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092B1 -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092B1
KR102520092B1 KR1020220016164A KR20220016164A KR102520092B1 KR 102520092 B1 KR102520092 B1 KR 102520092B1 KR 1020220016164 A KR1020220016164 A KR 1020220016164A KR 20220016164 A KR20220016164 A KR 20220016164A KR 102520092 B1 KR102520092 B1 KR 102520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ridge
plate panel
flange
monito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대열
Original Assignee
(주)재성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성기술단 filed Critical (주)재성기술단
Priority to KR102022001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으로서, 교량이 선정되는 단계; 및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용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은, 모니터링설비에 의하여 상기 교량 주변상황 및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에 대한 감시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설치 또는 운용되며,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은, 교량(9)의 틈새(예를 들어 교량의 익스펜션 조인트)에 잔류물을 제거하는 제거장치로서, 틈새에 가로로 걸쳐 설치된 마운틴 플레이트(8)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틴 플레이트(8)은 지지대(81)의 하단과 고정연결 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단은 구동모터(82)와 고정연결 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 슬리브(820)와 구동연결 되는,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Operating method for the bridge gap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토목 안전진단 기술 분야 중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태관리와 안전상태 관리를 위하여 틈새 잔류물 클린징을 수행하며, 설치 운용 상황을 종합적으로 모니터관리 하여 안전관리와 작업관리와 주변상황관리 등을 수행하고 주변의 다수 대상물을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모니터하는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팽창 또는 냉수축을 대비하여 사용되는 교량의 익스펜션 조인트 등이 존재한다. 교량의 표면 공사 시공과정에서 이런 틈새에는 많은 잔류물들이 축적될 가능성이 많다. 또한 교량 완공 후 사용과정에서 차량의 주행 등 요인으로 이런 틈새에 많은 오물이 축적되는 문제가 발행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으로 청소를 통해 교량 틈새의 잔류물과 오물을 제거하나, 생산성이 낮고 안전성이 떨어지고 또한 특수 부위 및 특수 강도의 잔류물 또는 오물은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캐스터를 구비한 교량 틈새 잔류물 클린징 장치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또한 시스템의 준비,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관리수단이 갖춰져 시스템에 대한 안정적 취급을 위한 실시간 감시와 대응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을 통해 시스템은 물론 이러한 시스템에 주변현장에 관련된 인원, 비인가 인원 등의 관리와 통제를 가능케 하여 시스템 품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항 상황을 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시공현장 주변에 시스템과 함께 설치되는 부수적인 별도의 시공보조물(예: 자재 이송수단, 위치이동수단, 운송차량, 작업자 냉난방용기 등)에 대해서도 함께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이 최소한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으로서, 교량이 선정되는 단계; 및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용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은, 모니터링설비에 의하여 상기 교량 주변상황 및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에 대한 감시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설치 또는 운용되며,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은, 교량(9)의 틈새(예를 들어 교량의 익스펜션 조인트)에 잔류물을 제거하는 제거장치로서, 틈새에 가로로 걸쳐 설치된 마운틴 플레이트(8)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틴 플레이트(8)은 지지대(81)의 하단과 고정연결 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단은 구동모터(82)와 고정연결 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 슬리브(820)와 구동연결 되는,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스터를 구비한 교량 틈새 잔류물 클린징 장치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준비, 설치 운영 등에 대한 관리수단이 갖춰져 시스템에 대한 안정적 취급을 위한 실시간 감시와 대응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을 통해 시스템은 물론 이러한 시스템에 주변현장에 관련된 인원, 비인가 인원 등의 관리와 통제를 가능케 하여 시스템 품질에 영향을 주는 다양항 상황을 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공현장 주변에 시스템과 함께 설치되는 부수적인 별도의 시공보조물(예: 자재 이송수단, 위치이동수단, 운송차량, 작업자 냉난방용기 등)에 대해서도 함께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이 최소한도로 구비되어 다수의 대상물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리수단의 동작 전환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하와 딜레이를 억제하고 외부 환경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통해 설치 운용상태를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를 구비한 교량 틈새 잔류물 클린징 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1의 회전 바 구동용 슬리브 위치의 캐스터를 구비한 교량 틈새 잔류물 클린징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1의 클린징 집행 회전 바의 중간에 위치에 형성된 베어링 마운팅 부재에 위치의 캐스터를 구비한 교량 틈새 잔류물 클린징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스터를 구비한 교량 틈새 잔류물 클린징 장치는, 교량(9)의 틈새(예를 들어 교량의 익스펜션 조인트)에 잔류물을 제거하며,틈새에 가로로 걸쳐 설치된 마운틴 플레이트(8)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틴 플레이트(8)는 지지대(81)의 하단과 고정연결 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단은 구동모터(82)와 고정연결 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 슬리브(820)와 구동연결 되며, 상기 구동 슬리브(820)의 외부 표면은 스플라인 연동을 통해 슬라이딩 슬리브(7)의 내부홀 상부와 슬라이딩으로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7)의 내부홀의 하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스플라인 투스(71)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7)의 내부홀은 상기 스플라인 투스(71) 의 상부에는 캐비티부(70)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의 외표면에는 외부 스플라인(72)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7)가 상기 구동 슬리브(820)와 비교하여 낮은 위치에 슬라이딩될 경우, 상기 외부 스플라인(72)은 회전되도록 상기 지지대(81)의 중공부에 장착된 승강구동 슬리브(83)의 상단의 스플라인 내부홀과 결합된다.
상기 승강구동 슬리브(83)의 내부홀에서 상기 상단에 위치한 스플라인 내부홀의 하단에는 나사산 내부홀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 내부홀은 나사산 배합(863)을 통해 승강 링(86)의 외측면의 나사산과 연결이 되며, 상기 승강 링(86)의 내부홀은 베어링을 통해 클린징 집행 바(84)의 중부의 베어링 장착 부재(841)와 연결된다.
상기 승강 링(86)의 링 형 본체에는 두 개의 가이드 홀이 설치되어 두 개의 가이드 바(85)와 각각 슬라이드로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가이드 바(85)의 하단은 상기 받침판(8)의 상측면과 고정연결 되며, 상단은 회전 바 구동용 슬리브 장착판(850)과 고정연결되며, 상기 슬리브 장착판(850)은 베어링을 통해 회전 바 구동용 슬리브(6)의 하단과 연결이 된다.
상기 회전 바 구동용 슬리브(6)의 상단에는 원심과 멀어지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스플라인 부(61)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7)가 상기 구동 슬리브(820)와 비교하여 낮은 위치에 슬라이딩될 경우, 상기 돌출된 스플라인 부(61)는 상기 캐비티부(7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7)와 이탈되며,상기 슬라이딩 슬리브(7)가 상기 구동 슬리브(820)와 비교하여 높은 위치에 슬라이딩될 경우, 상기 돌출된 스플라인 부(61)는 상기 스플라인 투스(71)와 접합된다.
상기 회전 바 구동용 슬리브(6)의 내부홀에는 스플라인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클린징 집행 바(84)의 상부에 위치한 샤프트 부분(842)과 슬라이딩으로 결합된다.
상기 클린징 집행 바(84)의 하단은 연결 바(843)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8) 중부의 홀(80)을 관통하여 상기 클린징 집행헤더(840)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82)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 슬리브(820) 및 상기 회전 바 구동 슬리브(6)의 내부홀과 같이 상기 클린징 집행 바(84)가 승강 시 통과하도록 통로(8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8)의 밑부분에는 캐스터(1)가 설치되며, 상기 캐스터(1)는 상기 받침판(8)에 설치된 홀더(2)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홀더(2)의 우측에는 캐스터(1) 고정용 고정홀더(3)가 설치된다.
상기 캐스터(1)는 상기 받침판(8)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클린징 집행 헤더(840)의 위치에 따라 클린징 작업을 용이하게 진해할 수 있도록 교량(9)과 접촉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7)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된 슬리브 승강 구동장치(71)와 결합된 제2소켓승강구동장치(72)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캐스터를 구비한 교량 틈새 잔류물 클린징 장치의 사용방법은, 받침판(8)을 틈새에 가로로 걸쳐 클린징 집행 헤더(840)가 클린징 진행할 틈새 벽에 가까이 하도록 하는 단계; 슬라이딩 슬리브(7)를 구동 슬리브(820)과 비교하여 낮은 위치로 슬라이딩하여 구동모터를 통해 클린징 집행 바(84)를 하강시키므로 클린징 집행 헤더(840)가 잔류물 위치까지 하강하는 단계; 슬라이딩 슬리브(7)를 구동 슬리브(820)와 비교하여 높은 위치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클린징 집행 바(84)를 구동시켜 회전시키므로 상기 클린징 집행 헤더(840)가 회전되어 클린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따르면, 캐스터를 구비한 교량 틈새 잔류물 클린징 장치는 승강 가능한 클린징 집행 바와 클린징 헤더가 구비되어 틈새 내부 다른 높이에 위치한 오물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 및 그의 하부중심 위치에 통로형성용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집행 바가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의 높이를 최대한도로 낮추어 장치의 비용을 감축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승강 및 회건 가능한 슬리브를 통해 승강 및 회전 두 개의 기능을 하나의 구동모터로 구현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나사선 슬리브 밑부분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며, 링형 블록의 가이드 기능과 회전 바 구동 슬리브의 지지 기능을 제공하는 가이드 바를 통해, 전체 장치의 운행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전체 구조를 더욱 타이트하게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으로서, 교량이 선정되는 단계; 및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용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은 모니터링설비에 의하여 상기 교량 주변상황 및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에 대한 감시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설치 또는 운용된다.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은 교량(9)의 틈새(예를 들어 교량의 익스펜션 조인트)에 잔류물을 제거하는 제거장치로서, 틈새에 가로로 걸쳐 설치된 마운틴 플레이트(8)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틴 플레이트(8)은 지지대(81)의 하단과 고정연결 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단은 구동모터(82)와 고정연결 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 슬리브(820)와 구동연결 된다.
상기 모니터링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한다.
상기 촬영모듈(25')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한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킨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모듈(71')은 제1상방연결대와, 상기 제1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결모듈은 제2하방연결대와, 상기 제2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2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3연결모듈은 제3상방연결대와, 상기 제3상방연결대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3자력고정체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4연결모듈은 제4하방연결대와, 상기 제4하방연결대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4자력고정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자력고정체 내지 상기 제4자력고정체는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의 회전상태 혹은 무회전상태에서 자력흡착방식으로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1차 고정시킨다.
상기 제1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1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2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2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3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3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4자력고정체는 내부에서 외부로 제4연동체가 출몰되며, 상기 제1연동체 내지 상기 제4연동체는 각기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내부로 삽입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2차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1간격유지모듈과,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구동모듈(21')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제2간격유지모듈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몸체(81')와, 상기 제1상방몸체(81') 상부로 설치되는 제1상방구동체(82')와, 제1상방구동체(82')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에 접하는 제1접촉체(83')와, 제1상방구동체(82')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2접촉체(84')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간격유지모듈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몸체(91')와, 상기 제2상방몸체(91') 상부로 설치되는 제2상방구동(92')체와, 제2상방구동(92')체의 일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에 접하는 제3접촉체(94')와, 제2상방구동(92')체의 타측으로 출몰되어 상기 구동모듈(21')에 접하는 제4접촉체(9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1접촉체(83') 내지 상기 제2접촉체(84')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1상방구동체(82')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되면,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이 상기 구동모듈(21')에 각각 접하여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의 완충을 수행하되, 상기 제3접촉체(94') 내지 상기 제4접촉체(95')는, 충격의 완충을 위하여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의 상기 구동모듈(21') 측으로 위치이동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제2상방구동(92')체 내부로 일정범위 유동된다.
아울러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은, 상기 구동모듈(21')로부터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되는 경우, 상기 제1상방구동체(82')와 상기 제2상방구동(92')체의 회전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격을 위한 위치이동이 가속되도록 보조한다.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은,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외측으로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취급유닛(50')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외측으로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고정, 온도조절을 포함하는 취급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취급유닛(6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1패널부(51')와, 상기 제1패널부(5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1배터리모듈(53')이 구비되는 제1가동몸체(52')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에 접촉하며 상기 제1배터리모듈(53')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로 공급하는 제1하부접속체(5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취급유닛(6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상에서 상부로 설치되는 제2패널부(61')와, 상기 제2패널부(61')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하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제2배터리모듈이 구비되는 제2가동몸체(62')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전면부로 설치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에 접촉하며 상기 제2배터리모듈의 전력을 비상용으로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로 공급하는 제2하부접속체(6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취급유닛(50')은 상기 제1가동몸체(5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유체취급부(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취급유닛(60')의 상기 제2가동몸체(62')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을 향하여 히팅 혹은 냉각을 위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유체취급부(6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유체취급부(56')와 상기 제2유체취급부(66')는 각기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측에 접하여 흡기모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사이드촬영모듈(34’)과 상기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1상부접속체(54')와 상기 제1하부접속체(5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을 눌러 고정시킨다.
상기 제2상부접속체(64’)와 상기 제2하부접속체(65’)는 상호 이격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을 눌러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캐스터 2: 홀더
3: 고정 집게 6: 회전 바 구동용 슬리브
7: 슬라이딩 슬리브 8: 마운틴 플레이트
9: 교량 61: 돌출된 스플라인 부
70: 캐비티부 71: 스플라인 투스

Claims (2)

  1.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으로서,
    교량이 선정되는 단계; 및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은,
    모니터링설비에 의하여 상기 교량 주변상황 및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에 대한 감시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설치 또는 운용되며,
    상기 교량의 틈새관리 시스템은,
    교량(9)의 틈새에 잔류물을 제거하는 제거장치로서, 틈새에 가로로 걸쳐 설치된 마운틴 플레이트(8)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틴 플레이트(8)은 지지대(81)의 하단과 고정연결 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단은 구동모터(82)와 고정연결 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 슬리브(820)와 구동연결 되는,
    상기 모니터링설비는,
    현장에 위치되는 하방몸체유닛(1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방식으로 주변을 촬영하는 중앙감시유닛(20');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일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1사이드감시유닛(30'); 및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좌우 위치이동되고, 상기 중앙감시유닛(20') 타측에 구비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감시유닛(2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설치되는 구동모듈(21')과, 상기 구동모듈(21')의 상부로 설치되는 연결봉모듈(22')과, 상기 연결봉모듈(22')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패널모듈(23')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촬영모듈(24')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둘레부를 따라 상기 촬영모듈(24')들 사이에 배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모듈(25')을 포함하되,
    상기 촬영모듈(24')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상기 구동모듈(21')이 제공하는 구동력을 상기 연결봉모듈(22')을 매개로 전달받아 회전되는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타측과 연동되어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을 고정시키거나,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이 회전되는 상태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구동모듈(31’)과, 상기 제1사이드구동모듈(31’) 상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플랜지모듈(33')과, 상기 제1플랜지모듈(3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 사이에 구비되는 제1사이드촬영모듈(3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은,
    상기 하방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구동모듈(41’)과, 상기 제2사이드구동모듈(41’) 상부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2플랜지모듈(33')과, 상부로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4플랜지모듈(43')과, 상기 제3플랜지모듈(42')과 상기 제4플랜지모듈(43')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드촬영모듈(4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사이드감시유닛(30')의 상기 제1플랜지모듈(32')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1연결모듈(71')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2연결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사이드감시유닛(40')의 상기 제2플랜지모듈(33')은,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하부로 접촉되는 제3연결모듈과, 상기 플레이트패널모듈(23') 상부로 접촉되는 제4연결모듈이 구비되는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
  2. 삭제
KR1020220016164A 2022-02-08 2022-02-08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 KR102520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164A KR102520092B1 (ko) 2022-02-08 2022-02-08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164A KR102520092B1 (ko) 2022-02-08 2022-02-08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092B1 true KR102520092B1 (ko) 2023-04-11

Family

ID=8597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164A KR102520092B1 (ko) 2022-02-08 2022-02-08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0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452A (ko) * 2015-02-12 2016-08-22 성저우 더칭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캐스터를 구비한 교량 틈새 잔류물 클린징 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2154984B1 (ko) * 2019-12-27 2020-09-14 (주)지오투정보기술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의 위치변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20210097367A (ko) * 2020-01-30 2021-08-09 한국도로공사 교량의 시계열 신축변위를 이용한 교량상태 모니터링방법
KR102300163B1 (ko) * 2021-03-03 2021-09-1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드론을 활용한 송배전선로 전력설비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452A (ko) * 2015-02-12 2016-08-22 성저우 더칭 머시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캐스터를 구비한 교량 틈새 잔류물 클린징 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2154984B1 (ko) * 2019-12-27 2020-09-14 (주)지오투정보기술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의 위치변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20210097367A (ko) * 2020-01-30 2021-08-09 한국도로공사 교량의 시계열 신축변위를 이용한 교량상태 모니터링방법
KR102300163B1 (ko) * 2021-03-03 2021-09-10 주식회사 엠피코씨엠 드론을 활용한 송배전선로 전력설비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043B1 (ko) 캐스터를 구비한 교량 틈새 잔류물 클린징 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1543791B1 (ko) 인시튜 비히클 시스템
KR101268765B1 (ko) 컨테이너용 금형 교환 장치
KR102520092B1 (ko) 교량의 붕괴 방지를 위한 틈새관리 안전진단 시스템 운용방법
CN110768159B (zh) 一种特高压输电线路巡视辅助检修机器人及方法
CN110714794B (zh) 一种煤矿钻孔机械用支撑平台装置
JP2006052733A (ja) タービンシェルのジャッキ受けポケット
KR20180119530A (ko) 원심주조기의 금형 클램핑장치
HU209608B (en) Apparatus of connecting blowing lance with switch unit
KR102155842B1 (ko) 원심주조기의 금형 클램핑 자동화 장치
JP2015206759A (ja) 原子炉圧力容器を開放する方法
CN214062430U (zh) 吊式微型拆砖机
CN215757616U (zh) 变位机构及激光熔覆装置
CN210209169U (zh) 一种油箱门焊枪专用夹具
CN112894770A (zh) 一种应用于核环境的双臂机器人
CN114055492A (zh) 一次侧堵板多自由度拆装机器人及方法
CN108591290B (zh) 一种动力传动装置和拆装方法
US10750582B2 (en) Electrode removal device and vehicl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4288335B2 (ja) 煙突内筒解体機
CN214618663U (zh) 一种基于ZigBee和LoRa的仓库物品监控设备
CN113927580B (zh) 一种工业设计机器人与工作站之间的定位装置与定位方法
CN219045646U (zh) 一种摄像轨道机器人系统及其摄像轨道装置
CN110026674B (zh) 用于点焊机器人的摩擦焊装置
CN220265064U (zh) 一种用于半导体设备的吊装装置
CN220421273U (zh) 一种移动式跨线巡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