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888B1 -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의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의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888B1
KR102515888B1 KR1020217004425A KR20217004425A KR102515888B1 KR 102515888 B1 KR102515888 B1 KR 102515888B1 KR 1020217004425 A KR1020217004425 A KR 1020217004425A KR 20217004425 A KR20217004425 A KR 20217004425A KR 102515888 B1 KR102515888 B1 KR 102515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tom
plankton
dihydroxy
methoxybenzyl alcohol
y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1497A (ko
Inventor
미츠구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타나베오이스타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타나베오이스타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타나베오이스타겐큐쇼
Publication of KR2021003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3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1/4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s giving rise to a 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20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3/23Ethers having an ether-oxygen atom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2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09K15/06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9K15/08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 phenol or quinone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89Algae ; Processes using alga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easoning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를 채취하고, 상기 해수에 포함되는 플랑크톤으로부터 항산화물질인 DHMBA(디바)의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상기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세포 내용물의 취출을 수행하고, 그 후 취출한 세포 내용물을 가열하고, 상기 가열한 가열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의 생성 방법
본 발명은 플랑크톤으로부터 항산화물질인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는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의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건 발명자는 이미 신규 항산화물질인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 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이하 DHMBA(디바)라고 함)을 가열한 굴 고기로부터 발견하고, 그의 합성, 동정에도 성공하였다. 한편, 생굴 고기로부터는 DHMBA(디바)는 검출되지 않았다.
여기서, 굴의 생태적 특징으로는, 다량의 해수를 빨아 들이고, 빨아들인 다량의 해수로부터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을 받아들이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6-42825호 공보
그러나, 본건 발명자는 본 발명에서 플랑크톤에 DHMBA(디바)가 포함된다라는 가설을 세웠다.
따라서 플랑크톤을 채취, 여과하고, 플랑크톤 중의 DHMBA(디바)를 측정한 바, DHMBA(디바)는 검출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그 플랑크톤을 채취, 여과하고, 가열한 바, DHMBA(디바)가 검출되었다. 또한, 플랑크톤을 채취, 여과하고, 가압한 바, DHMBA(디바)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본건 발명자는 상기 DHMBA(디바)가 플랑크톤 유래의 유용 물질이라고 생각하고, 해당 플랑크톤으로부터의 DHMBA(디바)의 생성 방법을 창안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상기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세포 내용물의 취출을 수행하고, 그 후 취출한 세포 내용물을 가열하고, 상기 가열한 가열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상기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세포 내용물의 취출을 수행하고, 그 후 취출한 세포 내용물을 가열하고, 상기 가열한 가열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에 속하는 규조 또는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추출액을 첨가하여 파쇄하고, 상기 플랑크톤으로부터 세포 내용물의 추출을 수행한 후, 가열하고, 상기 가열한 가열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에 속하는 규조 또는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상기 가열 시간은 적어도 1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상기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세포 내용물의 취출을 수행하고, 그 후 취출한 세포 내용물을 가압하고, 상기 가압한 가압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상기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세포 내용물의 취출을 수행하고, 그 후 취출한 세포 내용물을 가압하고, 상기 가압한 가압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에 속하는 규조 또는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추출액을 첨가하여 파쇄하고, 상기 플랑크톤으로부터 세포 내용물의 추출을 수행한 후, 가압하고, 상기 가압한 가압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에 속하는 규조 또는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상기 가압은 적어도 2 기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상기 가압 시간은 적어도 1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를 채취하고, 상기 해수에 포함되는 플랑크톤으로부터 항산화물질인 DHMBA(디바)의 생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채취한 해수를 여과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여과한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을 소니케이션하고, 그 후 DHMBA(디바)를 가열 추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여과한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을 소니케이션하고, 그 후 DHMBA(디바)를 가압 추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히로시마의 소정 해역에서 소정 시기에 채취한 해수에 존재하는 플랑크톤을 가열하였을 때에 DHMBA(디바)가 생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설명하는 설명도(1)이다.
도 5는 히로시마의 소정 해역에서 소정 시기에 채취한 해수에 존재하는 플랑크톤을 가열하였을 때에 DHMBA(디바)가 생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설명하는 설명도(2)이다.
도 6은 미야기의 소정 해역에서 소정 시기에 채취한 해수에 존재하는 플랑크톤을 가열하였을 때에 DHMBA(디바)가 생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미야기의 소정 해역에서 소정 시기에 채취한 해수에 존재하는 플랑크톤을 가압하였을 때에 DHMBA(디바)가 생성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검색 조건을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1)이다.
도 9는 검색 조건을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2)이다.
도 10은 검색 조건을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1)이다.
도 11은 검색 조건을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2)이다.
도 12는 검색 조건을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3)이다.
도 13은 검색 조건을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4)이다.
도 14는 검색 조건을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5)이다.
도 15는 검색 조건을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3)이다.
도 16은 검색 조건을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4)이다.
도 17은 검색 조건을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5)이다.
도 18은 검색 조건을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6)이다.
도 19는 검색 조건을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7)이다.
도 20은 검색 조건을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8)이다.
도 21은 검색 조건을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6)이다.
도 22는 검색 조건을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7)이다.
도 23은 검색 조건을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8)이다.
도 24는 검색 조건을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9)이다.
도 25는 검색 조건을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10)이다.
도 26은 검색 조건을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11)이다.
도 27은 검색 조건을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9)이다.
도 28은 검색 조건을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10)이다.
도 29는 검색 조건을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한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11)이다.
먼저, 주로 굴 양식이 행해지고 있는 해역(예를 들면 히로시마·미야기 해역)에서의 소정 시기의 해수를 채취하고, 채취한 해수에 대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여과에 사용한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1)을 취출하고, 그것을 가열, 또는 가압 후에, DHMBA(디바)가 검출되는지의 여부의 탐색·분석을 수행한 것이다.
먼저, 가열에 의한 DHMBA(디바)의 검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굴 양식의 현장 해역(예를 들면 히로시마·미야기 해역)에서의 해수를 채취하였다.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의 채취)
굴 양식이 행해지고 있는 해역(예를 들면, 히로시마, 미야기 해역)에서의 소정 시기에서의 해수, 즉 히로시마현에서의 해역에서는 9월, 3월의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를, 미야기현에서의 해역에서는 5월의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를 펌프 등으로 퍼올린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히로시마나 미야기에서의 해역의 해수를 채취하였지만, 히로시마나 미야기의 해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시기에 대해서도 9월 또는 3월의 해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의 여과)
플랑크톤(1)을 포함하는 해수를 채취한 후, 이 해수를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예를 들면 GF/C 필터(4)로 여과한다(도 1 참조).
여기에서, 여과하는 해수의 양에 대해서는,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이번에는 히로시마 또는 미야기 해역에서 각각 약 3100 리터의 해수를 채취하고, 이것을 여과하였다.
한편, 상기 수법으로 여과가 끝난 필터에는 그 위에 많은 플랑크톤(1)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플랑크톤(1)이 부착된 필터는 추출 작업을 수행할 때까지 냉동 보존할 수 있다.
(초음파 처리)
다음으로, 예를 들면 플랑크톤(1)이 부착된 필터를 냉동 보존하고, 그 냉동 보존해 둔 필터를 원심관 등의 용기(5)에 넣고, 상기 용기(5) 안에 예를 들면 초순수를 가하여, 플랑크톤(1)을 다시 예를 들면 초음파로 1시간 정도 소니케이션 또는 볼 밀에 의해, 세포벽을 파괴하고, DHMBA(디바) 등을 추출하기 쉽도록 한다.
(추출)
상기 예를 들면 소니케이션 등의 방법으로 플랑크톤(1)의 세포를 파괴한 후, 그것을 가열하여 상기 세포의 내용물을 취출한다. 즉 상기의 플랑크톤 등을 약 100℃에서 중탕 추출 등을 수행한다(도 2 참조).
여기에서, 중탕 추출에 의한 가열이기 때문에, 상기 용기(5) 내의 플랑크톤(1)을 직접 가열하는 것이 아니다. 즉 비이커 등에 가열한 온수를 저류하고, 이 온수 내에 용기(5)를 넣어, 이른바 간접적인 가열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온도를 일정하게 하여 가열할 수 있는 등 안정적인 가열 추출이 가능한다는 이점이 있다.
(샘플링)
그리고, 상기 중탕 추출에 대해서는 1시간마다 5시간의 샘플링을 수행하였다.
(유용 물질 분석)
상기 샘플링한 플랑크톤(1)의 DHMBA(디바)의 농도를 LC-MS/MS로 측정하였다.
(히로시마 해역 샘플링의 추출 실험 결과)
그리고, 상기의 2016년 9월, 2017년 3월의 히로시마 해역 샘플링에 대해서는, 9월, 3월 모두, 가열 전의 플랑크톤에는 DHMBA(디바)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9월의 히로시마 해역 샘플에 대해서는, 가열한 후, 즉 중탕 추출 후 1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303(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탕 추출 후 2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297(ng/L) 검출되고, 중탕 추출 후 3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279(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중탕 추출 후 4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274(ng/L) 검출되고, 중탕 추출 후 5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217(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3월의 히로시마 해역 샘플에 대해서는, 가열한 후, 즉 중탕 추출 후 1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906(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탕 추출 후 2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66(ng/L) 검출되고, 중탕 추출 후 3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686(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중탕 추출 후 4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517(ng/L) 검출되고, 중탕 추출 후 5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794(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도 5 참조).
(미야기 해역 샘플링의 추출 실험 결과)
2016년 5월의 미야기 해역 샘플링에서의 DHMBA(디바)의 검출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의 시간마다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가열 전의 샘플에는 히로시마 해역 샘플과 마찬가지로, 가열 전의 플랑크톤에는 DHMBA(디바)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가열한 후, 즉 중탕 추출 후 1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108(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탕 추출 후 2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113(ng/L) 검출되고, 중탕 추출 후 3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156(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중탕 추출 후 4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125(ng/L) 검출되고, 중탕 추출 후 5시간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134(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참조).
한편, 가열 시간에 대해서는, 1시간 경과 후라는 시간에 한정되지 않는다. 1시간보다 짧은 가열 시간으로 DHMBA(디바)가 검출될 가능성도 있다.
좌우간 플랑크톤을 가열하지 않을 때에는 그 플랑크톤으로부터는 DHMBA(디바)는 검출되지 않지만, 플랑크톤을 가열하였을 때에는 빠르게 가열한 플랑크톤으로부터 DHMBA(디바)를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음으로, 가압에 의한 DHMBA(디바)의 검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굴 양식의 현장 해역(예를 들면 미야기 해역)에서의 해수를 채취하였다.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의 채취)
굴 양식이 행해지고 있는 해역(예를 들면, 미야기 해역)에서의 소정 시기에서의 해수, 즉 미야기현에서의 해역에서는 2016년 5월의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를 펌프 등으로 퍼올린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미야기에서의 해역의 해수를 채취했지만, 미야기의 해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시기에 대해서도 5월의 해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의 여과)
플랑크톤(1)을 포함하는 해수를 채취한 후, 이 해수를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예를 들면 GF/C 필터(4)로 여과한다(도 1 참조).
여기에서, 여과하는 해수의 양에 대해서는, 조금도 한정되지 않지만, 이번에는 미야기 해역에서 약 3100 리터의 해수를 채취하고, 이것을 여과하였다.
한편, 상기 수법으로 여과가 끝난 필터에는 그 위에 많은 플랑크톤(1)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플랑크톤(1)이 부착된 필터는 추출 작업을 수행할 때까지 냉동 보존할 수 있다.
(초음파 처리)
다음으로, 예를 들면 플랑크톤(1)이 부착된 필터를 냉동 보존하고, 그 냉동 보존한 필터를 원심관 등의 용기(5)에 넣고, 상기 용기(5) 내에 예를 들면 초순수를 가하여, 플랑크톤(1)을 다시 예를 들면 초음파로 1시간 정도 소니케이션 또는 볼 밀에 의해, 세포벽을 파괴하고, DHMBA(디바) 등을 추출하기 쉽게 한다.
(추출)
그 후, 상기 예를 들면 소니케이션 등의 방법으로 플랑크톤(1)의 세포를 파괴한 후, 그것을 가압하여 상기 세포의 내용물을 취출한다. 즉 상기의 플랑크톤 등을 약 2 기압으로 가압하여 추출하였다(도 3 참조).
여기에서, 가압 방법에 대해서는,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방법인 가압 솥을 사용하여 수행하여 가압해도 무방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가압해도 무방하다.
(샘플링)
그리고, 상기 가압 추출에 대해서는, 1시간마다 5시간의 샘플링을 수행하였다.
(유용 물질 분석)
상기 샘플링한 플랑크톤(1)의 DHMBA(디바)의 농도를 LC-MS/MS로 측정하였다.
(미야기 해역 샘플링의 추출 실험 결과)
미야기 해역 샘플링에서의 DHMBA(디바)의 검출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의 시간마다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가압 전의 플랑크톤에는 DHMBA(디바)는 검출되지 않았다. 2 기압으로 가압한 후, 즉 2 기압으로 1시간 가압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05(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 기압으로 2시간 가압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29(ng/L) 검출되고, 2 기압으로 3시간 가압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49(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2 기압으로 4시간 가압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58(ng/L) 검출되고, 2 기압으로 5시간 가압 후에는 DHMBA(디바) 추출량은 0.67(ng/L)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참조).
좌우간 플랑크톤을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그 플랑크톤으로부터는 DHMBA(디바)는 검출되지 않지만, 플랑크톤을 가압하였을 때는 빠르게 가압한 플랑크톤으로부터 DHMBA(디바)를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DHMBA(디바)를 검출할 수 있는 플랑크톤(1)의 특정)
해수 중의 플랑크톤(1)은 다수 종류가 존재하고 있으며, 어떠한 종류의 플랑크톤(1)에 대하여 DHMBA(디바)가 검출되었는지는 불분명하였다. 따라서 본건 발명자는 DHMBA(디바)가 검출된 플랑크톤(1)을 특정하기로 하였다.
본건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해수를 채취하고, 그 중의 플랑크톤(1)을 취득하였다.
취득한 대량 종류의 플랑크톤(1)으로부터 약 200 종류 정도 선택하고, 그 약 200 종류의 플랑크톤(1)을 각각 배양하였다.
그리고, 각각 배양한 약 200 종류의 플랑크톤에 대하여, 상술한 DHMBA(디바) 추출 처리를 수행하였다. 즉 상기한 초음파 처리, 상기의 가열 또는 가압에 의한 추출 처리 등을 수행한 것이다.
그 결과, DHMBA(디바)가 검출된 플랑크톤(1)은 미세 조류 4주이었다. 그리고, 이 미세 조류 4주의 형태로부터 상세하게 관찰한 바, 이것들은 규조라는 것을 특정할 수 있었다.
한편, 규조는 식물 플랑크톤 중에서 가장 풍부하고, 다수 종류가 존재한다.
그런데, 본건 발명자가 DHMBA(디바)가 검출된 상기 미세 조류 4주의 형태를 현미경에 의해 상세히 관찰한 바, 4주 모두 규조이었다. 여기서, 사용한 현미경의 배율은 1,000 배(접안 렌즈: 10 배, 대물 렌즈: 100 배)이다.
상기 미세 조류 4주, 즉 규조는 만 내의 해수에 널리 분포하는 해산 규조의 동속으로, 풍부한 불포화지방산을 생산하는 규조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초부유성의 규조로도 알려져 있다.
다음으로, 본건 발명자는 상기 미세 조류 4주, 즉 규조의 DNA 분석을 수행하고, 추가적인 규조의 구체적 특정을 기도하였다.
DNA 분석에서는, 규조가 어떠한 분급 계급에 속하는지에 대하여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분급 계급은 “문”, “아문”, “강”, “아강”, “목”, “과”, “속”,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리고 “문”에서 “종”에 근접함에 따라서 더욱 특정되어 가는 것이 된다.
이하에 그 DNA 분석의 경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DHMBA(디바)가 검출된 규조(H-7-09주)의 동정
윷돌말아강의 규조라고 생각된다. 단, “목” 이하의 레벨의 동정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방법)
Genbank(NCBI, NHI)에서 megablast 검색을 실시
검색 조건(1)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도 8, 도 9)
→ 이들 결과에 의거하여 고찰한다.
검색 조건(2)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도 10, 도 11)
→ 비교 대상의 배열 데이터의 정보량이 불충분하였기 때문에, 이들 결과에 의거한 고찰은 수행하지 않는다.
부위 배열명 해석에 이용한 염기 배열 길이 배열의 어셈블 Blast 해석 결과
18S H7-09-18S 1223 bp 실시 도 8
28S H7-09-28S-D2R2 474 bp 미실시 도 9
(megablast 검색 결과)·18S
Humidophila schmassmannii isolate HYU-D030주의 배열과 약 96.2%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상동성이 96% 정도로 낮다.
단, 2번째 이후에 히트한 배열도 고려하면, 윷돌말강 윷돌말아강의 규조라고 추정된다.
·28S D2R2에 의한 배열
Pseudo-nitzschia multistriata strain HAB-132주의 배열과 약 96.1%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상동성이 96% 정도로 낮다. 또한, 배열이 짧은데다가, 스코어, 커버율 모두 낮고, 18S의 결과에 비하여 동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
단, 18S의 결과로부터 추정되는, 윷돌말아강의 규조일 가능성과 모순되지 않는다.
(동정 결과)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의 규조라고 생각된다.
단, “목” 이하의 레벨은 동정할 수 없다.
DHMBA(디바)가 검출된 규조(H-9-05주)의 동정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라고 생각된다.
단, “종” 레벨의 동정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방법)
Genbank(NCBI, NHI)에서 megablast 검색을 실시
검색 조건(1)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도 12, 도 13, 도 14)
→ 이들 결과에 의거하여 고찰한다.
검색 조건(2)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도 15, 도 16, 도 17)
→ 비교 대상의 배열 데이터의 정보량이 불충분하였기 때문에, 이들 결과에 의거한 고찰은 수행하지 않는다.
부위 배열명 해석에 이용한 염기 배열 길이 배열의 어셈블 Blast 해석 결과
18S H9-05-18S 1204 bp 실시 도 12
28S H9-05-28S-D2C2 480 bp 미실시 도 13
28S H9-05-28S-D2R2 458 bp 미실시 도 14
(megablast 검색 결과)·18S
Entomoneis paludosa L431주의 배열과 9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동성이 98%로 조금 낮지만, 2번째 이후에도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이 히트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라고 추정된다.
·28S D2C2에 의한 배열
Entomoneis ornata 27D주의 배열과 92%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상동성이 92%로 상당히 낮아, 그다지 참고가 되지 않는다. 또한, 배열이 짧은데다가, 스코어, 커버율 모두 낮고, 18S의 결과에 비하여, 동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상당히 낮다.
단, 18S의 결과로부터 추정되는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일 가능성과 모순되지 않는다.
·28S D2R2에 의한 배열
Pseudo-nitzschia multistriata HAB-132주의 배열과 96%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상동성이 96%로 낮아, 그다지 참고가 되지 않는다. 또한, 배열이 짧은데다가, 스코어, 커버율이 D2C2에 비해 낮고, 동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상당히 낮다.
단, 18S의 결과로부터 추정되는 윷돌말아강의 규조일 가능성과 모순되지 않는다.
(동정 결과)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라고 생각된다.
단, “종” 레벨의 동정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DHMBA(디바)가 검출된 규조(H-9-06주)의 동정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라고 생각된다.
단, “종” 레벨의 동정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방법) Genbank(NCBI, NHI)에서 megablast 검색을 실시
검색 조건(1)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도 18, 도 19, 도 20)
→ 이들 결과에 의거하여 고찰한다.
검색 조건(2)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도 21, 도 22, 도 23)
→ 비교 대상의 배열 데이터의 정보량이 불충분하였기 때문에, 이들 결과에 의거한 고찰은 수행하지 않는다.
부위 배열명 해석에 이용한 염기 배열 길이 배열의 어셈블 Blast 해석 결과
18S H9-06-18S 1204 bp 실시 도 18
28S H9-06-28S-D2C2 440 bp 미실시 도 19
28S H9-06-28S-D2R2 609 bp 미실시 도 20
(megablast 검색 결과)·18S
Entomoneis paludosa L431주의 배열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상동성이 99% 있는 것, 또한 2번째 이후에도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이 히트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라고 추정된다.
·28S D2C2에 의한 배열
Entomoneis ornata 27D주의 배열과 91%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상동성이 91%로 상당히 낮고, 그다지 참고가 되지 않는다. 또한, 배열이 짧은데다가 스코어가 낮고, 18S의 결과에 비해 동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상당히 낮다.
단, 18S의 결과로부터 추정되는,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일 가능성과 모순되지 않는다.
·28S D2R2에 의한 배열
Vannella septentrionalis(아메바)와 8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바스큘라균근을 형성하는 진균류와 79% 이하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상동성이 90% 미만이다. 또한, 배열이 짧은데다가, 스코어, 커버율이 D2C2에 비하여 낮고, 동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상당히 낮다.
이 때문에, 이번의 동정의 고찰로부터는 제외한다.
(동정 결과)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라고 생각된다.
H-9-09주 동정
불명료
(방법) Genbank(NCBI, NHI)에서 megablast 검색을 실시
검색 조건(1) 환경유래 배열을 제외한 전체에 대하여 검색(도 24, 도 25, 도 26)
→ 이들 결과에 의거하여 고찰한다.
검색 조건(2) 타입유래 배열에 한정하여 검색(도 27, 도 28, 도 29)
→ 비교 대상의 배열 데이터의 정보량이 불충분하였기 때문에, 이들 결과에 의거한 고찰은 수행하지 않는다.
부위 배열명 해석에 이용한 염기 배열 길이 배열의 어셈블 Blast 해석 결과
18S H9-09-18S 1228 bp 실시 도 24
28S H9-09-28S-D2C2 511 bp 미실시 도 25
28S H9-09-28S-D2R2 441 bp 미실시 도 26
(megablast 검색 결과)·18S
Caecitellus paraparvulus HFCC320주(비코소에카)의 배열과 97%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2번째 이후에도, 모두 동속의 규조와 97%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상동성이 97%로 낮지만, 비코소에카류의 배열이 증폭된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
단, 사전의 검경에서는 검체가 규조와 유사한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28S D2C2에 의한 배열
Caecitellus paraparvulus HFCC71주(비코소에카)의 배열과 8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상동성이 90% 미만이다. 또한, 배열이 짧은데다가, 스코어, 커버율 모두 모두 낮고, 18S의 결과에 비해 동정 결과에대한 신뢰도가 상당히 낮다.
이 때문에, 이번의 동정의 고찰로부터는 제외한다.
단, 18S의 결과(비코소에카인 것)과는 모순되지 않는다.
·28S D2R2에 의한 배열
Pseudo-nitzschia multistriata HAB-132주(윷돌말아강)의 배열과 92%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상동성이 92%로 낮다. 또한, 배열이 짧은데다가, 스코어, 커버율 모두 낮고, 18S의 결과에 비해 동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
단, 사전의 형태 관찰(규조인 것)과는 모순되지 않는다.
(동정 결과)
불명료
1: 플랑크톤
4: GF/C 필터
5: 용기

Claims (9)

  1.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상기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세포 내용물의 취출을 수행하고, 그 후 취출한 세포 내용물을 가열하고, 상기 가열한 가열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의 생성 방법.
  2.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상기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세포 내용물의 취출을 수행하고, 그 후 취출한 세포 내용물을 가열하고, 상기 가열한 가열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에 속하는 규조 또는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의 생성 방법.
  3.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추출액을 첨가하여 파쇄하고, 상기 플랑크톤으로부터 세포 내용물의 추출을 수행한 후, 가열하고, 상기 가열한 가열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에 속하는 규조 또는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의 생성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시간은 적어도 1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의 생성 방법.
  5.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상기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세포 내용물의 취출을 수행하고, 그 후 취출한 세포 내용물을 가압하고, 상기 가압한 가압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의 생성 방법.
  6.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상기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세포 내용물의 취출을 수행하고, 그 후 취출한 세포 내용물을 가압하고, 상기 가압한 가압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에 속하는 규조 또는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의 생성 방법.
  7. 채취한 플랑크톤을 포함하는 해수에 대하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수행하고, 필터 위에 남은 플랑크톤에 대하여 추출액을 첨가하여 파쇄하고, 상기 플랑크톤으로부터 세포 내용물의 추출을 수행한 후, 가압하고, 상기 가압한 가압물로부터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을 생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플랑크톤은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에 속하는 규조 또는 규조문, 윷돌말아문, 윷돌말강, 윷돌말아강, 방패돌말목(스리레라(Surirellales)목), 나비돌말과(엔토모네이스(Entomoneidaceae)과), 나비돌말속(엔토모네이스(Entomoneis)속)의 규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의 생성 방법.
  8.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은 적어도 2 기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의 생성 방법.
  9.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시간은 적어도 1시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의 생성 방법.
KR1020217004425A 2018-08-07 2019-07-25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의 생성 방법 KR102515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8628 2018-08-07
JPJP-P-2018-148628 2018-08-07
JP2019053147A JP6632010B1 (ja) 2018-08-07 2019-03-20 プランクトンからの3、5−ジヒドロキシ−4−メトキシベンジルアルコール(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の生成方法
JPJP-P-2019-053147 2019-03-20
PCT/JP2019/029201 WO2020031720A1 (ja) 2018-08-07 2019-07-25 プランクトンからの3、5-ジヒドロキシ-4-メトキシベンジルアルコール(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の生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497A KR20210031497A (ko) 2021-03-19
KR102515888B1 true KR102515888B1 (ko) 2023-03-30

Family

ID=6914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425A KR102515888B1 (ko) 2018-08-07 2019-07-25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의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421252B2 (ko)
EP (1) EP3835427A4 (ko)
JP (1) JP6632010B1 (ko)
KR (1) KR102515888B1 (ko)
CN (1) CN112601820A (ko)
AU (1) AU2019320175B2 (ko)
GB (1) GB2590563B (ko)
MY (1) MY192957A (ko)
SG (1) SG11202101256TA (ko)
WO (1) WO2020031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1317B2 (ja) * 2019-11-20 2022-08-02 株式会社渡辺オイスター研究所 プランクトンからの3、5-ジヒドロキシ-4-メトキシベンジルアルコール(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の生成方法
CN115684417B (zh) * 2022-11-01 2023-05-02 青岛海洋食品营养与健康创新研究院 基于液相色谱质谱联用的3,5-二羟基-4-甲氧基苄醇的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2825A (ja) 2014-08-22 2016-04-04 株式会社渡辺オイスター研究所 カキ肉から3、5−ジヒドロキシ−4−メトキシベンジルアルコール(3、5−dihydroxy−4−methoxybenzylalcohol)を生成する生成方法
JP2017132753A (ja) 2016-01-27 2017-08-03 株式会社渡辺オイスター研究所 抗ストレス、抗抑うつ、抗疲労、抗混乱、活気増幅用カキ肉エキス
JP2018118910A (ja) 2017-01-23 2018-08-02 株式会社渡辺オイスター研究所 睡眠効率の悪化抑制作用と睡眠困難改善作用、Quality of life(以後、QOLと称する)の睡眠の項目に基づく睡眠の改善、総覚醒回数の維持による中途覚醒増加の抑制を有するカキ肉エキ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9559B2 (ja) * 2011-01-28 2015-03-04 株式会社渡辺オイスター研究所 抗酸化剤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6009594A1 (ja) * 2014-07-15 2016-01-21 株式会社渡辺オイスター研究所 肝臓保護剤、糖代謝改善剤及び抗肥満剤
JP2019029201A (ja) * 2017-07-31 2019-0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導光板及び面光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2825A (ja) 2014-08-22 2016-04-04 株式会社渡辺オイスター研究所 カキ肉から3、5−ジヒドロキシ−4−メトキシベンジルアルコール(3、5−dihydroxy−4−methoxybenzylalcohol)を生成する生成方法
JP2017132753A (ja) 2016-01-27 2017-08-03 株式会社渡辺オイスター研究所 抗ストレス、抗抑うつ、抗疲労、抗混乱、活気増幅用カキ肉エキス
JP2018118910A (ja) 2017-01-23 2018-08-02 株式会社渡辺オイスター研究所 睡眠効率の悪化抑制作用と睡眠困難改善作用、Quality of life(以後、QOLと称する)の睡眠の項目に基づく睡眠の改善、総覚醒回数の維持による中途覚醒増加の抑制を有するカキ肉エキス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Chemistry, 2012, Vol.134, pp.2086-2089.
Journal of Agricultural Chemistry, 2012, Vol.60, pp.830-83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0030A1 (en) 2021-10-07
MY192957A (en) 2022-09-19
WO2020031720A1 (ja) 2020-02-13
CN112601820A (zh) 2021-04-02
EP3835427A4 (en) 2022-04-27
US11421252B2 (en) 2022-08-23
GB202101302D0 (en) 2021-03-17
KR20210031497A (ko) 2021-03-19
AU2019320175A1 (en) 2021-02-18
EP3835427A1 (en) 2021-06-16
GB2590563A (en) 2021-06-30
AU2019320175B2 (en) 2022-11-24
JP6632010B1 (ja) 2020-01-15
JP2020023469A (ja) 2020-02-13
SG11202101256TA (en) 2021-03-30
GB2590563B (en)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888B1 (ko)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콜의 생성 방법
Oo et 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letotrichum species associated with bitter rot disease of apple in South Korea
Yokoyama et al. Kudoa thyrsites from Japanese flounder and Kudoa lateolabracis n. sp. from Chinese sea bass: causative myxozoans of post-mortem myoliquefaction
CN107312815A (zh) 一种辣椒炭疽病室内抗性鉴定方法
CN107653328B (zh) 美地绵粉蚧的特异性ss-coi检测引物及检测方法和试剂盒
KR20220100965A (ko) 플랑크톤으로부터의 3,5-디히드록시-4-메톡시벤질알코올(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의 생성 방법
Terhonen et al. Sphaeropsis sapinea found as symptomless endophyte in Finland
Fu et al. Colletotrichum fructicola, first record of bitter rot of apple in China
CN103276067B (zh) 一种采用特异性引物快速鉴定枣实蝇的方法
Kilambo et al. Characterization of Colletotrichum kahawae strains in Tanzania
Carrasco et al. Delta de l’Ebre is a natural bay model for Marteilia spp.(Paramyxea) dynamics and life-cycle studies
CN101838705A (zh) 一种水果或蔬菜上洋葱伯克氏菌群的检测及种的鉴定方法
JP2020100577A (ja) 二枚貝から3、5−ジヒドロキシ−4−メトキシベンジルアルコール(3、5−dihydroxy−4−methoxybenzyl alcohol)を生成する生成方法
TW202239964A (zh) 由浮游生物生成3,5-二羥基-4-甲氧基苯甲醇之方法
CN105803051A (zh) 一种甜瓜黑斑病病原菌的鉴别方法
De Dios-Avila et al. Parasitoids and Entomopathogens Associated with the Avocado Stem Weevil, Copturus aguacatae (Coleoptera: Curculionidae) in Nayarit, Mexico
Lestari et al. The occurrence of trematodes infection in cantang grouper (Epinephelus fuscoguttatus lanceolatus) at Lamong Bay, Surabaya, Indonesia
Yuelian et al. A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to distinguish two fungal pathogens causing leaf spots on C innamomum burmannii
CN105331712B (zh) 一种快速鉴定腌渍绵蜇种属的方法
Volkers et al. Xanthomonas citri pv. citri Findings in Citrus Fruits Imported in the Netherlands
Javed et al. First report of postharvest decay of actinidia deliciosa caused by penicillium expansum in pakistan
CN103184292A (zh) 一种枣实蝇快速鉴定的方法
Rempe-Vespermann et al. Hist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rowning and glassiness—quality deficiencies of white asparagus spears (Asparagus officinalis)
Pascual et al. Myxosporean infection in frozen blocks of Patagonian Hakes
CN118067494A (zh) 一种象山港熊本牡蛎的鉴定方法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