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464B1 -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이 혼합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이 혼합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464B1
KR102518464B1 KR1020210029626A KR20210029626A KR102518464B1 KR 102518464 B1 KR102518464 B1 KR 102518464B1 KR 1020210029626 A KR1020210029626 A KR 1020210029626A KR 20210029626 A KR20210029626 A KR 20210029626A KR 102518464 B1 KR102518464 B1 KR 102518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flowers
narciss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591A (ko
Inventor
최정연
이정노
박성민
최찬기
백현
김규록
오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주) 아마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주) 아마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210029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46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Abstract

본 발명은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미세먼지 또는 중금속으로 인한 피부 손상 또는 자극을 완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이 혼합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fine dust or alleviating skin irritation with the extract of Narcissus Pseudo-Narcissus flower, Gardenia Florida flower, Lilium Candidum flower and Hibiscus Mutabilis flower}
본 발명은 꽃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화, 환경오염이 심화됨에 따라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미세먼지 등 다양한 오염 물질이 인체 피부를 자극하여 피부 트러블과 피부 질환 및 피부 노화 발생의 큰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중금속은 납, 비소, 수은, 카드뮴, 아연, 니켈 등 비중 4 이상의 무거운 금속원소를 지칭하며, 미량이라도 체내에 축적되면 잘 배설되지 않고 체내에 존재하는 단백질에 쌓여 장기간에 걸쳐 부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피부에서는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질소 산화물(NO)과 같은 유해물질을 추가로 생성해 피부의 염증, 아토피,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한편, 체내의 중금속 제거 방법으로는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및 BAL(British anti-lewisite)과 같은 착화합물 형성물질을 주사하여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과 결합하게 하여 중금속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또한, 비타민 B1, 비타민 C 및 비타민 E를 복용하여 중금속의 체내 흡수를 막고 배출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피부 모공 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 실정으로, 모공 속에 중금속 유해물질이 들어가면 피부 트러블 또는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면역기능을 약화시키고 피부장벽의 보호 기능을 상실시킴으로써 심각한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
미세먼지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로서, 대기 중에 오래 떠다니거나 흩날리는 직경 10㎛ 이하의 입자상 물질을 지칭한다. 미세먼지는 황사와 달리 공장, 자동차 등에서 사용하는 화석원료에 의한 인위적인 오염물질로서, 질산염(NO3 -), 암모늄(NH4 +), 황산염(SO4 2-) 등의 이온 성분과 탄소화합물, 금속화합물 등을 포함한다.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될 경우 면역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은 물론 심혈관 질환, 피부질환, 안구질환 등 각종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직경 2.5㎛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인체 내 기관지 및 폐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여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미세먼지는 모공의 크기보다 최대 20배 정도 작기 때문에 피부 내로 쉽게 침투할 수 있으며 피부의 유분과 엉겨 붙으면서 노폐물을 축적시켜 피부 장벽을 무너뜨린다. 그리고 미세할수록 흡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모공에 깊숙이 스며들어 일반 클렌징으로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증가와 체내 활성산소의 증가는 피부 세포에서 염증 반응, 주름 생성, 가려움증을 증가시키며 심각하게는 피부암 발병에도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에는 화장품의 화학성분으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하는 사례가 종종 알려지면서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고, 천연 재료를 활용한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식물의 꽃들은 일부 약재로 이용되는 종류 외에는 다류 등의 식품으로 사용될 뿐 다양한 효능을 발휘하는 것에 비해 이용 범위가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1812호(2019.02.19. 등록)에는,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사멸, 콜라겐 생합성 저해, 히아루론산 분해 등에 억제효과를 발휘하는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0769호(2020.07.28. 등록)에는, 인간의 체표면에 존재하는 미세먼지를 흡착 또는 제거 효과를 가지는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미세먼지 또는 중금속으로 인한 피부 손상 또는 피부 자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의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치자(Gardenia Florida) 꽃,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부용(Hibiscus Mutabilis) 꽃이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추출물, 치자(Gardenia Florida)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추출물, 부용(Hibiscus Mutabilis) 꽃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을 1.5~2.5 : 1.5~2.5 : 0.5~1.5 : 0.5~1.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세안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치자(Gardenia Florida) 꽃,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부용(Hibiscus Mutabilis) 꽃이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추출물, 치자(Gardenia Florida)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추출물, 부용(Hibiscus Mutabilis) 꽃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나팔수선화 꽃 추출물, 치자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 꽃 추출물, 부용 꽃 추출물을 1.5~2.5 : 1.5~2.5 : 0.5~1.5 : 0.5~1.5 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자극은, 일 예로 미세먼지 또는 중금속에 의해 유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바람직하게 추출용매로 30%(v/v) 순도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혼합추출물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2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저분자 단백질을 포함하고 중금속 제거 효과, 미세먼지에 의한 산화질소 억제 효과, Nrf2 발현 증가 효과가 뛰어나 미세먼지 또는 중금속에 의한 피부 손상의 방지 및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나팔수선화 꽃 추출물, 치자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 꽃 추출물, 부용 꽃 추출물과 이들을 혼합한 꽃 혼합물의 추출물의 단백질 양과 저분자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나팔수선화 꽃 추출물, 치자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 꽃 추출물, 부용 꽃 추출물과 상기 꽃 혼합물의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나팔수선화 꽃 추출물, 치자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 꽃 추출물, 부용 꽃 추출물과 상기 꽃 혼합물의 추출물의 Nrf2 발현량 증대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나팔수선화 꽃 추출물, 치자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 꽃 추출물, 부용 꽃 추출물과 상기 꽃 혼합물의 추출물, 그리고 상기 꽃 혼합물의 추출물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TNF-α, IL-1β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치자(Gardenia Florida) 꽃,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부용(Hibiscus Mutabilis) 꽃이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추출물, 치자(Gardenia Florida)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추출물, 부용(Hibiscus Mutabilis) 꽃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치자(Gardenia Florida) 꽃,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부용(Hibiscus Mutabilis) 꽃이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추출물, 치자(Gardenia Florida)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추출물, 부용(Hibiscus Mutabilis) 꽃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수선화과의 추식구근초로 난지해변에 살며 초봄에 꽃줄기 끝에 백, 황, 등황색의 꽃이 단생 또는 산형상으로 핀다. 피부가 곪은 곳에 나팔수선화를 바르면 붓기를 내리고 종기와 관절염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 비늘줄기를 약재로 사용한다.
치자(Gardenia Florida)는 꼭두서니과에 속한 치자나무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꽃은 6월과 7월 경에 가지 끝에 달리고 흰색으로 핀다. 치자는 소염제, 이뇨제, 지혈제로 사용하거나 황달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고, 초나 재를 매염제로 이용해 헝겊이나 식품을 노란색으로 물들일 때 사용된다.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은 나리속 백합과로서, 백색 또는 유색 꽃으로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장식목적으로 사용되며 항균, 항효모 및 항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부용(Hibiscus Mutabilis)은 아욱과에 속하는 낙엽반관목으로 중국이 원산이며, 주변의 산과 들에 자생한다. 본초도경에 의하면 부용은 악성종기, 화상, 해독, 종창과 같은 염증 치료에 사용되었으며, 피부의 열을 사하는데 사용되는 약재라고 기술되어 있다. 부용의 꽃에는 해열, 냉혈, 소종의 효능이 있어 폐열해소, 백대, 붕루, 토혈, 옹종, 화상 등의 치료제로 쓰이기도 한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4종 식물의 꽃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이를 추출하여 혼합물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는데, 하기 실험에 의할 경우, 식물의 꽃을 각각 사용하는 것에 비해 중금속 제거 효과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발명 혼합물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물, 탄소수 1 내지 4인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및 초음파 추출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법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v/v) 순도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 혼합물의 추출물은, 원료물질인 4종 꽃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5~20배 중량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원료물질 중량 대비 10배 중량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4종 꽃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뒤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여 가수분해하는 것이 좋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바람직하게는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Serine protease), 시스테인 단백질 분해효소(Cysteine protease), 트레오닌 단백질 분해효소(Threonine protease), 아스파탐산 단백질 분해효소(Aspartic protease), 글루탐산 단백질 분해효소(Glutamic protease),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Metalloprote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파인과 펩신을 중량 대비 1: 0.5~3으로 혼합한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한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정제수, 에탄올, 글리세린, 페녹시에탄올, 헥산다이올, 에칠헥산디올, 에칠헥실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혼합한 액상으로 제형화 할 수 있고, 용매에 분산 및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꽃 혼합물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을 덧붙여 추출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초고압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인 방법을 덧붙여 추출 또는 분리, 정제한 추출물도 포함하는 것이다.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초고압 추출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압력 100~3000 Mpa, 온도 40~90 ℃에서 20~30시간 처리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압력 500~1000 Mpa, 온도 40~60 ℃에서 23~25시간 처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초고압 추출 시 pH는 특정 pH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초고압기 내부 물의 pH를 1~6으로 낮춰 처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하는데,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을 1.5~2.5 : 1.5~2.5 : 0.5~1.5 : 0.5~1.5 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의 추출인 것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2:1:1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꽃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혼합물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발현된 단백질은 9 ~ 24 kDa의 저분자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 꽃 혼합물의 추출물은 저분자 단백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중금속 제거 정도를 확인하였다. 미세먼지에는 납, 비소 등의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꽃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혼합물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 꽃 혼합물의 추출물은 피부에 남아있는 미세먼지 또는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산화질소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미세먼지에 의해 산화질소와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하여 피부에 염증, 아토피 등을 유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각각의 꽃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산화질소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 꽃 혼합물의 추출물은 미세먼지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질소에 의한 피부 자극과 피부 염증을 완화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Nrf2 발현 효과를 확인하였다. Nrf2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생체이물의 해독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주 조절자로, 본 발명은 각각의 꽃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Nrf2의 발현이 더욱 증가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 꽃 혼합물의 추출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미세먼지에 의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증가하여 피부 세포에서 염증반응, 가려움증, 심각하게는 피부암을 유발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은 각각의 꽃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꽃 혼합물의 추출물로 처리한 경우 및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에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이 크게 감소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 꽃 혼합물의 추출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 반응, 가려움증 등의 피부 자극을 완화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 제거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부작용 위험이 낮아 민감성 피부 등에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추출물, 치자(Gardenia Florida)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추출물, 부용(Hibiscus Mutabilis) 꽃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추출물, 치자(Gardenia Florida)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추출물, 부용(Hibiscus Mutabilis) 꽃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혼합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나팔수선화 꽃 추출물, 치자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 꽃 추출물, 부용 꽃 추출물을 1.5~2.5 : 1.5~2.5 : 0.5~1.5 : 0.5~1.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 꽃 4종을 혼합한 혼합물의 추출물에 대해 상기와 같은 효능을 테스트 하였지만, 꽃 4종 각각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 추출물 4종을 혼합하는 경우에서도 본 발명에서와 같은 효과가 발휘될 것으로 당연히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꽃 4종 각각으로부터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용매 및 추출 조건은 상기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혼합추출물은 총 중량 대비 각각 0.01~20 중량% 첨가되는 것이 좋다.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하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료 투입량 대비 효율성이 떨어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례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초 화장료 제형; 스킨; 로션; 아이크림; 수딩젤; 연고; 마스크팩용 제형; 바디워시용 제형; 필링젤;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색조화장료 제형; 두피용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20.0 중량% 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 나팔수선화 꽃 추출물의 제조]
수확 시기에 채취한 나팔수선화 꽃을 빛이 들지 않는 곳에서 7일 이상 건조하였다. 건조된 나팔수선화 꽃 10 g에 중량 대비 10배의 30%(v/v)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하고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한 뒤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수득한 동결건조물을 중량 대비 20배의 정제수에 희석하고 파파인과 펩신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효소를 희석액 대비 0.1%(g/g) 처리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여 가수분해 하였다. 가수분해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여 나팔수선화 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치자 꽃 추출물의 제조]
수확 시기에 채취한 치자 꽃을 빛이 들지 않는 곳에서 7일 이상 건조하였다. 건조된 치자 꽃 10 g에 중량 대비 10배의 30%(v/v)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하고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한 뒤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수득한 동결건조물을 중량 대비 20배의 정제수에 희석하고 파파인과 펩신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효소를 희석액 대비 0.1%(g/g) 처리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여 가수분해 하였다. 가수분해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여 치자 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마돈나백합 꽃 추출물의 제조]
수확 시기에 채취한 마돈나백합 꽃을 빛이 들지 않는 곳에서 7일 이상 건조하였다. 건조된 마돈나백합 꽃 10 g에 중량 대비 10배의 30%(v/v)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하고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한 뒤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수득한 동결건조물을 중량 대비 10배의 정제수에 희석하고 파파인과 펩신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효소를 희석액 대비 0.1%(g/g) 처리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여 가수분해 하였다. 가수분해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여 마돈나백합 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부용 꽃 추출물의 제조]
수확 시기에 채취한 부용 꽃을 빛이 들지 않는 곳에서 7일 이상 건조하였다. 건조된 부용 꽃 10 g에 중량 대비 10배의 30%(v/v)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하고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한 뒤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수득한 동결건조물을 중량 대비 10배의 정제수에 희석하고 파파인과 펩신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효소를 희석액 대비 0.1%(g/g) 처리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여 가수분해 하였다. 가수분해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여 부용 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꽃 혼합물의 추출물의 제조]
각각의 수확 시기에 채취하여 건조한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을 중량 대비 2:2:1:1 비율로 혼합하고 10배의 30%(v/v)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하고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한 뒤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수득한 동결건조물을 중량 대비 20배의 정제수에 희석하고 파파인과 펩신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효소를 희석액 대비 0.1%(g/g) 처리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여 가수분해 하였다. 가수분해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여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꽃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 확인]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꽃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의 단백질 양 및 단백질 분자량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아래와 같다.
8%의 SDS-PAGE(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2×SDS gel-loading 완충용액(100 mM Tris-Cl, pH 6.8, 200 mM dithiothreitol, 4% SDS, 0.2% bromophenol blue, 20% glycerol)에 1:1로 콜라겐을 섞고 95℃에서 5분간 끓인 후 전기영동 완충용액(25 mM Tris, 250 mM glycine pH 8.3, 0.1% SDS)이 채워진 겔에 로딩(loading) 한 후 100V로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겔은 쿠마시브릴리언트블루(Coomassie brilliant blue)로 염색하고 0.25 g의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을 10% 아세트산(acetic acid), 45% methanol 혼합용액(staining solution)에 녹인 후 덜 녹은 시약을 제거하기 위해 와트만(whatman) #1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겔을 적어도 5배 부피에 해당하는 염색액에 담가 염색이 충분히 될 때까지 서서히 흔들어주고 염색액을 제거한 후 염색약이 포함되지 않은 10% 아세트산(acetic acid), 45% methanol 용액(destaining solution)에 겔을 담가 두어 탈색시킨다. 탈색용액은 여러 차례 갈아 주면서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은 실시예 1 내지 4의 단일 꽃 추출물에 비해 단백질 양이 높았으며, 분자량은 9 ~ 24 kDa의 저분자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중금속 제거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꽃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의 중금속 제거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털을 제거한 돼지 외피(1cm x 1cm)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납, 비소를 각각 10 ppm 함유하는 용액에 3시간 동안 침지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실험군은 실시예 1 ~ 5를 각각 도포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대조군은 정제수를 도포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정제수로 1회 세척하고 분쇄하여 에탄올에 1시간 동안 교반 추출한 후 0.45 μm 실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질량분석기(ICP)로 정량하였다. 정량 결과는 하기 표 1와 같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대조군
납(ppm) 8.80 8.33 6.11 7.38 4.75 9.84
비소(ppm) 8.43 7.07 4.96 7.31 5.08 8.75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의 꽃 추출물과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 모두에서 대조군 대비 중금속 제거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각각의 꽃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 처리 시 중금속 제거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3 : 미세먼지에 의한 NO 저해율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꽃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의 미세먼지(Fine dust) 자극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질소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5 cells/well로 분주한 후, 37,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안정화시킨 다음, 200 ㎍/ml 농도의 미세먼지를 처리하였다. 각 시료를 200 ㎍/ml 농도로 희석한 후 양성대조군으로 NDGA(nordihydroguaiaretic acid)를 5 μM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분리된 배양 상층액 100 ㎕에 동량의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100 ㎕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분광광도계(microplate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산화질소의 농도는 질화나트륨(sodium nitrite, NaNO2)을 사용하여 얻은 표준 직선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실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4의 꽃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즉, 각각의 꽃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 처리 시 미세먼지 자극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질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Nrf2 발현 효과 확인]
Nrf2(NF-E2 related factor 2)는 산화적 스트레스(미세먼지, 열 등)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생체이물(xenobiotic)의 해독 역할을 하는 phase II 효소라 불리는 일련의 단백질을 조절하는 주 조절자로 알려져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가 없는 경우 세포질 내 Nrf2는 Keap1 단백질에 결합되어 끊임없이 유비퀴티네이션(ubiquitination)되어 분해되므로 그 활성이 억제된다. 반면, 과도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 Nrf2는 Keap1 단백질로부터 유리되어 핵 내로 이동되고 항산화효소 유전자 프로모터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반응요소(ARE, antioxidant response element)에 결합하여 항산화효소를 발현시킴에 따라 산화적 스트레스를 제거하려고 한다. 이러한 역할을 통하여 Nrf2는 세포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꽃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의 Nrf2발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간 유래 각질 형성(HaCaT) 세포를 6 well plate에 3 × 105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안정화시킨 다음, 시료를 6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스크레이퍼(scraper)로 세포를 수집하였다. 1 × 세포 용해 버퍼(cell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하고 BCA assay로 단백질을 정량한 후 일정량의 단백질을 10% SDS-PAGE(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겔상의 분리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에 전이시키고 5% 스킴밀크(skim milk)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하였다. 1 × TTBS 용액으로 3 회 세척한 다음 1차 항체(Nrf2, Cell signaling, USA)를 4에서 오버나잇(over night) 반응시키고, HRP가 결합된 2차 항체를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1 × TTBS로 3 회 세척하고 ECL용액을 반응시켜 케미닥(Chemi Doc) 기기로 밴드를 검출하였다. 베타-액틴(β-actin)의 발현을 기준으로 정량하여 Nrf2 발현량을 계산하였으며 Image J 1.47 software를 이용하여 수치화하였다.
실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4의 꽃 추출물과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은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해 Nrf2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각각의 꽃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 처리 시 Nrf2의 발현이 더욱 증가하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꽃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구성 성분 및 함량으로 상기 실시예 5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실시예 6 함량 (중량%)
A 실시예 5 5.0
EDTA-2Na 0.02
정제수 to 100
B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7
스쿠알란 5.0
유동파라핀 3.0
트리옥타노인 5.0
폴리솔베이트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사이클로메치콘 3.0
BHT 0.05
C 향,방부제 적량
[실험예 5 :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꽃 추출물,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 및 실시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의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자 (20세 - 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도포 전 하박부에 지질흡수 테이프(sebutape)를 부착하여 피부 표면 사이토카인을 수득하는 과정을 5회 실시하고 각각 1 ㎖ PBS buffer가 함유된 유리 바이알에 담가 1시간 동안 초음파분산기(sonicator)로 분산을 실시한 후 사이토카인 함량을 측정하였다.
미세먼지를 미네랄 오일과 1:1로 혼합하여 하박부에 처리하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꽃 추출물,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 및 실시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동일한 양 도포하여 지질흡수 테이프(sebutape) 패치를 부착하였다. 24시간 뒤 패치를 제거하고 상기 도포 전 사이토카인 수득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ELISA kit를 이용하여 사이토카인 함량을, 단백질 정량 kit를 이용하여 총 단백질량을 정량한 후 사이토카인 함량을 총 단백질 함량으로 보정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듯이, 실시예 5의 꽃 혼합물의 추출물과 실시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실시예 1 내지 4의 꽃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치자(Gardenia Florida) 꽃,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부용(Hibiscus Mutabilis) 꽃이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은 상기 혼합물을 추출한 후 단백질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2.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추출물, 치자(Gardenia Florida)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추출물, 부용(Hibiscus Mutabilis) 꽃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꽃 추출물은 추출 후 단백질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을 1.5~2.5 : 1.5~2.5 : 0.5~1.5 : 0.5~1.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안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치자(Gardenia Florida) 꽃,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부용(Hibiscus Mutabilis) 꽃이 혼합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은 상기 혼합물을 추출한 후 단백질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6.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 꽃 추출물, 치자(Gardenia Florida) 꽃 추출물, 마돈나백합(Lilium Candidum) 꽃 추출물, 부용(Hibiscus Mutabilis) 꽃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꽃 추출물은 추출 후 단백질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을 1.5~2.5 : 1.5~2.5 : 0.5~1.5 : 0.5~1.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자극은,
    미세먼지 또는 중금속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2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29626A 2021-03-05 2021-03-05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이 혼합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8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26A KR102518464B1 (ko) 2021-03-05 2021-03-05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이 혼합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26A KR102518464B1 (ko) 2021-03-05 2021-03-05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이 혼합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591A KR20220125591A (ko) 2022-09-14
KR102518464B1 true KR102518464B1 (ko) 2023-04-06

Family

ID=8327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626A KR102518464B1 (ko) 2021-03-05 2021-03-05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이 혼합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4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167B1 (ko) * 2018-05-24 2019-11-18 농업회사법인 참솔(주) 치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055B1 (ko) * 2013-04-25 2015-02-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부용 및 뚝갈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기능강화 또는 피부자극완화용 조성물
KR101951812B1 (ko) 2017-06-02 2019-02-2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0769B1 (ko) 2018-07-19 2020-08-03 주식회사 바이오스탠다드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또는 제거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167B1 (ko) * 2018-05-24 2019-11-18 농업회사법인 참솔(주) 치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591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336B1 (ko) 적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723526B1 (ko)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380201B1 (en) Anti-pollution complex comprising oily and aqueous calendula extracts and an aqueous extract of lilium candidum bulb and uses thereof
KR101944025B1 (ko) 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2350A (ko)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400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973950B1 (ko) 진피 및 편백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황사 또는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피부 염증 완화용 또는 피부 색소 침착 개선용 조성물
KR101901670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1B1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8464B1 (ko) 나팔수선화 꽃, 치자 꽃, 마돈나백합 꽃, 부용 꽃이 혼합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9328B1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5166A (ko) 바다수선화 추출물과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5377B1 (ko) 드럼스틱나무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13B1 (ko) 아레카야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8908B1 (ko) 항노화 및 주름개선에 활성을 갖는 대추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및 향장 원료
KR102544880B1 (ko)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KR20040038243A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255036B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안티폴루션용 조성물
KR2008010806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57378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KR102123645B1 (ko) 갯강활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0996A (ko) 항산화 미백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지닌 허브 씨앗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842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11B1 (ko) 흑진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