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497Y1 - 방음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방음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497Y1
KR200420497Y1 KR2020060010765U KR20060010765U KR200420497Y1 KR 200420497 Y1 KR200420497 Y1 KR 200420497Y1 KR 2020060010765 U KR2020060010765 U KR 2020060010765U KR 20060010765 U KR20060010765 U KR 20060010765U KR 200420497 Y1 KR200420497 Y1 KR 200420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panel
wall structure
pair
soundproo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근
Original Assignee
송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근 filed Critical 송주근
Priority to KR2020060010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4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a transparent mirror or other light reflecting surface transparent to transmitted light whereby a sign, symbol, picture or other is visible only when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04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 G09F2013/1831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using more than on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음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이격 배치되어 중앙영역에 중공층을 형성하는 한 쌍의 패널층을 포함하며, 상기 각 패널층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로 마련된 복수의 방음패널과, 상기 복수의 방음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로 마련된 방음패널의 강도가 우수하고 외력에 의한 변형율이 작음에 따라, 이 방음패널을 사용하여 방음벽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방음패널의 크기를 다소 크게 제작하여 방음패널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방음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빔의 개수도 줄일 수 있어, 방음벽구조물의 작업수 및 방음벽구조물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패널층 사이에 중공층이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소음을 차단하여 방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음패널이 많은 공기층을 함유하고 있도록 마련되는 경우, 공기층이 소음을 흡수 및 차단하여 중공층과 함께 방음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중공층에 장식부재 및/또는 조명부재를 설치하는 경우, 방음벽구조물의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별히, 중공층에 실질 광고물품 또는 물품의 광고를 위한 홍보물을 설치하는 경우, 방음벽구조물을 광고 구조물로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방음벽구조물, 중공층, 방음패널, 폴리카보네이트

Description

방음벽 구조물{SOUND PROOF WALL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구조물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방음벽 구조물의 설치상태 상부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방음패널의 일부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방음패널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형태의 방음패널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구조물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방음벽 구조물의 설치상태 상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구조물의 설치상태 상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방패널층 110 : 가로빔
120 : 세로빔 130 : 방음패널
131 : 상부지지판부 132 : 강도보강패턴
133 : 하부지지판부 134 : 격벽부
135 : 세로판부 136 : 가로판부
137 : 공기층 200 : 후방패널층
300 : 중공층 400 : 장식부재
500 : 조명부재 550: 조명부재
본 고안은, 방음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외력에 대한 변형율이 적은 방음패널로 구성된 방음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인접한 도로나, 철도, 항만, 공장 등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곳에는 여러 방음구조물을 설치하여 이러한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종래의 방음구조물은 그 설치장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긴 하나, 콘크리트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단위 방음패널을 도로나 공사장 주변에 일정간격으로 세워진 지주 사이에 상하로 적층조립하여 형성한다.
콘크리트 재질의 방음패널의 경우, 강도나 제작비용 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자체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운반 및 설치작업이 어려우며, 설치 후, 외력에 의해 파손되었을 때 이를 보수하는 작업이 까다로운 한편, 방음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금속재질의 방음패널의 경우, 전면에 다수개의 슬릿홈이 조밀하게 형성된 그릴이 형성되고 본체 내부에 통상의 흡음재가 내장된 형태로서, 방음효과면에서는 콘크리트 재질에 비해 우수하나, 강도가 약해서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 및 파손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파손 후 이를 보수하는 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금속재질 특성상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합성수지 중 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로 방음패널을 마련하고, 단순히 복수의 방음패널을 단일층으로 조립하던 종래 방음구조물의 구조를 상기 방음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개선하여,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방음벽구조물을 개별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호 이격배치되어 중공층을 형성하며, 강도가 우수한 폴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의 방음패널로 구성된 한 쌍의 패널층을 포함하는 방음벽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어 중앙영역에 중공층을 형성하는 한 쌍의 패널층을 포함하며, 상기 각 패널층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로 마련된 복수의 방음패널과, 상기 복수의 방음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방음패널은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지지판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판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판부 사이에 복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벽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판부의 판 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판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판부와; 상기 가로판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한 쌍의 지지판부의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판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면에는 톱니형태의 강도보강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공층에는 상기 한 쌍의 패널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볼 수 있도록 장식부재와 조명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재는 발광다이오드(LED)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지지빔은 상기 복수의 방음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영역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가로빔과, 상기 복수의 방음패널의 양 측단부영역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세로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로빔 또는 상기 세로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음패널의 지지판부 사이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조명부재는 발광다이오드(LED)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음벽구조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변으로 노출되는 전방패널층(100)과, 전방패널층(100)과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전방패널층(100)과 함께 중앙영역에 중공층(300)을 형성하는 후방패널층(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중공층(300)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고, 전달되 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로의 열손실 및 열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단열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전방패널층(100)과 후방패널층(20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후방패널층(200)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전방패널층(100)의 구성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방패널층(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방음패널(130)과, 복수의 방음패널(130)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빔(110,120)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빔(110,120)은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방음패널(130)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방음패널(1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영역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가로빔(110)과,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방음패널(130)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복수의 방음패널(130)의 양 측단부영역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세로빔(120)을 포함한다.
각 방음패널(1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와,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 사이에 다수의 공기층(137)을 형성하는 격벽부(13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방음패널(130)은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를 압출성형하여 마련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면, 투명하고, 단단하여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내열성이 우수한 방음패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대신 아크릴 수지, 유리, 플라스틱 수지들로 복층판을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패널층(100)의 방음패널(130)의 경우에 도로변을 향하게 되는 상부 지지판부(131)와, 후방패널층(200)과 마주보게 되는 하부 지지판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패널층(100)의 방음패널(130)의 경우, 상부 지지판부(131)는 가장 직접적으로 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판부(131)의 내측면에 강도보강을 위해 톱니형태의 강도보강패턴(13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하부 지지판부(133)에도 강도보강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후방패널층(200)에 사용된 방음패널(130)의 상부 및 하부지지판부(131,133)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강도보강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방음패널(130a)를 도시한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격벽부(134a)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공기층(137a)과, 한 쌍의 지지판부(131a,133a)로 구성된 방음패널(130a)에 있어서, 방음패널(130a)이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마련되어 충분한 강도를 갖기 때문에 한 쌍의 지지판부(131a,133a)의 내측면에 강도보강패턴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격벽부(134)는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 사이에서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의 판면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로판부(136)와,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 사이에서 가로판부(136)를 가로지르며,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의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판부(135)를 포함한다.
가로판부(136)는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 사이에서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복수의 세로판부(135)에 의해 연속적으로 구획되는 좌우공간을 다시 상하로 구획하여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 사이에 보다 많은 공기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 사이에 하나의 가로판부(136)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 사이에 복수의 가로판부(136)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의 세로판부(135)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 사이 이격공간을 연속적으로 좌우로 구획하여 공기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의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에서 지지함에 따라, 한 쌍의 지지판부(131,133)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방음패널(130)의 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격벽부(134)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층(137)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고,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로의 열손실 및 열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단열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구조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는 한편,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중공층(300)이 비어 있었으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음벽구조물의 중공층(300)에는 다양한 형태의 장식부재(400)와, 조명부재(500)가 설치되어 있다.
중공층(300)에 설치된 장식부재(400)와, 조명부재(500)에서 출사된 빛은 투명한 전방패널층(100)을 통해 방음벽구조물의 외부에서 보여 짐에 따라, 방음벽구조물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중공층(300)에 설치된 장식부재(4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전시물을 중공층(300)에 설치하여 다양한 분위기의 방음벽구조물을 연출할 수 있다. 특히, 중공층(300)에 실질 광고물품 또는 물품의 광고를 위한 홍보물을 설치하는 경우, 방음벽구조물을 광고 구조물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부재(500)는 중공층(300) 내부의 전기 배선에 연결되고,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점멸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명부재에서 발광되는 빛은 단일색 또는 여러 색을 갖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장식부재(400)와, 조명부재(500)가 함께 중공층(300)에 설치되어 있으나, 중공층(300)에 장식부재(400)와 조명부재(500) 중 어느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한 쌍의 패널층(100, 200)의 일면에 코팅되어 부착되는 장식지(미도시)를 이용하여 중공층에 형성되는 장식부재(400)의 배경화면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에서는 상술한 제2실시예와는 달리 조명부재(550)가 지지빔(110, 120)에 삽입설치되어 방음패널(130)의 상부 및 하부지지판부(131, 133)사이의 공기층(137)으로 빛을 조사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지지판부(131, 133)사이의 공기층(137)으로 조사되는 빛이 지지판부(131)의 보강패턴(132)과 간섭을 일으켜 색다른 조명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명부재(550)는 지지빔(110, 120)의 가로빔(110) 또는 세로빔(120)에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가로빔(110) 또는 세로빔(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중공층(300)에 장식부재(400)가 설치된 경우에는 가로빔(110) 또는 세로빔(120)에 설치된 조명부재(550)에 의해 장식부재(400)가 보다 색다르게 전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로 마련된 방음패널의 강도가 우수하고 외력에 의한 변형율이 작음에 따라, 이 방음패널을 사용하여 방음벽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 방음패널의 크기를 다소 크게 제작하여 방음패널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방음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빔의 개수도 줄일 수 있어, 방음벽구조물의 작업수 및 방음벽구조물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패널층 사이에 중공층이 마련되어 있음에 따라, 소음을 차단하여 방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음패널이 많은 공기층을 함유하고 있도록 마련되는 경우, 공기층 이 소음을 흡수 및 차단하여 중공층과 함께 방음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중공층에 장식부재 및/또는 조명부재를 설치하는 경우, 방음벽구조물의 외관의 미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별히, 중공층에 실질 광고물품 또는 물품의 광고를 위한 홍보물을 설치하는 경우, 방음벽구조물을 광고 구조물로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1)

  1. 상호 이격 배치되어 중앙영역에 중공층을 형성하는 한 쌍의 패널층을 포함하며,
    상기 각 패널층은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된 복수의 방음패널과, 상기 복수의 방음패널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패널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음패널은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지지판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판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판부 사이에 복수의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판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판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판부와;
    상기 가로판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한 쌍의 지지판부의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면에는 톱니형태의 강도보강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볼 수 있도록 상기 중공층에 설치되는 장식부재와 조명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패널층의 일면에 코팅되어 부착되는 장식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발광다이오드(LED)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빔은 상기 복수의 방음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영역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가로빔과, 상기 복수의 방음패널의 양 측단부영역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세로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빔은 상기 복수의 방음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영역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가로빔과, 상기 복수의 방음패널의 양 측단부영역을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세로빔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빔 또는 상기 세로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음패널의 지지판부 사이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패널 사이의 중공층에는 상기 한 쌍의 패널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볼 수 있도록 장식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발광다이오드(LED)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구조물.
KR2020060010765U 2006-04-21 2006-04-21 방음벽 구조물 KR200420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765U KR200420497Y1 (ko) 2006-04-21 2006-04-21 방음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765U KR200420497Y1 (ko) 2006-04-21 2006-04-21 방음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497Y1 true KR200420497Y1 (ko) 2006-07-04

Family

ID=4176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765U KR200420497Y1 (ko) 2006-04-21 2006-04-21 방음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4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237B1 (ko) 2009-08-18 2010-06-11 주식회사 일원테크 방음벽용 흡음형 칼라 광고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98872B1 (ko) * 2018-10-11 2020-04-2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저속치환 공조방식을 이용한 옥외 정화구역 조성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237B1 (ko) 2009-08-18 2010-06-11 주식회사 일원테크 방음벽용 흡음형 칼라 광고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98872B1 (ko) * 2018-10-11 2020-04-2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저속치환 공조방식을 이용한 옥외 정화구역 조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81483B (zh) 墙壁面板安装系统
JP2012530931A (ja) 吸音型防音パネル
KR100695700B1 (ko) 조립식 경량벽체 패널과 그 조립구조
KR101220584B1 (ko) 조립식 흡음블록을 갖는 방음판
KR200420497Y1 (ko) 방음벽 구조물
KR20120007407A (ko) 투명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투명방음벽
WO2010038920A1 (en) Roof ceiling panel combining soundproof and sound absorption function
KR101039203B1 (ko) 조립식 흡음블록을 갖는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487818B1 (ko) 도심 도로용 방음 판넬
KR101025282B1 (ko) 흡음과 투시 복합형 방음판
KR20090088479A (ko)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벽체
KR101348919B1 (ko) 흡음공 및 공명 격벽을 구비한 수지형 방음판
KR101459290B1 (ko) 곡면형 방음벽
KR200175890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101075499B1 (ko) 가변형 방음판
KR20050117512A (ko) 흡음형 방음판 구조물
KR200313284Y1 (ko) 도심 도로용 방음 판넬
JP6573752B2 (ja) 建物
KR200252855Y1 (ko) 조립식 방음판넬
JP5973239B2 (ja) パネル壁
KR20090009668A (ko) 건축용 판넬과 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0525033B1 (ko) 투명 방음패널
KR100470548B1 (ko) 건축용 대나무 방음벽 설치구조
KR100417452B1 (ko) 목재 방음판넬
KR20230133457A (ko) 균일한 조도를 갖는 아트월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