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940B1 -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940B1
KR102519940B1 KR1020180017927A KR20180017927A KR102519940B1 KR 102519940 B1 KR102519940 B1 KR 102519940B1 KR 1020180017927 A KR1020180017927 A KR 1020180017927A KR 20180017927 A KR20180017927 A KR 20180017927A KR 102519940 B1 KR102519940 B1 KR 102519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layer
light
optical memb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914A (ko
Inventor
이명원
김덕겸
지근왕
홍영균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9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필터의 착색층 상에 집광용 광학 부재를 형성하고, 블랙 매트릭스 상에 반사체를 형성하여 휘도 및 색재현율을 개선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Color Filt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소통되는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미래에는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이 창출될 것이며, 그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매개체인 노트북, 전자수첩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장치의 역할이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정보 표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때와 장소에서 정보를 바로 접할 수 있도록 표시 장치의 휴대성이 요구됨과 동시에, 각종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대화면 특성도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성 및 대화면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평판 표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평판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는 액정 표시 장치(LCD) 및 유기발광 표시 장치(OLED)를 들 수 있다.
OLED는 기존의 LCD에 비하여 매우 가볍고 얇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색재현 범위가 넓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높은 명암비를 갖는 등의 장점이 있으며, 유연성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 데에도 가장 적합한 표시 장치로서 현재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OLED 표시 장치는 색상별 자발광 재료를 사용하지만 표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컬러필터를 함께 사용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96029호에서는 콘트라스트를 개선시키기 위한 컬러 필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컬러필터는 블랙 매트릭스로 구분된 적색, 녹색, 청색의 착색 영역을 포함하며 이를 통과한 빛을 조합하여 색상을 표현하는데, 착색 영역을 구성하는 착색제로 염료나 안료를 이용하고 있다. 컬러필터용 착색 수지 조성물의 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5481호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색을 표현하기 위하여 염료나 안료를 이용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광원의 투과 효율을 저하시키고, 투과 효율의 저하는 결과적으로 표시장치의 휘도와 색재현성을 낮추게 되어 고품질의 화면 구현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960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5481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컬러필터와 표시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휘도와 색재현성이 우수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부의 블랙매트릭스; 상기 블랙매트릭스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착색층; 상기 착색층 상부의 집광용 광학 부재; 및 상기 블랙매트릭스 상부의 반사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집광용 광학 부재는 볼록 렌즈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집광용 광학 부재의 굴절률은 상기 착색층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집광용 광학 부재는 굴절률이 1.5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집광용 광학 부재의 높이는 1um 이상 5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집광용 광학 부재의 단면적은 상기 착색층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반사체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컬러필터; 상기 컬러필터와 대향하는 OLED 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와 상기 OLED 기판 사이의 투명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투명 접착층의 굴절률은 상기 집광용 광학 부재의 굴절률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투명 접착층의 두께는 3um 이상 15u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의하면, 착색층 상부에 형성된 집광용 광학 부재에 의해 유기발광 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빛의 집광 효율을 높이고 블랙매트릭스 상에 형성된 반사체에 의해 확산되는 측면 광손실을 재활용할 수 있어 표시 장치의 휘도가 향상되고 색재현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컬러필터의 휘도 개선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들은 도면 상에서 과장되게 표현되거나, 축소 또는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컬러필터의 착색층 상에 집광용 광학 부재를 형성하고 컬러필터의 블랙매트릭스 상에 반사체를 형성하여 휘도 및 색재현성을 개선할 수 있는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OLED 기판(100), 컬러필터(200) 및 OLED 기판(100)과 컬러필터(200) 사이의 접착층(300)을 포함한다.
컬러필터(200)에는 기재 상에 블랙매트릭스(210) 및 착색층(220)이 형성되어 있고, 블랙매트릭스(210) 및 착색층(220) 상에는 각각 반사체(230) 및 집광용 광학 부재(240)가 형성되어 있다.
블랙매트릭스(210)는 화소 영역을 제외한 부분의 빛을 차단하고 각 화소 영역의 경계에서 혼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차광층이며, 따라서 블랙매트릭스(210)는 불투명 물질로 형성되고, 화소 영역을 둘러싸도록 패터닝되어 있다.
착색층(220)은 컬러 디스플레이용 색 구현을 위한 층으로, 블랙매트릭스(210) 패턴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 내에 형성되며, 통상적으로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영역을 포함한다.
그러나, 착색층(220)이 적색, 녹색, 청색을 모두 포함하여야 하거나 적색, 녹색, 청색만을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표시장치의 색상 표현 방식에 따라 이 중 임의의 일부 색상만이 포함되거나 백색(White) 등과 같은 다른 색상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블랙매트릭스(210) 및 착색층(220)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고분자 수지, 중합성 유기 화합물 등을 포함하여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재료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착색층(220) 상에는 집광용 광학 부재(240)가 형성된다.
집광용 광학 부재(240)는 OLED 기판(100)의 각 유기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산란되는 광을 집광하여 더 많은 광이 착색층(220)을 통과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통해 표시 장치의 휘도 및 색재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집광용 광학 부재(240)는 볼록 렌즈 형상으로 형성되며, 착색층(22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집광용 광학 부재(240)의 단면적이 착색층(220)의 단면적보다 넓어 착색층(220)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집광용 광학 부재(240)는 굴절률이 1.51 이상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집광용 광학 부재(240)의 굴절률은 착색층(220)의 굴절률에 비해서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집광용 광학 부재(240)는 투명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1um 내지 5u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210) 상에는 금속 재질의 반사체(230)가 형성된다.
반사체(230)로는, 구체적으로, 은, 니켈, 구리 등의 금속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사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다른 금속 재료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반사체(230)는 OLED 기판(100)의 각 유기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산란되는 광이 집광용 광학 부재(240)로 입사하지 않고 집광용 광학 부재(240) 사이로 확산될 때, 이 광을 반사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해주며,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휘도가 개선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210) 및 착색층(220)이 배치되는 기재로는 박형 유리 기판 또는 유연성 필름 기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투명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필름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이 우수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투명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점에서 1 내지 500㎛ 정도이며, 1 내지 300㎛가 바람직하고, 5 내지 2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명필름은 적절한 1종 이상의 첨가제가 함유된 것일 수도 있다. 첨가제로는, 예컨대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방지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은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가스배리어층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층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으며, 기능성층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투명필름은 표면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처리로는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의 건식 처리, 검화 처리를 포함하는 알칼리 처리 등의 화학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210) 및 착색층(220)은 기재 상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고, 캐리어 기판을 사용하여 형성한 후 유연성 기재를 부착하는 전사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사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할 경우, 기재 상에는 블랙매트릭스(210) 및 착색층(220)과의 사이에 공정 중에 사용한 캐리어 기판과의 박리를 위한 분리층(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으며, 분리층과 블랙매트릭스(210) 및 착색층(220)과의 사이에 분리층의 보호를 위한 보호층(도시하지 않음)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일정 수준의 박리력과 투명성을 제공하는 조건을 충족시키면 분리층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분리층은 폴리이미드(polyimide)계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계 고분자, 폴리아믹산(polyamic acid)계 고분자, 폴리아미드(polyamide)계 고분자,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고분자, 폴리스타일렌(polystylene)계 고분자,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계 고분자,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phenylmaleimide copolymer)계 고분자, 폴리아조벤젠(polyazobenzene)계 고분자,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polyphenylenephthalamide)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고분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계 고분자,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계 고분자, 신나메이트(cinnamate)계 고분자, 쿠마린(coumarin)계 고분자, 프탈리미딘(phthalimidine)계 고분자, 칼콘(chalcone)계 고분자, 방향족 아세틸렌계(aromatic acetylene) 고분자 등의 고분자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분리층의 박리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0.01N/25mm 이상 1N/25mm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N/25mm 이상 0.1N/25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컬러필터 일체형 유연성 터치센서의 제조공정에서,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잔여물 없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으며, 박리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한 컬(curl) 및 크랙(crack)을 저감할 수 있다.
분리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10 내지 1,000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박리력이 안정하고, 균일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은 상기 분리층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 분리층 위에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이다.
보호층은 본 발명의 컬러필터를 제조하는 공정 중에 분리층이 컬러필터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컬러필터용 포토레지스트의 용매 등과 같은 공정용 화학물질이나 현상액, 공정간 발생하는 세정액 등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층의 소재로는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고분자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기 절연막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올(polyol) 및 멜라민(melamine)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올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폴리에테르 글리콜(polyether glycol) 유도체, 폴리에스테르 글리콜(polyester glycol) 유도체, 폴리카프로락톤 글리콜(polycaprolactone glycol)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멜라민 경화제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메톡시 메틸 멜라민(methoxy methyl melamine) 유도체, 메틸 멜라민(methyl melamine) 유도체, 부틸 멜라민(butyl melamine) 유도체, 이소부톡시 멜라민(isobutoxy melamine) 유도체 및 부톡시 멜라민(butoxy melamine)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보호층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기 화합물과 무기 화합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박리시 발생하는 크랙을 저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유기 화합물로는 전술한 성분이 사용될 수 있고, 무기물로는 실리카계 나노 입자, 실리콘계 나노 입자, 유리 나노 섬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LED 기판(100)은 기판 상에 유기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 것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그 구체적인 사항을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OLED 기판(100)의 각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그 단면적이 컬러필터(200)의 착색층(220)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이 집광 효율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OLED 기판(100)과 컬러필터(200)는 접착층(300)을 통해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접착층(300)은 광학 투명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접착층(300)으로 사용 가능한 접착제는 광경화형 접착제이며 광경화 후 별도의 건조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경화형 접착제로는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광경화형 접착제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폭시 화합물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의 광경화에 있어서, 원자외선, 자외선, 근자외선, 적외선 등의 광선, X선, γ선 등의 전자파 외에, 전자선, 프로톤선, 중성자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경화 속도, 조사 장치의 입수의 용이성, 가격 등으로부터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가 유리하다.
자외선 조사를 행할 때의 광원으로서는, 고압 수은등, 무전극 램프,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 램프, 제논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접착층(300)의 두께는 3um 내지 15um 일 수 있으며, 접착층(300)의 굴절률은 집광용 광학 부재(240)의 굴절률에 비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휘도와 색재현성이 개선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OLED 기판(100)의 유기발광 다이오드(예를 들면, 맨 왼쪽의 B로 표시된 유기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그 상부의 착색층(220)(맨 왼쪽의 B로 표시된 착색층) 상에 형성된 집광용 광학 부재(240)를 통해 착색층(220)으로 입사하며 이에 따라 집광용 광학 부재(240)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더 많은 양의 빛이 착색층(220)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집광용 광학 부재(240) 외부로 향하는 빛은 블랙매트릭스(210) 상에 형성된 반사체(230)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OLED 기판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반복하여, 그 상부의 착색층(220)이 아닌 다른 착색층(220)(예를 들면, 맨 오른쪽의 B로 표시된 착색층)으로 입사하여 이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집광 효율이 높아질 뿐 아니라 확산되는 측면 광손실을 재활용할 수 있어 휘도가 향상되고 색재현성이 개선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비교예
먼저 다양한 굴절률을 갖는 재료로 집광용 광학 부재를 형성하고 이에 따른 휘도 및 색재현율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접착층의 굴절률은 1.50이었으며, 접착층의 두께는 15um이었다.
굴절률 휘도( % ) 색재현율 ( % )
실시예 1 1.52 101.1 103.6
실시예 2 1.55 102.7 104.4
비교예 1 광학부재 없음 100 98.3
비교예 2 1.48 95.6 102.4
비교예 3 1.50 98.4 102.8
표 1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각각 굴절률이 1.52 및 1.55인 재료로 집광용 광학 부재를 형성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휘도가 101.1 및 102.7이고, 색재현율이 103.6 및 104.4로서 집광용 광학 부재가 없는 비교예 1에 비해 휘도 및 색재현율 양자가 모두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굴절률이 1,48 및 1.50인 재료로 집광용 광학 부재를 형성한 비교예 2 및 4의 경우, 휘도는 집광용 광학 부재가 없는 비교예 1에 비해서도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색재현율의 개선 효과 또한 미미함을 알 수 있다.
표 2는 실시예 1의 집광용 광학 부재에 대해 추가로 반사체를 형성한 경우의 휘도와 색재현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반사체는 은-팔라듐-구리 합금(APC)으로 형성하였다.
굴절률 반사체 휘도( % ) 색재현율 ( % )
실시예 1 1.52 반사체 없음 101.1 103.6
실시예 3 1.52 반사체 있음 106.7 105.0
비교예 1 광학부재 없음 반사체 없음 100 98.3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사체를 형성한 실시예 3의 경우, 집광용 광학 부재와 반사체가 모두 없는 비교예 1과 비교할 때 현저한 휘도 및 색재현율의 개선을 볼 수 있으며, 집광용 광학 부재만을 형성한 실시예 1과 비교해서도 휘도 및 색재현율이 더욱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표 3은 실시예 3의 집광용 광학 부재와 반사체를 사용하고 접착층의 두께를 변경시켜 휘도와 색재현율을 비교한 결과이다. 접착층의 굴절률은 1.5였다.
굴절률 접착층 두께(um) 휘도( % ) 색재현율 ( % )
실시예 3 1.52 15 106.7 105.0
실시예 4 1.52 8 109.4 105.1
비교예 4 1.52 22 97.3 104.7
비교예 5 1.52 39 64.5 104.1
비교예 6 1.52 85 33.7 103.9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착층의 두께가 15um인 실시예 3의 경우 휘도106.7 및 색재현율 105.0을 나타내어 두 값이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접착층을 8um로 형성한 실시예 4의 경우 휘도 및 색재현율이 모두 더욱 개선되었다.
이에 비하여, 접착층 두께가 각각 22um, 39um, 85um인 비교예 4, 5, 6의 경우 색재현율이 낮을 뿐 아니라, 접착층이 두꺼워질수록 휘도가 매우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그 특징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OLED 기판 200: 컬러필터
210: 블랙매트릭스 220: 착색층
230: 반사체 240: 집광용 광학 부재
300: 접착층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부에 결합하는 블랙매트릭스;
    상기 블랙매트릭스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착색층;
    볼록 렌즈 형상, 상기 착색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1.51 이상의 굴절률, 그리고 상기 착색층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착색층 상부에 1um 이상 5um 이하의 높이로 결합하는 집광용 광학 부재; 및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랙매트릭스 상부에 결합하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의 컬러필터;
    상기 컬러필터와 대향하는 OLED 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와 상기 OLED 기판 사이의 투명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층의 굴절률은 상기 집광용 광학 부재의 굴절률보다 낮은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접착층의 두께는 3um 이상 15um 이하인 표시 장치.
KR1020180017927A 2018-02-13 2018-02-13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19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27A KR102519940B1 (ko) 2018-02-13 2018-02-13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27A KR102519940B1 (ko) 2018-02-13 2018-02-13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914A KR20190097914A (ko) 2019-08-21
KR102519940B1 true KR102519940B1 (ko) 2023-04-07

Family

ID=67808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927A KR102519940B1 (ko) 2018-02-13 2018-02-13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2821B (zh) * 2020-08-07 2022-03-0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以及电子装置
CN114023903A (zh) * 2021-10-28 2022-02-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
CN117461401A (zh) * 2022-05-23 2024-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3062A (ja) * 2001-10-30 2003-05-09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1343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
US6911772B2 (en) 2002-06-12 2005-06-28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 having color filters for improving contrast
KR100734688B1 (ko) * 2005-06-27 2007-07-0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KR20080049186A (ko) * 2006-11-30 2008-06-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8549A (ko) * 2006-12-22 2008-06-26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JP5223980B2 (ja) 2011-04-21 2013-06-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色材分散液、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発光表示装置
KR102214977B1 (ko) * 2014-07-31 2021-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89819B1 (ko) * 2014-09-01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35812B1 (ko) * 2014-09-19 2021-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3062A (ja) * 2001-10-30 2003-05-09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914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33394A1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9097829B2 (en) Backlight unit with patterned light guide panel
KR102519940B1 (ko)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70109134A (ko) 프리즘 시트,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CN109154774B (zh) 感光性树脂组合物、转印膜、装饰图案、触摸面板及图案的制造方法
CN109073970B (zh) 转印膜、装饰图案及触摸面板
JP2010102186A (ja) 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90075756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4023796A (zh) 显示面板
KR101481181B1 (ko) 집광형 광학 시트
KR101632674B1 (ko) 반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6171228A (ja) 自発光型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
KR101318441B1 (ko) 프리즘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2006337845A (ja) 明所コントラスト向上部材
WO2016104976A1 (ko) 광학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US11353742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1515134B1 (ko)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14873B1 (ko) 돌출부를 구비한 광 투과성 판
US7758226B2 (en) Billboard and fabrication thereof
TWI728669B (zh) 偏光板及包括所述偏光板的光學顯示裝置
KR10225371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60047440A (ko) 광학 시트를 구비한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812385B1 (ko) 돌출부를 구비한 광 투과성 판
KR20180132386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용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315129B1 (ko) 유연성 컬러필터, 이를 포함하는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