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257B1 -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 Google Patents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257B1
KR102512257B1 KR1020220135426A KR20220135426A KR102512257B1 KR 102512257 B1 KR102512257 B1 KR 102512257B1 KR 1020220135426 A KR1020220135426 A KR 1020220135426A KR 20220135426 A KR20220135426 A KR 20220135426A KR 102512257 B1 KR102512257 B1 KR 102512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ound insulation
insulation board
present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이
Original Assignee
권경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경이 filed Critical 권경이
Priority to KR102022013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음벽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세워지는 지주(H)와 이웃한 지주(H) 사이에 상하로 배열되는 투명 방음판에 있어, 상기 투명 방음판(200)이, 중간 틈새(250)를 갖는 전면판(210)과 후면판(220)의 이중접합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응되는 내측 표면에 조류가 기피하는 문양을 스크래치홈(300)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치홈(300)에 색상을 표현하도록 색상층(400)이 도포되도록 하는 것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날아다니는 조류가 하강 또는 상승시 투명 방음판에 표현된 문양을 인식함에 따라 투명 방음판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해 조류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TRANSPARENT SOUNDPROOFING PANAL FOR AVOIDING BIRD STRIKE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조류 충돌 방지용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한 지주와 이웃한 지주 사이에 설치되어 방음벽을 이루는 투명 방음판에 조류가 충돌하지 않도록 조류 인식을 위한 문양을 형성시켜 조류를 보호하도록 하는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아파트 또는 주거공간과 접하는 도로주변, 철로주변, 공항주변에는 교통수단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방음벽이 설치되고 있으며, 설치시 소음 기준에 따라 다양한 방음판이 설치되고 있다.
즉,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형, 소음을 반사하는 반사형, 소음을 회절시켜 소멸하는 회절흡수형, 소음을 감쇄시키는 간섭형, 공명형, 일조량 확보를 위한 투명형 등 다양한 방음판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방음벽들은 콘크리트로 된 콘크리트기초를 길이방향으로 타설한 후 이 콘크리트기초에 일정간격으로 지주를 세우고, 지주와 지주의 사이에 흡음형, 반사형, 간섭형 및 공명형 등의 방음판을 적층 설치하여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방음판은 조망은 물론 일조량 확보를 위한 투명 방음판이 주로 설치되고 있고, 상기 투명 방음판은 소음 차단 효과가 있으면서 도로의 내측 및 외측에서 투시할 수 있어 도로의 결빙 방지, 도로의 소통 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투명 방음판은 방음판을 기준으로 하여 그 반대쪽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채광이나 차광효과, 전망 등을 확보하는데에는 유리하나, 소음을 흡수하지 못하고 반사하는 구조이어서 소음의 차단을 위해 비교적 높게 설치되고 있고 이와같이 투명 방음판이 높게 설치됨에 따라 날아서 이동하는 조류가 하강 및 상승시 잘못 인식하여 투명 방음판에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특허등록 제10-2234607호 등록일 2021.03.26 KR 특허등록 제10-2049696호 등록일 2019.11.2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방음벽을 이루는 투명 방음판이 표면에 문양을 갖는 코팅층 형성을 통해 조류 충돌을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중으로 접합되어 이루어진 투명 방음판에서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틈새 내측에서 대응되는 적어도 한 쪽 표면에 스크래치홈을 통해 조류가 기피하는 문양이 형성되도록 하여 조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는 조류 충돌 방지용 방음판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문양을 표현하는 스크래치홈에 안료를 통해 색상을 갖도록 도포하여 색상층을 통해 조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색상은 물론 두께를 통해 입체적으로 표현되도록 하여 조류의 시인성을 더욱 학보하여 조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표현되도록 하는데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방음벽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세워지는 지주와 이웃한 지주 사이에 상하로 배열되는 투명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방음판이, 중간 틈새를 갖는 전면판과 후면판의 이중접합 형태로 이루어지되, 서로 대응되는 내측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조류가 기피하는 문양을 스크래치홈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치홈에 색상층이 채워지도록 하여 조류의 이동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조류 충돌 방지용 방음판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설치시 조류가 기피하여 투명 방음판으로 이동됨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날아다니는 조류가 하강 또는 상승시 투명 방음판에 표현된 문양을 인식함에 따라 투명 방음판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해 조류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이 적용된 방음벽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C-C"선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예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다른 예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예를 보인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7에 적용된 색상층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로 등의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지주와 지주 사이에 상하로 배열되어 방음벽을 이루게 되는 투명 방음판에 조류의 이동에 따른 부딪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되는 조류가 위험성을 인지하여 투명 방음판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 방음판(200)은, 이중 접합 구조의 전면판 및 후면판(210)(220)과, 상기 전면판(210)과 후면판(220)의 대응면 중 적어도 한 쪽면에 조류가 기피하는 대상의 문양을 형성하는 스크래치홈(300)과, 이 스크래치홈(300)에 결합되어 문양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색상층(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경우 스크래치홈(300)이 조류가 기피하는 문양을 칼라로 표현함에 따라 투명 방음판(200)으로의 조류 이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조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투명 방음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형은 공지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며, 전면판(210)과 이에 대응되는 후면판(2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210)과 후면판(220)은 접착을 통해 상호 부착된 형태로 상기한 경우 테두리에 접착제(230)를 도포하고 부착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 방음판(200)은, 전면판(210)과 후면판(220)의 가장자리에 둘레를 따라 갭부재(240)를 위치시키고, 상기 갭부재(240)와의 접착을 통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면판(210)과 후면판(220) 사이에 이격된 틈새(250)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스크래치홈(300)은, 상기 전면판(210)과 후면판(220)의 대응되는 표면에 일정깊이 파여지는 형태인 복수의 크랙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크랙 형성시 도면에 표현된 원형 뿐만아니라 조류가 기피하는 대상의 동물 등을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색상층(400)은, 문양으로 표현된 상기 스크래치홈(300)에 채워져 문양이 칼라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색상층(400)은, 다양한 색상을 갖는 액상의 도료가 적용될 수 있고, 도료의 경화시 스크래치홈(300)에 코팅 형태로 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료는, 약액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 도료가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색상이 혼합된 야광 도료가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색상층(400)은, 색상을 갖는 복수의 섬유사(422)가 서로 꼬여서 뭉쳐져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 흡음접착제가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섬유사(422)가 탄소사(423)를 더 포함 할 수 있고, 상기 탄소사(423)에는 전원이 통하도록 하여 복수의 엘이디(424) 배열시 점등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따라, 섬유사(422)를 통해 수분을 흡수하여 투영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엘이디(424)가 점등되면서 조류 기피를 위한 위험성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색상층(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30)를 형성시켜 문양이 입체 형태를 표현하도록 하여 조류의 상승 또는 하강시 조류가 위험성을 빠르게 인지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스크래치홈(300)이 형성된 전면판(210) 즉, 소음원 발생측에 위치된 전면판(210)의 표면에 소음원으로부터의 소음이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타공(21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경우 전면판(210)에 형성된 타공(212)을 통해 소음이 유입되어 내부에서 흡음 소멸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면판(210)과 후면판(220) 사이의 틈새(250)에 상기 타공(212)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소멸시키도록 투명 소재의 흡음 패널(50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흡음 패널(500)은, 상기 타공(212)을 통한 소음이 유입되도록 복수의 구멍(512)이 형성된 타공판(510)과, 상기 타공판(510)의 일측 표면에 상기 구멍(512)을 통과한 소음이 유입됨과 동시에 회절되도록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배플(520)로 구성할 수 있다.
배플(520)은, 상기 타공판(510)의 일측 표면에서 각도를 달리하면서 설치되어 유입된 소음이 배플에 부딪히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절하여 유입된 소음을 소멸시키게 된다.
그러면, 전면판(210)의 타공(212)을 통해 소음이 유입되면 유입된 소음이 타공판(510)의 구멍(512)을 통해 유입되고 이때 유입된 소음이 배플(520)에 의해 회절되면서 상호간의 간섭과 충돌로 소멸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플(520)은, 상기 타공판(510)의 타공(512)을 피하여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투명 방음판(200)의 갭부재(240)에 내측 틈새(250)로 통하는 수직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공은 상하로 배열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시켜 외부로부터의 흡배기구(260) 등을 통한 에어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경우 내부 틈새(250)에 발생되는 습기는 물론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전면판(210) 및 후면판(220)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H: 지주
200: 투명 방음판
210: 전면판, 220: 후면판, 230: 접착제, 240: 틈새,
250: 갭부재, 260: 흡배기구
300: 스크래치홈
400: 색상층
410: 안료 ,420:흡음접착제 ,422:섬유사 , 423: 탄소사,
424: 엘이디, 430: 돌출부
500: 흡음 패널
510: 타공판, 512: 구멍, 520: 배플

Claims (7)

  1. 방음벽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세워지는 지주(H)와 이웃한 지주(H) 사이에 상하로 배열되며 각각 전면판(210)과 후면판(220)이 중간 틈새(240)를 가지며 이중접합 형태로 결합되는 투명 방음판(200)에 있어서,
    상기 틈새(240)를 기준으로 한 양쪽 표면 중 한 쪽 표면에 조류가 기피하는 문양을 스크래치홈(300)으로 형성하되, 상기 스크래치홈(300)의 표면에 소음이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타공(2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아울러 색상을 표현하도록 색상층(400)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색상층(400)이, 혼합 도료 또는 색상이 혼합된 야광 도료로 이루어진 복수의 섬유사(422)가 서로 꼬여서 뭉쳐지고, 상기 섬유사(422) 사이에 탄소사(423)가 더 포함되어 뭉쳐지며, 일측면이 접착제를 통해 상기 스크래치홈(300)에 접착되고 타측면이 내향으로 돌출되어 흡음 기능 및 입체각을 형성하는 흡음접착제(420)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하 복수개로 배열된 상기 투명 방음판(200)이 상기 틈새(240)와 수직 방향으로 통하는 수직공이 각각 형성되어 에어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240)에,
    상기 타공(212)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소멸시키도록 투명 소재의 흡음 패널(500)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흡음 패널(500)은,
    표면에 소음이 유입되도록 복수의 구멍(512)이 형성된 타공판(510)과, 상기 타공판(510)의 일측 표면에 상기 구멍(512)을 통과한 소음이 유입됨과 동시에 회절되도록 경사각을 갖는 복수의 배플(520)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135426A 2022-10-20 2022-10-20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KR102512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426A KR102512257B1 (ko) 2022-10-20 2022-10-20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426A KR102512257B1 (ko) 2022-10-20 2022-10-20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257B1 true KR102512257B1 (ko) 2023-03-20

Family

ID=8579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426A KR102512257B1 (ko) 2022-10-20 2022-10-20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223B1 (ko) 2023-08-08 2024-03-07 (주)엔에스브이 사이드브랜치 방음판과 탈부착 사운드 블록체를 이용한 공명형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655891B1 (ko) 2023-09-11 2024-04-08 홍정애 풍력발전장치용 조류 충돌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054A (ja) * 1992-06-27 1994-03-01 Hoechst Ag 装飾表面を有する成形品製造用のポリプロピレン成形用組成物
JP2003041528A (ja) * 2001-07-31 2003-02-13 Mitsubishi Heavy Ind Ltd 吸音構造体
KR101089128B1 (ko) * 2011-07-18 2011-12-02 (주)영남유리 이중유리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중유리
KR102049696B1 (ko) 2019-06-03 2019-11-27 정수찬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KR102234607B1 (ko) 2019-07-30 2021-04-01 주식회사 진흥강재 조류충돌저감용 방음판 구조
KR20220072598A (ko) * 2020-11-25 2022-06-02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유지 보수형 투명방음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054A (ja) * 1992-06-27 1994-03-01 Hoechst Ag 装飾表面を有する成形品製造用のポリプロピレン成形用組成物
JP2003041528A (ja) * 2001-07-31 2003-02-13 Mitsubishi Heavy Ind Ltd 吸音構造体
KR101089128B1 (ko) * 2011-07-18 2011-12-02 (주)영남유리 이중유리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중유리
KR102049696B1 (ko) 2019-06-03 2019-11-27 정수찬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KR102234607B1 (ko) 2019-07-30 2021-04-01 주식회사 진흥강재 조류충돌저감용 방음판 구조
KR20220072598A (ko) * 2020-11-25 2022-06-02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유지 보수형 투명방음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223B1 (ko) 2023-08-08 2024-03-07 (주)엔에스브이 사이드브랜치 방음판과 탈부착 사운드 블록체를 이용한 공명형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655891B1 (ko) 2023-09-11 2024-04-08 홍정애 풍력발전장치용 조류 충돌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2257B1 (ko)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KR101375769B1 (ko) 투명 방음판에서의 소음 흡수 및 소멸 가능한 투명 방음판 프레임
KR102234607B1 (ko) 조류충돌저감용 방음판 구조
KR101388799B1 (ko) 지주가림판과 블록식 프레임을 구비한 투명방음벽
EA025422B1 (ru) Шумозаград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меющая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ие и перенаправляющие звук свойства, а также высококачественный звукопоглотитель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так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103518096A (zh) Led灯模块
KR101836367B1 (ko) 소음 제거 성능이 향상된 흡음형 방음판 및 그것이 적용된 방음벽
KR200467772Y1 (ko) 소음 저감형 루버장치
KR20110137713A (ko) 조립식 흡음블록을 갖는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80112647A (ko) 흡음능력을 높인 투명방음벽
KR100976058B1 (ko) 도시 경관 공명 방음벽
US4015682A (en) Protecting system for roadway adjacent areas
EP2710297B1 (de) Schallabsorbierende leuchte
KR101977363B1 (ko) 반투명 방음판 및 그것이 적용된 방음벽
KR100899939B1 (ko) 바람개비형 방음벽
KR101019296B1 (ko) 투명 원통 풍도 흡음형 방음벽
KR101610845B1 (ko) 부상 흡음재를 이용한 풍하중 저감형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459290B1 (ko) 곡면형 방음벽
KR102441093B1 (ko) 조류충돌방지기능을 갖는 유지보수형 파노라마 투명방음판
KR200420497Y1 (ko) 방음벽 구조물
KR100818025B1 (ko) 흡음형 방음판 구조물
KR101185783B1 (ko) 흡음형 방음벽
KR100726477B1 (ko) 씨브이 방음판
KR101125696B1 (ko) 장식용 조명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151677B1 (ko) 유리파손방지 가림판 및 그 가림판이 구비된 전체 탈부착 투명방음판 및 그 방음판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