으로 공급된 압축공기가 제1 하우징(110) 내부까지 전달되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 압력이 매우 크게 증가되므로, 가압실린더(300)를 조작하더라도 제1 하우징(110)의 길이가 원활하게 줄어들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40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20)의 길이방향 타단(본 실시예에서는 우측단)과 상기 제2 패커(220)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400)가 제2 하우징(120)의 길이방향 타단과 제2 패커(220) 사이에 장착되면, 제2 패커(220)를 닫은 상태에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제2 하우징(1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110)내부로는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아니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하우징(110)의 길이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길이가 최대한 짧아지면, 제2 패커(220)를 연 후 제2 하우징(120)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제2 패커(2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 하우징(120) 내부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제1 하우징(110) 및 반전튜브(1) 내측으로 전달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관 내측으로는 다 많은 양의 함침부(1b)가 밀어 넣어지면서 반전되고, 제1 패커(210)와 제2 패커(220) 사이에 처져 있던 반전튜브(1)는 매립관을 향해 이동하여 수평방향으로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400)이 압축공기를 과다하게 공급하면 반전튜브(1)나 제1 하우징(110)이 과다하게 팽창되어 파열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400)은 제1 패커(210)와 제2 패커(220) 사이에 처져 있는 반전튜브(1)가 매립관 측으로 당겨져 팽팽하게 긴장될 때까지만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한데, 제1 패커(210)와 제2 패커(220) 사이의 반전튜브(1)가 팽팽하게 당겨졌는지의 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는 상기 반전튜브(1) 중 상기 제1 패커(210)와 상기 제2 패커(220)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의 처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센서가 추가로 구비되면, 제1 패커(210)와 제2 패커(220) 사이에 위치하는 반전튜브(1)의 처짐 높이가 사전에 설정된 높이 이상이 되었을 때, 제1 패커(210)와 제2 패커(220) 사이의 반전튜브(1)가 팽팽하게 당겨졌을 때 압축공기 공급수단(40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공기가 과다하게 공급됨으로써 발생되는 각종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는 반전튜브(1)의 처짐 여부를 감지할 수만 있다면 적외선센서나 터치센서 등 어떠한 종류의 센서로도 적용될 수 있다.
함침부의 반전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1 패커(210)를 열고 제2 패커(220)를 닫은 후, 가압실린더(300)의 피스톤로드(320)를 튜브(310)로부터 인출시켜 제1 하우징(110)이 길이를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제1 하우징(110)의 길이가 원상태로 복원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이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제1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하여 있던 반전튜브(1)가 상기 제1 하우징(110) 내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의 내측으로의 반전튜브(1) 인입이 완료되면, 제1 패커(210)를 닫은 후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매립관 내부로의 반전튜브(1) 반전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튜브 반전장치 제2 실시예의 개략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하우징(100)은 외력에 의해 길이가 증감될 수 있다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이 주름관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이중관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패커(210)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110)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이중관 구조로 결합되는 제2 하우징(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실린더(300)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2 하우징(100)의 겹침 구간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의 전체 길이를 증감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320)가 튜브(310)로부터 최대한 인출되었을 때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상호 겹쳐지는 구간의 길이가 최소로 짧아지므로 하우징(100)의 전체 길이는 최대한 길어지게 된다. 반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320)가 튜브(310) 내측으로 최대한 인입되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상호 겹쳐지는 구간의 길이가 최대로 길어지므로, 하우징(100)의 전체 길이는 최소한으로 짧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이 이중관 구조로 구성되면, 제1 하우징(110)을 주름관 구조로 제작하지 아니하더라도 하우징(100)의 전체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제1 하우징(110) 제작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이중관 구조로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전체 길이가 증감되는 구조는 낚시대나 유압실린더 등에 상용화되어 있는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결합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겹쳐지는 부위 즉, 제1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제2 하우징(120)의 외측면 사이로 내부의 압축공기가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제2 하우징(120)의 길이방향 일측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링(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링은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결쳐지는 부위를 실링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반전튜브 1a : 비함침부
1b : 함침부 3 : 매립관
100 : 하우징 110 : 제1 하우징
120 : 제2 하우징 210 : 제1 패커
220 : 제2 패커 300 : 가압실린더
310 : 튜브 320 : 피스톤로드
400 : 압축공기 공급수단 500 : 권취부
510 : 아이들롤러

Claims (7)

  1.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상에 설치되되, 반전튜브의 함침부가 길이방향 일측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었다가 길이방향 타측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지하 매립관으로 공급되며, 외력에 의해 길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제1 패커;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측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 패커;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의 길이를 증감시키는 가압실린더; 및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전튜브 중 상기 제1 패커와 상기 제2 패커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의 처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반전튜브의 처짐 높이가 사전에 설정된 높이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주름관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패커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도록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패커가 장착되는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실린더는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를 증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패커가 장착되는 제1 하우징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측에 이중관 구조로 결합되는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실린더는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겹침 구간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전체 길이를 증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제2 패커 사이의 내부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 타측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다량의 반전튜브가 권취되는 아이들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반전튜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KR1020220004581A 2022-01-12 2022-01-12 반전튜브 공급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KR102520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581A KR102520504B1 (ko) 2022-01-12 2022-01-12 반전튜브 공급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581A KR102520504B1 (ko) 2022-01-12 2022-01-12 반전튜브 공급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504B1 true KR102520504B1 (ko) 2023-04-12

Family

ID=8598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581A KR102520504B1 (ko) 2022-01-12 2022-01-12 반전튜브 공급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5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6478A1 (ja) * 2004-10-28 2006-05-04 Shonan Gosei-Jushi Seisakusho K.K. 管ライニング材の反転方法及び装置、並びに反転装置を用いた管路更生工法
KR101707071B1 (ko) * 2016-03-10 2017-02-27 강성재 라이너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 방법
KR101810358B1 (ko) * 2017-03-31 2018-01-25 황의상 신축이음기능을 갖는 누출방지 댐퍼 시스템
KR102093850B1 (ko) * 2019-12-31 2020-03-26 정지훈 스팀열 회수기능을 구비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KR102269518B1 (ko) 2020-07-30 2021-06-25 정지훈 반전튜브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6478A1 (ja) * 2004-10-28 2006-05-04 Shonan Gosei-Jushi Seisakusho K.K. 管ライニング材の反転方法及び装置、並びに反転装置を用いた管路更生工法
KR101707071B1 (ko) * 2016-03-10 2017-02-27 강성재 라이너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 방법
KR101810358B1 (ko) * 2017-03-31 2018-01-25 황의상 신축이음기능을 갖는 누출방지 댐퍼 시스템
KR102093850B1 (ko) * 2019-12-31 2020-03-26 정지훈 스팀열 회수기능을 구비하는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KR102269518B1 (ko) 2020-07-30 2021-06-25 정지훈 반전튜브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0130B2 (en) Underground pipe replacement technique
KR100553240B1 (ko) 관로보수용 튜브 공기압 연속반전장치
US5190705A (en) Method for lining large-diameter pipes
KR100981706B1 (ko) 매설관의 보수시스템
KR101457586B1 (ko) 반전튜브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보수공법
KR102520504B1 (ko) 반전튜브 공급기능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US200800755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underground pipes
NO137291B (no) Fremgangsm}te og anordning for tetning av r¦rledninger fra innsiden
US4848407A (en) Pipeline rehabilitation method utilizing articulated gasketed-joint pipe
RU2471114C2 (ru) Устройство мног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инвертирования вкладышей, вулканизируемых на месте эксплуатации
KR102221379B1 (ko) 폐관 폐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후관로 충진 공법
KR102269518B1 (ko) 반전튜브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반전튜브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보수공법
JP2007303535A (ja) 管路の更生方法
KR100909569B1 (ko) 관로 비굴착부 몰탈 보수공법
KR101754189B1 (ko) 관로보수용 반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보수공법
KR101696844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용 반전튜브 반전장치
KR100942260B1 (ko) 충진지수용 굴절식 팩커
KR102062043B1 (ko) 고확장성을 가진 관로 보수용 패커 장치
KR100751969B1 (ko) 현장제관 관로 설치공법
KR20070116525A (ko)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및 펠트
KR20120085398A (ko) 비굴착식 파형강관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팩커
KR101809719B1 (ko) 콘크리트 펌프카의 유압펌프장치
JPS5930860B2 (ja) 埋設コンクリ−ト管の補修工法
KR100732341B1 (ko)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KR20090041835A (ko) 다회 반전을 위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지중 매설상하수도관의 비굴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