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328B1 -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 Google Patents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328B1
KR102520328B1 KR1020220140018A KR20220140018A KR102520328B1 KR 102520328 B1 KR102520328 B1 KR 102520328B1 KR 1020220140018 A KR1020220140018 A KR 1020220140018A KR 20220140018 A KR20220140018 A KR 20220140018A KR 102520328 B1 KR102520328 B1 KR 102520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hook
line
body frame
float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복
김태우
현병화
김범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Priority to KR102022014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2Devices for casting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는, 주낙용 양승기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일측면이 폐쇄됨과 함께 타측면은 개방되고, 내부 공간부는 이분할된 구조를 갖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일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낚시바늘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낚시바늘 정렬슬롯이 형성되는 낚시바늘 수납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타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부구가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부구 연결줄 정렬슬롯이 형성되는 부구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Magazine apparatus of line hauler for longline fishing}
본 발명은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낙채비의 양승 시 원줄의 가짓줄인 ‘목줄 및 낚시바늘’, 그리고 ‘부구 연결줄 및 부구’를 꼬임이나 엉킴없이 하나의 본체 프레임 내부에 각각 분리 수납함으로써 안전하고 투승기에 바로 장착하여 신속하게 투승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양승 및 투승 작업에 대한 조업 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갈치는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포획되는 대표적인 난해성 어류로 알려져 있으며, 해수의 표층으로부터 수심 350m까지 넓은 영역에서 서식한다.
일반적으로 수심 100m 부근에서는 기선저인망으로 갈치를 잡지만, 깊지 않은 수심에서는 주낙(연승, longline)이나 낚시로도 갈치를 낚을 수 있다.
상기 주낙은 긴 원줄에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의 목줄을 달고, 상기 목줄의 끝에는 각각 낚시바늘 및 미끼를 달아 물속에 드리워서 고기를 살아있는 채로 한꺼번에 대량으로 낚아 올리는 어법을 의미한다. 상기 주낙은 특별한 어로 기기가 필요없고, 조업 방식이 간단하여 소규모 어선을 이용한 연근해 갈치 조업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낙은 엄청난 길이의 원줄에 수많은 목줄 및 부구가 달린 주낙채비를 이용하는데, 갈치가 일반적으로 군집하여 이동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주낙에 갈치떼가 몰려들었을 때 상기 주낙을 신속하게 끌어 올려야만(양승) 많은 양의 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91332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를 참조하면 주낙 조업 시에 바다에 투척된 주낙 채비를 끌어올리기 위한 주낙채비용 양승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낙채비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선행문헌의 종래 주낙채비용 양승기를 전체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낙채비(10)는 일반적으로 원줄(11), 목줄(12), 부구연결줄(13), 낚시바늘(14), 부구(15)로 이루어지되, 원줄(11)을 따라 목줄(12)들이 등간격으로 다수 연결되며, 적정 개수의 목줄(12) 사이에 부구연결줄(13)을 통해 부구(15)가 연결된다. 목줄(12)에는 낚시바늘(14)이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행문헌에 개시된 종래 주낙채비용 양승기는 유도채널(100), 견인부(200), 낚시바늘 가이드(300), 부구 가이드(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낙채비(10)는 견인부(200)에 의해 인력이 아닌 기계의 힘으로 당기지고, 견인부(200)는 유도채널(100)의 일측 단부측에 마련되어 원줄(11)을 당겨주게 된다.
또한, 견인부(200)의 상측으로 낚시바늘 가이드(300)가 마련되며, 낚시바늘 가이드(300)는 목줄(12)에 달린 낚시바늘(14)이 원줄(11)과 다른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의 종래 주낙채비용 양승기는 원줄(11), 목줄(12), 부구(15)를 포함하는 주낙채비(10)를 인양할 때 원줄(11)에 목줄(12)을 통해 매달리는 낚시바늘(14)과 부구연결줄(13)을 통해 원줄(11)에 매달리는 부구(15)를 각각 다른 경로를 따라 진입되게 함으로써 원줄(11)에 목줄(12)이 엉키거나 목줄(12)끼리 엉키는 문제 또는 부구(15)가 원줄(11)이나 목줄(12)과 엉키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도채널(100)에는 잡힌 고기를 목줄(12)로부터 분리시켜 별도로 모으기 위한 컷팅부(7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유도롤러(230) 보다 앞쪽에 컷팅부(700)를 형성시켜서 잡힌 고기를 목줄(12)로부터 제거되게 한다. 컷팅부(700)는 고기가 목줄(12)에 매달려 끌려오면 그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되고 소정의 칼날(710)에 목줄(12)이 걸리면서 끊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종래 주낙채비용 양승기는 양승 후에 원줄로부터 ‘목줄 및 낚시바늘’, ‘부구 연결줄 및 부구’를 세트별로 구분하여 가이드하기는 하나, 결국 별도로 취합 및 정리된 ‘목줄 및 낚시바늘’과 ‘부구 연결줄 및 부구’를 각각 세트별로 투승기로 옮겨 투입 및 재투승해야만 했으므로 이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으며, 더욱이 이동간 목줄이나 부구 연결줄에 꼬임이나 엉킴이 발생될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다시 꼬임이나 엉킴을 풀어야 했으므로 조업 효율이 현저히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1332호 (2016.12.23.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1974956호 (2019.04.26.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주낙채비의 양승 시 원줄의 가짓줄인 ‘목줄 및 낚시바늘’, 그리고 ‘부구 연결줄 및 부구’를 꼬임이나 엉킴없이 하나의 본체 프레임 내부에 각각 분리 수납함으로써 안전하고 투승기에 바로 장착하여 신속하게 투승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양승 및 투승 작업에 대한 조업 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주낙용 양승기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일측면이 폐쇄됨과 함께 타측면은 개방되고, 내부 공간부는 이분할된 구조를 갖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일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낚시바늘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낚시바늘 정렬슬롯이 형성되는 낚시바늘 수납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타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부구가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부구 연결줄 정렬슬롯이 형성되는 부구 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낚시바늘 수납부에는 낚시바늘 정렬슬롯을 따라 끼워진 낚시바늘이 거치될 수 있도록 낚시바늘 거치턱이 더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낚시바늘 정렬슬롯을 따라 끼워진 낚시바늘이 낚시바늘 거치턱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낚시바늘의 일측을 눌러 고정하기 위한 낚시바늘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낚시바늘 고정수단은,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및 낚시바늘과 접촉되는 상기 커버의 일단에 구비되는 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의 회동축 일측에는 커버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 프레임 하방에는 낚시바늘 수납부와 부구 수납부에 각각 수납되는 낚시바늘과 부구에 연결된 원줄이 수용되는 원줄 정리부가 더 배치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줄 정리부의 하부에는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가 회전됨에 의해 원줄 정리부 내부로 수용되는 원줄이 꼬임없이 둥글게 말려진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선단에는 ‘낚시바늘 및 목줄’과 ‘부구와 부구 연결줄’을 각각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부구 분리이송부가 더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는, 주낙채비의 양승 시 원줄의 가짓줄인 ‘목줄 및 낚시바늘’, 그리고 ‘부구 연결줄 및 부구’를 꼬임이나 엉킴없이 하나의 본체 프레임 내부에 각각 분리 수납함으로써 안전하고 투승기에 바로 장착하여 신속하게 투승할 수 있으므로 양승 및 투승 작업에 대한 조업 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낙채비의 개념도
도 2는 선행문헌의 종래 주낙채비용 양승기를 전체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 및 4는 도 1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장착된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의 구성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줄 견인부 및 원줄 정리부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줄 분리이송부 및 목줄 커팅부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구 분리이송부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제거부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 종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장착된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의 구성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장착된 갈치 자동 양승장치(1000)의 구성은, 먼저 갈치 주낙채비(10, 도 1 참조)의 원줄(11)을 당겨주는 원줄 견인부(11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원줄 견인부(1100)의 후단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둥글게 말려지는 원줄(11)을 꼬임없이 수용하는 원줄 정리부(12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원줄 견인부(1100)의 선단에 구비되고,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원줄 견인부(1100)에 의해 당겨지는 원줄(11)로부터 목줄(12)을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목줄 분리이송부(13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줄 분리이송부(1300)에 의해 원줄(11)로부터 분리이송되는 목줄(12) 중에서 낚시바늘(14)에 갈치 또는 갈치의 길이에 상당하는 어류(F)가 물린 목줄(12)만을 선택적으로 커팅하기 위한 목줄 커팅부(14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미끼 제거부의 후단에는 미끼 제거부에서 미끼가 제거된 낚시바늘 및 목줄로부터 부구와 부구 연결줄을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부구 분리이송부(15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줄 커팅부(1400)에 의해 커팅되지 않은 목줄(12)의 낚시바늘(14)에 끼워진 미끼(B)를 잘라내어 제거하는 미끼 제거부(160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장착된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1000)의 작동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원줄 견인부(1100)가 원줄(11)을 당겨올림에 따라 갈치 주낙채비(10)의 원줄(11), 상기 원줄(11)에 묶인 가짓줄인 목줄(12) 및 낚시바늘(14), 그리고 부구 연결줄(13) 및 부구(15)가 선상으로 끌어올려지게 된다.
계속해서 선상으로 끌어올려진 주낙채비(10)는 목줄 분리이송부(1300), 목줄 커팅부(1400), 부구 분리이송부(1500), 미끼 제거부(1600)를 차례대로 거친 후 상기 각각 분리이송된 목줄(12)과 부구(15)는 최종적으로 본 발명 장치(100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된 매거진 장치(1700) 내부에 각각 수납/정리된다.
한편, 상술한 목줄(12) 및 부구(15)와는 별도로 원줄 견인부(1100)에 의해 당겨진 원줄(11)은 상기 원줄 견인부(1100)의 출구쪽 하방에 구비된 원줄 정리부(1200) 내에 꼬임없이 둥글게 말려져 수납/정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장착된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1000)에 의하면, 갈치 주낙채비(10)의 원줄(11), 목줄(12) 및 낚시바늘(14), 부구 연결줄(13) 및 부구(15)가 꼬임없이 각각 말끔하게 수납/정리되며, 또한 낚시바늘(14)에 물려 올라오는 갈치(F)의 길이를 자동으로 감지한 후 갈치(F)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갈치(F)가 물고있는 목줄(12)을 자동으로 커팅함으로써 갈치 주낙의 양승 작업이 완전 자동화되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줄 견인부 및 원줄 정리부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원줄 견인부(1100)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동력전달용 풀리(1110)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용 풀리(1110) 사이에 끼워진 원줄(11)이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용 풀리(1110)가 회전함에 따라 당겨지면서 상기 원줄 견인부(1100)의 출구쪽 하방에 위치된 원줄 정리부(1200) 내부에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줄 정리부(1200)는 원형의 원줄 수납통(1210); 및 상기 원줄 수납통(1210)의 하부에 구비된 모터(1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원줄 견인부(1100)의 동력전달용 풀리(111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모터(1220)도 함께 구동됨에 따라 원줄 수납통(1210)이 회전되면서 상기 원줄 수납통(1210) 내부로 수용되는 원줄(11)이 꼬임없이 둥글게 말려진다. (도 7 참조)
또한, 상기 동력전달용 풀리(1110)의 하부에는 기어박스 및 모터(부호없음)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동력전달용 풀리(1110)가 동시에 맞물림 구동되면서 풀리(1110) 사이의 원줄을 팽팽하게 당겨올리게 된다.
한편, 상기 원줄 수납통(1210)은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줄 수납통(1210) 하부의 모터(1220)가 상기 원줄 수납통(1210)의 회전운동을 동력전달용 풀리(1110)의 회전운동에 따라 동기 구동시킴으로써 원줄 견인부(1100)에 의해 당겨진 원줄(11)이 상기 원줄 수납통(1210) 내부에 둥글게 말리면서 수납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정리된 원줄(11)은 꼬임없이 원줄 수납통(1210) 안에 둥글게 말린 상태로 정리되므로 작업자는 원줄(11)이 수납된 상기 원줄 수납통(1210)을 통째로 옮기거나 다음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줄 분리이송부 및 목줄 커팅부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줄 분리이송부(1300)는, 원줄(11) 견인방향의 측면에 구비되어 원줄 견인부(1100)에 의해 당겨지는 원줄(11)로부터 목줄(12)을 선택적으로 밀어주는 푸시유닛(1310); 및 상기 푸시유닛(1310)에 의해 밀려난 목줄(12)이 하방으로 걸쳐진 상태로 원줄(11)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목줄(12)을 흔들림없이 이송하는 스크류유닛(1320);로 구성된다.
상기 푸시유닛(1310)은, 목줄(12)을 향해 V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 핸드부재(1311); 및 상기 핸드부재(1311)의 일측에 구비되어 목줄(12)을 향해 상기 핸드부재(1311)를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밀어주는 실린더(1312);로 구성된다.
상기 목줄 커팅부(1400)는, 목줄 분리이송부(1300)의 하방에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목줄 분리이송부(1300)에 의해 원줄(11)로부터 분리이송되는 목줄(12) 중에서 낚시바늘(14)에 물린 갈치 또는 갈치 외 어류(F), 미끼의 길이를 감지하는 센서유닛(1410); 및 상기 센서유닛(1410)에 의해 갈치 또는 갈치의 길이에 상당하는 어류(F)가 감지된 경우 목줄(12)을 향해 칼날이 돌출되면서 상기 갈치 또는 갈치의 길이에 상당하는 어류(F)가 물린 목줄(12)을 커팅하는 칼날유닛(1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유닛(1410)은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로 구비된 근접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근접센서의 간격은 목줄에 매달린 갈치 또는 어류(F)의 수직 길이에 상응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도 8에는 근접센서가 수직방향을 따라 3개가 배치되어 있는데, 미끼나 소형 어류는 맨 위의 근접센서에만 감지되고 이때에는 칼날유닛(1420)이 동작되지 않는다.
한편, 갈치 또는 갈치의 길이에 상당하는 어류(F)의 경우 상기 3개의 근접센서에 모두 감지되고, 이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갈치(F)가 걸린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칼날유닛(1420)을 동작시켜 상기 갈치 또는 갈치의 길이에 상당하는 어류(F)가 걸려진 목줄(12)을 커팅하게 된다.
상기 칼날유닛(1420)은, 목줄(12)을 향해 V자 형태의 홈이 진 가위 형태의 칼날(1421); 및 상기 칼날(1421)의 일측에 구비되어 한쪽 칼날(1421)을 가위 커팅하도록 동작시켜 목줄(12)을 선택적으로 절단하는 구동부(1422);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칼날유닛(1420)이 목줄(12)의 측방에 배치됨과 함께 센서유닛(1410)에 의해 갈치 또는 갈치의 길이에 상응하는 어류(F)가 감지된 경우에만 칼날(1421)이 가위 커팅됨으로써 종래 주낙채비용 양승기에서 빈 미끼(B)가 달린 목줄(12)이 커팅되는 폐단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미끼(B)만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유닛(1410)의 수직하게 배치된 3개의 근접센서에 모두 감지되지 않음으로써 이때는 상기 상기 칼날유닛(1420)이 동작되지 아니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구 분리이송부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목줄 커팅부(1400)의 후단에는 부구 분리이송부(1500)가 구비되고, 상기 부구 분리이송부(1500)에 의해 ‘목줄(12) 및 낚시바늘(14)’로부터 ‘부구 연결줄(13) 및 부구(15)’를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부구 분리이송부(1500)의 구성은, 먼저 상향의 기울기를 갖는 제1 가이드슬로프(15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슬로프(1510)의 길이방향을 따른 바닥면의 중단부에는 제1 슬롯(S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목줄(12) 및 부구 연결줄(13)’이 상기 제1 슬롯(S1)을 통해 관통된 상태로 함께 견인 및 이송되고, 이때 낚시바늘(14)은 제1 슬롯(S1)을 통해 관통되지 못하고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슬롯(S1)에 끼워져 수직하게 정렬된 상태로 견인 및 이송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슬로프(1510)의 입구측으로부터 일정 거리의 후단에는 ‘목줄(12) 및 낚시바늘(14)’로부터 ‘부구 연결줄(13) 및 부구(15)’를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제2 가이드슬로프(1520)가 제1 가이드슬로프(1510)로부터 분기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이드슬로프(1520)의 시작 지점에는 일정 크기의 분기홀(1521)이 형성되는데, 상기 분기홀(1521)은 부구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기홀(1521)을 통해 목줄(12)과 낚시바늘(14)은 제1 가이드슬로프(1510)를 따라 빠져나가고, 한편 부구(15)는 상기 분기홀(1521)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제2 가이드슬로프(1520)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슬로프(1520)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단부에는 제2 슬롯(S2)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제2 슬롯(S2)을 통해 부구 연결줄(13)이 견인 및 부구(15)와 함께 제2 가이드슬로프(1520)를 따라 이송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제거부를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부구 분리이송부(1500)의 후단에는 낚시바늘(14)에 남은 잔여 미끼를 제거하기 위한 미끼 제거부(160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끼 제거부(1600)는 제1 슬롯(S1)을 따라 이송된 낚시바늘(14)이 세워진 상태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좌우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의 협소 채널(1610); 및 상기 협소 채널(1610)에 구비된 미끼제거용 칼날(162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협소 채널(1610)와 미끼제거용 칼날(1620)를 거친 낚시바늘(14)은 미끼(B)가 제거된다.
도 11은 본 발명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끼 제거부(1600)를 거친 ‘목줄(12) 및 낚시바늘(14)’, 그리고 상기 부구 분리이송부(1500)를 거친 ‘부구 연결줄(13) 및 부구(15)’는 세트별로 본 발명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1700)에 각각 수납 정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1700)는, 먼저 주낙용 양승기(1000)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일측면이 폐쇄됨과 함께 타측면은 개방되고, 내부 공간부는 이분할된 구조를 갖는 본체 프레임(17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710)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일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1710)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낚시바늘(14)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17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낚시바늘 정렬슬롯(1721)이 형성되는 낚시바늘 수납부(17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710)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타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1710)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부구(15)가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17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부구 연결줄 정렬슬롯(1731)이 형성되는 부구 수납부(17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낚시바늘 수납부(1720)에는 낚시바늘 정렬슬롯(1721)을 따라 차례대로 끼워진 낚시바늘(14)이 거치될 수 있도록 낚시바늘 거치턱(1722)이 더 형성된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 프레임(1710)의 일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낚시바늘 정렬슬롯(1721)을 따라 끼워진 낚시바늘(14)이 낚시바늘 거치턱(1722)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낚시바늘(14)의 일측을 눌러 낚시바늘(14)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기 위한 낚시바늘 고정수단(1740)이 더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낚시바늘 고정수단(1740)은, 본체 프레임(17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741); 및 낚시바늘(14)과 접촉되는 상기 커버(1741)의 일단에 구비되는 패드(17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드(1742)는 낚시바늘(14)을 탄력적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등 탄성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741)의 회동축 일측에는 커버(1741)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750)가 더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스토퍼(1750)는 커버(1741)의 회동각도를 180도 이상 열리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710) 하방에는 낚시바늘 수납부(1720)와 부구 수납부(1730)에 각각 수납되는 낚시바늘(14)과 부구(15)에 연결된 원줄(11, 도 7 참조)이 둥글게 말린 형태로 수용되는 원줄 정리부(1200, 도 11 참조)가 더 배치된다. 이에 따라, 주낙채비(10)의 원줄(11)은 상기 원줄 정리부()에 둥글게 말린 형태로 수납/정리되며, 이와 동시에 주낙채비(10)의 낚시바늘(14)과 부구(15)는 본 발명 매거진 장치(1700) 내에 차례대로 정렬되면서 각각 수납되어진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양승이 완료되면 상기 원줄이 수납된 원줄 수납통(1210, 도 7 참조)과, 낚시바늘(14)과 부구(15)가 수납된 본 발명 매거진 장치(1700)를 양승기(1000, 도 5 참조)로부터 탈착함으로써 바로 투승기(미도시)로 옮겨 투승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 프레임(1710)의 선단에는 ‘낚시바늘(14) 및 목줄(12)’과 ‘부구(15)와 부구 연결줄(13)’을 각각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부구 분리이송부(1600, 도 9 참조)가 더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 매거진 장치(1700)에 낚시바늘(14)과 부구(15)가 자동으로 수납되어짐은 전술한 바와 같다.
참고로, 첨부된 도면에서 미설명된 부호 16은 원줄과 목줄을 연결하기 위한 도래, 1321은 스크류유닛의 모터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00 :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1100 : 원줄 견인부 1200 : 원줄 정리부
1300 : 목줄 분리이송부 1310 : 푸시유닛
1320 : 스크류유닛 1400 : 목줄 커팅부
1410 : 센서유닛 1420 : 칼날유닛
1500 : 부구 분리이송부 1510, 1520 : 제1, 제2 가이드슬로프
S1, S2: 제1, 제2 슬롯 1521 : 분기홀
1600 : 미끼 제거부 1610 : 협소 채널
1620 : 미끼제거용 칼날 1700 : (본 발명의) 매거진 장치
1710 : 본체 프레임 1720 : 낚시바늘 수납부
1721 : 낚시바늘 정렬슬롯 1722 : 낚시바늘 거치턱
1730 : 부구 수납부 1731 : 부구 정렬슬롯
1740 : 낚시바늘 고정수단 1750 : 스토퍼
F : 갈치 또는 어류 B : 미끼

Claims (8)

  1. 주낙용 양승기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일측면이 폐쇄됨과 함께 타측면은 개방되고, 내부 공간부는 이분할된 구조를 갖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일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낚시바늘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낚시바늘 정렬슬롯이 형성되는 낚시바늘 수납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타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부구가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부구 연결줄 정렬슬롯이 형성되는 부구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선단에는 ‘낚시바늘 및 목줄’과 ‘부구와 부구 연결줄’을 각각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부구 분리이송부가 더 구비되는,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 수납부에는 낚시바늘 정렬슬롯을 따라 끼워진 낚시바늘이 거치될 수 있도록 낚시바늘 거치턱이 더 형성되는,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낚시바늘 정렬슬롯을 따라 끼워진 낚시바늘이 낚시바늘 거치턱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낚시바늘의 일측을 눌러 고정하기 위한 낚시바늘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 고정수단은,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및
    낚시바늘과 접촉되는 상기 커버의 일단에 구비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회동축 일측에는 커버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는,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 하방에는 낚시바늘 수납부와 부구 수납부에 각각 수납되는 낚시바늘과 부구에 연결된 원줄이 수용되는 원줄 정리부가 더 배치되는,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줄 정리부의 하부에는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가 회전됨에 의해 원줄 정리부 내부로 수용되는 원줄이 꼬임없이 둥글게 말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8. 삭제
KR1020220140018A 2022-10-27 2022-10-27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KR102520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018A KR102520328B1 (ko) 2022-10-27 2022-10-27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018A KR102520328B1 (ko) 2022-10-27 2022-10-27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328B1 true KR102520328B1 (ko) 2023-04-13

Family

ID=8597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018A KR102520328B1 (ko) 2022-10-27 2022-10-27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32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0822A (ja) * 1991-11-11 1993-05-28 Kitamura Tekkosho:Kk 延縄の餌取付方法及び装置
KR20060082002A (ko) * 2005-01-11 2006-07-14 박명오 주낙용 양승장치
KR20060082001A (ko) * 2005-01-11 2006-07-14 박명오 주낙용 투승장치
KR101691332B1 (ko) 2016-07-28 2016-12-29 심흥길 주낙채비 양승기
KR101974956B1 (ko) 2018-07-31 2019-05-03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채비용 양승기
KR102010903B1 (ko) * 2018-07-31 2019-08-14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 작업용 낚시바늘 수납 유닛
KR102015249B1 (ko) * 2019-04-08 2019-08-27 강용웅 주낙 제조장치
KR20220060812A (ko) * 2020-11-05 2022-05-12 이동인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주낙 양승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0822A (ja) * 1991-11-11 1993-05-28 Kitamura Tekkosho:Kk 延縄の餌取付方法及び装置
KR20060082002A (ko) * 2005-01-11 2006-07-14 박명오 주낙용 양승장치
KR20060082001A (ko) * 2005-01-11 2006-07-14 박명오 주낙용 투승장치
KR101691332B1 (ko) 2016-07-28 2016-12-29 심흥길 주낙채비 양승기
KR101974956B1 (ko) 2018-07-31 2019-05-03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채비용 양승기
KR102010903B1 (ko) * 2018-07-31 2019-08-14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 작업용 낚시바늘 수납 유닛
KR102015249B1 (ko) * 2019-04-08 2019-08-27 강용웅 주낙 제조장치
KR20220060812A (ko) * 2020-11-05 2022-05-12 이동인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주낙 양승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92161A1 (en) Oyster farming apparatus and methods
US4354323A (en) Long fishing line apparatus with movable multiple skate racks, a two position main hauler and a slack taker, and a water agitated automatic baiter
RU2298319C2 (ru) Устройство трала
CN109310058A (zh) 海藻收割机
KR101817900B1 (ko) 갈치 끌낚시용 투승기
KR102530401B1 (ko)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RU276111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ловли рыб с помощью рыболовного судна
CN110662420B (zh) 牡蛎养殖设备、方法和系统
KR102520328B1 (ko)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US8230814B2 (en) Mechanized collector of juvenile lobsters
Hunter et al. Design and use of a miniature purse seine
KR101169363B1 (ko) 주낙용 양승장치
KR20180017992A (ko) 해파리 수집 장치
KR102650812B1 (ko)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KR102640969B1 (ko) 수하연 양식 굴 및 우렁쉥이 자동수확장치
DK180632B1 (en) Mobile yarn and line setter
KR860000153Y1 (ko) 안강망어선의 선미 조업장치
WO2005039277A2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a fishing longline in connection with a fishingboat
WO2020230172A1 (en) Apparatus for managing the line of a handline fishing device on board a fishing vessel
CN116076462A (zh) 一种自动化的智能捕鱼系统及方法
KR880001943Y1 (ko) 양식용 굴수확장치
Gordon Great Lakes gill net
JPH1042759A (ja) マグロ延縄漁法
NO791126L (no) Kombinert line- og garnkveiler.
Mann A NEW METHOD OF HANDLING LONGLINE 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