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058B1 -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058B1
KR102513058B1 KR1020187036067A KR20187036067A KR102513058B1 KR 102513058 B1 KR102513058 B1 KR 102513058B1 KR 1020187036067 A KR1020187036067 A KR 1020187036067A KR 20187036067 A KR20187036067 A KR 20187036067A KR 102513058 B1 KR102513058 B1 KR 10251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lower mold
peeling
lens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324A (ko
Inventor
다카하루 나카지마
다케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92Demoulding, e.g. separating lenses from mould halves
    • B29D11/00221Demoulding, e.g. separating lenses from mould halves using p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11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thin-wall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40Plastics, e.g. foam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4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destruc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6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58Liquid or visquous
    • B29K2105/0061Gel or s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16Lenses
    • B29L2011/0041Contact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고,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 (B) 상형과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 (C)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제 2 박리 공정, 및 (D)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제 3 박리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캐스트 몰드 제법으로 제조된 콘택트 렌즈를 형 (型) 으로부터 취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캐스트 몰드 제법으로 제조하는 콘택트 렌즈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기로 제작된 오목형 (이하, 「하형」이라고도 한다.) 과 볼록형 (이하, 「상형」이라고도 한다.) 사이의 공동에 콘택트 렌즈 기재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액을 주입하고, 광이나 열 등에 의해 중합하고, 중합 후에 이형하고, 검사 그리고 수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형과 하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모노머 (중합 후이면 콘택트 렌즈) 가 끼워 넣어진 상태의 것을 워크라고 칭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226419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3-512206호 일본 특허공보 소58-528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555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50964호
중합 후의 콘택트 렌즈를 취출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는, 극저온 물질인 액체 질소를 워크와 접촉시킴으로써, 내포된 콘택트 렌즈와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워크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극저온 물질을 워크에 접촉시키기 위한 특수한 방이나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구성이나 작업자의 안전성을 고려한 경우 바람직하지 않다.
또, 중합 후의 콘택트 렌즈를 젖은 상태로 취출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에는, 콘택트 렌즈가 부착되어 있는 워크를 메탄올액 중에 담그어 5 ∼ 10 분간 방치해 둠으로써, 콘택트 렌즈를 자연스럽게 워크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작업 시의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나, 유기 용액의 공급, 폐기의 대규모 설비가 필요로 되는 것이 생각되어, 공업적인 생산 라인에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 이형 공정 후에 콘택트 렌즈를 마른 상태로 검사하고 싶은 경우, 건조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어 제조 비용에 있어서도 과제가 남는다.
또한, 콘택트 렌즈를 마른 상태로 취출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에는, 콘택트 렌즈를 보유하는 오목형의 렌즈 성형면을 하방을 향하게 하고, 렌즈 성형면과 대향하는 측 (즉 반대측, 이면측) 인 비렌즈 성형면의 중심을 상방으로부터 프레스 헤드로 가압함으로써 콘택트 렌즈를 자연 낙하시켜 취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오목형의 비렌즈 성형면에 응력이 가해짐으로써 콘택트 렌즈는 오목형으로부터 박리는 되지만, 콘택트 렌즈의 변형이 생길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어, 콘택트 렌즈를 취출할 수 있는 확률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콘택트 렌즈를 결손시키지 않고 취출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에는, 취출용 손가락용 돌출부를 복수의 속도로 나누어 이동시킴으로써, 오목형 및 볼록형의 분리 시에 콘택트 렌즈에 흠집을 내지 않는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오목형 및 볼록형을 분리할 때에 특수한 장치·기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에 과제가 남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마른 콘택트 렌즈를 대규모의 수법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확률로 취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캐스트 몰드 제법으로 제작된 워크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를 마른 상태로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대규모의 수법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확률로 취출하는 방법에 대해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하의 방법을 알아냈다.
즉, 상형의 비렌즈 성형면에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콘택트 렌즈와 상형 사이에 새로운 공간이 생기는 경향을 알아냈다. 구체적으로는, 상형의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하면, 상형의 렌즈 성형면의 곡률이 축소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것에 대해, 하형의 렌즈 성형면은 변형되지 않는다. 요컨대, 끼워 맞춤부 (상형과 하형이 접합하는 지점) 에 응력이 전달되면, 하형의 플랜지를 지지하는 제 1 유지구가 이 응력을 받아들이고, 하형의 플랜지는 응력에 따라 변형되지만, 상형으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은 이 하형의 플랜지에서 약해져, 하형의 렌즈 성형면은 변형에 이르지 않는다. 또, 콘택트 렌즈는 탄성체이기 때문에, 상형으로부터의 응력은 완화된다. 이 결과, 상형에 접하는 베이스 커브측에는 새로운 공간이 생기지만, 하형에 접하는 프론트 커브측에는 새로운 공간이 생기지 않는다. 요컨대, 콘택트 렌즈와 상형이 부분적으로 박리되는 한편, 콘택트 렌즈는 하형에 간극 없이 부착되어 있다 (후술하는 제 1 박리 공정).
본 발명자들은 또, 쐐기 형상의 클로를 사용함으로써, 워크로부터 상형과 하형을 분리하는 확실성이 향상되는 경향을 알아냈다. 구체적으로는, 에지의 상향 테이퍼에 의해, 하형을 위로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이것과 함께, 에지의 하향 테이퍼에 의해, 상형을 아래로 밀어 내리는 힘이 작용한다. 요컨대, 상방에 있는 하형을 밀어 올리는 힘과 하방에 있는 상형을 아래로 밀어 내리는 힘이 함께 작용한다. 또, 경상 대칭의 클로가 좌우로부터 동시에 워크를 떼어 놓는다. 이로써, 워크로부터 상형과 하형이 확실하게 분리된다 (후술하는 분리 공정).
요컨대, 워크를 분리하기 전에 상형의 렌즈 비성형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콘택트 렌즈와 상형의 렌즈 성형면이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있는 지점이 기점이 되어, 워크를 분리하면, 콘택트 렌즈는, 상형으로부터 박리되고, 부착된 채의 하형에 남는다. 이렇게 하여 상형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를 이형하는 공정은 필요 없어,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하형을 후의 제 2 박리 공정에 수수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콘택트 렌즈의 주변 부근을 박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과 콘택트 렌즈의 중심 부근을 박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힘이 상이하다는 경향을 알아냈다.
즉, 먼저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시키고 (후술하는 제 2 박리 공정 후), 그 후에 부착되어 있는 나머지 지점을 박리시킨다 (후술하는 제 3 박리 공정).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시킬 때에는, 하형의 비렌즈 성형면에 접음선이 들어가는 부하를 부여한다. 이로써, 하형의 렌즈 성형면은 가압되면 변형 (하형의 렌즈 비성형면의 일부가 역의 곡률이 될 때까지 반전) 되기 쉬워지고, 부착되어 있는 나머지 지점을 박리시킬 때에 필요한 힘은 하형의 렌즈 성형면이 변형되는 정도로까지 가압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요컨대, 먼저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로부터 박리하고, 또한 하형으로부터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시키기 위한 힘의 가하는 방법과 하형으로부터 콘택트 렌즈 전체를 박리시키기 위한 힘의 가하는 방법의 성질을 나눈다. 이로써, 콘택트 렌즈를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워크에 끼워 넣어진 콘택트 렌즈를 마른 상태로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대규모의 수법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확률로 취출할 수 있다.
이상의 지견에 기초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양태는,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 (B) 상형과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 (C)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제 2 박리 공정, 및 (D)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제 3 박리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제 1 박리 공정은 직경 5.0 ∼ 10.0 mm 의 원기둥 또는 각기둥인 제 1 프레스 헤드를 포함하고, 제 1 프레스 헤드는 상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제 1 박리 공정에 있어서, 상형의 비렌즈 성형면을 연직 방향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를 향하는 자세로 하고 나서 제 1 프레스 헤드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분리 공정에 있어서, 상형의 비렌즈 성형면이 연직 방향의 바로 아래를 향하는 자세로 하고 나서, 하형에 설치된 플랜지와 상형에 설치된 플랜지 사이에 클로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 제 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제 2 박리 공정은, 가압면이 오목면이고 하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의 곡률 이상인 제 2 프레스 헤드를 포함하고, 제 2 프레스 헤드는 하형의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 제 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제 2 박리 공정에 있어서, 하형의 비렌즈 성형면을 연직 방향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를 향하는 자세로 하고 나서 제 2 프레스 헤드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5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제 3 박리 공정은, 가압면이 오목면 또는 원통인 제 3 프레스 헤드를 포함하고, 제 3 프레스 헤드는 하형의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 제 6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제 3 박리 공정에 있어서, 하형의 비렌즈 성형면을 연직 방향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를 향하는 자세로 하고 나서 제 3 프레스 헤드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7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소재는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하이드로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 제 8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A)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제 1 박리 수단, (B) 상형과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 (C)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제 2 박리 수단, 및 (D)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제 3 박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는, 제 1 박리 수단은, 직경 5.0 ∼ 10.0 mm 의 원기둥 또는 각기둥인 제 1 프레스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0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는, 제 2 박리 수단은, 가압면이 오목면이고, 오목면의 곡률은 하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의 곡률 이상인 제 2 프레스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0 또는 제 11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3 양태는, 제 3 박리 수단은, 가압면이 오목면 또는 원통인 제 3 프레스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0 ∼ 제 12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4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소재는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하이드로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0 ∼ 제 1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5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기 위한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기 위한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방법으로서, (A)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 (B) 상형과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 (C)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제 2 박리 공정, 및 (D)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제 3 박리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취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6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콘택트 렌즈를 하형에 부착시킨 상태인 채,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7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콘택트 렌즈를 하형에 부착시킨 상태인 채,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제 1 박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8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상형과 하형을 분리하기 위한 지그로서, 상형의 플랜지와 하형의 플랜지 사이에 쐐기로서 끼워 넣는 에지, 에지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바로 위를 향하는 제 1 테이퍼가 형성된 반원호의 절결부, 및 에지 중 절결부를 제외한 지점에 바로 아래를 향하는 제 2 테이퍼가 형성된 단부 (端部) 를 구비하는 분리 지그이다.
본 발명의 제 19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콘택트 렌즈를 하형에 부착시킨 상태인 채,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 및 상형과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20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콘택트 렌즈를 하형에 부착시킨 상태인 채,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제 1 박리 수단, 및 상형과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21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하형 가박리 공정, 및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하형 본박리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22 양태는,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하형 가박리 수단, 및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하형 본박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상형 및 상기 하형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양태를 서로 적절히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일 양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른 콘택트 렌즈를 대규모의 수법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확률로 취출할 수 있다.
도 1 은 콘택트 렌즈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상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상형의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하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하형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는 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상형과 하형이 조립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 는 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상형과 하형이 조립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박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 은 클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클로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분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2 박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 2 박리 공정을 실시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2 박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하형을 제 2 프레스 헤드로 가압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1 은 제 3 박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 3 박리 공정을 실시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3 박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 3 박리 공정을 실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 공정의 일례로서, 클린 룸 내의 제조 설비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 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서술한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하는 이하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다음의 순서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는 소정의 값 이상 또한 소정의 값 이하를 가리킨다.
1. 콘택트 렌즈의 제조 공정
2.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
3. 실시예 및 비교예
4. 기타 적합예
<1. 콘택트 렌즈의 제조 공정>
캐스트 몰드 제법을 적용한 콘택트 렌즈 (10) 의 제조 공정에 대해, 도 1 의 공정 플로우에 따라 설명한다. 도시와 같이, 콘택트 렌즈 (10) 의 제조 공정에서는, 성형 공정 S1, 주입 공정 S2, 중합 공정 S3, 이형 공정 S4, 검사 공정 S5 및 수화 공정 S6 을 순서대로 실시한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공정은, 모두 청정하고 또한 건조한 환경 (클린 룸 내) 에서 실시된다.
(성형 공정 : S1)
성형 공정 S1 에서는, 콘택트 렌즈 (10) 의 성형에 사용하는 상형 (12) (이하, 「베이스 커브형」이라고도 한다.) 및 하형 (14) (이하, 「프론트 커브형」이라고도 한다.) 을 사출 성형기로 각각 제작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베이스 커브형 (12) 은, 콘택트 렌즈 (10) 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제 1 렌즈 성형면 (16) (이하, 「BC 성형면」이라고도 한다.) 을 갖고, 이 BC 성형면 (16) 의 이측 (「이면」이라고도 한다.) 에는 규정의 곡률을 가진 구면 형상인 제 1 비렌즈 성형면 (18) (이하, 「상형 가압면」이라고도 한다.) 을 갖는다. 또, 상형 (12) 의 둘레벽 (20) 은 BC 성형면 (16) 을 주위하고, 이 둘레벽 (20) 과 인접하는 위치에 칼라상의 플랜지 (22) 가 설치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프론트 커브형 (14) 은, 콘택트 렌즈 (10) 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제 2 렌즈 성형면 (24) (이하, 「FC 성형면」이라고도 한다.) 을 갖고, 이 FC 성형면 (24) 의 이측에는 규정의 곡률을 가진 구면 형상인 제 2 비렌즈 성형면 (26) (이하, 「하형 가압면」이라고도 한다.) 을 갖는다. 또, 하형 (14) 의 둘레벽 (28) 은 FC 성형면 (24) 을 주위하고, 이 둘레벽 (28) 과 인접하는 위치에 칼라상의 플랜지 (30) 가 설치된다.
또한, 상형 (12) 및 하형 (14) 의 재질은, 예를 들어 모노머 (32) (후술) 에 대해 내용제성이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그것에 더하여, 후술하는 이형 공정 S4 에서 상형 (12) 이나 하형 (14) 을 일부 변형시키기 때문에, 그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그것을 감안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재질로서 수지를 사용한다. 이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펜텐,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환상 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주입 공정 : S2)
주입 공정 S2 에서는, 성형 공정 S1 에서 제작된 하형 (14) 에 콘택트 렌즈 기재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액 (32) (이하, 「모노머」라고도 한다.) 을 붓고, 상형 (12) 을 하형 (14) 의 바로 위로부터 조합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4 의 상태로부터 도 5 의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형 (12) 과 하형 (14) 의 공간에 모노머 (32) 가 포함되고, 상형 (12) 과 하형 (14) 이 조합된 상태를 워크 (34) 라고 칭한다. 또한, 바로 위란 클린 룸 내에서는 천정 (즉, 하늘 및 상방) 방향을 의미하고, 바로 아래란 클린 룸 내에서는 플로어 (즉, 땅 및 하방) 방향을 의미한다. 이후, 천지 방향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상기 상태로 한다.
콘택트 렌즈 기재는, 중합 후에 콘택트 렌즈 형상을 유지하고, 하이드로겔이 될 수 있는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을 함유하고, 하이드로겔이 될 수 있는 공중합체이면 되고, 종래부터 소프트 콘택트 렌즈 기재로서 알려져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기재로서 바람직하게는, (a) 적어도 1 종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실리콘 모노머, (b) 적어도 1 종의 비닐기를 갖는 친수성 모노머, (c) 적어도 1 종의 가교성 모노머 및 (d) 적어도 1 종의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a) 실리콘 모노머는 1 분자에 1 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실리콘 모노머이고, 실리콘 모노머 (a) 는 1 개 ∼ 4 개의 규소 원자를 1 분자 중에 함유하고 또한 분자 중에 적어도 1 개의 수산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기를 가지고 있는 실리콘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실리콘 모노머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5,452,756호 명세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1 개의 수산기 및 1 개 ∼ 4 개의 규소 원자를 1 분자 중에 함유하는 실리콘 모노머의 1 종 또는 2 종 이상 (이하, 「(a1)」이라고 칭한다.), 또는 적어도 1 개의 폴리에틸렌글리콜기 및 1 개 ∼ 4 개의 규소 원자를 1 분자 중에 함유하는 실리콘 모노머의 1 종 또는 2 종 이상 (이하, 「(a2)」라고 칭한다.) 의 실리콘 모노머일 수 있다. 실리콘 모노머 (a1) 을 예시하면, 하기 일반식 (a1-1) 이나 (a1-2) 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24620277-pct00001
[식 중, R1, R2, R3 및 R4 는 메틸기이고, R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a 는 1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 실리콘 모노머 (a2) 를 예시하면, 하기 일반식 (a2-1) 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8124620277-pct00002
[식 중, R1, R2, R3 및 R4 는 메틸기이고, a 는 1 ∼ 3 의 정수를 나타내고, m 은 4 ∼ 8 이다. 식 중의 X 는 하기 식 (Y1) 또는 (Y2) 로 나타내는 치환기에서 선택되는 1 개이다 (식 중, R5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18124620277-pct00003
또한, (a1) 또는 (a2) 의 실리콘 모노머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I) 로 나타낼 수도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8124620277-pct00004
[식 중, R1, R2, R3 및 R4 는 메틸기이고, a 는 1 ∼ 3 의 정수를 나타내고, n 은 0 또는 1 을 나타내고, m 은 0 또는 4 ∼ 8 을 나타낸다. 단, n 이 1 일 때에는 m 은 0 이고, n 이 0 일 때에는 m 은 4 ∼ 8 (반복 평균값으로서의 값) 이다. 식 중의 X 는, 식 (Y1) ∼ (Y2) 로 나타내는 치환기에서 선택되는 1 개이다.]
(중합 공정 : S3)
중합 공정 S3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워크 (34) 에 충전된 모노머 (32) 를 중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워크 (34) 내의 모노머 (32) 에 대해, 열을 가하거나, 혹은 광 (자외선 및/또는 가시광선) 을 조사함으로써, 모노머 (32) 를 중합 반응시킨다. 이렇게 하여, 모노머 (32) 가 중합됨으로써 콘택트 렌즈 (10) 가 워크 중에 생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워크 (34) 에 충전한 모노머 (32) 를 중합로에 의해 중합 (열중합) 시킴으로써, 모노머 (32) 를 경화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형 공정 : S4)
이형 공정 S4 에서는, 중합 공정 S3 에서 모노머 (32) 의 중합을 끝낸 후, 워크 (34) 를 상형 (12) 과 하형 (14) 으로 분리하여 콘택트 렌즈 (10) 를 취출한다. 이형 공정 S4 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검사 공정 : S5)
검사 공정 S5 에서는, 이형 공정 S4 에서 취출된 콘택트 렌즈 (10) 를 회수하고, 검사 장치를 사용한 자동 검사 및/또는 반자동 검사로 양품 혹은 불량품의 판별이 실시된다.
(수화 공정 : S6)
수화 공정 S6 에서는, 검사 공정 S5 에서 양품으로 판별된 콘택트 렌즈 (10) 를 팽윤시킨다. 이 이후는, 멸균 후에 포장되고 출하된다.
<2.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
이형 공정 S4 는, 제 1 박리 공정 s1, 분리 공정 s2, 제 2 박리 공정 s3 및 제 3 박리 공정 s4 로 구성된다.
(제 1 박리 공정 s1)
제 1 박리 공정 s1 은, 콘택트 렌즈 (10) 를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상형 (12) 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제 1 박리 공정 s1 에서는, 제 1 프레스 헤드 (36) (제 1 박리 수단, 상형 박리 수단, 상형 프레스 헤드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 1 박리" 를 "상형 박리" 로 바꾸어 읽어도 상관없다.) 를 사용하여 상형 가압면 (18) 을 가압한다. 이 양태를 나타낸 것이 도 6 이다.
제 1 프레스 헤드 (36) 는, 콘택트 렌즈 (10) 와 상형 (12) 사이에 새로운 공간을 생기게 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콘택트 렌즈 (10) 를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상형 (12) 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박리한다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프레스 헤드 (36) 의 가압면 (즉, 도 6 에서 나타내는 제 1 프레스 헤드 (36) 가 상형 가압면 (18) 에 접하는 면이다. 이후, 생략.) 을 평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프레스 헤드 (36) 의 측면 (즉, 도 6 에서는 제 1 프레스 헤드 (36) 의 측면이 정면으로 보이고 있다. 이후, 생략.) 을 원기둥이나 다각형의 각기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각형 중 예를 들어 팔각형의 직경에 대해서는, 어느 각과 어느 각의 대각선 상을 잇는 직선 (즉, 팔각형의 외접원의 직경이다.) 에 상당한다. 이하, 다각형에 대해서는 동일한 정의로 한다.
제 1 프레스 헤드 (36) 의 직경은, 5.0 ∼ 10.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10.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9.0 mm)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프레스 헤드 (36) 의 재질은, 강성이나 내마모성이 우수하면 어떠한 재질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놋쇠, 스테인리스, 초경합금 혹은 강화 플라스틱이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이다. 또한, 후술하는 클로 (40, 42), 제 2 프레스 헤드 (66) 및 제 3 프레스 헤드 (72) 의 재질도 제 1 프레스 헤드 (36) 와 동일하다.
제 1 프레스 헤드 (36) 의 가압력은, 콘택트 렌즈 (10) 를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상형 (12) 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정도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180 ∼ 220 kgf/㎠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kgf/㎠ 이다.
제 1 프레스 헤드 (36) 의 압입량은, 콘택트 렌즈 (10) 를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상형 (12) 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정도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0.3 ∼ 0.4 mm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mm 이다. 압입량이 0.3 mm 를 하회하면, 분리 공정 s2 시에 콘택트 렌즈 (10) 가 상형 (12) 에 부착되는 비율이 높아지고, 압입량이 0.4 mm 를 상회하면 워크 (34) 는 파손되기 쉬워진다. 환언하면, 압입량이 0.35 mm 일 때에, 워크 (34) 를 파손시키지 않는 것과 콘택트 렌즈 (10) 및 상형 (12) 사이에 새로운 공간을 생기게 하는 것의 이율배반한 상태를 양립시키는 밸런스가 최량이 된다.
또한, 제 1 프레스 헤드 (36) 의 압입량이란, 제 1 프레스 헤드 (36) 가 상형 가압면 (18) 에 접촉하고 나서 제 1 프레스 헤드 (36) 가 워크 (34) 를 압입한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또, 후술하는 제 2 프레스 헤드 (66) 의 압입량 및 제 3 프레스 헤드 (72) 의 압입량에 있어서도 이 제 1 프레스 헤드의 압입량과 동일한 정의로 한다.
워크 (34) 는 제 1 유지구 (38) 에 의해 고정된다. 이 제 1 유지구 (38) 는, 워크 (34) 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작업성을 고려한 클리어런스를 가지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형 가압면 (18) 이 연직 방향의 바로 위 (즉, BC 성형면 (16) 이 바로 아래. 도 6 참조.) 를 향하는 자세로 워크 (34) 를 고정시키거나, 상형 가압면 (18) 이 연직 방향의 바로 아래 (즉, BC 성형면 (16) 이 바로 위. 도시 생략.) 를 향하는 자세로 워크 (34) 를 고정시키거나 할 수도 있다.
제 1 유지구 (38) 는, 예를 들어 대좌, 흡인관, 레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이나 다각형의 통인 평탄한 대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통의 평탄한 대좌이다. 또한, 제 1 유지구 (38) 의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크면 워크 (34) 의 센터링이 얻어지지 않고, 제 1 유지구 (38) 의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작으면 워크 (34) 를 놓는/취출하는 등의 작업성이 손상된다.
제 1 프레스 헤드 (36) 는, 도 6 의 백색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지구 (38) 상에 고정된 워크 (34) 의 연직 방향의 바로 위로부터 상형 가압면 (18) 을 바로 아래로 가압한다. 가압 시에는, 상형 가압면 (18) 의 평면으로 볼 때 (요컨대, 도 6 을 측면도로 하면, 측면도의 수선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 (상면도) 를 나타낸다. 이후, 생략.) 의 중심 위치와 제 1 프레스 헤드 (36) 의 가압면의 중심 위치를 합치 (센터링) 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여 상형 가압면 (18) 의 중심을 가압한다. 이후, 가압하는 장소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상기 상태로 한다.
상형 가압면 (18) 이 가압되면, BC 성형면 (16) 에 응력이 가해지고, BC 성형면 (16) 의 곡률이 축소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것에 대해, FC 성형면 (24) 은 변형되지 않는다. 요컨대, 끼워 맞춤부 (상형 (12) 과 하형 (14) 이 접하는 지점) 에 응력이 가해지면, 플랜지 (30) 를 지지하는 제 1 유지구 (38) 가 하형 (14) 으로 전해지는 응력을 받아들이고, 플랜지 (30) 는 이 응력에 따라 변형되지만, 이 응력은 플랜지 (30) 에서 약해지고, FC 성형면 (24) 은 변형되는 데까지 이르지 않는다. 또, 콘택트 렌즈 (10) 는 탄성체이기 때문에, 상형 (12) 으로부터 전해지는 응력을 어느 정도 완화시킨다.
이 결과, 상형 (12) 에 접하는 콘택트 렌즈 (10) 의 베이스 커브측에는 새로운 공간이 생기지만, 하형 (14) 에 접하는 콘택트 렌즈 (10) 의 프론트 커브측에는 새로운 공간이 생기지 않는다. 요컨대, 콘택트 렌즈 (10) 와 BC 성형면 (16) 이 부분적으로 박리되는 한편, 콘택트 렌즈 (10) 는 FC 성형면 (24) 에 간극 없이 부착되어 있다.
(분리 공정 s2)
분리 공정 s2 는, 워크 (34) 를 상형 (12) 과 하형 (14) 으로 분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분리 공정 s2 에서는, 클로 (40 및 42) (분리 수단) 를 사용하여 분리한다. 클로 (40 및 42) 를 나타낸 것이 도 7 이고, 분리 공정 s2 의 양태를 나타낸 것이 도 8 이다.
클로 (40) 는, 서로 대향하는 상면 및 하면에 의해 구성된 부분이고 쐐기로서 끼워 넣는 부분 (즉, 에지 (46)) 을 갖는다. 이 에지 (46) 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반원 형상 (반원호) 의 절결 (48) 이 형성되고, 에지 (46) 중 절결 (48) 을 제외한 지점에 단부 (50) 가 형성된다.
절결 (48) 은, 상형 (12) 의 플랜지 (22) 와 하형 (14) 의 플랜지 (30)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절결 (48) 의 형상은 워크 (34) 의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에 맞춰 적절히 설정해도 상관없다. 절결 (48) 은 또, 바로 위를 향하여 제 1 테이퍼 (52) 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워크 (34) 를 상형 (12) 과 하형 (14) 이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다. 단부 (50) 는, 바로 아래를 향한 제 2 테이퍼 (54) 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워크 (34) 를 상형 (12) 과 하형 (14) 이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다. 또한, 제 1 테이퍼 (52) 를 하향으로 하고, 제 2 테이퍼 (54) 를 상향으로 해도 상관없다.
클로 (42) 는, 클로 (40) 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절결 (58), 단부 (60), 제 1 테이퍼 (62) 및 제 2 테이퍼 (64) 를 갖는다. 요컨대, 클로 (42) 의 형상은 클로 (40) 와 경면 대칭 (클로 (40) 의 에지 (46) 와 클로 (42) 의 에지 (56) 를 서로 마주 보게 한 형태로의 경면 대칭) 의 형상이다.
여기서는, 제 1 테이퍼 (52) 와 제 2 테이퍼 (54) 가 조합됨으로써 상승 효과를 발휘한다. 상세하게 말하면, 클로 (40) 를 워크 (34) (플랜지 (22) 와 플랜지 (30) 사이) 에 끼워 넣으면, 제 1 테이퍼 (52) 에 의해, 워크 (34) 의 상방에 있는 하형 (14) 을 위로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이것과 함께, 제 2 테이퍼 (54) 에 의해, 워크 (34) 의 하방에 있는 상형 (12) 을 아래로 밀어 내리는 힘이 작용한다. 요컨대, 상방에 있는 하형 (14) 을 위로 밀어 올리는 힘과, 하방에 있는 상형 (12) 을 아래로 밀어 내리는 힘이 함께 작용함으로써, 워크 (34) 를 상형 (12) 과 하형 (14) 으로 용이하게 분리 가능해져, 하형 보유율 (후술) 이 향상된다.
제 2 유지구 (44) 는, 도 8 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흡입한다. 이 제 2 유지구 (44) 는, 상형 가압면 (18) 이 바로 아래를 향하는 자세 (즉, 하형 (14) 이 바로 위에 상형 (12) 이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를 유지하고, 작업성을 고려한 클리어런스를 가지는 범위이면 어떠한 형태여도 된다. 예를 들어, 흡인관이나 레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통이나 다각형의 통상의 흡인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통의 흡인관이다. 또한, 제 2 유지구 (44) 의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크면 워크 (34) 의 센터링이 얻어지지 않고, 제 2 유지구 (44) 의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작으면 워크 (34) 를 끼우는/취출하는 등의 작업성이 손상된다.
워크 (34) 는 제 2 유지구 (44) 에 의한 흡입에 의해, 상방에 하형 (14) 그리고 하방에 상형 (12) 이라는 상태로 워크 (34) 의 자세가 유지된다. 평행으로 마주 보는 플랜지 (22) 와 플랜지 (30) 의 간극에, 우측 방향으로부터 클로 (40) 가 플랜지 (30) 에 대해 평행하게 삽입되고, 좌측 방향으로부터 클로 (42) 가 플랜지 (30) 에 대해 평행하게 삽입된다. 이때, 단부 (50 및 60) 는 서로 근접하고, 절결 (48 및 58) 도 또 근접한다. 클로 (40 및 42) 가 좌우로부터 반주씩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클로 (40 및 42) 가 플랜지 (22 및 30) 의 사이로 동시에 들어가고, 워크 (34) 에 있어서의 상형 (12) 과 하형 (14) 의 조립의 해제에 가해지는 힘이 좌우 균등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워크 (34) 는 기울지 않는다. 삽입이 완료되면, 클로 (40 및 42) 에는 플랜지 (22 및 30) 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떼어 놓는 힘이 부여되고, 콘택트 렌즈 (10) 는 상형 (12) 으로부터 박리되어 하형 (14) 에 남고, 상형 (12) 은 하방으로 자연 낙하한다. 또한, 분리 시에 클로 (40 및 42) 는, 플랜지 (22 및 30) 의 간극에 평행하게, 또한 동시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상 대상의 클로 (40 및 42) 는, 플랜지 (22 및 30) 의 간극에 평행 또한 동시에 삽입한다. 또, 플랜지 (30) 에는 제 1 테이퍼 (52 및 62) 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힘이 작용하고, 플랜지 (22) 에는 제 2 테이퍼 (54 및 64) 에 의해 밀어 내려지는 힘이 작용한다. 또한 클로 (40 및 42) 는, 플랜지 (22 및 30) 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워크 (34) 를 떼어 놓는다. 이로써, 워크 (34) 로부터 상형 (12) 과 하형 (14) 이 확실히 분리된다.
또, 워크 (34) 를 분리하기 전에 상형 가압면 (18) 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콘택트 렌즈 (10) 와 BC 성형면 (16) 이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있는 지점이 기점이 되어, 워크 (34) 를 분리하면, 콘택트 렌즈 (10) 는, 상형 (12) 으로부터 박리되고, 부착된 채의 하형 (14) 에 남는다. 이 결과, 상형 (12) 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 (10) 를 이형하는 공정은 필요 없어, 콘택트 렌즈 (10) 가 부착된 하형을 후의 제 2 박리 공정 s3 에 수수할 수 있다.
(제 2 박리 공정 s3)
제 2 박리 공정 s3 은, 상형 (12) 을 분리한 후, 하형 (14) 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를 박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제 2 박리 공정 s3 에서는, 제 2 프레스 헤드 (66) (제 2 박리 수단, 하형 가박리 수단, 하형 제 1 프레스 헤드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 2 박리" 를 "하형 가박리" 라고 바꾸어 읽어도 상관없다.) 를 사용하여 하형 가압면 (26) 을 가압한다. 그 양태를 나타낸 것이 도 9 (가압 전) 및 도 10 (가압 시) 이다.
제 2 프레스 헤드 (66) 는, FC 성형면 (24) 과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가 박리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바람직하게는 콘택트 렌즈 (10) 를 결손시키지 않고, 하형 가압면 (26) 의 주변부에 접음선 (68) 이 들어가는 부하를 부여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2 프레스 헤드 (66) 의 가압면 (즉, 도 9 에서 나타내는 제 2 프레스 헤드 (66) 가 하형 가압면 (26) 에 접하는 면이다. 이후, 생략.) 을, 하형 가압면 (26) 의 곡률 이상의 오목면이나, 제 2 프레스 헤드 (66) 의 가압면이 중심 부근에 근접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곡률을 작게 한 복수의 곡률로 형성된 다단계의 오목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프레스 헤드 (66) 의 측면 (즉, 도 9 에서는 제 2 프레스 헤드 (66) 의 측면이 정면으로 보이고 있다. 이후, 생략.) 을 원기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프레스 헤드 (66) 의 곡률은, 바람직하게는 9.0 ∼ 9.5 mm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mm 이다. 제 2 프레스 헤드 (66) 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9.0 ∼ 14.0 mm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7 ∼ 13.3 mm 이다.
제 2 프레스 헤드 (66) 의 가압력은, FC 성형면 (24) 과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가 박리되고, 바람직하게는 콘택트 렌즈 (10) 를 결손시키지 않고, 하형 가압면 (26) 의 주변부에 절곡선이 들어가는 부하를 부여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180 ∼ 220 kgf/㎠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kgf/㎠ 이다.
제 2 프레스 헤드 (66) 의 압입량은, FC 성형면 (24) 과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가 박리되고, 바람직하게는 콘택트 렌즈 (10) 를 결손시키지 않고, 하형 가압면 (26) 의 주변부에 절곡선이 들어가는 부하를 부여하는 정도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1.5 ∼ 2.0 mm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mm 이다. 압입량이 1.5 mm 를 하회하면, 제 2 프레스 헤드 (66) 에 의한 가압 시에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가 박리되는 비율이 저하하고, 압입량이 2.0 mm 를 상회하면, 하형 (14) 은 파손되기 쉬워진다. 환언하면, 압입량이 1.7 mm 일 때에, 하형 (14) 을 파손시키지 않는 것과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를 하형 (14) 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의 이율배반한 상태를 양립시키는 밸런스가 최량이 된다.
접음선 (68) 이란, 후술하는 제 3 박리 공정 s4 에서 가압하여 볼록상의 하형 가압면 (26) 을 변형시킬 때의 기점이 되는 선 (절곡선) 을 가리키고, 구체적으로는 환상 압흔이 형성된다. 또한, 이 압흔은 환상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하형 (14) 은 제 3 유지구 (70) 에 의해 고정된다. 이 제 3 유지구 (70) 는, 하형 (14) 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작업성을 고려한 클리어런스를 가지는 범위이면 어떠한 형태여도 된다. 예를 들어, 하형 가압면 (26) 이 연직 방향의 바로 위 (즉, FC 성형면 (24) 이 바로 아래. 도 9 참조.) 를 향하는 자세로 하형 (14) 을 고정시키거나, 하형 가압면 (26) 이 연직 방향의 바로 아래 (즉, FC 성형면 (24) 이 바로 위. 도시 생략.) 를 향하는 자세로 하형 (14) 을 고정시키거나 할 수도 있다.
제 3 유지구 (70) 는, 예를 들어 대좌, 흡인관 및 레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둘레벽이 원 혹은 다각형이거나 플랜지 (30) 가 끼이는 홈이거나 하는 평탄한 대좌여도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원통의 대좌 (요컨대, 하형 (14) 의 설치면은 평탄하고 둘레벽은 원) 이다. 또한, 제 3 유지구 (70) 의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크면 하형 (14) 의 센터링이 얻어지지 않고, 제 3 유지구 (70) 의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작으면 하형 (14) 을 놓는/취출하는 등의 작업성이 손상된다.
도 9 로부터 도 10 으로 이행할 때, 제 2 프레스 헤드 (66) 는, 제 3 유지구 (70) 상에 고정된 하형 (14) 의 연직 방향의 바로 위로부터 하형 가압면 (26) 을 바로 아래를 향하여 가압한다. 이때, 하형 (14) 의 주변부에는 접음선 (68) 이 들어가는 부하가 부여된다. 하형 가압면 (26) 에의 가압에 수반하여 FC 성형면 (24) 에 응력이 가해지면, FC 성형면 (24) 의 곡률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고, FC 성형면 (24) 으로부터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가 박리된다. 가압 시에는, 하형 가압면 (26) 의 평면으로 볼 때 (요컨대, 도 9 를 측면도로 하면, 측면도의 수선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 (상면도) 를 나타낸다. 이후, 생략.) 의 중심 위치와 제 2 프레스 헤드 (66) 의 가압면의 중심 위치를 합치 (센터링) 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여 하형 가압면 (26) 의 중심을 가압한다. 이후, 가압하는 장소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상기 상태로 한다.
(제 3 박리 공정 s4)
제 3 박리 공정 s4 는, 하형 (14) 의 FC 성형면 (24) 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 (10) 를 FC 성형면 (24) 으로부터 모두 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제 3 박리 공정 s4 에서는, 제 3 프레스 헤드 (72) (제 3 박리 수단, 하형 본박리 수단, 하형 제 2 프레스 헤드라고도 칭한다. 또한, "제 3 박리" 를 "하형 본박리" 라고 바꾸어 읽어도 상관없다.) 를 사용하여 하형 가압면 (26) 을 가압한다. 그 양태를 나타낸 것이 도 11 (공정 전) 및 도 12 (공정 후) 이다.
제 3 프레스 헤드 (72) 는, 콘택트 렌즈 (10) 를 하형 (14) 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모두 박리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3 프레스 헤드 (72) 의 가압면 (즉, 도 11 에서 나타내는 제 3 프레스 헤드 (72) 가 하형 가압면 (26) 에 접하는 면이다. 이후, 생략.) 에는, 원통 혹은 오목면을 채용할 수 있다. 오목면의 경우, 직경이 9.0 ∼ 9.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mm) 의 범위로 하고, 곡률이 9.0 ∼ 11.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mm)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의 경우, 외경을 7.6 ∼ 8.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7.8 ∼ 8.0 mm) 의 범위로 하고, 내경을 6.5 ∼ 7.2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6.7 ∼ 7.0 mm)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3 프레스 헤드 (72) 의 측면 (즉, 도 11 에서는 제 3 프레스 헤드 (72) 의 측면이 정면으로 보이고 있다. 이후, 생략.) 을 원기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프레스 헤드 (72) 의 가압력은, 콘택트 렌즈 (10) 를 하형 (14) 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모두 박리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180 ∼ 220 kgf/㎠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kgf/㎠ 이다.
제 3 프레스 헤드 (72) 의 압입량은, 콘택트 렌즈 (10) 를 하형 (14) 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모두 박리할 수 있는 정도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4.2 ∼ 4.6 mm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4 mm 이다. 압입량이 4.2 mm 를 하회하면, 제 3 프레스 헤드 (72) 에 의한 가압 시에 일단 역방향으로까지 변형된 하형 가압면 (26) 이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 버려 콘택트 렌즈 (10) 는 하형 (14) 으로부터 박리하기 어려워지고, 압입량이 4.6 mm 를 상회하면 하형 (14) 은 파손되기 쉬워진다. 환언하면, 압입량이 4.4 mm 일 때에, 하형 (14) 을 파손시키지 않는 것과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를 하형 (14) 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의 이율배반한 상태를 양립시키는 밸런스가 최량이 된다.
하형 (14) 은 제 4 유지구 (74) 에 의해 자세가 유지된다. 이 제 4 유지구 (74) 는, 하형 (14) 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작업성을 고려한 클리어런스를 가지는 범위이면 어떠한 형태여도 된다. 예를 들어, 하형 가압면 (26) 이 연직 방향의 바로 아래 (즉, FC 성형면 (24) 이 바로 위. 도 11 참조.) 를 향하는 자세로 하형 (14) 을 고정시키거나, 하형 가압면 (26) 이 연직 방향의 바로 위 (즉, FC 성형면 (24) 이 바로 아래. 도시 생략.) 를 향하는 자세로 하형 (14) 을 고정시키거나 할 수도 있다.
제 4 유지구 (74) 는, 예를 들어 레일, 흡인관 및 대좌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레일이다. 또한, 제 4 유지구 (74) 의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크면 하형 (14) 의 센터링이 얻어지지 않고, 제 4 유지구 (74) 의 클리어런스가 지나치게 작으면 하형 (14) 을 놓는/취출하는 등의 작업성이 손상된다.
도 11 로부터 도 12 상태로 이행할 때, 제 3 프레스 헤드 (72) 는, 제 4 유지구 (74) 에 의해 자세가 고정된 하형 (14) 의 연직 방향의 바로 아래로부터 하형 가압면 (26) 을 바로 위를 향해 가압한다. 하형 가압면 (26) 에 다시 응력이 가해지면, 볼록상의 하형 가압면 (26) 의 중심부가 부분적으로 오목상으로 변형된다. 이때, 일부의 FC 성형면 (24) 의 곡률이 역방향으로까지 변형 (오목상이었던 FC 성형면 (24) 이 부분적으로 볼록상이 될 때까지 반전) 된다. 또한, 가압 시에는, 하형 가압면 (26) 의 평면으로 볼 때의 중심 위치와 제 3 프레스 헤드 (72) 의 가압면의 중심 위치를 센터링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여 하형 가압면 (26) 의 중심을 가압한다. 이후, 가압하는 장소에 대해서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상기 상태로 한다.
여기서, FC 성형면 (24) 의 곡률이 일부 역방향으로까지 변형됨으로써, 콘택트 렌즈 (10) 의 중심 부근과 FC 성형면 (24) 이 접하는 면적이 좁아져, 콘택트 렌즈 (10) 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 제 3 프레스 헤드 (72) 로 가압할 때에는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는 이미 박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에는 제 3 프레스 헤드 (72) 에 의한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로써, 콘택트 렌즈 (10) 는 변형되지 않고, 또한 결손도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먼저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를 FC 성형면 (24) 으로부터 박리시키고, 그 후에 주변부 이외를 FC 성형면 (24) 으로부터 박리시킨다.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를 박리시킬 때에는, 하형 가압면 (26) 에 접음선 (68) 이 들어가는 부하를 부여한다. 이로써, 하형 가압면 (26) (나아가서는 FC 성형면 (24)) 을 약한 힘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 먼저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로부터 박리하고, 또한 하형 (14) 으로부터 콘택트 렌즈 (10) 의 주변부를 박리시키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방법과 하형 (14) 으로부터 콘택트 렌즈 전체를 박리시키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방법의 성질을 나눈다. 이로써, 콘택트 렌즈 (10) 를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이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워크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를 마른 상태로 (바람직하게는 결손시키지 않고) 대규모의 수법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확률로 취출할 수 있다.
이하, 이형 공정 S4 를 전후의 공정과 연결시킨 자동 제어에 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성의 일례로서 들지만, 앞서 서술한 이형 공정 S4 의 각 공정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3 은,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콘택트 렌즈 (10) 의 제조 공정의 일례로서, 이형 공정 S4 전후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와 같이, 중합 공정 S3 과 검사 공정 S5 사이에 이형 공정 S4 (일점 쇄선으로 표시) 가 형성되고, 각 공정 사이는 벨트 컨베이어 (76) 로 접속된다. 또한, 각 공정 사이는 워크 (34) 에 충격을 주지 않고 반송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여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벨트 혹은 롤러 등의 위를 워크 (34) 가 이동해 로더나 언로더로 워크 (34) 의 이동의 정지 혹은 진행하는 반송 방법을 들 수 있다.
중합 공정 S3 종료 후의 워크 (34) 를 복수 실은 트레이 (78) (점선으로 표시) 는, 벨트 컨베이어 (76) 상을 이동하여 이형 공정 S4 의 분리기 (80) 에 투입된다. 이형 공정 S4 에서는, 분리기 (80) 에 의해 워크 (34) 로부터 하형 (14) 이 분리되고, 박리기 (82) 에 의해 하형 (14) 으로부터 콘택트 렌즈 (10) 가 박리된다.
상기 분리기 (80) 로 제 1 박리 공정 s1 및 분리 공정 s2 를 실시한다. 분리기 (80) 는, 제 1 프레스 헤드 (36), 제 1 유지구 (38), 클로 (40 및 42), 제 2 유지구 (44), 제 1 아암, 상형 회수고, 그리고 제 2 아암 (모두 도시 생략) 을 구비한다.
분리기 (80) 에서는, 중합 공정 S3 으로부터 운반된 워크 (34) 가 분리기 (80) 에 투입되면, 워크 (34) 가 제 1 유지구 (38) 상에 고정되고, 제 1 프레스 헤드 (36) 에 의해 상형 가압면 (18) 이 가압된다. 제 1 아암은, 가압된 워크 (34) 를 제 1 유지구 (38) 로부터 취출하고, 워크 (34) 를 반전시키고, 제 2 유지구 (44) 에 워크 (34) 를 배치한다. 클로 (40 및 42) 가 워크 (34) 에 삽입되면, 콘택트 렌즈 (10) 는 상형 (12) 으로부터 박리되어 하형 (14) 에 남고, 상형 (12) 은 상형 회수고로 자연 낙하한다. 제 2 유지구 (44), 클로 (40 및 42) 에 의해 유지된 하형 (14) 은, 제 2 아암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 (76) 상에서 대기하는 트레이 (78) 로 옮겨진다.
그 후, 상기 박리기 (82) 로 제 2 박리 공정 s3 및 제 3 박리 공정 s4 를 실시한다. 박리기 (82) 는, 제 2 프레스 헤드 (66), 제 3 유지구 (70), 제 3 프레스 헤드 (72), 제 4 유지구 (74), 제 3 아암, 그리고 흡착기 (모두 도시 생략) 를 구비한다.
박리기 (82) 에서는, 분리기 (80) 로부터 운반된 하형 (14) 이 박리기 (82) 에 투입되면, 하형 (14) 은 제 3 유지구 (70) 상에 고정되고, 제 2 프레스 헤드 (66) 에 의해 하형 가압면 (26) 이 가압된다. 제 3 아암은, 제 2 프레스 헤드 (66) 에 의해 가압된 하형 (14) 을 제 3 유지구 (70) 로부터 취출하고, 하형 (14) 을 반전시키고, 제 4 유지구 (74) 상에 배치한다. 하형 (14) 은 이때, 앞서 서술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유지구 (74) 에 의해 플랜지 (30) 를 지지하고, FC 성형면 (24) 을 바로 위를 향하게 하고 하형 가압면 (26) 을 바로 아래로 향하게 한 자세가 된다. 제 3 프레스 헤드 (72) 에 의해 하형 가압면 (26) 이 가압되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형 가압면 (26) 의 중심 형상이 변형되고, 콘택트 렌즈 (10) 는 하형 (14) 으로부터 완전히 박리되고, 흡착기에 의한 취출이 용이해진다.
이렇게 하여 하형 (14) 으로부터 박리된 콘택트 렌즈 (10) 는, 흡착기에 의해 취출되고, 벨트 컨베이어 (76) 상에서 대기하는 트레이 (78) 로 옮겨진다.
실시예
<3. 실시예 및 비교예>
이하, 본원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부호는 생략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5 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목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부호는 생략한다.
여기서, 도면 중에 나타내는 하형 보유율이란, 이형 공정에서 투입한 수 (샘플수라고도 한다.) 중 제 1 박리 공정을 거쳐 분리 공정 후에 콘택트 렌즈가 하형에 부착된 비율을 나타내고, 이하의 식 1 이 된다.
Figure 112018124620277-pct00005
또, 도면 중에 나타내는 이형률이란, 샘플수 중 제 2 박리 공정을 거쳐 제 3 박리 공정 후에 콘택트 렌즈가 하형으로부터 박리된 비율을 나타내고, 이하의 식 2 가 된다.
Figure 112018124620277-pct00006
또한 도면 중에 나타내는 양품률이란, 샘플수 중 하형으로부터 박리한 콘택트 렌즈가 이형 공정 유래의 불량이 아닌 양품으로 검사 공정에서 판정된 비율을 나타내고, 이하의 식 3 이 된다.
Figure 112018124620277-pct00007
(실시예 1)
제 1 프레스 헤드는 직경 7.0 mm 의 원기둥을 사용하고, 제 2 프레스 헤드의 가압면은 직경 12.9 mm 및 곡률 9.5 mm 의 오목면을 사용하고, 제 3 프레스 헤드의 가압면은 직경 9.0 mm 및 곡률 10.0 mm 의 오목면을 사용하였다.
중합 공정에서 중합된 실리콘 함유 콘택트 렌즈를 갖는 워크가 이형 공정에 투입되면, 분리기는, 중합 후의 워크를 제 1 유지구 상에 고정하고, 제 1 프레스 헤드에 약 200 kgf/㎠ 의 하중을 가하여 상형 가압면을 0.35 mm 압입하였다. 분리기는 또, 가압 후의 워크를 천지 반전시킨 다음, 워크를 제 2 유지구에 고정하고, 클로를 삽입하여 상형과 하형을 분리하였다. 이 결과, 하형 보유율이 100 % 였다.
또, 박리기는, 분리된 하형을 제 3 유지구 상에 고정하고, 제 2 프레스 헤드에 약 200 kgf/㎠ 의 하중을 가하여, 하형 가압면을 1.7 mm 압입하였다. 이때,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만 하형으로부터 박리되었다. 박리기는 또, 가압 후의 하형을 천지 반전시킨 다음, 하형을 제 4 유지구에 고정하고, 제 3 프레스 헤드에 약 200 kgf/㎠ 의 하중을 가하여 하형 가압면을 4.4 mm 압입하였다. 이때, FC 성형면의 일부의 곡률이 역방향까지 변형되고, 콘택트 렌즈 전체가 하형으로부터 박리되었다. 박리기는 또한, 변형된 FC 성형면 상의 콘택트 렌즈를 취출하였다. 이 결과, 이형률 및 양품률은 100 % 였다.
(실시예 2)
제 1 프레스 헤드에는 원기둥 (직경 8.0 mm) 을 사용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하형 보유율, 이형률 및 양품률 모두 100 % 였다.
(실시예 3)
제 1 프레스 헤드에는 원기둥 (직경 9.0 mm) 을 사용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하형 보유율, 이형률 및 양품률은 100 % 였다.
(실시예 4)
제 1 프레스 헤드에는 원기둥 (직경 8.0 mm) 을 사용하고, 제 2 프레스 헤드에는 오목면 (직경 13.3 mm, 곡률 11.5 mm) 을 사용하고, 제 3 프레스 헤드의 가압면에는 원통 (외경 (직경) 7.8 mm, 내경 6.7 mm) 을 사용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하형 보유율, 이형률 및 양품률은 100 % 였다.
(실시예 5)
제 3 프레스 헤드의 가압면에는 원통 (외경 8.0 mm, 내경 7.0 mm) 을 사용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하형 보유율, 이형률 및 양품률은 100 % 였다.
단, 제 3 박리 공정에 의해 FC 성형면은 오목상으로부터 볼록상으로 부분적으로 변형되었지만, 이 부분적으로 변형된 면적이 다른 실시예에 비해 넓고, FC 성형면의 중심 부근 중 볼록상으로 변형되지 않았던 오목상의 면적도 넓었기 때문에, FC 성형면의 중앙 부근과 콘택트 렌즈의 중앙 부근이 부착된 면적도 넓어졌다.
(실시예 6)
제 1 프레스 헤드에는 원기둥 (직경 5.0 mm) 을 사용하고, 그 외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하형 보유율 및 이형률은 100 % 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제 1 박리 공정에서 제 1 프레스 헤드가 상형 가압면을 압하했을 때에 난 듯한 원환상의 흠집 (압흔) 이 몇 개의 콘택트 렌즈의 중앙 부근에서 확인되었다. 이 결과, 양품률은 30 % 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프레스 헤드의 직경을 5.0 mm 로 하고 있고, 그 직경은, 본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바람직한 범위 (직경 7.0 ∼ 10.0 mm) 로부터 수 mm 이지만 벗어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와 실시예 4 에서는 양품률에 있어서 큰 차이가 발생하여 있다. 요컨대, 제 1 프레스 헤드에 관한 상기 바람직한 범위에는 큰 임계적 의의가 있는 것이, 본 실시예에 의해 나타났다.
(실시예 7)
제 1 프레스 헤드에는 팔각기둥 (즉, 팔각형의 각기둥이고, 가압면은 평탄하다. 또, 외접원의 직경은 7.8 mm 이다.) 을 사용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하형 보유율은 93 % 이고, 이형률 및 양품률은 하형 보유율에서 기인하여 모두 93 % 였다.
(실시예 8)
제 3 프레스 헤드의 가압면에는 원통 (외경 7.6 mm, 내경 6.5 mm) 을 사용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하형 보유율 및 이형률은 100 % 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제 3 박리 공정에서 제 3 프레스 헤드가 하형 가압면을 압하했을 때에 콘택트 렌즈가 하형으로부터 튀어나와, 몇 개의 콘택트 렌즈는 회수할 수 없었다. 이 결과, 양품률은 40 % 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통을 외경 7.6 mm, 내경 6.5 mm 로 하고 있고, 그 직경은, 본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바람직한 범위 (외경 7.8 ∼ 8.0 mm, 내경 6.7 ∼ 7.0 mm) 로부터 제로콤마 수 mm 이지만 벗어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와 실시예 4 에서는 양품률에 있어서 큰 격차가 발생한다. 요컨대, 제 3 프레스 헤드에 관한 상기 바람직한 범위에는 큰 임계적 의의가 있는 것이, 본 실시예에 의해 나타났다.
(비교예 1)
제 1 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그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분리 공정을 실시한 바, 하형 보유율은 40 % 였다. 박리기에 투입된 콘택트 렌즈는 모두 취출되고, 후의 검사 공정에서 모두 양품으로 판정되었지만, 이형률 및 양품률은 제 1 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영향을 받아 40 % 에 머물었다.
(비교예 2)
제 2 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그 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하형 보유율은 100 % 였지만, 이하의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형률은 0 % 였다. 즉, 제 3 프레스 헤드에 의한 가압에 견디지 못하고 하형이 파손된다. 만약 가압에 견딜 수 있었다고 해도, 제 3 박리 공정에서 FC 성형면을 변형시켰을 때에 콘택트 렌즈도 이 변형에 추종하고, 하형에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채가 되어, 콘택트 렌즈의 부착이 강하여 흡인기로 흡출해도 콘택트 렌즈를 취출할 수 없는 경향을 나타냈다.
(비교예 3)
제 1 박리 공정 및 분리 공정은 실시예 7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한 바, 하형 보유율은 90 % 였다. 다음으로, 제 2 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제 3 박리 공정은 실시예 4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한 바, 제 3 박리 공정에서 FC 성형면에 추종하도록 콘택트 렌즈가 변형되었기 때문에 흡착기로 취출할 수 없었다. 한편, FC 성형면에 추종하지 않는 콘택트 렌즈도 조금 있었다. 이 결과, 이형률 및 양품률은 10 % 였다.
(비교예 4)
제 1 프레스 헤드에는 팔각기둥 (외접원의 직경 7.8 mm) 을 사용하고, 제 2 프레스 헤드의 가압면에는 오목면 (직경 13.1 mm, 곡률 11.5 mm) 을 사용하고, 그리고 제 2 이형 공정과 제 3 이형 공정의 순서를 반대로 하였다. 요컨대, 제 3 박리 공정의 후에 제 2 박리 공정을 실시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제 1 박리 공정 및 분리 공정을 실시한 바, 하형 보유율은 90 % 였다. 계속해서, 제 3 이형 공정을 실시한 바, 콘택트 렌즈는 하형의 변형에 추종한 경우도 있는 한편, 하형의 변형에 추종하지 않고 하형으로부터 박리된 경우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 2 이형 공정을 실시한 바, 콘택트 렌즈는 하형의 변형에 추종한 채 하형으로부터 박리되지 않았다. 이 결과, 이형률 및 양품률은 10 % 였다.
(비교예 5)
제 3 박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고, 그 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하형 보유율은 97 % 였지만, 콘택트 렌즈와 하형이 부착된 채이기 때문에, 흡인기로 하형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취출할 수 없고, 이형률 및 양품률은 3 % 였다.
<4. 기타 적합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구성 요건이나 그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특정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나 개량을 가한 형태도 포함한다.
(제 1 박리 공정)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박리 공정은, 콘택트 렌즈를 결손시키지 않고 상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공정이고, 본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일 공정이다. 그 한편으로, 제 1 박리 공정 자체로도 큰 기술적 의의가 존재한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자가 본 실시형태를 창출하기 전에는, 워크로부터 상형과 하형을 분리하는 순간에 있어서, 사이에 두어진 콘택트 렌즈가 상형에 부착될지 하형에 부착될지 랜덤 요소가 컸다. 그 부착이 랜덤이면, 어느 워크에 대해서는 상형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한편으로, 별도의 워크에 대해서는 하형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작업으로 전환해야 하여 여분의 수고가 생긴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박리 공정이라면, 콘택트 렌즈를 하형의 FC 성형면에 확실하게 부착된 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콘택트 렌즈를 상형으로부터 확실하게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점을 감안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박리 공정은 그것 단체(單體)로 발명이 충분할 수 있다. 이것을 나타낸 것이 이하의 구성이다.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고,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장치) 으로서,
콘택트 렌즈를 하형에 부착시킨 상태인 채,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 (또는 제 1 박리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박리 방법 또는 제조 장치).』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1 박리 공정을 실시한 후에는, 본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각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이외의 공지된 수법을 이용하여 콘택트 렌즈를 제조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하형의 재질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그 경우, 공지된 수법으로, 콘택트 렌즈를 하형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콘택트 렌즈를 얻어도 된다.
(클로 및 분리 공정)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분리 공정에서 워크에 있어서의 상형과 하형을 분리하는 데에 이용된 클로 자체로도 큰 기술적 의의가 존재한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자가 본 실시형태를 창출하기 전에는, 워크로부터 상형과 하형의 분리가 불안정하였다. 예를 들어, 워크가 기울어져 있으면 클로가 기운 상태로 삽입되어 제대로 분리되지 않거나, 워크의 끼워 맞춤이 빡빡하여 클로를 삽입해도 제대로 분리되지 않거나 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로를 이용하면, 워크로부터 상형과 하형을 확실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점을 감안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로 즉 분리 수단 (지그) 은 그것 단체로 발명이 충분할 수 있다. 이것을 나타낸 것이 이하의 구성이다.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워크로부터 하형과 상형을 분리하기 위한 지그로서,
지그는, 하형과 상형 사이에 끼워 넣는 에지이고 대향하는 2 면을 갖는 에지를 갖고,
에지에 있어서, 2 면 중 1 면의 측에 테이퍼를 갖는 부분 (바람직하게는 에지의 중앙부이고 반원호상의 절결의 부분) 과, 2 면 중 별도의 1 면의 측에 테이퍼를 갖는 부분 (바람직하게는 에지의 단부) 을 구비한, 워크 분리용 지그.』
상기 구성은 어디까지나 워크 분리용 지그에 대한 것이고, 상형 및 하형의 재질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다. 또, 그 지그를 사용한 분리 공정 s2 에도 큰 기술적 의의가 존재하고, 그 분리 공정 s2 자체로도 큰 기술적 의의가 존재한다.
(제 1 박리 공정 + 분리 공정)
콘택트 렌즈를 결손시키지 않고 상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박리시킨다는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박리 공정 자체로도, 큰 기술적 의의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 후에 분리 공정을 실시하기 때문에, 콘택트 렌즈를 FC 성형면에 확실하게 부착한 채의 상태로 한 그대로 상형과 하형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제 1 박리 공정과 분리 공정을 조합한 구성 자체로도, 큰 기술적 의의가 존재한다. 이것을 나타낸 것이 이하의 구성이다.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고,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장치) 으로서,
콘택트 렌즈를 하형에 부착시킨 상태인 채,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 (또는 제 1 박리 수단), 및
상형과,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 (또는 분리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박리 방법 또는 제조 장치).』
(제 2 박리 공정 + 제 3 박리 공정)
콘택트 렌즈를 FC 성형면에 확실하게 부착한 채의 상태로 한 그대로 상형과 하형을 분리한다는 점에서, 제 1 박리 공정과 분리 공정을 조합한 구성 자체로도, 큰 기술적 의의가 존재한다. 한편, 하형의 FC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를 어떻게 박리할지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과제의 난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과제가 존재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박리 공정과 제 3 박리 공정을 조합함으로써, 하형의 FC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박리에 관련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2 박리 공정과 제 3 박리 공정을 조합한 구성 자체로도, 큰 기술적 의의가 존재한다. 이것을 나타낸 것이 이하의 구성이다.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고,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장치) 으로서,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가박리 공정 (또는 가박리 수단), 및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본박리 공정 (또는 본박리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박리 방법 또는 제조 장치).』
또한, 상기 구성의 경우, 하형의 FC 성형면에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상태로부터 각 공정을 개시해도 상관없으므로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박리 공정 s1 이 이미 실시된 후이다), 제 2 박리를 제 1 박리라고 칭하고, 제 3 박리를 제 2 박리라고 칭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와 같이, 제 2 박리를 하형 가박리라고 칭하고, 제 3 박리를 하형 본박리라고 칭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하형의 FC 성형면에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것 (즉 상형을 분리한 후의 것) 을 준비해 두면 된다. 그 때문에, 상형의 재질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형으로서 수지 이외의 재질로는 석영 등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그 경우, 본 실시형태의 수법 또는 공지된 수법으로 상형과 하형을 분리해 두고, 콘택트 렌즈가 하형에 붙은 것을 선택한 후에 상기 구성을 적용하면 된다.
10 : 콘택트 렌즈
12 : 상형 (베이스 커브형)
14 : 하형 (프론트 커브형)
16 : 제 1 렌즈 성형면 (BC 성형면)
18 : 제 1 비렌즈 성형면 (상형 가압면)
22, 30 : 플랜지
24 : 제 2 렌즈 성형면 (FC 성형면)
26 : 제 2 비렌즈 성형면 (하형 가압면)
32 : 콘택트 렌즈 기재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액 (모노머)
34 : 워크
36 : 제 1 프레스 헤드
40, 42 : 클로
66 : 제 2 프레스 헤드
72 : 제 3 프레스 헤드
80 : 분리기
82 : 박리기

Claims (22)

  1.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상기 콘택트 렌즈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
    (B) 상기 제 1 박리 공정 후,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상기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
    (C) 상기 분리 공정 후,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제 2 박리 공정, 및
    (D) 상기 제 2 박리 공정 후, 상기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제 3 박리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리 공정에 있어서, 직경 5.0 ∼ 10.0 mm 의 원기둥 또는 각기둥인 제 1 프레스 헤드를 사용하여,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상형의 비렌즈 성형면을 연직 방향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를 향하는 자세로 하고 나서 상기 제 1 프레스 헤드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공정은, 상기 상형의 비렌즈 성형면이 연직 방향의 바로 아래를 향하는 자세로 하고 나서, 상기 하형에 설치된 플랜지와 상기 상형에 설치된 플랜지 사이에 클로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박리 공정에 있어서, 가압면이 오목면이고 상기 오목면의 곡률이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의 곡률 이상인 제 2 프레스 헤드를 사용하여, 상기 하형의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박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하형의 비렌즈 성형면을 연직 방향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를 향하는 자세로 하고 나서 상기 제 2 프레스 헤드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박리 공정에 있어서, 가압면이 오목면 또는 원통인 제 3 프레스 헤드를 사용하여, 상기 하형의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박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하형의 비렌즈 성형면을 연직 방향의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를 향하는 자세로 하고 나서 상기 제 3 프레스 헤드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소재는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하이드로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10.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A)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상기 콘택트 렌즈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제 1 박리 수단,
    (B)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상기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
    (C)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제 2 박리 수단, 및
    (D) 상기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제 3 박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리 수단은, 직경 5.0 ∼ 10.0 mm 의 원기둥 또는 각기둥인 제 1 프레스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박리 수단은, 가압면이 오목면이고, 상기 오목면의 곡률은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의 곡률 이상인 제 2 프레스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박리 수단은, 가압면이 오목면 또는 원통인 제 3 프레스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소재는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하이드로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
  15.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상기 콘택트 렌즈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
    (B) 상기 제 1 박리 공정 후,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상기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
    (C) 상기 분리 공정 후,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제 2 박리 공정, 및
    (D) 상기 제 2 박리 공정 후, 상기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제 3 박리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취출 방법.
  16.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 상태를 유지한 채 또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상기 하형에 부착시킨 상태인 채,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상기 콘택트 렌즈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17.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 상태를 유지한 채 또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상기 하형에 부착시킨 상태인 채,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상기 콘택트 렌즈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제 1 박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
  18.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1 쌍의 형으로부터 상기 하형과 상기 상형을 분리하기 위한 지그로서,
    상기 상형의 플랜지와 상기 하형의 플랜지 사이에 상기 1 쌍의 형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중심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여 쐐기로서 끼워 넣는 에지,
    상기 에지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에지의 끼워 넣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형성된 절결부,
    상기 절결부의 상기 에지의 끼워 넣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에지의 끼워 넣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또한 바로 위를 향하여 두께가 증대하도록 형성된 제 1 테이퍼, 및
    상기 에지 중 상기 절결부를 제외한 지점에 상기 에지의 끼워 넣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여 또한 바로 아래를 향하여 두께가 증대하는 제 2 테이퍼가 형성된 단부를 구비하는, 분리 지그.
  19.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 상태를 유지한 채 또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상기 하형에 부착시킨 상태인 채,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상기 콘택트 렌즈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제 1 박리 공정, 및
    상기 제 1 박리 공정 후,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상기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20.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의 이면인 비렌즈 성형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 상태를 유지한 채 또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상기 하형에 부착시킨 상태인 채, 상기 상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상기 콘택트 렌즈를 부분적으로 박리하는 제 1 박리 수단, 및
    상기 상형과 상기 하형의 조립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상형과 상기 콘택트 렌즈가 부착된 상기 하형을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
  21.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하형 가박리 공정, 및
    상기 하형 가박리 공정 후, 상기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하형 본박리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22. 콘택트 렌즈의 프론트 커브를 성형하는 하형 및 상기 콘택트 렌즈의 베이스 커브를 성형하는 상형을 조립함으로써 얻어지는 1 쌍의 형에 포함된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생성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1 쌍의 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에 부착된 콘택트 렌즈의 주변부를 박리하는 하형 가박리 수단, 및
    상기 주변부가 박리된 콘택트 렌즈를 상기 하형의 렌즈 성형면으로부터 박리하는 하형 본박리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 장치.
KR1020187036067A 2016-09-30 2016-11-25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513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2854A JP6738708B2 (ja) 2016-09-30 2016-09-30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装置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の取り出し方法
JPJP-P-2016-192854 2016-09-30
PCT/JP2016/084988 WO2018061224A1 (ja) 2016-09-30 2016-11-25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324A KR20190062324A (ko) 2019-06-05
KR102513058B1 true KR102513058B1 (ko) 2023-03-22

Family

ID=6176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067A KR102513058B1 (ko) 2016-09-30 2016-11-25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28639B2 (ko)
EP (3) EP4020064A1 (ko)
JP (1) JP6738708B2 (ko)
KR (1) KR102513058B1 (ko)
CN (2) CN109716214B (ko)
WO (1) WO2018061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7793B2 (ja) 2018-06-20 2022-08-15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眼装着用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眼装着用レンズ
US11426959B2 (en) * 2019-11-06 2022-08-30 Innovega,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ultistage molding of lenses
TWI753723B (zh) * 2020-12-25 2022-01-21 京旭企業有限公司 反轉撓性透鏡凹向之方法及其裝置
CN113510886A (zh) * 2021-05-12 2021-10-19 苏州天群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隐形眼镜的成型方法及模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969A (en) * 1989-08-23 1990-03-20 Wood Kenneth E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contact lens from a plastic mold
US20120001353A1 (en) 2005-12-20 2012-01-05 Kevin Beeb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ry release of a compliant ophthalmic article from a mold surface
JP2014008695A (ja) 2012-06-29 2014-01-20 Hoya Corp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装置
US20160176093A1 (en) * 2014-12-19 2016-06-23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lding Contact Len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3200A (en) 1974-11-04 1975-07-08 Raymond Lee Organization Inc Wrecking bar
JPS5852813B2 (ja) 1976-08-27 1983-11-25 日本コンタクトレンズ製造株式会社 成形型より成形物を剥離する方法
JPS5852813A (ja) 1981-09-24 1983-03-2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部品連のエ−ジング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電子部品連
JPS5876597U (ja) 1981-11-17 1983-05-24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蓋の取外し工具
US5079791A (en) * 1989-06-26 1992-01-14 Grech George J Tool for snap fasteners
US5094609A (en) * 1990-04-17 1992-03-10 Vistakon, Inc. Chamber for hydrating contact lenses
ATE97853T1 (de) 1990-04-24 1993-12-15 Ciba 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ntaklinsen.
US5457834A (en) * 1994-03-14 1995-10-17 Allen, Sr.; Richard D. Snap fastener opener
JP3009278U (ja) 1994-09-21 1995-04-04 有限会社ユーテック 缶開け器
WO1998019854A1 (en) * 1996-11-06 1998-05-14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ontact lens mold sections
JP3050039U (ja) 1997-12-19 1998-06-30 株式会社ジェイプラン プルトップオープナー
US6149562A (en) 1999-10-27 2000-11-21 Hurco Companies, Inc. Manual tool changing apparatus
JP4791669B2 (ja) 1999-10-27 2011-10-12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コンタクトレンズのデブロッキング
US20040061246A1 (en) * 2002-09-30 2004-04-01 John Cardiff Method and apparatus for dry releasing lenses from an anterior mold half
US20060202367A1 (en) 2005-03-11 2006-09-14 Knutzen Josef V Multi stage ophthalmic lens demold
AU2005225127A1 (en) 2004-11-22 2006-06-0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ultistage ophthalmic lens demold
US7799249B2 (en) * 2005-08-09 2010-09-2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US9102110B2 (en) 2005-08-09 2015-08-1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lenses from lens molds
JP2007196428A (ja) * 2006-01-24 2007-08-09 Fujifilm Corp 成形用金型および成形方法
JP2008049480A (ja) 2006-08-22 2008-03-06 Asahi Kasei Aimii Kk 樹脂鋳型からの剥離方法
US20080127473A1 (en) 2006-12-01 2008-06-05 Min-Chi Yu Tool kit for removing decorative plates and trims of vehicles
JP4869054B2 (ja) 2006-12-25 2012-02-01 Hoya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レンズを樹脂型から取り出す方法
JP5584860B2 (ja) * 2009-11-04 2014-09-10 株式会社メニコンネクト 眼用レンズを成形型から剥離する方法および剥離装置
JP5428005B2 (ja) 2009-11-12 2014-02-26 株式会社メニコンネクト 眼用レンズ成形型を分離す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US8673186B2 (en) * 2010-03-02 2014-03-18 Microsoft Corporation Fabrication of an optical wedge
CA2850265C (en) 2010-11-26 2020-01-14 Daysoft Limited Contact lens manufacturing method
WO2013191148A1 (ja) * 2012-06-19 2013-12-27 株式会社メニコンネクト 多層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017008B3 (de) * 2012-08-28 2013-11-21 Rodenstock Gmbh Verfahren zum Ablösen einer Gießform von einer Kunststofflinse
GB2533919B (en) 2014-12-19 2017-06-28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lding contact le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9969A (en) * 1989-08-23 1990-03-20 Wood Kenneth E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contact lens from a plastic mold
US20120001353A1 (en) 2005-12-20 2012-01-05 Kevin Beeb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ry release of a compliant ophthalmic article from a mold surface
JP2014008695A (ja) 2012-06-29 2014-01-20 Hoya Corp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装置
US20160176093A1 (en) * 2014-12-19 2016-06-23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lding Contact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7561A1 (en) 2019-07-18
CN111319201A (zh) 2020-06-23
EP3521905A4 (en) 2020-11-18
WO2018061224A1 (ja) 2018-04-05
EP4020064A1 (en) 2022-06-29
EP3521905A1 (en) 2019-08-07
CN111319201B (zh) 2022-05-31
JP2018054970A (ja) 2018-04-05
JP6738708B2 (ja) 2020-08-12
US11628639B2 (en) 2023-04-18
KR20190062324A (ko) 2019-06-05
CN109716214A (zh) 2019-05-03
EP4016171A1 (en) 2022-06-22
CN109716214B (zh)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058B1 (ko)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KR101274786B1 (ko) 가스를 사용하는 안과용 렌즈의 렌즈분리
US11358353B2 (en) Method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EP1754591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US20080164606A1 (en) Spacers for wafer bonding
KR101631352B1 (ko) 제조 중의 안과용 렌즈의 탈형
EP20570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ating a contact lens
US11279103B2 (en) Method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JP6916932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装置
JP6916931B2 (ja) 分離治具
KR101800406B1 (ko)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JP4695798B2 (ja) 眼用レンズの分離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分離装置
US20070132120A1 (en) Preferential release of an ophthalmic lens using a super-cooled fluid
GB2435106A (en) A device for extracting fluid from a container
JP5584860B2 (ja) 眼用レンズを成形型から剥離する方法および剥離装置
EP323344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ophthalmic le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