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434B1 - 회전 방지 와셔, 및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회전 방지 와셔, 및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434B1
KR102512434B1 KR1020200075780A KR20200075780A KR102512434B1 KR 102512434 B1 KR102512434 B1 KR 102512434B1 KR 1020200075780 A KR1020200075780 A KR 1020200075780A KR 20200075780 A KR20200075780 A KR 20200075780A KR 102512434 B1 KR102512434 B1 KR 102512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upport
fixing
main plat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682A (ko
Inventor
임용현
강주형
Original Assignee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43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와셔 및 볼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지 와셔는, 볼트가 삽입되는 설치 홀이 형성된 메인 판, 상기 볼트가 설치되는 대상물에 결합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메인 판에서 돌출되어 볼트의 외주면과 맞닿아 볼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방지 와셔, 및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ANTI-ROTATION WASHER, AND ANTI-ROTATION BOLT ASSEMBLY}
본 발명은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방지 와셔, 및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와셔는 둥글고 얇은 금속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볼트를 이용하여 물체를 고정할 때 볼트의 헤드 하부면에 위치시키거나, 볼트의 몸체부와 체결되는 너트와 고정 대상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와셔는, 볼트에 의해 죄어지는 표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평면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와셔는 너트만 사용하면 표면에 홈이 생길 수 있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와셔는 목재와 같이 재질이 연한 경우에 너트가 파고 들어갈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와셔는 진동으로 인해 체결력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와셔로는 스프링 와셔 등이 있다.
그런데 종래 스프링 와셔 등을 통해서는 볼트의 체결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지속적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곳에 볼트가 체결되는 경우에는 진동으로 인하여 볼트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와셔 및 볼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지 와셔는, 볼트가 삽입되는 설치 홀이 형성된 메인 판, 상기 볼트가 설치되는 대상물에 결합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메인 판에서 돌출되어 볼트의 외주면과 맞닿아 볼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인 판에는 복수의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 및 상기 고정부들 사이에는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회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설치 홀에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판에서 벤딩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볼트와 맞닿는 면의 반대편인 지지면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면에는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이격되되 상기 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이어진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지지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부와 상기 볼트의 모서리를 삽입하는 제2 지지부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인 판에는 상기 대상물과 맞닿아 상기 볼트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변형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돌출되며 외주면이 나사 가공된 막대부를 포함하고, 대상물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대상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설치 홀이 형성된 메인 판, 상기 대상물에 결합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메인 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볼트의 외주면과 맞닿아 상기 볼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인 판에는 복수의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 및 상기 고정부들 사이에는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회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설치 홀에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판에서 벤딩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볼트와 맞닿는 면의 반대편인 지지면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면에는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이격되되 상기 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이어진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볼트의 평편한 면과 맞닿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볼트의 모서리를 삽입하는 홈을 갖는 제2 지지부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교대로 배열되며,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 중 어느 하나만 벤딩되어 상기 볼트와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볼트의 헤드와 끼움 결합되는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진 지지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인 판에는 상기 대상물과 맞닿아 상기 볼트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변형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셔는 대상물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볼트의 외주면과 맞닿는 지지부를 포함하므로 대상물에 고정된 와셔가 볼트를 지지하여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트가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와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따르는 볼트 어셈블리(10)는 대상물(20)에 결합되는 볼트(120)와 볼트(120)에 결합되는 와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20)은 회전하는 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회전하는 디스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대상물(20)은 가스 터빈의 로터 디스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트 어셈블리(10)는 가스 터빈의 로터 디스크용 볼트 어셈블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의의 볼트 어셈블리는 로터 디스크로 이루어진 대상물(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상물(20)에는 볼트(120)가 결합되는 제1 홀(21)이 형성되며, 제1 홀(21)의 주변에는 고정부가 삽입되는 2개의 제2 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21)은 볼트(120)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면이 나사가공되어 있다.
볼트(120)는 헤드부(121)와 헤드부(121)에서 돌출되며 외주면이 나사 가공된 막대부(122)를 포함하며, 대상물(20)에 나사 결합된다. 헤드부(121)는 육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헤드부(121)에는 공구의 결합을 위한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막대부(12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막대부(122)는 대상물(20)에 형성된 제1 홀(21)에 삽입되어 대상물(20)에 고정된다.
와셔(150)는 헤드부(121)와 대상물(20) 사이에 위치하여 압력을 완화시키고 대상물(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와셔(150)는 진동으로 인하여 볼트(120)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와셔(150)는 볼트(120)가 삽입되는 설치 홀(151a)이 형성된 메인판(151)과 대상물(20)에 결합되어 와셔(1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152)와 볼트(120)의 외주면과 맞닿아 볼트(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홀(151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와셔(150)도 볼트(12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메인판(151)에는 복수의 고정부(152)와 지지부(153)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고정부(152)는 지지부(15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와셔(150)는 4개의 지지부(153)와 2개의 고정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3)와 고정부(152) 사이에는 와셔(150)의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회피홈(15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피홈(159)이 형성되면 지지부(153) 및 고정부(152)를 보다 용이하게 벤딩시킬 수 있다.
고정부(152)는 대상물(20)에 형성된 제2 홀(23)에 삽입되는 돌기로 이루어지며, 메인판(151)에서 벤딩되어 헤드부(12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고정부(152)는 대상물(20)을 향하여 돌출되어 대상물(20)에 형성된 제2 홀(23)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152)에서 벤딩되기 전에 볼트(120)를 향하는 고정면(152a)에는 고정면(152a)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15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152b)은 고정면(152a)에서 고정부(152)의 단부까지 이어져 형성된다. 제1 경사면(152b)이 형성되면 제1 경사면(152b)을 이용하여 고정부(152)를 보다 용이하게 벤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면(152a)이 바닥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프레스로 가압한 상태에서 제1 경사면(152b)과 바닥 사이의 틈새로 공구를 삽입하여 고정부(152)를 벤딩시킬 수 있다.
지지부(153)는 메인판(151)에서 벤딩되어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지며, 고정부(152)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지지부(153)는 헤드부(121)와 맞닿아 헤드부(121)가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53)에서 볼트(120)와 맞닿는 면의 반대면인 지지면(153a)의 단부에는 지지면(153a)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153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153)에 제2 경사면(153b)이 형성되면 제2 경사면(153b)에 의하여 와셔(150)와 대상물(20)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므로 틈새()에 공구를 삽입하여 지지부(153)를 용이하게 벤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152)가 대상물(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부(153)가 헤드부(121)와 맞닿으므로 볼트(120)가 대상물(20)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고 체결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피홈(159)이 형성되어 고정부(152)와 지지부(153)를 용이하게 벤딩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와셔(150)의 고정부(152)를 벤딩하여 대상물(20)에 형성된 제2 홀에 삽입하며, 와셔(150)가 대상물(20)과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120)가 대상물(20) 및 와셔(150)에 나사결합된다. 볼트(120)가 공구에 의하여 회전하여 대상물(20)에 고정되면 지지부(153)가 벤딩되어 헤드부(121)와 맞닿는다.
이에 따라 볼트(1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부(153)가 벤딩되므로 블트의 체결 과정에서 지지부가 볼트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작업 시에 기 설정된 체결압으로 볼트(120)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회전 방지 와셔는 와셔에 돌기 등이 형성되어 볼트의 회전을 방해하여 전동 공구로 볼트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제작 원가가 현저히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와셔(150)에 별도의 돌기나 홈이 형성되지 않고, 와셔(150)의 벤딩에 의하여 볼트(120)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와셔(150)가 볼트(1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며, 와셔(150)의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10)는 대상물(20)에 결합되는 볼트(120)와 헤드부(121)와 대상물(20)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120)는 헤드부(121)와 헤드부(121)에서 돌출되며 외주면이 나사 가공된 막대부(122)를 포함한다. 헤드부(121)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결합 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21)는 6개의 면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면에 하나의 결합 돌기(12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23)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와셔(150)는 볼트(120)가 삽입되는 설치 홀(151a)이 형성된 메인판(151)과 대상물에 결합되어 와셔(15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152)와 볼트(120)의 외주면과 맞닿아 볼트(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판(151)에는 복수의 고정부(152)와 지지부(153)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고정부(152)는 지지부(15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와셔(150)는 4개의 지지부(153)와 2개의 고정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3)와 고정부(152) 사이에는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회피홈(159)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52)는 메인판(151)에서 벤딩되어 헤드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고정부(152)의 고정면(152a)에는 제1 경사면(152b)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3)는 메인판(151)에서 벤딩되어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지며, 지지부(153)에서 볼트(120)와 맞닿는 면의 반대면인 지지면(153a)의 단부에는 지지면(153a)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153b)이 형성된다.
지지부(153)에는 결합 돌기(123)가 삽입되는 지지 결합부(154)가 형성되며, 하나의 지지부(153)에 하나의 지지 결합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결합부(154)는 홀 또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53)가 벤딩되어 헤드부(121)와 접촉할 때, 지지 결합부(154)에 헤드부(121)의 결합 돌기(123)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부(121)에 결합 돌기(123)가 형성되고, 지지 결합부(154)가 홀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헤드부에 홈이 형성되고, 지지 결합부가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153)에 지지 결합부(154)가 형성되면 지지부(153)와 헤드부(121)가 끼움 결합되어 지지부(153)가 헤드부(121)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53)에는 지지부(153)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노치(1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53)에 노치(155)가 형성되면 보다 용이하게 지지부(153)를 벤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트가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10)는 대상물(20)에 결합되는 볼트(120)와 헤드부(121)와 대상물(20)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120)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와셔(150)는 볼트(120)가 삽입되는 설치 홀(151a)이 형성된 메인판(151)과 대상물(20)에 결합되어 와셔(15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152)와 볼트(120)의 외주면과 맞닿아 볼트(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판(151)에는 복수의 고정부(152)와 지지부(153)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고정부(152)는 지지부(15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153)와 고정부(152) 사이에는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회피홈(159)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52)는 메인판(151)에서 벤딩되어 헤드부(12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고정부(152)에는 제1 경사면(152b)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3)는 메인판(151)에서 벤딩되어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지며, 지지부(153)에서 볼트(120)와 맞닿는 면의 반대면인 지지면(153a)의 단부에는 지지면(153a)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153b)이 형성된다.
지지면(153a)에는 제2 경사면(153b)에서 이격되되 지지부(153)의 폭방향으로 이어진 이격 돌출부(156)가 형성된다. 이격 돌출부(156)는 대상물의 표면과 맞닿아 지지부(153)의 단부가 대상물(20)의 표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며, 이격 돌출부(156)에 의하여 지지부(153)가 메인판(151)에 대하여 경사지게 굴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53)와 대상물(20)의 틈새에 도구를 삽입하여 지지부(153)를 보다 용이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153)에는 지지부(153)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노치(155)는 지지부(153)와 메인판(151)이 연결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치(155)는 지지면(153a)의 반대면인 헤드부(121)를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53)에 노치(155)가 형성되면 볼트(120)가 대상물(2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지지부(153)가 이격 돌출부(156)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와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10)는 와셔(150)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와셔(150)는 볼트(120)가 삽입되는 설치 홀(151a)이 형성된 메인판(151)과 대상물에 결합되어 와셔(15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152)와 볼트(120)의 외주면과 맞닿아 볼트(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53)와 대상물과 맞닿아 볼트(1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변형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판(151)에는 복수의 고정부(152), 지지부(153), 탄성 변형부(158)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와셔(150)는 2개의 지지부(153)와 2개의 고정부(152)와 2개의 탄성 변형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3)와 고정부(152) 사이 및 지지부(153)와 탄성 변형부(158) 사이에는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회피홈(159)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52)는 메인판(151)에서 벤딩되며, 헤드부(12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고정면(152a)에의 단부에는 제1 경사면(152b)이 형성된다. 지지부(153)는 메인판(151)에서 벤딩되어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지며, 지지부(153)에서 볼트(120)와 맞닿는 면의 반대면인 지지면(153a)의 단부에는 지지면(153a)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153b)이 형성된다.
탄성 변형부(158)는 대상물(20)을 향하여 돌출된 경사판(158a)과 경사판(158a)에서 와셔(150)의 외측으로 연장된 가압판(158b)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판(158a)은 메인판(151)에서 대상물(20)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되며, 가압판(158b)은 메인판(151)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제4 실시예와 같이 와셔(150)가 탄성 변형부(158)를 포함하면, 볼트(120)가 대상물에 결합된 후에, 탄성 변형부(158)가 볼트를 가압하여 볼트(120)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볼트 어셈블리(10)는 대상물에 결합되는 볼트(120)와 헤드부(121)와 대상물(20) 사이에 위치하는 와셔(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120)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와셔(150)는 볼트(120)가 삽입되는 설치 홀(151a)이 형성된 메인판(151)과 대상물(20)에 결합되어 와셔(150)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152)와 볼트(120)의 외주면과 맞닿아 볼트(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판(151)에는 복수의 고정부(152)와 지지부(153)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고정부(152)는 지지부(15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와셔(150)는 4개의 지지부(153)와 2개의 고정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3)와 고정부(152) 사이에는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회피홈(159)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52)는 메인판(151)에서 벤딩되며, 헤드부(121)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고정면(152a)에의 단부에는 제1 경사면(152b)이 형성된다. 지지부(153)는 메인판(151)에서 벤딩되어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지며, 지지부(153)에서 볼트(120)와 맞닿는 면의 반대면인 지지면(153a)의 단부에는 지지면(153a)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153b)이 형성된다.
지지부(153)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부(1531)와 헤드부(121)의 모서리를 삽입하는 지지홈(1533)을 갖는 제2 지지부(1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532)는 폭방향으로 굽어져 오목하게 함몰된 지지홈(1533)을 갖는데, 제2 지지부(1532)는 대략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1531)와 제2 지지부(1532)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531)는 헤드부(121)의 평면부분과 맞닿아 헤드부(121)를 지지하며, 제2 지지부(1532)는 헤드부(121)의 모서리와 맞닿아 헤드부(121)의 모서리를 지지한다. 공구를 이용하여 헤드부(121)부를 기 설정된 압력으로 체결하면, 헤드부(121)의 평면이 지지부(153)와 엇갈리게 위치할 수 있으며, 헤드부(121)의 평면 부분 또는 모서리 부분이 지지부(153)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평면이 지지부(153)와 더 인접한 경우에는 제1 지지부(1531)를 벤딩하여 제1 지지부(1531)와 평면을 지지하도록 하고, 모서리가 지지부(153)와 더 인접한 경우에는 제2 지지부(1532)를 벤딩하여 제2 지지부(1532)에 형성된 지지홈(1533)에 모서리를 삽입하여 제2 지지부(1532)가 모서리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 중 어느 하나만 벤딩되어 볼트(120)와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를 체결한 후에 볼트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도 제1 지지부(1531) 또는 제2 지지부(1532)를 이용하여 볼트(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볼트 어셈블리 20: 대상물
120: 볼트 121: 헤드부
122: 가공된 막대부 150: 와셔
151: 메인판 152: 고정부
153: 지지부 154: 지지 결합부
155: 노치 156: 이격 돌출부
159: 회피홈

Claims (20)

  1. 볼트가 삽입되는 설치 홀이 형성된 메인 판;
    상기 볼트가 설치되는 대상물에 결합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메인 판에서 돌출되어 볼트의 외주면과 맞닿아 볼트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판에는 상기 대상물과 맞닿아 상기 볼트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변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돌출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가압판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판은 상기 메인판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메인 판에서 돌출되며,
    상기 설치 홀에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판에서 벤딩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볼트와 맞닿는 면의 반대편인 지지면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와셔.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와셔.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 및 상기 고정부들 사이에는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회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와셔.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에는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이격되되 상기 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이어진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와셔.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지지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와셔.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제1 지지부와 상기 볼트의 모서리를 삽입하는 제2 지지부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교대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와셔.
  10. 삭제
  11.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돌출되며 외주면이 나사 가공된 막대부를 포함하고, 대상물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대상물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와셔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설치 홀이 형성된 메인 판;
    상기 대상물에 결합되어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부;
    상기 메인 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볼트의 외주면과 맞닿아 상기 볼트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판에는 상기 대상물과 맞닿아 상기 볼트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변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돌출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가압판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판은 상기 메인판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메인 판에서 돌출되며,
    상기 설치 홀에는 상기 볼트와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는 상기 메인판에서 벤딩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볼트와 맞닿는 면의 반대편인 지지면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12. 삭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대상물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 및 상기 고정부들 사이에는 중심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회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15. 삭제
  16. 삭제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에는 상기 제2 경사면에서 이격되되 상기 지지부의 폭방향으로 이어진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볼트의 평편한 면과 맞닿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볼트의 모서리를 삽입하는 홈을 갖는 제2 지지부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교대로 배열되며,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 중 어느 하나만 벤딩되어 상기 볼트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볼트의 헤드와 끼움 결합되는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진 지지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20. 삭제
KR1020200075780A 2020-06-22 2020-06-22 회전 방지 와셔, 및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KR102512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780A KR102512434B1 (ko) 2020-06-22 2020-06-22 회전 방지 와셔, 및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780A KR102512434B1 (ko) 2020-06-22 2020-06-22 회전 방지 와셔, 및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682A KR20210157682A (ko) 2021-12-29
KR102512434B1 true KR102512434B1 (ko) 2023-03-20

Family

ID=7917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780A KR102512434B1 (ko) 2020-06-22 2020-06-22 회전 방지 와셔, 및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4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9907A1 (ja) * 2017-06-14 2018-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ブラケット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075A (ko) * 2004-07-01 2006-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마운팅용 와셔
KR20110133017A (ko) * 2011-11-23 2011-12-09 석 규 이 편심하중을 이용한 풀림방지 너트와셔
KR101861559B1 (ko) * 2015-04-06 2018-05-29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풀림방지용 와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9907A1 (ja) * 2017-06-14 2018-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ブラケット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682A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4688B2 (en) Waveguide connector and assembly using deformable convex conductive portions
JP3220888U (ja) ワッシャ組込みねじ
KR102512434B1 (ko) 회전 방지 와셔, 및 회전 방지 볼트 어셈블리
JP2007315580A (ja) ボルトの緩み防止用座金
JP5862806B2 (ja) ボルト回り止め及びボルト回り止めの組み付け方法
US11284539B2 (en) Loading assembly
WO2015060425A1 (ja) ねじ体の逆回転防止構造
KR20120094457A (ko) 풀림방지 너트
KR20150115411A (ko) 볼트 풀림 방지구조
JPH02292596A (ja) 旋回ねじ締め機構
JP3188881B2 (ja) ガスケット
US10499529B1 (en) Device for fixing hard disk
CN111255796B (zh) 一种螺母防松结构
KR20020061738A (ko) 탄성 힌지 구조체
JPH10159900A (ja) 防振装置
CN219446641U (zh) 挂车轴总成的轴端锁紧组件以及挂车轴总成
JP2018091420A (ja) ボルト・ナットの弛み止め構造
CN213690025U (zh) 一种抗震耦合装置
KR102245212B1 (ko) 체결 조립체
JP6083632B1 (ja) 緩み止めナット
JP5022211B2 (ja) プッシュナット
US11422013B2 (en) Sensor housing
JPH0942260A (ja) 座 金
CN216975417U (zh) 板件连接组件及空调
KR20050103793A (ko)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