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812B1 -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 Google Patents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812B1
KR102650812B1 KR1020230111373A KR20230111373A KR102650812B1 KR 102650812 B1 KR102650812 B1 KR 102650812B1 KR 1020230111373 A KR1020230111373 A KR 1020230111373A KR 20230111373 A KR20230111373 A KR 20230111373A KR 102650812 B1 KR102650812 B1 KR 102650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fishing hook
fishing
c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복
김태우
현병화
김범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Priority to KR102023011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 갈치 자동 투승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라, 미끼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미끼 이송부; 상기 미끼 이송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미끼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미끼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미끼 절단부; 상기 미끼 절단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미끼 절단부 방향으로 낚싯바늘 및 부구를 이송하는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 및 상기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낚싯바늘의 이송 경로를 절단된 미끼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이송 중인 낚싯바늘에 절단된 미끼가 꿰어지도록 하는 미끼 후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Automatic shooting apparatus for hairtail longline fishing}
본 발명은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투승장치 대비 작업자가 미끼를 일일이 잘라 준비해야만 하는 미끼 준비작업이 불필요하며, 일정 크기로 커팅된 미끼가 낚싯바늘에 하나씩 정확하게 꿰어진 후 투승까지 전 과정이 완전 자동화됨으로써 안전하고 조업 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갈치는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포획되는 대표적인 난해성 어류로 알려져 있으며, 해수의 표층으로부터 수심 350m까지 넓은 영역에서 서식한다.
일반적으로 수심 100m 부근에서는 기선저인망으로 갈치를 잡지만, 깊지 않은 수심에서는 주낙(연승, longline)이나 낚시로도 갈치를 낚을 수 있다.
상기 주낙은 긴 원줄에 일정 간격으로 여러 개의 목줄을 달고, 상기 목줄의 끝에는 각각 낚시바늘 및 미끼를 달아 물속에 드리워서 고기를 살아있는 채로 한꺼번에 대량으로 낚아 올리는 어법을 의미한다. 상기 주낙은 특별한 어로 기기가 필요없고, 조업 방식이 간단하여 소규모 어선을 이용한 연근해 갈치 조업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낙은 엄청난 길이의 원줄에 수많은 목줄 및 부구가 달린 주낙채비를 이용하는데, 갈치가 일반적으로 군집하여 이동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주낙에 갈치떼가 몰려들었을 때 상기 주낙을 신속하게 투척하여야만(투승) 많은 양의 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23-0034024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를 참조하면 주낙 조업 시에 주낙 채비를 바다에 신속하게 투척하기 위한 주낙용 연속 투승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낙채비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선행문헌의 종래 주낙용 연속 투승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낙채비(10)는 일반적으로 원줄(11), 목줄(12), 부구연결줄(13), 낚싯바늘(14), 부구(15)로 이루어지되, 원줄(11)을 따라 목줄(12)들이 등간격으로 다수 연결되며, 적정 개수의 목줄(12) 사이에 부구연결줄(13)을 통해 부구(15)가 연결된다. 목줄(12)에는 낚싯바늘(14)이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행문헌에 개시된 종래 주낙용 연속 투승장치는, 내부에 미끼(C)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하부에 낚싯바늘(A) 및 낚싯줄(B)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부(111)를 형성하고 전방에 낚싯줄(B)의 투승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112)를 마련하는 미끼 저장유닛(110); 상기 미끼 저장유닛(110)의 후방에 탈착하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낚싯바늘(A)을 끼워서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축(121)을 형성하는 낚싯바늘 정렬유닛(120); 상기 미끼 저장유닛(110)의 상부에 내측으로 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해수 공급유닛(130); 상기 미끼 저장유닛(110)의 하부에 떨어지는 미끼(C) 및 해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해수 저장유닛(14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해수 공급유닛(130)은 상기 미끼 저장유닛(110)의 상부에 내측으로 해수를 공급하여 미끼(C)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낚싯바늘(A)이 미끼(C)를 끼울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상기 해수 공급유닛(130)은 상기 미끼 저장유닛(110)의 상부 내측으로 해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31)을 형성하고 상기 공급관(131)의 일측에 해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공급밸브(13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관(131)의 표면에 해수를 상기 미끼 저장유닛(110)의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공 또는 분사노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 저장유닛(140)은 상기 미끼 저장유닛(110)의 하부에 떨어지는 미끼(C) 및 해수를 저장하여 작업자가 갑판에서 미끄러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선행문헌에 개시된 종래 주낙용 연속 투승장치는, 갈치 주낙의 투승 전에 작업자가 미리 대량의 미끼(C)를 일일이 적당한 크기로 잘라 미끼 저장유닛(110)에 담아 저장하는 미끼 준비작업이 필요하고, 이때 상기 미끼 저장유닛(110)의 상방에 구비된 해수 공급유닛(130)으로부터 미끼 저장유닛(110)으로 해수를 공급하여 상기 해수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자중에 의해 미끼(C)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낚싯바늘(A)에 연속적으로 꿰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해수와 함께 하방으로 낙하하는 미끼(C)는 작업자가 밟아 갑판에서 미끄러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투승장치의 하단부에 해수 공급유닛(130)과 별도로 해수 저장유닛(140)을 구비함으로써 미끼 저장유닛(110)의 하부로 낙하하는 미끼(C) 및 해수를 담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주낙용 연속 투승장치는, 여전히 투승 전에 작업자가 미끼를 일일이 잘라 준비하는 작업이 불가피하고, 또한 미끼(C)의 상방에서 해수를 공급하고 상기 해수의 자중을 이용하여 미끼(C)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낚싯바늘(A)에 무작위로 꿰어지는 원리로 동작되는데, 이때 낚싯바늘(A)에 미끼가 꿰어지지 않거나 하나의 낚싯바늘(A)에 여러 개의 미끼(C)가 꿰어지는 폐단이 빈번히 발생될 뿐만 아니라, 해수와 함께 하방으로 낙하하여 해수 저장유닛(140)에 담겨진 미끼는 결국 작업자가 이를 주기적으로 다시 미끼 저장유닛(110)에 옮겨주어야 하므로 결국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많은 공수를 투입할 수밖에 없으므로 갈치 주낙의 조업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1332호 (2016.12.23.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투승장치 대비 작업자가 미끼를 일일이 잘라 준비해야만 하는 미끼 준비작업이 불필요하며, 일정 크기로 커팅된 미끼가 낚싯바늘에 하나씩 정확하게 꿰어진 후 투승까지 전 과정이 완전 자동화됨으로써 안전하고 조업 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안착되어 미끼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미끼 이송부; 상기 미끼 이송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미끼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미끼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미끼 절단부; 상기 미끼 절단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미끼 절단부 방향으로 낚싯바늘 및 부구를 이송하는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 및 상기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낚싯바늘의 이송 경로를 절단된 미끼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이송 중인 낚싯바늘에 절단된 미끼가 꿰어지도록 하는 미끼 후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끼 이송부는, 미끼가 안착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방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미끼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을 통해 상단 일부가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회전 시 상기 노출된 상단 일부가 미끼와 직접 접촉됨에 의해 미끼를 일방향으로 견인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체인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모터 및 스프로킷;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체인의 외주면에는 미끼의 표면에 일정 깊이로 박히면서 미끼를 미끄러지지 않게 견인하기 위한 가시 형상의 돌기가 더 구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끼 절단부는, 미끼 이송부의 일단의 상방에 배치되는 회전 칼날; 상기 회전 칼날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 칼날을 미끼 절단을 위해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수직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직 이송수단은, 상기 회전 칼날과 모터가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승하강 이동이 가이드되는 선형 가이드유닛; 및 상기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실린더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는, 미끼 절단부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일측면이 폐쇄됨과 함께 타측면은 개방되고, 내부 공간부는 이분할된 구조를 갖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일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낚싯바늘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낚싯바늘 정렬슬롯이 형성되는 낚싯바늘 수납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타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부구가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부구 연결줄 정렬슬롯이 형성되는 부구 수납부;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낚싯바늘 수납부에는 낚싯바늘 정렬슬롯을 따라 끼워진 낚싯바늘이 거치될 수 있도록 낚싯바늘 거치턱이 더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끼 후킹부는, 상기 미끼 절단부를 기준으로 미끼 이송 방향을 따라 미끼 이송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미끼 안착대; 및 상기 미끼 안착대로 이송된 미끼가 미끼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후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낚싯바늘의 이송 경로를 절단된 미끼쪽으로 유도하고, 상기 이송 중인 낚싯바늘에 절단된 미끼가 걸림되면서 하나씩 꿰어지도록 하는 가이드 채널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끼 안착대에는 미끼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 및 상기 가이드 채널부재의 일측에는 낚싯바늘이 통과될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가 더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투승장치 대비 작업자가 미끼를 일일이 잘라 준비해야만 하는 미끼 준비작업이 불필요하며, 일정 크기로 커팅된 미끼가 낚싯바늘에 하나씩 정확하게 꿰어진 후 투승까지 전 과정이 완전 자동화됨으로써 안전하고 조업 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낙채비의 개념도
도 2는 선행문헌의 종래 주낙용 연속 투승장치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를 전체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미끼 이송부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미끼 절단부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3의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7a는 도 3의 미끼 후킹부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의 부착 위치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센서의 부착 위치를 보인 요부 확대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를 전체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1000)의 구성은, 크게 지지프레임(1100), 미끼 이송부(1200), 미끼 절단부(1300),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1400), 미끼 후킹부(15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프레임(110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 하판과 상, 하판을 고정해주는 다리로 구성되어 본 발명 투승장치(10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흔들림이 없도록 고정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존 어업 시 낚싯바늘 및 부구의 투승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높이는 성인 남성의 허리 높이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투승장치(1000)의 총 높이또한 성인 남성의 허리 높이 정도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어선의 사정에 따라 높이 조절 역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1100)의 제작은 용접하지 않고 볼트 체결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미끼 이송부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상기 미끼 이송부(1200)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안착되어 미끼(B)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미끼(B)는 갈치 주낙용 미끼로서 일 실시예에 따라 꽁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끼 이송부(1200)는, 미끼(B)가 안착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210);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210)의 하방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미끼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1210a)을 통해 상단 일부가 가이드 플레이트(1210)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회전 시 상기 노출된 상단 일부가 미끼(B)와 직접 접촉됨에 의해 미끼를 일방향으로 견인하는 체인(1220); 및 상기 체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체인(1220)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모터(1230) 및 스프로킷(1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210)는 미끼(B)가 측방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수직단면이 “V”자 형태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체인(1220)의 외주면에는 미끼(B)의 표면에 일정 깊이로 박히면서 미끼(B)를 미끄러지지 않게 견인하기 위한 가시 형상의 돌기(1221)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체인(1220)은 단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된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인(1220)은 체인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타이밍 벨트(미도시) 등의 벨트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미끼 절단부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상기 미끼 절단부(1300)는, 상기 미끼 이송부(1200)의 일단에 구비되어 미끼 이송부(1200)에 의해 이송되는 미끼(B)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미끼 절단부(1300)는, 미끼 이송부(1200)의 일단의 상방에 배치되는 회전 칼날(1310); 상기 회전 칼날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모터(1320); 및 상기 회전 칼날(1310)을 미끼(B)의 절단을 위해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수직 이송수단(1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직 이송수단(1330)은, 상기 회전 칼날(1310)과 모터(1320)가 고정되는 브라켓(1331); 상기 브라켓의 승하강 이동이 가이드되는 선형 가이드유닛(1332); 및 상기 브라켓(1331)을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실린더유닛(133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형 가이드유닛(1332)은, LM(Linear Motion) 가이드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모터(1320)의 회전축에는 타이밍 벨트(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모터(1320)의 회전력을 회전 칼날(131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상기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1400)는, 상기 미끼 절단부(1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미끼 절단부(1300) 방향으로 낚싯바늘(14) 및 부구(15)를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1400)는, 미끼 절단부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일측면이 폐쇄됨과 함께 타측면은 개방되고, 내부 공간부는 이분할된 구조를 갖는 본체 프레임(1410);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일측 공간부(도 6의 좌측)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1410)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낚싯바늘(14)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1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낚싯바늘 정렬슬롯(1420a)이 형성되는 낚싯바늘 수납부(1420); 및 상기 본체 프레임(1410)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타측 공간부(도 6의 우측)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1410)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부구(15)가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1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부구 연결줄 정렬슬롯(1430a)이 형성되는 부구 수납부(1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낚싯바늘 수납부(1420)에는 낚싯바늘 정렬슬롯(1420a)을 따라 끼워진 낚싯바늘(14)이 엉킴없이 일률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봉상의 낚싯바늘 거치부재(144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낚싯바늘(14)의 투승 시에는 원줄(11)이 투승방향으로 견인됨에 따라 상기 원줄(11)에 연결된 다수의 낚싯바늘(14)이 낚싯바늘 거치부재(1440)를 따라 활주하며 앞쪽에서부터 하나씩 순차적으로 투승된다. 이때, 상기 낚싯바늘(14)이 투승될 때에는 부구(15)도 부구연결줄(13)에 의해 원줄(1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구(15)도 원줄(11) 및 낚싯바늘(14)도 함께 투승되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도 7a는 도 3의 미끼 후킹부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의 부착 위치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센서의 부착 위치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상기 미끼 후킹부(1500)는, 상기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1400)를 통해 이송되는 낚싯바늘(14)의 이송 경로를 절단된 미끼(CB, Cutted bait)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이송 중인 낚싯바늘(14)에 절단된 미끼(CB)가 꿰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면, 상기 미끼 후킹부(1500)는, 상기 미끼 절단부(1300)를 기준으로 미끼 이송 방향을 따라 미끼 이송부(1200)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미끼 안착대(1510); 및 상기 미끼 안착대(1510)로 이송된 미끼(B)가 미끼 절단부(1300)에 의해 절단된 후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1400)를 통해 이송되는 낚싯바늘(14)의 이송 경로를 절단된 미끼(CB)쪽으로 유도하고, 상기 이송 중인 낚싯바늘(14)에 절단된 미끼(CB)가 걸림되면서 하나씩 꿰어지도록 하는 가이드 채널부재(1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끼 안착대(1510)는 가이드 플레이트(1210)와 마찬가지로 미끼(B)가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수직단면이 “V”자 형태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끼 안착대(1510)에는 미끼(B)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153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채널부재(1520)의 일측에는 낚싯바늘(14)이 통과될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15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센서(1530)는 광센서 또는 근접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미끼 안착대(1510)에 미끼(B)가 안착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2 센서(1540)도 광센서 또는 근접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가이드 채널부재(1520)의 가이드 채널(1521)에 낚싯바늘(14)이 통과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 투승장치(1000)는 상기 제1 센서(1530) 및 제2 센서(1540)에 의해 미끼(B)와 낚싯바늘(14)이 일대일로 감지되면서 모든 낚싯바늘(14)에 미끼(B)가 하나씩 끼워질 수 있도록 모니터링된다. 이에 따라 종래 살펴본 문제점으로서, 모든 낚싯바늘(14)에 미끼(B)가 끼워지지 않고 투승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등 모니터링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미끼(B)없이 빈 낚싯바늘(14)이 투승됨이 방지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00 : (본 발명의)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1100 : 지지프레임
1200 : 미끼 이송부
1210 : 가이드 플레이트
1220 : 체인
1230, 1240 : 모터, 스프로킷
1300 : 미끼 절단부
1310 : 회전 칼날
1320 : 모터
1330 : 수직 이송수단
1400 :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
1410 : 본체 프레임
1420 : 낚싯바늘 수납부
1430 : 부구 수납부
1440 : 낚싯바늘 거치부재
1500 : 미끼 후킹부
1510 : 미끼 안착대
1520 : 가이드 채널부재
1530, 1540 : 제1 센서, 제2 센서
B, CB : 미끼, 절단된 미끼

Claims (9)

  1.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안착되어 미끼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미끼 이송부;
    상기 미끼 이송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미끼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미끼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미끼 절단부;
    상기 미끼 절단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미끼 절단부 방향으로 낚싯바늘 및 부구를 이송하는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 및
    상기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낚싯바늘의 이송 경로를 절단된 미끼쪽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이송 중인 낚싯바늘에 절단된 미끼가 꿰어지도록 하는 미끼 후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끼 이송부는,
    미끼가 안착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고리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방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미끼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을 통해 상단 일부가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회전 시 상기 노출된 상단 일부가 미끼와 직접 접촉됨에 의해 미끼를 일방향으로 견인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양단에 구비되어 체인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모터 및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외주면에는 미끼의 표면에 일정 깊이로 박히면서 미끼를 미끄러지지 않게 견인하기 위한 가시 형상의 돌기가 더 구비되는,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절단부는,
    미끼 이송부의 일단의 상방에 배치되는 회전 칼날;
    상기 회전 칼날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 칼날을 미끼 절단을 위해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수직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송수단은,
    상기 회전 칼날과 모터가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승하강 이동이 가이드되는 선형 가이드유닛; 및
    상기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실린더유닛;을 포함하는,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는,
    미끼 절단부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일측면이 폐쇄됨과 함께 타측면은 개방되고, 내부 공간부는 이분할된 구조를 갖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일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낚싯바늘이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낚싯바늘 정렬슬롯이 형성되는 낚싯바늘 수납부;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이분할된 내부 공간부 중 타측 공간부에 형성되어 본체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면으로부터 폐쇄된 일측면까지 부구가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부구 연결줄 정렬슬롯이 형성되는 부구 수납부;를 포함하는,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바늘 수납부에는 낚싯바늘 정렬슬롯을 따라 끼워진 낚싯바늘이 거치될 수 있도록 낚싯바늘 거치턱이 더 형성되는,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후킹부는,
    상기 미끼 절단부를 기준으로 미끼 이송 방향을 따라 미끼 이송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미끼 안착대; 및
    상기 미끼 안착대로 이송된 미끼가 미끼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후 낚싯바늘 및 부구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낚싯바늘의 이송 경로를 절단된 미끼쪽으로 유도하고, 상기 이송 중인 낚싯바늘에 절단된 미끼가 걸림되면서 하나씩 꿰어지도록 하는 가이드 채널부재;를 포함하는,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안착대에는 미끼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센서; 및 상기 가이드 채널부재의 일측에는 낚싯바늘이 통과될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가 더 구비되는,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KR1020230111373A 2023-08-24 2023-08-24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KR102650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373A KR102650812B1 (ko) 2023-08-24 2023-08-24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373A KR102650812B1 (ko) 2023-08-24 2023-08-24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812B1 true KR102650812B1 (ko) 2024-03-25

Family

ID=9047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1373A KR102650812B1 (ko) 2023-08-24 2023-08-24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81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3632A (en) * 1974-04-25 1975-09-09 Marine Constr & Design Co Long line hauling and reel storage system
US4354323A (en) * 1979-12-03 1982-10-19 Huff Warren P Long fishing line apparatus with movable multiple skate racks, a two position main hauler and a slack taker, and a water agitated automatic baiter
KR930003814A (ko) * 1991-08-26 1993-03-22 이춘우 자동낚시 분리장치와 소프트웨어서보 기구에 의한 자동 투승기를 갖춘 자동연승기
KR950009175U (ko) * 1993-09-01 1995-04-19 김용호 전자식 금고
KR20060082001A (ko) * 2005-01-11 2006-07-14 박명오 주낙용 투승장치
KR101691332B1 (ko) 2016-07-28 2016-12-29 심흥길 주낙채비 양승기
KR101957862B1 (ko) * 2018-07-31 2019-03-14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 투척기
KR102530401B1 (ko) * 2022-10-27 2023-05-10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3632A (en) * 1974-04-25 1975-09-09 Marine Constr & Design Co Long line hauling and reel storage system
US4354323A (en) * 1979-12-03 1982-10-19 Huff Warren P Long fishing line apparatus with movable multiple skate racks, a two position main hauler and a slack taker, and a water agitated automatic baiter
KR930003814A (ko) * 1991-08-26 1993-03-22 이춘우 자동낚시 분리장치와 소프트웨어서보 기구에 의한 자동 투승기를 갖춘 자동연승기
KR950009175U (ko) * 1993-09-01 1995-04-19 김용호 전자식 금고
KR20060082001A (ko) * 2005-01-11 2006-07-14 박명오 주낙용 투승장치
KR101691332B1 (ko) 2016-07-28 2016-12-29 심흥길 주낙채비 양승기
KR101957862B1 (ko) * 2018-07-31 2019-03-14 모어네트 코리아 주식회사 주낙 투척기
KR102530401B1 (ko) * 2022-10-27 2023-05-10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6547B (zh) 牡蛎养殖设备和方法
US4354323A (en) Long fishing line apparatus with movable multiple skate racks, a two position main hauler and a slack taker, and a water agitated automatic baiter
CA231784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target and non-target species harvested from waterbodies
US8656632B1 (en) Outrigger line management system
NO334669B1 (no) Flyteelement og framgangsmåte for å tildanne et oppdriftssystem
CA1314444C (en) Apparatus and method of fishing for swimming fish
KR101817900B1 (ko) 갈치 끌낚시용 투승기
US7870836B2 (en) Device for raising, transportation and releasing crustacea juveniles and use of the device
KR102650812B1 (ko)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US20010029694A1 (en) Fish trap habitat system
KR102530401B1 (ko) 갈치 주낙용 자동 양승장치
ES2586854T3 (es) Protector de pesca
US8230814B2 (en) Mechanized collector of juvenile lobsters
US3722126A (en) Marine hauling apparatus
JP6840484B2 (ja) 給餌装置、養殖装置および給餌方法
US3707799A (en) Fish net retrieval apparatus
KR101306285B1 (ko) 치어 틀을 이용한 어패류의 부화 및 생육장치
KR102520328B1 (ko) 주낙용 양승기의 매거진 장치
Backman et al. Comparison of three techniques for the capture and transport of impounded subyearling American shad
NO343056B1 (no) Rensefiskskjul
CN108712861A (zh) 养鱼围栏的浮力系统
Durkin et al. A purse seine for sampling juvenile salmonids
Hunter et al. Design and use of a miniature purse seine
JPH05130822A (ja) 延縄の餌取付方法及び装置
NZ199839A (en) Fishing on continuously circulating looped long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