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900B1 -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900B1
KR102519900B1 KR1020210055939A KR20210055939A KR102519900B1 KR 102519900 B1 KR102519900 B1 KR 102519900B1 KR 1020210055939 A KR1020210055939 A KR 1020210055939A KR 20210055939 A KR20210055939 A KR 20210055939A KR 102519900 B1 KR102519900 B1 KR 10251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ork
support
ship
tw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991A (ko
Inventor
안기주
Original Assignee
(주)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 filed Critical (주)유일
Priority to KR102021005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9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8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3Carriage with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용접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유틸리티 장치를 이송하고, 작업중 케이블의 관리와 작업 종료 후 케이블을 쉽게 회수할 수 있으며, 케이블 드럼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CART DEVICE FOR WORKING VESSEL}
본 발명은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용접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유틸리티 장치를 이송하고, 작업중 케이블의 관리와 작업 종료 후 케이블을 쉽게 회수할 수 있으며, 케이블 드럼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박의 건조에 사용하는 대형 철구조물의 제작시 각종 철판, 형강 자재들을 주로 용접 작업을 통해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용 대차는 용접 뿐만 아니라, 마킹, 가공, 도장, 배관 등의 작업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또한, 작업용 대차는 예를 들어,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휠이 장착된 이동수단과, 해당 작업위치에서 필요한 공구와 자재를 적재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진행하도록 마련된 작업대와,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유틸리티 장치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선박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용접은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피로도 증가와 함께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된다.
최근에는 용접 작업을 자동화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용접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9515호(발명의 명칭: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에는 바퀴가 포함되어 있는 이동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에 마련되며 승강하는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에 탑재되고 수평 및 수직 운동과 회전 운동이 가능한 용접토치를 구비하는 용접로봇을 구비한 용접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용접 장치는 선박 조립 현장의 특성상 다양한 장애물로 인해 좁은 공간으로 이동과 작업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3295호(발명의 명칭: 위보기 용접 로봇의 분리식 대차)에는 선박의 용접 블록 하단에 용접 로봇이 탑재되는 대차와, 용접 로봇의 제어기와 용접기가 탑재되는 대차를 분리 및 결합가능하도록 구성한 분리식 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식 대차는 분리된 대차 사이에 케이블을 이용한 연결이 요구되는 특히 레이저 용접기를 사용하기 위한 케이블의 경우 광파이버와 냉각수 공급관으로 구성되어 케이블을 권취하기 위한 케이블 드럼의 내경은 지름이 1.2m 이상 되어야만 하여 케이블의 무게 증가와 함께 케이블을 권취하여 지지하는 케이블 드럼의 무게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 작업중에도 케이블의 곡률(R)이 일정 값 이상 유지해야 케이블의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의 종료후 케이블 드럼에 케이블을 권취하는 과정에 케이블 꼬임이 발생하여 케이블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9515호(발명의 명칭: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2.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3295호(발명의 명칭: 위보기 용접 로봇의 분리식 대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의 용접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유틸리티 장치를 이송하고, 작업중 케이블의 관리와 작업 종료 후 케이블을 쉽게 회수할 수 있으며, 케이블 드럼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로서, 복수의 바퀴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유틸리부를 고정하고, 상기 유틸리티부와 작업용 이동체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작업용 이동체와 동작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틸리티부; 상기 케이블을 권취하되, 권취된 케이블에 의해 형성되는 지름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 되도록 내경을 형성한 케이블 드럼; 및 상기 유틸리티부와 작업용 이동체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 드럼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케이블 드럼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에 설치되어 케이블이 케이블 드럼에 감겨지기 전에 마찰을 통해 상기 케이블이 비틀려져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는 바퀴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은 케이블이 수직방향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케이블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리프트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 지지부는 지지부 프레임; 및 상기 지지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축;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 프레임과 회전축은 케이블 드럼의 일측면 한 쪽에서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은 유틸리티부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전송하는 레이저 파이버와, 전력 공급 및 각종 전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 신호 라인과, 작업용 이동체가 선박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진공 압력을 형성하는 진공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용접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유틸리티 장치를 이송하고, 작업중 케이블의 관리와, 작업 종료 후 케이블을 쉽게 회수할 수 있으며, 케이블 드럼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3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의 케이블 및 케이블 드럼을 나타낸 예시도.
도4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을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의 케이블 드럼 지지대를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의 케이블 드럼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7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의 케이블 드럼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8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의 꼬임 방지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9는 도8의 꼬임 방지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3은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의 케이블 및 케이블 드럼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4는 도3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5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의 케이블 드럼 지지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100)는 선박의 용접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유틸리티 장치를 이송하고, 작업중 케이블의 관리와, 작업 종료 후 케이블을 쉽게 회수할 수 있으며, 케이블 드럼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110)와, 프레임(120)과, 유틸리티부(130)와, 케이블 드럼(140)과, 케이블(150)과, 케이블 드럼 지지부(160)와, 꼬임 방지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사각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에는 복수의 바퀴(11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일측에 견인 고리(112)가 설치되어 견인 차량(미도시)과 접속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바퀴(111)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예를 들어, 모터와 같은 구동부(113)가 설치되어 작업 현장에서 자력으로 임의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0)은 본체부(110) 상에 설치되어 유틸리부(13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20)은 유틸리티부(130)와 작업용 이동체(300)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150)이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케이블(150)이 수직방향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12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121)은 본체부(110) 상에 설치되어 선박(200)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용 이동체(300)가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150)이 작업 현장의 바닥에 늘어져 닿거나 또는 처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121)은 케이블(150)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리프트시키는 승강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22)는 작업용 이동체(300)가 선박(200)을 따라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케이블(150)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122)는 작업용 이동체(300)의 이동에 따라 케이블(150)을 리프트 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150)이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122)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케이블(150)이 함께 이동하는 케이블 거치부(123)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틸리티부(130)는 작업용 이동체(300)와 케이블(150)을 통해 연결되어 동작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작업용 이동체(300)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수단과, 레이저 빔을 발생하여 케이블(150)을 통해 작업용 이동체(300)로 전송하는 레이저 발진수단과, 상기 레이저 발진수단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열로 인한 과열을 방지하는 레이저 냉각수단과, 상기 레이저 발진수단에 대한 전력 공급을 조절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인 UPS와, 선박(200)의 3차원 설계 데이터와 작업에 필요한 위치 좌표 등을 작업용 이동체(300)로 전송하고, 상기 작업용 이동체(300)의 모니터링 신호를 관리하는 데이터 서버와, 상기 작업용 이동체(300)가 선박(200)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진공 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장치(131)와, 작업중 발생되는 이물질, 먼지 등을 집진하는 흄 장치와, 유틸리티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틸리티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틸리티부(130)는 일측에 케이블(150)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드럼(140)은 케이블(150)을 권취하는 구성으로서, 권취된 케이블(150)에 의해 형성되는 지름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내경을 형성한다.
즉, 링 형상의 프레임이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링 형상의 프레임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41)이 케이블 드럼(140)의 내부에 지름의 크기가 예를 들어 적어도 1.2m 이상인 내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드럼(140)의 내경이 1.2m 이상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케이블(150)의 과도한 꺾임 또는 휨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블 드럼(14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재로 구성될 수 있고, 프레임(12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드럼(140)은 중심에 회전축(142)을 형성하여 본체부(11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6과 같이 케이블 드럼(140a)은 링 형상의 프레임이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고, 일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의 지지 프레임(140a)으로 구성함으로써, 케이블 드럼(140a)의 무게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도7과 같이 케이블 드럼(140b)은 원반 형상의 철판재에 판금을 통해 천공부(143)를 형성하여 서로 대향 설치되고, 일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의 지지 프레임(140b)을 내경에 구성함으로써, 제조비용과 내구성을 향상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150)은 유틸리티부(130)와 작업용 이동체(300)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레이저 빔을 전송하기 위한 레이저 파이버(151)와, 전기 신호 라인(152)과, 진공 라인(15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150)은 유틸리티부(13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전송하는 레이저 파이버(151)와, 전력 공급 및 각종 전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 신호 라인(152)과, 작업용 이동체(300)가 선박(200)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진공 압력을 형성하는 진공 라인(1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레이저 파이버(151)로 인해 케이블 드럼(140)의 내경이 일정 크기 이상 되어야만 권취시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작업 현장에서 굽힘 또는 휨 정도가 일정 크기 이상의 곡률 값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텐션을 유지해야만 광 파이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드럼(140)과, 상기 케이블 드럼(140)에 권취된 케이블(15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덮개(미도시)를 추가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 드럼 지지부(160)는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케이블 드럼(140)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지지부 프레임(161)과, 지지부 회전축(1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 프레임(161)은 하부가 본체부(110) 상에 고정되고, 지지부 프레임(161)의 몸체는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 프레임(161)은 하나의 몸체가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케이블 드럼(140)에 케이블(150)을 감을 때 쉽게 감을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케이블 드럼(140)에서 케이블(150)을 풀때도 쉽게 풀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 회전축(162)은 지지부 프레임(161)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지지부 프레임(161)과 회전축(162)이 케이블 드럼(140)의 일측면 한 쪽에서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꼬임 방지부(170)는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케이블(150)이 케이블 드럼(140)에 감겨지기 전에 상기 케이블(150)과의 마찰을 통해 상기 케이블(150)이 비틀려져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꼬임 방지 지지부(171)와, 베어링(172)과, 꼬임 방지릴(1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꼬임 방지부(170)는 케이블(150)을 케이블 드럼(140)에 다시 감는 중에 작업 과정에서 꼬임이 발생된 케이블(150)이 비틀려져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15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꼬임 방지 지지부(171)는 꼬임 방지 지지부 회전축(171a)을 중심으로 양측에 일정 길이 연장되어 설치되어 베어링(172)과, 꼬임 방지릴(173)이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꼬임 방지릴(173)은 외부면에 일정 크기의 홈부를 형성하여 케이블(150)이 케이블 드럼(140)에 감겨질 때, 케이블 드럼(140) 방향으로 감겨지는 추력이 도면상 꼬임 방지부(170)의 축방향 우측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추력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된 케이블(150)은 홈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면과의 마찰을 통해 케이블(150)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150)의 손상 없이 케이블 드럼(140)에 권취될 수 있다.
계속해서,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100)는 상측에 안착된 이동체(300)가 선박(2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선박(2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동하는 이동체 리프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 리프트(400)는 이동체(300)가 선박(200)의 하부에 위치하면, 상기 이동체(300)의 바퀴가 선박(200)의 표면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체(300)를 180°반전시키고, 반전된 이동체(300)를 승강시켜 선박(200)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동작하는 이동체 지지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100)는 이동체(300)와 연결된 케이블(150)이 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케이블 리프트(500)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 리프트(500)는 작업용 이동체(300)가 선박(200)을 따라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케이블(150)이 늘어져서 지면(또는 바닥)과 닿아 다른 작업자의 보행에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블 붐대(510)를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선박의 용접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유틸리티 장치를 이송하고, 작업중 케이블의 관리와, 작업 종료 후 케이블을 쉽게 회수할 수 있으며, 케이블 드럼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대차(臺車) 장치 110 : 본체부
111 : 바퀴 112 : 견인고리
113 : 구동부 120 : 프레임
121 : 보조 프레임 122 : 승강부
123 : 케이블 거치부 130 : 유틸리티부
131 : 진공 장치 140, 140a, 140b : 케이블 드럼
141, 141a, 141b : 지지 프레임 142 : 회전축
143 : 천공부 150 : 케이블
151 : 레이저 파이버 152 : 전기 신호 라인
153 : 진공 라인 160 : 케이블 드럼 지지부
161 : 지지부 프레임 162 : 지지부 회전축
170 : 꼬임 방지부 171 : 꼬임 방지 지지부
171a : 꼬임 방지 지지부 회전축 172 : 베어링
173 : 꼬임 방지릴 200 : 선박
300 : 작업용 이동체 400 : 이동체 리프트
410 : 이동체 지지부 500 : 케이블 리프트
510 : 케이블 붐대

Claims (7)

  1. 복수의 바퀴(111)를 구비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유틸리티부(130)를 고정하고, 상기 유틸리티부(130)와 작업용 이동체(300) 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150)이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120);
    상기 작업용 이동체(300)와 동작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유틸리티부(130);
    상기 케이블(150)을 권취하되, 권취된 케이블(150)에 의해 형성되는 지름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 되도록 내경을 형성한 케이블 드럼(140, 140a, 140b);
    상기 유틸리티부(130)와 작업용 이동체(3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150) 및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케이블(150)이 케이블 드럼(140, 140a, 140b)에 감겨지기 전에 마찰을 통해 상기 케이블(150)이 비틀려져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꼬임 방지부(170)는 꼬임 방지 지지부 회전축(171a)을 중심으로 양측에 일정 길이 연장되어 설치되어 베어링(172)과, 꼬임 방지릴(173)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꼬임 방지 지지부(171)와,
    외부면에 일정 크기의 홈부를 형성하여 케이블(150)이 케이블 드럼(140)에 감겨질 때, 발생되는 추력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되는 케이블(150)이 상기 홈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면과의 마찰을 통해 상기 케이블(150)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릴(1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케이블 드럼(140, 140a, 140b)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케이블 드럼 지지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바퀴(111)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0)은 케이블(150)이 수직방향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보조 프레임(12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121)은 상기 케이블(150)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리프트시키는 승강부(1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드럼 지지부(160)는 지지부 프레임(161); 및
    상기 지지부 프레임(161)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축(162);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 프레임(161)과 회전축(162)은 케이블 드럼(140)의 일측면 한 쪽에서 결합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50)은 유틸리티부(13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전송하는 레이저 파이버(151)와, 전력 공급 및 각종 전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기 신호 라인(152)과, 작업용 이동체(300)가 선박(200)의 표면에 흡착되도록 진공 압력을 형성하는 진공 라인(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KR1020210055939A 2021-04-29 2021-04-29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KR102519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939A KR102519900B1 (ko) 2021-04-29 2021-04-29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939A KR102519900B1 (ko) 2021-04-29 2021-04-29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991A KR20220148991A (ko) 2022-11-08
KR102519900B1 true KR102519900B1 (ko) 2023-04-13

Family

ID=8404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939A KR102519900B1 (ko) 2021-04-29 2021-04-29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9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818B1 (ko) * 2004-10-29 2006-1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크자동용접장치
KR100994460B1 (ko) * 2008-12-08 2010-1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러그용접로봇용 이동형 유틸리티 공급장치
US20150021303A1 (en) * 2012-01-18 2015-01-22 Amada Company, Limited Laser machining device and laser oscillation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295B1 (ko) 2006-10-23 2012-1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위보기 용접로봇의 분리식 대차
KR101149515B1 (ko) 2010-02-12 2012-05-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장치 및 용접 방법
KR20140000585U (ko) * 2012-07-17 2014-01-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장치 이송 대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818B1 (ko) * 2004-10-29 2006-1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크자동용접장치
KR100994460B1 (ko) * 2008-12-08 2010-1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러그용접로봇용 이동형 유틸리티 공급장치
US20150021303A1 (en) * 2012-01-18 2015-01-22 Amada Company, Limited Laser machining device and laser oscillation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991A (ko)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8704A (zh) 一种车体式龙门起重机
KR101510273B1 (ko) 행거
CN113896028A (zh) 一种铁路用线缆铺设移动装置
KR102519900B1 (ko) 선박 작업용 대차 장치
JP5636556B2 (ja) 多機能ゴンドラ装置
KR100847906B1 (ko) 멀티 크레인
US2530016A (en) Work support
KR102465053B1 (ko) 레이저 용접기의 서포트 시스템
JP4899989B2 (ja) スペアタイヤ移載装置
CN209922858U (zh) 电缆绞线机上料系统
CN209740583U (zh) 移动起吊式手动搬运车
JP2018090372A (ja) クレーンによるワークの搬送方法
KR102207708B1 (ko) 평탄화 장치 및 방법
KR101205675B1 (ko) 로봇 자동이송장치
CN113120765A (zh) 程控智能搬运起重机
CN214879704U (zh) 一种集装箱调箱门起重机
CN217104008U (zh) 耐磨钢铸件热处理用时效炉
CN209812329U (zh) 一种巨型望远镜反射面维护装置
CN211338583U (zh) 一种大型厚重钢材专用吊取移动装置
CN214965165U (zh) 清洗装置、清洗系统和清洗作业车
JPH09142785A (ja) クレーンのブーム起伏装置
CN214456285U (zh) 一种带旋转小车的起重机
CN212076154U (zh) 一种用于布卷吊装的防尘吊装机构
CN215439397U (zh) 一种机床上料吊机
CN216272836U (zh) 一种重量物运搬手动卷扬机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