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332B1 - 주낙채비 양승기 - Google Patents

주낙채비 양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332B1
KR101691332B1 KR1020160096313A KR20160096313A KR101691332B1 KR 101691332 B1 KR101691332 B1 KR 101691332B1 KR 1020160096313 A KR1020160096313 A KR 1020160096313A KR 20160096313 A KR20160096313 A KR 20160096313A KR 101691332 B1 KR101691332 B1 KR 101691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ne
fishing needle
fish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흥길
Original Assignee
심흥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흥길 filed Critical 심흥길
Priority to KR102016009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상에서 이루어지는 주낙 조업시에 바다에 투척된 주낙채비를 끌어올리기 위한 주낙채비 양승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낙채비가 유도되어 이동되는 유도채널; 상기 유도채널의 일측 단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원줄을 당겨주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의 상측으로 목줄에 달린 낚시바늘이 원줄과 다른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낚시바늘 가이드; 상기 낚시바늘 가이드 상측으로 상기 원줄에 연결된 부구가 원줄과 다른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구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주낙채비를 양승할 때 원줄에 달린 목줄 및 부구가 서로 다른 위치로 구분되어 진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낙채비 양승기{hauling machine for longline}
본 발명은 선상에서 이루어지는 주낙 조업시에 바다에 투척된 주낙채비를 끌어올리기 위한 주낙채비 양승기에 관한 것이다.
레저로서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되고 있지만 시중에 유통되는 다양한 어류는 양식이나 선박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물고기를 잡아 유통되는 것들이다.
산업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업은 그물을 이용하거나 낚시바늘을 이용한 주낙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낙이라 함은 하나의 원줄을 따라 등간격으로 목줄을 매달고 목줄에 낚시바늘을 달아서 바다에 던져둔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원줄을 끌어올리는 형태의 조업방법을 의미한다.
그리고 원줄에는 적당 간격으로 부구가 연결되는데, 부구 역시 길다란 부구연결줄에 매달게 된다.
주낙을 통해 잡는 어류로는 대표적으로 갈치, 오징어, 방어 등이 있으며, 엄청난 길이의 원줄에 수많은 목줄 및 부구가 달린 주낙채비를 투척하거나 끌어올리는 일(양승)은 엄청난 노동이 요구된다.
특히 주낙은 주로 군집을 이루는 어종들을 낚시로 잡는 것인 바, 대상어종이 어군을 형성했을 때 신속한 투척 및 양승이 요구되므로 이러한 투척 및 양승을 위한 전용장비의 필요성이 크다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본 출원인에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576420호의 "주낙용 양승기"가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주낙용 양승기의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종래의 주낙용 양승기는 양승하는 원줄 및 가짓줄의 이동을 유도하고, 양승기에서 원줄 및 가짓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프가이드부와, 포획된 어류가 가짓줄에서 분리되는 배출부와, 외부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며 원줄 및 가짓줄을 양승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탄성체로 형성되며 포획된 어류의 자중에 의해 빈 공간이 형성되어 아래로 어류가 배출되도록 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 단부 밑면에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 아래로 배출된 어류와 연결된 가짓줄을 절단하는 칼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종래기술은 주낙채비를 양승할 때, 잡힌 물고기는 양승 중 배출부로 낙하된 후 칼날에 의해 가짓줄이 절단되나, 물고기가 잡히지 않은 가짓줄은 원줄과 함께 인양롤러를 거쳐 낚싯줄 수용함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양승시에 원줄과 함께 가짓줄들이 아무런 분리작업 없이 마구잡이로 낚싯줄 수용함에 모이도록 하므로 다음 조업을 위해서는 원줄 및 가짓줄을 다시 정리해야만 했었다. 또한, 원줄에는 부구도 매달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는 더욱 가짓줄과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576420호
본 발명의 주낙용 양승기는 주낙채비를 기계의 힘을 빌려 간단하게 양승시킬 수 있도록 하되, 주낙채비의 재사용이나 수리가 편리하도록 양승시에 원줄, 목줄, 부구가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양승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원줄, 목줄, 부구를 간단하게 정열할 수 있도록 하는 주낙용 양승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주낙용 양승기는, 원줄, 목줄 및 부구를 포함하는 주낙채비 양승기에 있어서, 주낙채비가 유도되어 이동되는 유도채널; 상기 유도채널의 일측 단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원줄을 당겨주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의 상측으로 목줄에 달린 낚시바늘이 원줄과 다른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낚시바늘 가이드; 상기 낚시바늘 가이드 상측으로 상기 원줄에 연결된 부구가 원줄과 다른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구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주낙채비를 양승할 때 원줄에 달린 목줄 및 부구가 서로 다른 위치로 구분되어 진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구 가이드는, 이격거리를 두고 평행한 두 개의 유도체로 이루어져 주낙채비가 부구 가이드로 진입하면 부구만이 상기 유도체 사이의 홈에 걸려서 원줄과는 다른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낚시바늘 가이드는, 상기 목줄이 지나갈 수 있는 슬롯과 상기 슬롯과 연통되어 낚시바늘이 이동되는 채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낚시바늘 가이드의 입구측에 인접하여 낚시바늘을 상기 채널로 유도하기 위한 자석 및 틸팅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구 가이드의 전단에 주낙채비가 부구 가이드로 진입되게 유도하기 위한 유도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부구 가이드의 전단 후방에 회전브러쉬가 마련되어 낚시바늘에 달린 미끼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낙용 양승기는 종래와 달리 원줄, 목줄 및 부구가 최종단계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진입되므로 원줄은 자연적으로 정리함으로 떨어지고 작업자는 목줄 및 부구를 집어 정리함의 정열브라켓에 꽂아 정열시키기에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낙용 양승기를 이용하게 되면 주낙채비를 양승시에 정열시키므로 주낙채비의 재사용시에는 미끼만 매달아 사용이 가능하고, 원줄이 잘린 곳에는 원줄의 교체작업도 편리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주낙용 양승기의 사시도.
도 2는 주낙채비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주낙용 양승기의 사시도.
도 4는 주낙용 양승기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주낙용 양승기의 정면도.
도 6은 주낙용 양승기의 배면도.
도 7은 주낙용 양승기의 평면도.
도 8은 주낙용 양승기의 저면도.
도 9는 주낙용 양승기의 부분 확대도.
도 10은 부구 가이드 및 낚시바늘 가이드에서 부구와 낚시바늘의 이동양상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주낙용 양승기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낙채비 양승기는 선상에서 주낙 방식으로 갈치 등을 잡을 때 바다에 투척된 주낙채비를 인양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주낙채비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주낙용 양승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주낙용 양승기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는 주낙용 양승기의 정면도이며, 도 6은 주낙용 양승기의 배면도이며, 도 7은 주낙용 양승기의 평면도이며, 도 8은 주낙용 양승기의 저면도이고, 도 9는 주낙용 양승기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부구 가이드 및 낚시바늘 가이드에서 부구와 낚시바늘의 이동양상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낙용 양승기는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유도채널(100), 견인부(200), 낚시바늘 가이드(300), 부구 가이드(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낙채비(10)는 원줄(11), 목줄(12), 부구연결줄(13), 낚시바늘(14), 부구(15)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되, 원줄(11)을 따라 목줄(12)들이 등간격으로 다수 연결되며, 적당 갯수의 목줄(12) 사이에 부구연결줄(13)을 통해 부구(15)가 연결된다. 목줄(12)에는 낚시바늘(14)이 연결된다.
유도채널(100)은 U 자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서 주낙채비(10)가 바다로부터 인양되어 이동되는 경로가 된다.
주낙채비(10)를 인력이 아닌 기계의 힘으로 당기기 위한 견인부(200)가 마련되며, 견인부(200)는 유도채널(100)의 일측 단부측에 마련되어 원줄(11)을 당겨주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견인부(200)는 원줄(11)을 당겨주는 역할을 하는 견인롤러(210)와 견인롤러(210)를 벗어나 원줄(11)을 안정적으로 낙하되게 하는 보조롤러(220)를 포함하게 된다.
견인롤러(210)는 유도채널(100)의 일측 단부측에 마련되는 설치판(500)에 장착되며, 설치판(500)을 기준으로 견인롤러(210)의 반대면에 견인롤러(210)의 구동을 위한 액츄에이터(211)가 장착되고, 보조롤러(220)는 견인롤러(210)의 하방에 설치된다. 견인롤러(210) 및 보조롤러(220)는 전기나 유압의 공급을 통해 회전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른 적당한 속도로 회전되면 되는 바,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견인부(200)의 상측으로 낚시바늘 가이드(300)가 마련되며, 낚시바늘 가이드(300)는 목줄(12)에 달린 낚시바늘(14)이 원줄(11)과 다른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낚시바늘 가이드(300) 상측으로는 부구 가이드(400)가 마련되는데, 부구 가이드(400)는 원줄(11)에 연결된 부구(15)가 원줄(11)과 다른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주낙용 양승기는 원줄(11), 목줄(12), 부구(15)를 포함하는 주낙채비(10)를 인양할 때 원줄(11)에 목줄(12)을 통해 매달리는 낚시바늘(14)과 부구연결줄(13)을 통해 원줄(11)에 매달리는 부구(15)를 각각 다른 경로를 따라 진입되게 함으로써 원줄(11)에 목줄(12)이 엉키거나 목줄(12)끼리 엉키는 문제 또는 부구(15)가 원줄(11)이나 목줄(12)과 엉키게 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견인롤러(210)에 의해 원줄(11)은 당겨지는데 유도채널(100)의 일측 단부에 원줄(11)이 안정적으로 견인롤러(210)에 감길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유도롤러(230)가 마련된다. 유도롤러(230)는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유도롤러(230)의 외면 중앙에는 원줄(11)의 좌우 흔들림을 규제하도록 소정깊이로 함몰된 유도홈(231)이 형성된다.
유도롤러(230)와 인접하여 부구 가이드(400)의 입구측이 시작되며, 부구 가이드(400)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둔 채 평행한 두 개의 유도체(41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부구 가이드(400)를 이루는 유도체(410)는 원형 파이프인 것으로 하며, 도면과 같은 형상으로 견인부(200) 및 낚시바늘 가이드(300)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부구 가이드(400)를 이루는 두 개의 유도체(410)간 이격거리는 부구(15)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부구(15)가 두 유도체(410) 위에 올려진 채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하면 된다.
원줄(11)에 연결되는 부구연결줄(13)에 부구(15)가 매달려 있게 되는데, 원줄(11)은 유도롤러(230)를 거쳐서 두 유도체(410) 사이를 통해 이동되며, 유도롤러(230)를 통과한 부구(15)는 부구 가이드(400) 위에 올려져 부구연결줄(13)에 작용하는 당김력에 의해 부구 가이드(400)를 따라 이동되어 부구 가이드(400)의 타 끝단인 출구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부구가이드(400)의 입구측 끝단은 평평한 연결판(420)에 의해 두 유도체(410)가 연결되게 하여 이동되어 오는 부구(15)가 연결판(420)을 거치면서 두 유도체(410) 사이로 안정적인 진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원줄(11)에 연결된 목줄(12) 및 목줄(12)에 연결되는 낚시바늘(14)을 원줄(11)과 다른 경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낚시바늘 가이드(300)는 부구 가이드(400)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는데, 슬롯(310)과 채널(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부구 가이드(400) 입구측과 낚시바늘 가이드(300) 입구측 사이에 회전브러쉬(6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회전브러쉬(600)는 낚시바늘(14)에 달린 미끼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다로 투척된 주낙채비(10) 중 고기가 미끼를 물은 것도 있지만 고기가 잡히지 않고 미끼가 그대로 매달려 있는 것도 존재한다. 낚시바늘에 달린 미끼를 제거하지 않게 되면 미끼가 부패되고 굳게 되므로 낚시바늘을 재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낚시바늘을 정열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된다.
회전브러쉬(600)에 인접하여 낚시바늘 가이드(300)가 시작되는데, 도면과 같이 낚시바늘 가이드(300)는 대략 반원과 같이 곡선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목줄(12)에 매달린 낚시바늘(14)이 원줄(11)에 엉키지 않고 다른 경로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낚시바늘 가이드(300)는 채널(320)과 슬롯(310)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채널(320)은 사각 형상이 바람직하며, 채널(320)의 상면에 채널(320) 내부와 연통되게 개구되는 슬롯(310)이 형성되는 구조이면 된다. 원줄(11)로부터 분기되는 목줄(12)은 슬롯(310)을 통해 이동되며, 목줄(12)에 매달린 낚시바늘(14)은 채널(320) 내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낚시바늘 가이드(300)의 채널(320)로 낚시바늘(14)이 정확하게 유도되게 하기 위해 낚시바늘 가이드(300)의 입구측에 인접하여 다수의 자석(330)을 배치할 수 있다. 원줄(11) 및 목줄(12)과 함께 유도롤러(230) 및 회전브러쉬(600)를 통과하게 되는 낚시바늘(14)은 자석(330)에 이끌려 채널(320)로 진입되도록 유도된다.
자석(330)은 자석의 자력 정도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설치판(500)의 앞쪽 또는 뒷쪽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자석(330)의 전방에 틸팅레버(3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틸팅레버(340)는 낚시바늘(14)이 채널(320)로 진입되기 전에 목줄(12)에 적당한 장력을 형성되게 함으로써 낚시바늘(14)이 빠르게 튕기면서 채널(320)로 진입되게 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작용을 한다.
한편, 유도채널(100)에는 잡힌 고기를 목줄(12)로부터 분리시켜 별도로 모으기 위한 컷팅부(7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유도롤러(230) 보다 앞쪽에 컷팅부(700)를 형성시켜서 잡힌 고기를 목줄(12)로부터 제거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컷팅부(700)는 고기가 목줄(12)에 매달려 끌려오면 그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되고 소정의 칼날(710)에 목줄(12)이 걸리면서 끊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견인부(200)를 이루는 보조롤러(220)의 하부에는 주낙채비 정리함(800)을 배치하여 주낙인양 작업을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주낙채비 정리함(800)은 주낙 인양시에 주낙채비(10)를 재사용 혹은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인양 즉시 낚시바늘(14)이나 부구(15)를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롤러(220) 하방에 주낙채비 정리함(800)을 두고 견인롤러(210) 및 보조롤러(220)에 원줄(11)을 걸어 당기게 되면 원줄(11)은 주낙채비 정리함(800)으로 바로 낙하되면서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주낙채비 정리함(800) 상단 테두리를 따라 장착되는 소정의 정열브라켓에 낚시바늘(14) 및 부구(15)를 차례대로 꽂아 정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원줄(11)과 별도의 경로를 따라 낚시바늘(14)과 부구(15)가 이송되게 하기 때문에 주낙채비의 인양시에 곧바로 낚시바늘(14)과 부구(15)를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간단하게 본 발명에 의한 주낙용 양승기의 전체적인 동작원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다에 투척된 주낙채비(10)를 인양하기 위해 원줄(11)을 견인부(200)의 견인롤러(210) 및 보조롤러(220)에 걸어서 견인롤러(210) 및 보조롤러(220)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원줄(11)과 함께 목줄(12) 및 부구(15)가 유도채널(100)을 따라 이동되어 진입하게 되는데, 목줄(12)에 매달린 낚시바늘(14)에는 고기가 물린 것도 있고 미끼가 그대로 매달린 것이 있을 수 있다.
낚시바늘(14)에 걸린 고기는 유도채널(100)에 마련되는 컷팅부(700)에서 하방으로 낙하된 후 칼날(710)에 의해 목줄(12)로부터 분리된다.
부구(15)는 가볍기 때문에 컷팅부(700)를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컷팅부(700) 다음에 유도롤러(230)가 마련되어 있는데, 유도롤러(230)에 의해 주낙채비(10)는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되어 흘러갈 수 있다. 유도롤러(230) 다음에 마련되는 회전브러쉬(600)를 거치면서 낚시바늘(14)에 그대로 남아있던 미끼는 떨어지게 된다.
원줄(11)은 부구 가이드(400)의 입구측을 지나면서 견인롤러(210)에 감기게 되고, 견인롤러(210)를 통과한 원줄(11)은 보조롤러(220)를 거치면서 낙하된다.
원줄(11)에 연결된 부구연결줄(13)에 매달린 부구(15)는 부구 가이드(400) 입구측에서 부구 가이드(400)를 따라 원줄(11)과 별도의 경로를 통해 이동된다.
그리고 원줄(11)에 연결된 목줄(12)에 매달린 낚시바늘(14) 역시 낚시바늘 가이드(300)에 의해 원줄(11)과는 다른 경로로 이동된다.
보조롤러(220) 하부에 배치되는 주낙채비 정리함(800)의 통속으로 원줄(11)은 차곡차곡 쌓이게 되고, 부구 가이드(400)를 따라 이동된 부구(15) 및 낚시바늘 가이드(300)를 따라 이동되어 온 낚시바늘(14)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주낙채비 정리함(80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정열브라켓에 차례대로 꽂혀 정리된다.
낚시바늘(14) 및 부구(15)가 원줄(11)에 감기거나 엉키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 도달되기 때문에 주낙 인양과 동시에 곧바로 낚시바늘(14)과 부구(15)를 신속하게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주낙채비 양승기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도채널(100)의 입구측에 양승되는 주낙채비의 양승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버를 두도록 하면 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즉, 레버의 조작을 통해 주낙채비 양승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하거나 양승 속도를 정상시보다 낮추거나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다에 투척된 주낙을 끌어올릴 때 사용됨으로써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줄일 수 있고, 신속한 인양 작업이 가능하고, 주낙채비를 바로 정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주낙 인양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유도채널
200 : 견인부
210 : 견인롤러 211 : 액츄에이터
220 : 보조롤러 230 : 유도롤러
231 : 유도홈
300 : 낚시바늘 가이드
310 : 슬롯 320 : 채널
330 : 자석 340 : 틸팅레버
400 : 부구 가이드
410 : 유도체 420 : 연결판
500 : 설치판
600 : 회전브러쉬
700 : 컷팅부
710 : 칼날
800 : 주낙채비 정리함
10 : 주낙채비
11 : 원줄 12 : 목줄
13 : 부구연결줄 14 : 낚시바늘
15 : 부구

Claims (5)

  1. 원줄, 목줄 및 부구를 포함하는 주낙채비 양승기에 있어서,
    주낙채비가 유도되어 이동되는 유도채널;
    상기 유도채널의 일측 단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원줄을 당겨주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의 상측으로 목줄에 달린 낚시바늘이 원줄과 다른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낚시바늘 가이드;
    상기 낚시바늘 가이드 상측으로 이격거리를 두고 평행한 두 개의 유도체가 마련되어 상기 부구만이 상기 유도체 사이의 홈에 걸려서 상기 원줄과는 다른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부구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주낙채비를 양승할 때 원줄에 달린 목줄 및 부구가 서로 다른 위치로 구분되어 진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채비 양승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 가이드는,
    상기 목줄이 지나갈 수 있는 슬롯과 상기 슬롯과 연통되어 낚시바늘이 이동되는 채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채비 양승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 가이드의 입구측에 인접하여 낚시바늘을 상기 채널로 유도하기 위한 자석 및 틸팅레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채비 양승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 가이드의 전단에 주낙채비가 부구 가이드로 진입되게 유도하기 위한 유도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부구 가이드의 전단 후방에 회전브러쉬가 마련되어 낚시바늘에 달린 미끼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채비 양승기.

KR1020160096313A 2016-07-28 2016-07-28 주낙채비 양승기 KR101691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313A KR101691332B1 (ko) 2016-07-28 2016-07-28 주낙채비 양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313A KR101691332B1 (ko) 2016-07-28 2016-07-28 주낙채비 양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332B1 true KR101691332B1 (ko) 2016-12-29

Family

ID=5773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313A KR101691332B1 (ko) 2016-07-28 2016-07-28 주낙채비 양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33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862B1 (ko) * 2018-07-31 2019-03-14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 투척기
KR101974956B1 (ko) * 2018-07-31 2019-05-03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채비용 양승기
KR102010903B1 (ko) * 2018-07-31 2019-08-14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 작업용 낚시바늘 수납 유닛
KR20220073339A (ko) * 2020-11-26 2022-06-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낙용 클립 연결장치
KR20220073337A (ko) * 2020-11-26 2022-06-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끼 자동 끼움 장치
KR102520328B1 (ko) 2022-10-27 2023-04-13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KR102530401B1 (ko) 2022-10-27 2023-05-10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KR102650812B1 (ko) 2023-08-24 2024-03-25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002A (ko) * 2005-01-11 2006-07-14 박명오 주낙용 양승장치
KR101576420B1 (ko) 2015-04-23 2015-12-10 심흥길 주낙용 양승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2002A (ko) * 2005-01-11 2006-07-14 박명오 주낙용 양승장치
KR101576420B1 (ko) 2015-04-23 2015-12-10 심흥길 주낙용 양승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862B1 (ko) * 2018-07-31 2019-03-14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 투척기
KR101974956B1 (ko) * 2018-07-31 2019-05-03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채비용 양승기
KR102010903B1 (ko) * 2018-07-31 2019-08-14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 작업용 낚시바늘 수납 유닛
KR20220073339A (ko) * 2020-11-26 2022-06-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낙용 클립 연결장치
KR20220073337A (ko) * 2020-11-26 2022-06-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끼 자동 끼움 장치
KR102475043B1 (ko) 2020-11-26 2022-12-07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끼 자동 끼움 장치
KR102475049B1 (ko) 2020-11-26 2022-12-07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낙용 클립 연결장치
KR102520328B1 (ko) 2022-10-27 2023-04-13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KR102530401B1 (ko) 2022-10-27 2023-05-10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KR102650812B1 (ko) 2023-08-24 2024-03-25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332B1 (ko) 주낙채비 양승기
DE102016203066A1 (de) Auszieheinrichtung für ein Garnende eines Saugtyps und Spulenvorbereitungssystem
CN111532896B (zh) 一种自动摇绞机
KR101957862B1 (ko) 주낙 투척기
KR101594905B1 (ko) 종패 리튜빙 장치
KR20170088564A (ko)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CN107743930A (zh) 一种高密度鱼类养殖用起捕装置及其起捕方法
CN107010485A (zh) 打结机构和筒子架
US9943072B2 (en) Loopwork rope for mussel culture
CN208632726U (zh) 一种球经机全自动分绞线打结机构
KR101974956B1 (ko) 주낙채비용 양승기
CN109691424A (zh) 一种高效捕鱼装置
KR102530401B1 (ko)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KR20060008845A (ko) 주낙용 투승장치
CN108029609B (zh) 一种围网养殖的分离式捕捞方法
JP2000350535A (ja) 漁網の揚網自動化装置及び操業方法
KR101839355B1 (ko)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KR101370603B1 (ko) 오징어 자동 조상장치
KR20180085310A (ko) 종패 리튜빙 장치
TWI716678B (zh) 降絲裝置以及紡絲牽引設備
JPH0368655B2 (ko)
KR101711342B1 (ko) 주낙 투척기
JP2015198636A (ja) 帆立貝養殖用の係止ピン及び帆立貝の収穫方法
KR101239928B1 (ko) 주낙용 양승장치
KR102520328B1 (ko)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